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bigtree.heteml.jp/41hZL7fdG3L__SL500_AA300_.jpg]] [youtube(uupxAT7mtLw)] plazma가 작곡한 곡이자 그 표제곡 [[유비트 코피어스]]의 [[SWEET CUBE]]의 자켓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 [[유비트 플러스]] == 2011년 7월 8일날 유비트 플러스 plazma팩에 수록되었다.일단 이곡의 의의는 유비트 플러스와 아케이드를 통틀어 어드벤스와 익스트림의 노트수가 똑같다는점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레벨도 같고 노트수까지 같은 경우는 없다. [* [[STELLAR WIND]]의 익스트림 보다 어드벤스가 노트에서 한개정도 차이가 나고 [[yellow head joe]]같은 경우엔 난이도는 동일하나 노트수와 클리어면에서 차이가 나지만 노트가 아예 똑같이 표기된건 이곡이 처음이다.] ||||||||||<#5a5aff><:>jubeat plus 기준|| ||<|2><#5a5aff><:>레벨||||<#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1||<:>6||<:>8|| ||<#5a5aff><:>노트수||||<:>122||<:>649||<:>649|| ||<#5a5aff><:>BPM||||||||<:>128|| [youtube(sI6NuF46rNE)] 익스트림 보면 영상 어드벤스도 6치고는 빠밤같은 대각선 치기라든지 각종 손꼬이기좋은 패턴으로 인해 익스트림하고는 별 차이가 없다 정확히 말하면 아예 둘이 난이도 똑같이 표기해도 아무문제 없을정도. 게다가 공교롭게도 유비트 페스토 기준으로도 유비트 플러스까지 포함해서 6레벨 최다 노트수를 달성했다. [* 아케이드만 보고 따지면 Daisuke의 ADV채보이며 노트 수는 621.] [[분류: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