[[분류:올 엘리트 레슬링]][[분류:프로레슬링 챔피언십]] [include(틀:AEW 챔피언십)] ||<-2> [[파일:AEWContinentalCrown.jpg|width=300]] || || '''현재 타이틀 명칭''' || '''[[AEW 컨티넨탈 챔피언십]]''' || || '''현재 챔피언''' || '''[[에디 킹스턴]]''' || || '''챔피언 등극''' || 2023년 12월 30일 [br] '''[[AEW 월즈 엔드]]''' || || '''이전 챔피언''' || || || '''단체''' || '''[[올 엘리트 레슬링]]''' || || '''벨트 창설일''' || 2023년 11월 22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올 엘리트 레슬링]]에서 2023년 11월 22일에 신설한 챔피언십이다. AEW 공식 홈페이지와 유튜브를 통해 컨티넨탈 클래식의 개최와 본 타이틀의 창설이 발표되었다. 컨티넨탈 클래식은 총 12명의 선수가 블루와 골드 두개 조로 나누어져서 리그전을 실시했으며 11월 22일 [[AEW 다이너마이트]]에서 시작해 12월 30일 [[AEW 월즈 엔드]]에서 결승전이 실시되었다.[* 컨티넨탈 클래식에는 본 타이틀 뿐만 아니라 기존에 [[에디 킹스턴]]이 보유하고 있던 [[ROH 월드 챔피언십]]과 [[NJPW 스트롱 오픈웨이트 챔피언십|STRONG 오픈웨이트 챔피언십]]이 함께 걸려있었으며 해설진은 이를 모던 아메리칸 트리플 크라운으로 호칭했다.] == 기록 == || '''초대 챔피언''' ||<-2> [[에디 킹스턴]] || || '''최다 획득 챔피언''' || || || || '''최장기간 챔피언''' || || || || '''최단기간 챔피언''' || || || || '''최고령 챔피언''' || || || || '''최연소 챔피언''' || || || || '''최중량급 챔피언''' || || || || '''최경량급 챔피언''' || || || ### 작성시 날짜는 반드시 미국 현지 날짜로 계산하여 수정부탁드립니다. == 역대 챔피언 목록 == *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최장 보유 기간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 # || '''이름''' || '''챔피언 횟수''' || '''등극한 날 [br] (챔피언 방어 기간)''' || '''이벤트''' || '''비고''' || || '''1''' || '''[[에디 킹스턴]]''' || 1회 || 2023년 12월 30일 ([dday(2023-12-30)]일) || [[AEW 월즈 엔드]] || [* [[AEW 월즈 엔드]]에서 펼쳐진 컨티넨탈 클래식 결승전에서 [[존 목슬리]]를 꺾고 챔피언에 등극.] || == 역대 토너먼트 경기 == || '''#''' || '''연도''' || '''대회명 (챔피언십)''' || '''우승자''' || || '''1''' || 2023 || AEW 컨티넨탈 클래식 || [[에디 킹스턴]] || == 여담 == * 동급인 [[AEW 인터내셔널 챔피언십]]이 존재하고, 사실상 한 몸인 ROH까지 합치면 AEW에 챔피언 벨트가 이미 많은 상황에서 굳이 하나 더 신설하냐는 부정적인 반응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