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AK-9}}}'''[br]''Автомат Калашникова-9''[br]''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9''}}}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9.jpg|width=100%]]}}}|| || '''종류''' ||[[돌격소총]][br][[카빈]]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07년]]~현재 || || '''개발''' ||[[미하일 칼라시니코프]] || || '''개발년도''' ||[[2000년대]] 초반 || || '''생산''' ||[[칼라시니코프]] || || '''생산년도''' ||[[2000년대]] || || '''생산수''' ||수백 정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br][include(틀:국기, 국명=몽골)][br][include(틀:국기, 국명=시리아)] || || '''사용된 전쟁''' ||[[시리아 내전]] || ||<-2> {{{#White '''기종'''}}} || || '''원형''' ||[[수출형 AK 시리즈|AK-100 시리즈]] || ||<-2> {{{#White '''제원'''}}} || || '''탄약''' ||[[9×39 mm]] || || '''급탄''' ||20발들이 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br]회전 노리쇠 방식 || || '''총열길이''' ||200mm || || '''전장''' ||881mm (소음기 포함) || || '''중량''' ||3.8kg || || '''발사속도''' ||700~750RPM || || '''유효사거리''' ||400m || || '''최대사거리''' ||424m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I_8jfMBMtVw)] [[미하일 칼라시니코프]]와 [[칼라시니코프]][* 구 이즈마쉬]에서 생산한 [[AK-47]] 소총의 후계 기종 중 하나. == 상세 == 특이하게도 이 총은 [[러시아군]]의 요구가 아닌 자체적으로 개발된 몇 안되는 케이스이다.[* 소련이 망하고 설계국들이 주식회사로 전환되면서 생기는 일로 사실 요즘엔 흔하다.] 1990년도를 기점으로 [[9×39 mm]] 아음속탄을 사용하는 총기들은 제법 괜찮은 성적을 거두고 있었다. 단순히 [[AKS-74U]]의 [[9x39mm]]형인 [[OTs-12]]도 사용될 정도 였다. 이에 2000년도 칼라시니코프 사와 미하일 칼라시니코프는 같은 탄종을 사용하는 AK 소총을 개발할 생각을 하게 된다. 이 신형 소총은 [[OTs-12]] 처럼 구형 [[AKS-74U]] 기반이 아닌 좀더 신형이자 이미 만들어져있던 [[수출형 AK 시리즈|AK-100 시리즈]] 소총들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20발 탄창과 핸드가드에 내장된 피카티니 레일을 사용하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 특수부대용 사용을 목표에 두고 만든 무기로, 이를 위해 기존 [[제식 소총]]인 [[AK-74]]를 거의 절반으로 줄이는 수준의 경량화를 많이 꾀하였다. 총열도 AK-74의 400mm보다 반 정도로 짧은 200mm로 만들고 여기에 제작자 칼라시니코프의 노하우가 담긴 신뢰성있는 내구도를 확보하는데는 성공하였으나... 이미 기존 스페츠나츠에서 사용하고있었던 [[AS Val]]을 기초로하는 [[VSS 빈토레즈]] 및 파생형들의 경우 '''2.4kg'''의 사기적으로 가벼운 무게에 유효사거리만 '''400m'''를 넘어가는 괴물들이었고 AK-9을 제외하고도 M43, 9×39를 사용하는 [[OTs-14]], 9×39를 사용하는 AS Val의 파생형 PDW인 [[SR-3]]같은 좋은 PDW들도 많았다. 즉, AK-9은 '''딱히 가볍지도 않으면서 사거리도 별로인''' 어중간한 무기가 되어버렸다. 그렇다고 그냥 화력 치중형으로 만들자니, 그쪽은 이미 [[OTs-14]] 소총이 버티고 있었다. 이미 오랜 시간동안 특수부대의 무기로 애용된 Groza와 큰 차이가 없는 AK-9은 딱히 Groza에 대항할만한 장점이 없었다. 사거리나 무게도 비슷하고 개조폭도 유사하며, 휴대성은 [[불펍]] 방식인 Groza에 비해 더 떨어졌다. 그나마 남은 장점은 기존 AK류와 완벽히 유사하다는 것. 하지만 사실 Groza나 VSS류 총기들도 제작시 AK 소총들을 많이 참고하여 만들어져 있으며[* 특히 Groza는 아예 대놓고 AKS-74U의 구조를 일부 채용하였다.] 따라서 '병사 조금만 더 교육시키면 되는데 굳이 그 총을 도입할 이유가 있을까'하는것이 군 수뇌부의 반응이였다. 그리하여 AK-9은 시제품까진 완성되었으나 정식 생산 라인으로 들어가지는 못하였다. 총기 자체는 결코 나무랄곳이 없었으나, 이미 훨씬 더 전에 쟁쟁한 [[OTs-14|경]][[SR-3|쟁]][[AS Val|자]]들이 먼저 꿰차고 들어앉아 있었다는것이 패인. 현재는 AMB-17이 존재하므로 누군가 주문 하지 않는 이상 굳이 다시 생산될 일은 없을 것이다. ==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 * [[워페이스]] - [[워페이스/무기/엔지니어#s-3|엔지니어 클래스]]가 사용가능한 총기로 등장한다. * [[Phantom Forces]] - AK12C에 컨버전을 부착하면 9x39 탄종이 사용되게 변경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시리아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include(틀:칼라시니코프 계열 총기)] [[분류:돌격소총]][[분류:AK-74]][[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칼라시니코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