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AMOLF}}}[br]네덜란드 AMOLF 연구소''' || || '''설립''' ||[[1946년]]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 || '''링크''' ||[[https://amolf.n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amolfopenda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_amolf,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덜란드]] AMOLF 연구소는 물질 물리학에 대한 주요 기초 연구를 하고 학계와 협력하여 기초 과학 재료를 만든다. 연구자들은 물리학 원리를 사용하여 나노 크기의 빛, 생명체, 설계 물질, 태양 전지와 같은 기초 물질을 연구한다. == 역사 == 1946년 [[네덜란드]] 정부는 물질에 대한 기초 과학 연구를 시작하기 위해 물질 기초 연구 재단(FOM)을 설립했다. 연구소는 1966년에는 FOM 원자 및 분자 물리학 연구소(AMOLF)로 되었다. == 관련 인물 == * 양태열 -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 2024년~2025년 네덜란드 AMOLF 연구소에서 '''뉴로모픽 소자 개발''' 연구를 하였다. [[https://amolf.nl/research-groups/hybrid-solar-cells|#]] == 관련 수상 == * [[프리츠 제르니케]](네덜란드) - 1953년 위상차 현미경의 완성으로 [[노벨물리학상]] 수상. * [[니콜라스 블룸베르헌]](미국) - 1981년 레이저 분광 개발로 [[노벨물리학상]] 수상. * [[시몬 판 데르 메이르]](네덜란드) - 1984년 원자 입자인 W와 Z의 발견으로 [[노벨물리학상]] 수상. *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마르티뉘스 펠트만]](네덜란드) - 1999년 전자기 약력의 양자역학으로 [[노벨물리학상]] 수상. * [[안드레 가임|안드레 콘스탄티노비치]](영국) - 2010년 그래핀 연구로 [[노벨물리학상]] 수상. * [[파울 크뤼천]](네덜란드) - 1995년 대기 화학에 관한 업적으로 [[노벨화학상]] 수상자. * [[베르나르트 L. 페링하]](네덜란드) - 2016년 분자 화학으로 [[노벨화학상]] 수상자. [[분류:연구소]][[분류:1946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