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파일:external/static.inven.co.kr/column/2014/02/28/news/i0392324787.jpg]] 왼쪽에서 두 번째 앉은 사람. 해당 사진 [[큐라레]] 런칭 당시. == 개요 == [[대한민국]]의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소설가. 본명은 정석예(丁碩乂). [[EZ2DJ]]시리즈와 [[DJMAX 시리즈]]의 BGA로 많이 알려져 있다. 같은 업계 유명인인 [[D(디자이너)|D]]와는 친형제이다. Ache가 형, [[D(디자이너)|D]]가 동생이다. == 경력 == === [[EZ2DJ 시리즈]] === [[EZ2DJ The 1st TRACKS Special Edition]]부터 게임업계에 등장. 당시 그가 담당한 건 BOB 등의 캐주얼한 BGA와 선곡화면 우측하단에 작게 나오는 SD캐릭터 컷인 연출이었다.[* SD캐릭터 부분은 본인이 담당한 거라고 당시 PC통신상에서 밝혔다.] 본격적으로 팬들에게 평가받게 된 것은 [[EZ2DJ 2nd TRAX ~It rules once again~]]부터. 전체 제작 BGA중에 많은 수의 BGA 제작을 담당하였는데, 기존에는 볼 수 없었던 독특한 화풍의 연출이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인지도가 급상승하였다. 본 명의를 주로 내세웠지만, dizzy 등의 차명의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후 EZ2DJ 1기 시리즈에서 빼 놓을 수 없는 BGA 제작자로 인정받으면서 [[EZ2DJ Platinum]]까지 스탭으로서 참여. [[20000000000]]의 타이틀화면 이미지는 이 사람의 사진을 포토샵으로 처리한 것이다.[* 3rdTRAX OST에 만든 과정이 나와 있다.] === [[DJMAX 시리즈]] === 이후 [[DJMAX 온라인]]런칭 시에도 제작에 참여하였었으나, 일신상의 문제로 임시 하차. [[Funky Chups]]를 DMO 베타테스트 시절부터 해왔던 사람들은 원래 타이틀 이미지가 이 사람의 그림이라는 것을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DJMAX Portable]]의 [[HAMSIN]]의 BGA 제작을 맡으면서 다시 리듬게임 제작에 복귀하였다. 이후 [[DJMAX Portable 2]]의 아트 디렉터를 맡아서 제작업무를 계속하다가 [[펜타비전]]에서 퇴사했다. === [[기타]] === 그 후 모바일 게임 하얀섬에 참가를 하고 스마일게이트의 IO스튜디오에서 큐라레: 마법 도서관의 AD 및 UI디자인을 맡았다. 2017년 현재는 인디게임인 [[블랙위치크래프트]]의 디자인 및 캐릭터 모션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논란 == === 데레스테 및 비마니 시리즈 관련 발언 논란 === 트위터에서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는 리듬게임을 발전시킨 마스터피스이며, 코나미는 [[비트매니아 시리즈]]후에 [[개소리|리듬 게임 발전에 하나도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방해만 했다]]는 발언을 했는데, 그에 대해 설명을 요청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은 15년 동안 리듬 게임을 만들어온 사람이며, [[DLC|설명을 받고싶다면 비용을 지불하라]]는 헛소리를 지껄여 한동안 논란이 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rhythmgame&no=8060711|#해당 발언 캡처]] === 표절 === 펜타비전 퇴사 후에 EZ2DJ와 DJMAX, 그의 홈페이지에 공개된 아트웍들의 타 작품 표절이 '''한꺼번에 터져서''' 논란이 된 적이 있다. [[http://pds13.egloos.com/pds/200901/20/76/a0014876_49758824291cc.jpg|참고자료]] DJ MAX시리즈의 표절 논란 이후, 그림을 접고 소설을 쓰겠다고 밝혔으나 하얀섬으로 게임 제작에 복귀했다. ==== [[EZ2DJ 3rd TRAX ~Absolute Pitch~]] ==== * [[2.14]] - [[Hitch Hiker]] 2 [[BGA]]의 레이아웃 및 모션 구도(표지판)가 흡사. ==== [[EZ2DJ 4th TRAX ~Over Mind~]] ==== * [[Complex]] - 타이틀 화면의 해바라기를 든 소녀 이미지가 [[타나카 유타카]]의 만화 [[애인#s-3]]의 한컷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 [[Metagalactic]] - 전체적인 디자인의 틀이 [[outer wall]]의 BGA와 유사. 헥스 기반 디자인은 미래적인 분위기를 나타내기 위해서 쓰인 소재이니 여기까지만 보면 확정은 아닌 의혹 수준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타이틀 화면과 IIDX 5th 공식 홈페이지의 G2ARTS에 공개된 outer wall 무료특전 월페이퍼의 구도는 흡사하다. 이에 대해서는 TaQ에 대한 리스펙트라고 해명했는데 그렇다고 트레이스 수준에 가까운 건 설명되지 않는다. 단 뒤의 논란과 달리 당시에는 잘 알려진 편이 아니었는데 이때 [[beatmania IIDX]]의 인지도는 한국에서 아는 사람만 아는 정도의 게임이라서 그 아는 사람들 빼고는 알던 사람이 많지 않아서이다. 나중에 뒤에 논란들이 가시화되면서 이것도 덩달아 발굴된 쪽에 가깝지만. * 아티스트 타이틀 로고 - [[xxdbxx]]의 아티스트 로고와 [[empathy]]의 [[TaQ|아티스트]] 로고의 타이포그래피는 다르지만 구도가 동일하다. * 원반형 디지털 앱스트렉트 레이어와 [[NEMESIS]]의 BGA 한 장면 - 중앙부분에 각종 타이포그래피가 들어간 것을 제외하면 구도는 동일. 색반전 수준이라고 해도 믿을 듯. * 원통공간 - 이 부분은 [[DXY!]] 중반부와 유사의혹이 있는데, 사람 실루엣의 유무와 사용된 문자가 한자와 [[데바나가리 문자]](?)냐의 차이일 뿐 구도가 동일하다. ==== [[DJMAX Portable 2]] ==== * [[A Lie]] - [[몬도 그로소]](오사와 신이치)가 작곡하고 [[보아]]가 피처링한 'Everything Needs Love'의 뮤직비디오를 표절했다는 의혹이 있다.[* Everything Needs Love의 MV는 2003년 당시로서는 매우 미려하게 정제된 타이포와 실사 영상 또는 스틸샷과의 합성이 일품인 작품으로, 타이포그래피 리릭 무비로서는 2021년 지금까지도 이만큼 잘 만든 타이포그래피 무비가 거의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당시 디자이너 업계와 영상 제작 업계 양쪽에서 반드시 봐야 할 작품으로 평가받았던 영상이다. 리릭 무비는 모션과 연출구상, 디자인과 타이포 모두가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하는 장르인데다 러닝타임이 4분이나 되기 때문에 어설프게 만들면 굉장히 촌스러워지거나 미완성의 느낌이 날 수 있고, 디자인해야 할 씬의 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완성도 높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큰 노력이 필요한 장르이다. 따라서 그 장르의 끝판왕과도 같은 작품을 표절했다는 것은 간이 크거나 막말로 바보이거나 둘 중 하나로밖에 볼 수 없다.][[https://www.youtube.com/watch?v=HkylBBlHTtw|#]]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 위에 몇 개의 단어 위주로 3열~4열 규모의 개행된 산세리프 폰트 문장이 가사의 흐름에 맞춰 보여지는 연출, 뒷 문장과 앞 문장이 화면 내에서 perspective하게 줌아웃되는 연출, 산세리프 문장이 작성된 박스가 화면 내에서 3X3, 4X4, 6X6의 바둑판으로 펼쳐지는 씬 등이 이에 해당한다. * [[Lost n' found]] - 브랜드 [[루이비통]]과 디자이너 [[무라카미 다카시]],의 콜라보로 제작된 일본 CF 중 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있었다. 논란이 일었을 때 자신은 '''해당 작품의 [[오마쥬]]를 했을 뿐 표절은 아니다'''라고 했지만 오마쥬라고 하기엔 도가 지나쳐서 설득력을 잃었다. 원본 CF의 감독은 [[호소다 마모루]]이고 음악 담당은 [[판타스틱 플라스틱 머신]]이며, [[썸머워즈]]까지의 초기 호소다 작품의 특징인 화려한 가상세계가 배경인데, 이 아이디어를 그대로 가져간 것. * [[Syriana]] - 아티스트 로고로 사용한 이미지가 [[미와 시로]]의 만화인 <[[DOGS]]>의 로고와 같아서 논란이 되었다. Ache 표절논란 중 가장 비판을 심하게 받은 케이스로, 이에 대해 본인은 '타투 사이트에서 이미지를 발견하였다. 법무팀에 문의해봤으나 별 말이 없어서 그냥 썼다.'라고 발언하였다. 자세한 것은 [[http://naridy.egloos.com/4044559|링크]] [[http://archive.is/eXnBD|아카이브]]를 참고. 해당 이미지는 DJMAX 핫튠즈에서 다른 이미지로 교체되었고 [[DJMAX RESPECT]]에서는 아예 이미지가 삭제되고 텍스트만 출력되게 수정되었다. ==== [[큐라레: 마법 도서관]] ==== * 2014년 [[스마일게이트]]의 IO 스튜디오에서 [[큐라레: 마법 도서관]]의 아트 디렉터 및 UI디자인을 담당하였는데 UI부분에서 페르소나 4와의 표절논란이 발생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unleashed&no=877019|참고링크]] [[http://archive.is/nsUXU|아카이브]] === 기타 === [[너의 이름은.]] 시사회와 관련하여 남혐 발언을 했다가 구설수에 올랐다. [[http://archive.is/Sodv6|아카이브]] 아이러니하게도 더이상 떨어질 이미지가 없어서(...) 별로 주목받지 않았다. == 참여작 == * [[EZ2DJ The 1st TRACKS Special Edition]] * [[EZ2Dancer]] * [[EZ2DJ 2nd TRAX ~It rules once again~]] * [[EZ2DJ 3rd TRAX ~Absolute Pitch~]] * [[EZ2DJ 4th TRAX ~Over Mind~]] * [[EZ2DJ Platinum]] * [[DJMAX 온라인]] * [[DJMAX Portable]] * [[DJMAX Portable 2]] * [[하얀섬]] * [[큐라레: 마법 도서관]] * [[블랙 위치크래프트]] * [[책과 마녀와 까마귀의 숲]] == 참고 링크 == * [[https://twitter.com/achenaplot|트위터]] * [[https://www.facebook.com/seokye.jeong|페이스북]] [[분류:대한민국의 일러스트레이터]][[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