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DJMAX에 수록된 Marshmello의 동명의 곡, rd1=Alone(Marshmello))] [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1ppu7GExOQ)]}}} || || {{{-1 '''수록 정보'''}}} ||{{{-1 [[DJMAX RAY]]}}} {{{-3 (2012)}}} || || {{{-1 '''장르'''}}} ||{{{-1 Heal}}} || || {{{-1 '''BPM'''}}} ||{{{-1 115}}} || || {{{-1 '''작사/작곡'''}}} ||{{{-1 [[Nauts]]}}} || || {{{-1 '''보컬'''}}} ||{{{-1 Lim Ryu}}} || || {{{-1 '''BGA'''}}} ||{{{-1 [[TARI]](원화) / Entia J(모션)}}} || ||<-2> {{{#!folding [ 가사 보기 ] 같이 있어도 아닌 듯한 허공에 뿌린 생각들은 남들과 다르게 흘러가고 있어 인형처럼 항상 내가 좋아하는 조금은 다른 생각들에 위로받지 못할 고독을 느꼈어 혼자라고 아아 외로운 낮이여 아아 슬픔의 밤이여 아아 지독히 고독한 날들이여 넌 무얼 줄래 다르다는 건 다른 것뿐 이상한 것은 아냐 시간이 흘러 그 고독이 세상의 모든 걸 바꿀 때까지 나는 견뎌내리}}} || == 개요 == [[Nauts]]가 작곡한 [[DJMAX 시리즈]]의 수록곡. [[DJMAX RAY]]에서 최초 수록되었으며 이후 [[DJMAX TECHNIKA Q]]로 이식되면서 BGA가 제작되었다. [[Sunset Rider]] 이후로 편안한 음악을 제공하고 있는 [[Nauts]]의 곡 답게 편안하고 힐링되는 분위기의 음악이다. 차분한 분위기의 음악이지만 의외로 높은 난이도 등으로 유저들에게 호평을 받은 인기곡 중 하나다. [[DJMAX RAY]]에서는 XnP가 그린 아이캐치만 존재했고, 뮤직 플레이어에서는 후반부 반주를 페이드아웃 처리한 인게임[* RAY 포함.] 및 테큐니카의 BGA와는 달리 끝까지 이어진다. [[https://www.youtube.com/watch?v=3VZK8qheGJ0|듣기]] 여담으로 DJMAX Portable 2의 수록곡인 [[Mess it Up]]의 작곡과 BGA에 참여한 Nauts와 Tari가 재회했는데 곡이나 분위기는 완전 상반된다. == [[DJMAX RAY]] == ||<-5> [[DJMAX RAY]]의 SweetHeart 팩 수록곡 || || [[Jealousy]] || [[Cosmic Fantastic Lovesong]] || [[Raise me up]] || [[Brandnew Days]] || '''Alone''' || |||||| [[DJMAX RAY]] 난이도 체계 || || 패턴 || 난이도 || 비고 || || NM || 3 || || HD || 6 || || MX || 9 || [youtube(ekbXwRp27l0)] DJMax Ray iOS 1.0.7버전에 새로 업데이트된 Sweetheart 팩의 해금곡. 인기에 힘입어 [[DJMAX TECHNIKA Q]]에도 수록되었다. == [[DJMAX TECHNIKA Q]] == ||<-4> DJMAX TECHNIKA Q의 뮤직팩 8 수록곡 || || [[In My Heart]] || [[Y(DJMAX)|Y]] || [[Angel(DJMAX)|Angel]] || '''Alone''' || ||<-4>
<#000> [[DJMAX TECHNIKA Q|{{{#7df12a '''DJMAX TECHNIKA Q'''}}}]] || ||<#000> '''라인/난이도''' ||<#fff344> '''NM''' ||<#058cf4> '''HD''' ||<#e64119> '''EX''' || || '''2 LINE''' || 2 || 4 || 6 || || '''3 LINE''' || 3 || 5 || 7 ||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one(DJMAX)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405, #f86873)" '''{{{#6c5002 RESPECT}}}'''}}} || ||<-4>'''{{{+5 Alone}}}'''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3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576}}} || - || [[파일:djmaxsc5.png|width=16]] {{{#purple,#f21cc7 '''5'''}}} [br] {{{-5 888}}}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0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0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744}}}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28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9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879}}}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22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7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859}}} || [[파일:djmaxsc5.png|width=16]] {{{#purple,#f21cc7 '''5'''}}} [br] {{{-5 972}}}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8e8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시즌 4 오픈 기념 신곡으로 추가되었다. TECHNIKA Q 버전 BGA를 사용한다. 5B를 제외한 MX/SC 패턴에서 1절이 시작되는 부분에 [[DJMAX RAY]]에서 등장했던 긴 트릴이 나오는 것이 특징으로, 박자를 잘 따라가지 않으면 판정이 말리기가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UIAPecwtZ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UZienrSJOQ)]}}} || || {{{#white '''SC'''}}}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QrSQtcfkDA)]}}} || || 4B SC는 타 상위권 패턴들에 비해서 트릴이 길게 나오지는 않아 수월하다. 이외에는 빠른 계단 정도만 주의하면 무난하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vgB3MTPlv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BNdE0z3N8o)]}}}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DBsk9fru2o)]}}} ||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W8_T0MLVy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EVXjJpxuNU)]}}}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Sozq8-UAdw)]}}} ||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8iMTmWqcS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bJrekQIyIA)]}}}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eA1D6aWEo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2C9btNAZEE)]}}} || 8B SC에선 초반에 13과 46 동치가 포함된 트릴이 매우 길게 등장한다. 이후 후반에 등장하는 롱노트-사이드 패턴도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