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Additional Creatures]] [include(틀:ARK: Survival Evolved/모드)] [include(틀:Additional Creatures)] [목차] == 개요 == 게임 [[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의 모드인 [[Additional Creatures|에디셔널 크리쳐스]] 모드 시리즈 중 단품 모드에서 추가되는 생물들을 서술한 문서이다. 당연히 기타 모드로 묶인 만큼 시리즈 자체로 단독 문서로 분리할 만큼 규모가 큰 모드는 아니고, 한 모드당 하나의 생물만을 추가하는 모드들이다. == 목록 == === AC2(C) === ==== [[와이번(ARK: Survival Evolved)|부식 와이번]] (Corrosion Wyvern) ==== === ACD === ==== [[던브레이커]] (Dawnbreaker) ==== ||<:><#ffffff><-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던브레이커 이미지.png|width=550px]]}}} ||<:><-4><#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던브레이커 아이콘.png|width=300px]]}}} || ||<#dddddd><-4> '''스크린샷''' ||<#dddddd><-4> '''ACD 아이콘''' || |||||||||||||| '''{{{+1 {{{#f9e1df 던브레이커 }}}}}}''' '''{{{#f9e1df Dawnbreaker}}}''' |||||||||||||| ||<|2>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ark.gamepedia.com/b/b8/Yutyrannus.png|width=80px]] ||<:><|2> {{{#f9e1df '''조련 여부'''}}} ||<:> 특수 조련 ||<:><|2> {{{#f9e1df '''탑승 여부'''}}} ||<:><|2> '''유티라누스 안장''' ||<:><|2> {{{#f9e1df '''수상 전투'''}}} ||<:><|2> 불가능 || || 생물 소환 아이템 제작 || ||<|2><:><-2> {{{#f9e1df '''능력치'''}}} ||<|2><:><-2> {{{#f9e1df '''기본 능력치'''}}} ||<:><-3> {{{#f9e1df '''증가량'''}}}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dddddd> '''보너스 능력치''' || ||<:><-2><#dddddd> [[파일:ARKHealth.png|width=20]] {{{#008888 '''체력''' }}} ||<-2> 8230 || - || || || ||<:><-2><#dddddd> [[파일:ARKStamina.png|width=20]] {{{#008888 '''기력''' }}} ||<-2> 1200 || - || || || ||<:><-2><#dddddd> [[파일:Oxygen.png|width=20]] {{{#008888 '''산소''' }}} ||<-2> 150 || - || || || ||<:><-2><#dddddd> [[파일:ARKFood.png|width=20]] {{{#008888 '''음식''' }}} ||<-2> 3000 || - || || || ||<:><-2><#dddddd> [[파일:ARKWeight.png|width=20]] {{{#008888 '''무게''' }}} ||<-2> 920 || - || || || ||<:><-2><#dddddd> [[파일:ARKMeleeDamage.png|width=20]] {{{#008888 '''근접공격력''' }}} ||<-2> 750 (175%) || - || || || ||<:><-2><#dddddd> [[파일:ARKTorpidity.png|width=20]] {{{#008888 '''마비수치''' }}} ||<-2> 7000 || - || || || ||<|2><:><-2> {{{#f9e1df '''기본 속도'''}}} ||<:><-2> {{{#f9e1df '''질주 속도 (기력 소모량)'''}}} ||<|2><:><-2> {{{#f9e1df '''증가량'''}}} ||<|2><:> {{{#f9e1df '''조련 추가이속'''}}}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 ||<:><#dddddd> '''지상''' ||<:> ||<:> '''n''' ||<:> '''n''' ||<:><-2> ||<:> || ||<:><#dddddd> '''수중''' ||<:> ||<:> '''n''' ||<:> '''n''' ||<:><-2> ||<:> || ||<:><#dddddd> '''공중''' ||<:> ||<:> '''n''' ||<:> '''n''' ||<:><-2> ||<:> || |||||||||||||| {{{#f9e1df '''아종 여부'''}}} |||||||||||||| |||||||||||||| 없음 |||||||||||||| >던브레이커는 그 근본을 알 수 없는 대형 육식공룡입니다. 겉보기로는 단순히 몸집만 큰 [[유티라누스]]와 비슷하나 실제 던브레이커는 해당 생물들의 DNA로 구성된 [[인도미누스 렉스|하이브리드 공룡]]입니다. > * '''[[기가노토사우루스]]''' - [[베이스]] 게놈 > * '''큰거문고새''' > * '''[[테리지노사우루스]]''' > * '''[[검정카이만]]''' [[쥬라기 월드 시리즈]]의 [[인도미누스 렉스]]나 [[인도랩터]], [[아크 서바이벌|아크]]에 등장하는 타이탄과 기계 생물들을 제외한 모든 생물들처럼 혼종 공룡이다. 이름인 [[던브레이커]]는 단어 자체의 문서[* 단어 문서라고 서술은 해놨지만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의 데이드릭 아티팩트다. 물론 이 쪽의 던브레이커와 단어 자체는 같다.]에서도 보이듯 번역 자체가 애매한 단어다. 던브레이크(Dawnbreak)라는 단어는 [[새벽]]이 가고 [[여명|새 날이 밝아오는 것]]을 뜻하는 표현인 것을 감안하면 [[여명]] 내지는 여명의 사도 정도가 적당하다. 물론 국내에선 공룡의 이름을 굳이 번역해서 부르는 경우가 없으니 원어 그대로 던브레이커가 맞기는 하다. ---- 겉보기로는 깃털이나 기본 자세, 모션 등 모든 것이 [[유티라누스]] 기반이며, 엔트리 아이콘과 안장도 유티라누스의 것을 사용하나 사용된 DNA 리스트를 보면 유티라누스는 존재하지 않고, 오히려 [[기가노토사우루스(ARK: Survival Evolved)|기가노토]] 기반으로 [[검정카이만|카이만 악어]]와 [[테리지노사우루스|테리지노]], 큰거문고새의 DNA가 조합되었다고 한다. 아무래도 유티라누스처럼 보이지만 커다란 덩치는 기가노토에서, [[유티라누스]]처럼 깃털이 풍성하게 나 있는 것은 테리지노사우루스와 큰거문고새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스팀 창작마당 페이지에서는 [[범고래]]와 기타 등등... 정도로 더 언급되어있다. 일단 대표적인 DNA가 해당 생물들이고, 혼종인 만큼 정말 별의 별 생물들의 DNA가 들어갔을 것이니만큼 [[유티라누스]]의 DNA 역시 들어갔을 수도 있다.] 강력한 혼종 공룡이라는 컨셉 탓에 자연 상태에서 스폰이 되지 않으며, 105레벨에 던브레이커를 소환할 수 있는 엔그램을 해금해 아이템을 만들어 소환해야 한다. 소환을 하고 나면 유아기 상태로 스폰이 되어 육아를 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2세대 이후의 브리딩은 되지 않으며, [[Super Structures|SS 뮤테이터]] 등의 특수한 건물이 없다면 [[암컷]] 고정이기에 아예 교배 자체가 불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 혼종이라는 것과 자연 스폰이 되지 않아 소환을 해야한다는 점에서 [[ARK Additions]]의 도미네이션 렉스와 유사하나, 각인된 던브레이커는 도미네이션 렉스보다 훨씬 강력하며, 에디셔널 크리처스 내에서도 손꼽힐 정도로 강력한 공룡이다. 각인만 시킨 상태로 스탯을 일체 찍지 않은 개체마저 각인된 [[기가노토사우루스(ARK: Survival Evolved)|기가노토사우루스]]의 입질 공격 대미지의 2배를 넘어가며, 레벨링을 통해 전부 공격력 스탯에 투자하면 10,000 대미지는 우습게 넘어갈 정도. 베이스 스탯에서는 175% 기준 '''750'''으로, 서술에 비하면 낮은 대미지 수치이지만 이 수치 역시 바닐라 생물들 기준으로는 턱 없이 높은 수치로, 그 강력한 야생 기가노토가 500, [[도도렉스]] 계열 생물들이 600대, 대부분의 보스들의 공격 역시 알파 난이도 정도는 되어야 해당 수치와 비슷해질 정도. 또한 어디까지나 1레벨 기준이지, 실질적으로 던브레이커 소환 시 180으로 고정되어 스폰된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던브레이커의 강력함을 짐작해볼 수 있다. 또한 던브레이커는 그 강력함에 걸맞게 테크 재질의 구조물에도 피해를 입히는 것이 가능하다. 공격력 외의 스탯으로는 이동 속도 역시 빠르고, 유티라누스 기반이어서인지 기력 역시 매우 높은데다, 우클릭으로 시전할 수 있는 유티라누스와 같은 공포 포효 능력까지 존재한다. 대신 공포 포효의 경우 유티라누스와는 다르게 발동 속도가 느려 주력으로 쓰기에는 애매하고, 굳이 공포를 걸 필요없이 압도적인 공격력으로 찍어누르기만 하면 장땡이니 실효성은 없다. 출혈 상태이상과 [[에버레이션]] 레드존의 방사능에도 면역이다. ---- >'''[[던브레이커]]'''(Dawnbreaker), 일명 '''"더니(Dawnie)"'''는 원래 ARIS가 스토리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만든 설정입니다. 던브레이커는 Additional Creatures 2 모드의 최종 보스로 계획되었으나, 제작자가 AC2 제작팀에서 탈퇴 한 이후 폐기되었습니다. 대부분이 바닐라급의 생물로 구성된 Addiitional Creatures 모드 시리즈에서 뜬금없이 이런 괴물이 나온데는 이유가 있는데, 원래 던브레이커는 "Additional Creatures 2: The Ultimate Hybrid"라는 대형 모드의 보스격으로 계획되었다. 하지만 핵심 제작자인 ARIS가 제작 도중 탈퇴하고, 이로 인해 폐기가 되어 따로 나온 것. 더불어 던브레이커가 포함된 모드 역시 취소되어 나오지 않게 되었다. === ACR === ==== [[도도렉스|도도]][[리퍼(ARK: Survival Evolved)|리퍼]] (Dodoreap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