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롤링 스톤스)]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 '''Aftermath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109,연도2=2020,순위2=330)]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55)]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6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98)]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295, 연도=1998, 순위2=387,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83)] ---- [include(틀:언컷 선정 1960년대 500대 명반, 순위=68)]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Aftermath)] ---- [include(틀:이즘 선정 명반,음반명=Aftermath)] ----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The Sound Of Music, 전번_아티스트=Various Artists, 이번_앨범=Aftermath, 이번_아티스트=롤링 스톤스, 1위_기간=8주 연속, 후번_앨범=The Sound Of Music, 후번_아티스트=Various Artists, )] ---- }}} || ||<-2><#bf6f80> '''{{{#ffffff {{{+1 Aftermat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rollingstones.wpengine.netdna-cdn.com/aftermath-uk-600x600.jpg|width=100%]]}}} || || '''발매일'''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출력= )] [[1966년]] [[4월 15일]] || || '''녹음''' ||[[1965년]] 12월 6일 - 10일[br][[1966년]] 3월 3일 - 12일 || || '''장르''' ||[[블루스 록]]|| || '''재생 시간''' ||52:23 || || '''곡 수''' ||14곡 || || '''프로듀서''' ||앤드류 올드햄 || || '''스튜디오''' ||RCA 스튜디오 || [목차][clearfix] == 소개 == 영국의 록 밴드 [[롤링 스톤스]]의 네번째 정규 앨범으로,미국 발매 앨범 기준으로는 여섯번째 앨범이다. 그동안 커버곡과 자작곡을 섞어서 앨범을 발매했던 롤링 스톤스가 [[(I Can't Get No) Satisfaction]]의 성공으로 자신감과 창작성에 눈을 뜨며 과감하게 처음으로 전 앨범을 자작곡으로 채워서 만든 앨범이다. [[브라이언 존스]]의 연주력이 돋보이는 앨범으로, [[Under My Thumb]]와 [[Out of Time]]에서 [[마림바]], Take It or Leave It 에서 코토, [[Lady Jane]]에서 덜시마, [[Paint It Black]]에서 [[시타르]]를 연주해 앨범의 전체적인 장르는 블루스 록이지만 다양한 사운드를 느낄수 있게 되었다. == 트랙 리스트 == === Side A === ==== [[Mother's Little Helper]] - 2:44 ==== [Youtube(QAszapI0unE)] ==== Stupid Girl - 2:56 ==== [Youtube(aK5uZeeMFFk)] ==== [[Lady Jane]] - 3:08 ==== [Youtube(rhJEugkGNuQ)] ==== [[Under My Thumb]] - 3:41 ==== [Youtube(pexjkpqob0A)] ==== Doncha Bother Me - 2:41 ==== [Youtube(Mrfh6tY0M0c)] ==== Goin' Home - 11:13 ==== [Youtube(KfG290BclpI)] === Side B === ==== Flight 505 - 3:27 ==== [Youtube(dnZJwPq05Wo)] ==== High and Dry - 3:08 ==== [Youtube(DnJKCo3MtYM)] ==== [[Out of Time(롤링 스톤스)|Out of Time]] - 5:37 ==== [Youtube(pXP1MSFwMnc)] ==== It's Not Easy - 2:56 ==== [Youtube(FSX_frNxJDc)] ==== I Am Waiting - 3:11 ==== [Youtube(Y_oj6ZIOO8Y)] ==== Take It or Leave It - 2:47 ==== [Youtube(BE3gTaRTzRA)] ==== Think - 3:09 ==== [Youtube(GJy0mKfpTXs)] ==== What to Do - 2:32 ==== [Youtube(-vBO_qdJFE0)] == 북미 버전 == ||<-2><#000000> '''{{{#1d8ec6 {{{+1 Aftermat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rollingstones.wpengine.netdna-cdn.com/aftermath-us-600x537.jpg|width=100%]]}}} || || '''발매일'''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1966년]] [[4월 15일]] || || '''녹음일''' ||[[1965년]] 12월 6일 - 10일[br][[1966년]] 3월 3일 - 12일 || || '''장르''' ||[[블루스 록]] || || '''재생 시간''' ||42:31 || || '''곡 수''' ||11곡 || || '''프로듀서''' ||앤드류 올드햄 || || '''스튜디오''' ||RCA 스튜디오 || [clearfix] === 특징 === [[Mother's Little Helper]], [[Out of Time]], Take It or Leave It, What To Do가 빠지고 대신 [[Paint It, Black]]이 들어왔다. 빠진 네 곡들은 [[Flowers(롤링 스톤스)|Flowers]]같은 컴필레이션 음반에 실렸다. 롤링 스톤스의 중반기 대표곡인 Paint It Black같은 히트 싱글들이 많이 들어있기 때문에 미국반을 표준으로 간주하는 경우도 있다. 이 앨범 말고도 2002년 롤링 스톤스 디스코그래피가 리마스터링되면서 미국반을 표준으로 했기 때문에 다른 앨범들도 미국반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 트랙 리스트 === ==== Side A ==== *[[Paint It Black]] *Stupid Girl *Lady Jane *[[Under My Thumb]] *Doncha Bother Me *Think ==== Side B ==== *Flight 505 *High and Dry *It's Not Easy *I Am Waiting *Goin' Home [[분류:1966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롤링 스톤스 음반]][[분류:블루스 록]][[분류:빌보드 2위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