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롤링 스카이]][[분류:DJMAX의 수록곡]] [include(틀:상위 문서, top1=Alone(Marshmello))] [목차] === [[롤링 스카이]] === ==== 스테이지 35: Alone ll ==== ||<-2> '''{{{+1 {{{#fff Alone I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llingsky_aloneii.jpg|width=250]]}}} || || {{{#fff 난이도}}} || 4성 || || {{{#fff 플레이 시간}}} || 약 '''3분 17초''' || || {{{#fff 해금 조건}}} || 4500원 || ||<-10>
'''{{{#fff 보석 위치}}}''' || || 1% || 4% || 7% || 17% || 18% || 19% || 20% || 24% || 25% || 33% || ||<-10> || || 36% || 41% || 44% || 52% || 54% || 58% || 73% || 83% || 95% || 97% || ||<-3>
'''왕관 위치''' || || 53% || 64% || 86% || ||<-6>
'''{{{#fff 체크포인트 위치}}}''' || || 10% || 19% || 29% || 40% || 59% || 80% || ||<-9>
'''{{{#fff 테마}}}''' || || [[롤링 스카이/스킨#Marshmello 스킨|[[파일:aloneiitheme.jp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신비한 성 스킨|[[파일:lostcitytheme.jp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Marshmello 스킨|[[파일:aloneiitheme.jp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신비한 성 스킨|[[파일:lostcitytheme.jp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Marshmello 스킨|[[파일:aloneiitheme.jp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신비한 성 스킨|[[파일:lostcitytheme.jp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Marshmello 스킨|[[파일:aloneiitheme.jp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신비한 성 스킨|[[파일:lostcitytheme.jp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Marshmello 스킨|[[파일:aloneiitheme.jpg|width=80]]]] || || 0% ~ 10% || 10% ~ 17% || 17% ~ 37% || 37% ~ 51% || 51% ~ 57% || 57% ~ 65% || 65% ~ 73% || 73% ~ 85% || 85% ~ 100% || [youtube(_WJ7zT4iY04)] * 어려운 부분: '''랜덤 장애물이 등장하는 부분'''[* 19%~20%, 23%, 43%~44%, 51%], '''46%~47%'''[* 스위치를 연속으로 밟아야 하는데, 조금이라도 늦으면 죽는다.], '''96%~98%'''[* 전형적인 암기 부분이다.] * 보석 난이도: '''어렵다.''' 52%, 54%에 코너링을 해서 먹어야 하는 보석이 있긴 해도 컨트롤이 심하게 어려운 보석은 없지만, '''18%, 19%, 20%, 24%, 25%, 33%, 36%, 58%'''에 악명 높은 '''셔플 보석'''이 재등장한다. 게다가 개수도 [[골드 크리스마스]]나 [[골드 크리스마스|성탄의 복음]]보다 많아진 것도 모자라 '''규칙이 더욱 악랄해졌다.''' * 왕관 난이도: 왕관이라기엔 너무나도 쉽다. '''보석보다 쉽다!''' 1번째 왕관은 코너링만 잘 하면 되고, 2,3번째 왕관은 길만 알면 쉬운 수준이다. * 비공식 세부 난이도: 쉬운 길 4.9 퍼펙트 5.3 [[Marshmello]]의 Alone이 배경음으로 사용된 스테이지이자 Marshmello 콜라보 스테이지이다. Alone, Faded 와 마찬가지로 보컬음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롤링 스카이의 3번째 보컬곡 스테이지이기도 하다. 29 스테이지가 [[Alan Walker]]의 [[Alone(Alan Walker)|동명의 곡]]이 사용된 스테이지라 구분을 위해 이 스테이지의 이름은 Alone II로 표기한 듯. [[https://youtu.be/ALZHF5UqnU4|원곡]] Marshmello와의 콜라보 스테이지이니 만큼 오브젝트들의 퀄리티가 평균 이상으로 뽑혔고, 장애물 중 Marshmello의 트레이드 마크인 X자 눈을 한 얼굴이 새겨진 장애물이 나오는 등 나름대로 신경써서 만든 듯 하다. 이 스테이지는 롤링 스카이 최초로 '''랜덤 장애물'''이 등장한다. 이는 19%~20%, 23%, 43%~44%, 51%에 등장하며, ■를 벽, □를 안전한 길이라고 했을 때, ■■□, ■□■, □■■ 중 하나의 배치로 나온다. 배치가 매 플레이마다 바뀌기 때문에 상당히 골치아픈 트랩. 반응 속도가 빨라야 한다.[* 팁은 이 랜덤 장애물이 원래 배치가 있고 볼이 가까이 오면 바뀌는데, 이때 '''원래 비어있던 곳에는 무조건 장애물이 생긴다.''' 예를 들어서 원래 ■■□ 모양이였으면 다가오면서 가장 오른쪽 빈칸에 장애물이 들어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에 빈 곳은 무조건 피하고, 배치가 바뀌면 남은 두 자리 중 하나로 피하면 된다. 물론 정확한 배치는 알 방법이 없다.] 첫번째 순서는 □■■ -> ■□■ -> ■■□ 순서인데, 그 뒤에는 랜덤으로 나오므로 사실상 순서가 없다고 보면 된다. 천공의 성이나 모노디에서 나온 것과 유사하게 발판이 기울어지는 구간이 있는데, 발판이 기울어지는 것은 연출일 뿐 플레이어가 접근하면 평평하게 바뀌어 실제 게임 플레이에는 아무 영향이 없었던 저 둘과는 다르게 여기서는 플레이어가 접근해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위쪽을 향한 부분을 밟으면 점프대를 밟았을 때처럼 튀어오르게 되고, 아래쪽을 향한 부분을 밟으면 그대로 추락사하도록 되어 있다. 초반에는 스위치 발판으로 어느 쪽으로 가야 하는지 알려주지만, 후반에는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회전 망치를 피하듯 방향을 암기해서 건너야 한다. 특히 96%~98%에는 도시 80%~82%를 연상케 하는 암기 구간이 등장한다. 골드 크리스마스, 성탄의 복음에서 악명 높던 셔플 보석은 기어이 재등장하여 플레이어들의 골치를 썩이고 있다. 랜덤 장애물 + 랜덤 보석-- 심지어 이 스테이지에서는 개수가 '''8개'''로 늘어났다. 게다가 규칙도 더욱 복잡해졌는데, 5번째 보석까지는 기존의 셔플 보석과 규칙이 동일하나, 6번째 보석부터 '''다시 18% 보석의 위치로 돌아가 원래 규칙대로 반복한다.''' 즉, 18%→19%→20%→24%→ 25%→ 33%→36%→58% 순서대로 보석의 배치는 다음과 같다. * 18% 보석의 위치는 가운데에서 시작해, 다른 맵에 가거나 재도전할 때마다 가운데→오른쪽→왼쪽→가운데→오른쪽→왼쪽...을 반복한다. * 18% 보석의 위치가 가운데일 경우 가운데→오른쪽→왼쪽→가운데→오른쪽→가운데→오른쪽→왼쪽 * 18% 보석의 위치가 오른쪽일 경우 오른쪽→왼쪽→가운데→오른쪽→왼쪽→오른쪽→왼쪽→가운데 * 18% 보석의 위치가 왼쪽일 경우 왼쪽→가운데→오른쪽→왼쪽→가운데→왼쪽→가운데→오른쪽 공식 난이도는 4성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랜덤 장애물 구간만 주의하면 4성 치고 어려운 구간이 많지 않아 클리어 난이도는 4성 하위권이다. 다만 노래가 노래다보니 스테이지의 길이가 약 '''3분 17초'''로, 3분 25초 길이의 [[Fade|Faded]] 다음으로 긴 굉장한 플레이타임을 자랑하며, 첫번째 [[Alone(Alan Walker)|Alone]][* 2분 37초]에 비하면 훨씬 길다. 후반부까지 가서 죽으면 상당한 멘탈붕괴를 경험할 수 있다. 정말 오랜만에 등장한 '''보석이 20개'''인 스테이지이다. 여담으로 이 스테이지 업데이트 이후에 첫 번째 Alan Walker 스테이지였던 '''[[Ignite]]가 삭제되었다.''' 또한 이 스테이지는 [[Fade|Faded Remix]]의 뒤를 잇는 롤링 스카이의 실질적인 '''유료 스테이지'''로, 광고를 보고 티켓을 획득하여 50%까지는 가 볼 수 있지만, '''그 이후부터는 4500원을 내고 해금해야 플레이 가능하다.''' 해금하면 무제한 부활 + 무제한 방패 + 무제한 하트를 준다지만... 이로 인해 현질 유도에 대한 큰 비판을 받았다. 이 스테이지가 출시된 후에 롤링 스카이를 접는 유튜버들도 생기기 시작했다. 그리고 전자음악 특집레벨을 구매할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구매 권한이 꺼져있어서 그럴수도 있다. 해양 업데이트 이후로 삭제가 된 스테이지라서 현재는 플레이가 불가능하다. 다만 기존에 해금했다면, 삭제 이후에도 플레이 할 수 있다. ==== 보너스 스테이지 22: 신비한 성 (Lost City)[* Lost City는 잃어버린 도시, 잊힌 도시 정도가 되는데 [[치타 모바일]]의 [[신비해졌다|신비한]] [[발번역|번역 상태]]로 신비한 성으로 번역된 듯 하다.] ==== ||<-2>
'''{{{+1 신비한 성}}}'''[br]Lost Cit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llingsky_lostcity.jpg|width=250]]}}} || || 난이도 || 4성 || || 플레이 시간 || 약 1분 54초 || || 해금 조건 || 열쇠 6개 || ||<-10>
'''보석 위치''' || || 2% || 7% || 12% || 49% || 51% || 55% || 84% || 88% || 93% || 99% || ||<-3>
'''왕관 위치''' || || 28% || 89% || 92% || ||<-6>
'''체크포인트 위치''' || || 9% || 20% || 30% || 39% || 60% || 79% || ||<-5>
'''테마''' || || [[롤링 스카이/스킨#신비한 성 스킨|[[파일:lostcitytheme.jp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야광 빛의 신비한 성 스킨|[[파일:lostcitytheme2.jp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Marshmello 스킨|[[파일:aloneiitheme.jp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야광 빛의 신비한 성 스킨|[[파일:lostcitytheme2.jp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신비한 성 스킨|[[파일:lostcitytheme.jpg|width=80]]]] || || 0% ~ 12% || 12% ~ 25% || 25% ~ 56% || 56% ~ 85% || 85% ~ 100% || [youtube(yubzqhmZ1Pg)] [youtube(i0ByQfxWDUM)] * 어려운 부분 : '''랜덤 장애물이 등장하는 구간'''[* 13%~18%, 22%, 24%~25%, 79%~82%], '''44%~49%'''[* 발판 훼이크 구간. 44%~45%는 왼쪽→가운데→왼쪽→가운데 순으로 움직이는 게 쉽고, 47%~49%는 오른쪽→가운데→오른쪽→가운데→오른쪽 순으로 움직이는 게 쉽다. 반대로 해도 가능은 하지만 떨어지기 쉬우니 그냥 정석대로 하는 것이 낫다.], '''87%~88%'''[* [[롤링 스카이/스테이지|설날]]에도 나왔던 랜덤 점프대가 나오는 구간. 설날을 먼저 해보고 규칙을 숙지하는 것이 좋다.] * 보석 난이도 : '''어렵다.''' 2%에 있는 첫 보석은 기둥 뒤에 숨어있어 못 보고 지나치기 쉬운 데다 컨트롤도 꽤 까다롭다.[* 점프대에서 보석이 있는곳으로 빠르게 뛰어들어야 한다.] 또한 '''12%, 49%, 51%, 55%, 84%, 93%'''에 등장하는 '''셔플 보석'''에 주의하자. 특히 93%에 있는 6번째 셔플 보석은 Alone II와 마찬가지로 12%에 있는 '''1번째 셔플 보석의 위치로 다시 돌아오기 때문에'''[* 예를 들어 12%의 첫 셔플 보석의 위치가 가운데라면 12%→49%→51%→55%→84%→93% 순서로 셔플 보석의 위치는 가운데→오른쪽→왼쪽→가운데→오른쪽→'''가운데'''가 된다.] 헷갈리기 쉽다. 그 외에도 99% 보석은 접근하는 [[안녕히 계세요 여러분|'''순간 공중부양한다''']]. 따라서 양쪽에 있는 점프대를 2번 타야 얻을 수 있으니 멍 때리다가 못 먹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유의. * 왕관 난이도 : 스테이지를 클리어할 실력이면 무난하다. 1번째 왕관은 루트 생성 점프대를 타고 2번 점프대 꺾기를 한 뒤 간단한 스위치 서핑을 해주는 패턴으로, 스위치를 밟을때 너무 빠르면 추락하기 때문에, 타이밍이 중요하다. 2번째 왕관은 랜덤 점프대만 타면 쉽게 먹을 수 있다. 랜덤 점프대의 위치를 잘 외워두자. 3번째 왕관은 플라잉부스터 타고 랜덤 점프대 한 번만 타주면 얻을 수 있지만 왕관을 얻은 뒤 아주 짧은 대각선 줄타기 패턴이 있어서 자칫 왕관 먹고 떨어질 수 있으니 방심은 금물이다.[* 이와 반대로 간발의 차로 왕관을 못 먹고 지나가는(...) 경우도 존재한다.] * 비공식 세부 난이도: 쉬운 길 4.6 퍼펙트 4.8 Alone II의 음악이 재해석되고 Alone II의 요소들이 사용된 보너스 스테이지. Alone II 이후 설날이 출시되고, 그 다음으로 등장했는데, 이로 인해 [[유적(롤링 스카이)|유적]], 길거리 농구, [[Ignite]]와 함께 보너스 스테이지가 뒤늦게 출시된 스테이지가 되었다. '''열쇠 6개'''로 영구 해금할 수 있는 스테이지이다. 이 스테이지가 출시되기 전 [[Alone(Alan Walker)|Alone]]의 보너스 스테이지로 [[Alone(Alan Walker)|Alone Remix]]가 출시되고, [[Fade|Faded]]의 보너스 스테이지로 [[Fade|Faded Remix]]가 출시된 전례가 있었던 지라 유저들은 [[우려먹기|Alone II Remix]]가 출시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많았지만, 예상을 뒤엎고 오브젝트만 Alone II의 테마로 쓰인 오리지널곡 스테이지가 출시되었다. 덕분에 다른 외부 곡들이 플레이 불가 상태가 될 때 이 스테이지는 살아남았다. [[롤링 스카이/스테이지/이집트|이집트]]의 루트 생성 점프대가 오랜만에 재등장했다. 이는 1번째 왕관 루트에 등장하며, 루트 생성 점프대를 밟으면 왕관을 안 먹는 루트를 탈 때 밟게 되는 점프대에 레이저 포대가 생겨서 갈 수 없고, 새로 생겨난 점프대를 타고 가야만 하는 신박한 패턴이 나온다. [[롤링 스카이/스테이지|설날]]에서 유저들을 골치 아프게 만들었던 랜덤 점프대가 이 맵의 87%~88%에도 출현했는데, 본래대로라면 더 뒤에 나와야 할 스테이지의 요소가 출현한 보너스 스테이지인 셈. 이 때문인지 설날을 해보지 않았다면 난조를 겪을 수 있으니 설날 먼저 해 보고 클리어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이 점프대의 패턴에 대해서는 [[롤링 스카이/스테이지/설날|설날]] 항목 참고. 난이도 표기는 원본 스테이지 Alone II과 동일한 4성이지만 Alone II보다 어렵다는 평이 많다. 그 이유는 Alone II에 나왔던 랜덤 장애물이 Alone II보다도 훨씬 많이 등장하는 데다가 전술했듯 후반에는 설날의 랜덤 점프대까지 등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Alone II는 구매했을 시 해당 스테이지 한정 무한 방패+무한 부활의 혜택을 주기 때문에 누구나 손쉽게 클리어할 수 있는 반면 이 맵은 그런 것도 없어 난이도 상승에 한 몫 한다. [[Fade|Faded Remix]]의 뒤를 잇는 원본의 난이도를 뛰어넘은 보너스 스테이지인 것이다.[* 이전에 나온 [[골드 크리스마스|성탄의 복음]]는 공식 난이도 표기로는 원본인 [[골드 크리스마스]]보다 높지만 실제론 둘의 난이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상기한 이유 때문인지 출시 당시엔 가장 어려운 보너스 스테이지라고 평가 받았으나, 지금은 [[The Spectre|The Spectre Remix]], [[롤링 스카이/스테이지/환상의 음파|음률 파티]] 의 등장으로 가장 어려운 보너스 스테이지는 아니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어려운 보너스 스테이지를 꼽으라면 빠지지 않는다. 특히 기본적으로 랜덤 장애물과 랜덤 점프대가 등장하는 데다 퍼펙트 클리어를 하려면 셔플 보석까지 외워서 먹어야 하는 등 온갖 랜덤 요소들이 총출동한 스테이지라 랜덤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 입장에선 오히려 저 둘과 비교해도 크게 꿇리지 않는 난이도로 느껴질 수 있다. 개인차를 배제하고 종합적으로 볼 때 4성 상위권 내지 최상위권 수준의 스테이지다. 이 스테이지의 업데이트 후 스테이지를 1,2,3,4,5,6성으로 분류해서 스테이지의 진행도, 획득한 보석 수, 획득한 왕관 수에 따라 달성도를 %로 표시해주는 메뉴가 추가되었다. 여담으로 번역상태가 이상한데, 제목이 신비한 성이지만, 영어 명칭이 (Occult castle)가 아닌 (Lost City)다. 원래였다면 제목이 잃어버린 도시 였어야 하지만 신비한 성으로 번역되는 [[치타 모바일]]의 신비한 [[발번역|번역 상태]]로 신비한 성으로 번역된 듯 하다. ==== 문제점 ==== '''셔플 보석과 랜덤 장애물'''이라는 유저들에게 악평을 받는 기믹들을 '''고스란히''' 가지고 나온 맵이기에 평이 매우 좋지 않다. 더욱이 보너스 스테이지는 '''랜덤 점프대까지''' 갖고 나왔다. 심지어 앞서 나온 맵들도 [[롤링 스카이/스테이지/더 빨리|더 빨리]], [[롤링 스카이/스테이지/골드 크리스마스|골드 크리스마스]], [[롤링 스카이/스테이지/골드 크리스마스#s-2|성탄의 복음]] 같은 유저들에게 악평을 받은 기믹들이 있어 질려하던 때 나온 맵인지라 더욱이 인식이 나빠졌고, 이때 롤링 스카이를 접는 유저들도 늘어나기 시작했다. 유료 스테이지로 출시되는 전자 음악 스테이지를 지나치게 많이 출시하고 있는 점도 혹평을 받았다. 설상가상으로 이 직후에 나온 맵 '''[[롤링 스카이/스테이지/설날|설날]]은 랜덤 요소를 대놓고 가진 맵'''인데다 설날 다음 맵은 '''또 유료 맵'''인 [[The Spectre#s-3.1.1]], [[The Spectre#s-3.1.2|The Spectre Remix]]였다. 이에 롤링 스카이의 평은 최악으로 치달았다. 이후 [[롤링 스카이/스테이지/마이크로칩|마이크로칩]], 디지털 매트릭스, 다이내믹 블록, VR 유토피아 등 퀄리티가 높으면서 열쇠로 해금 가능한 스테이지들이 나오고 나서야 평이 나아지기 시작했다. === [[DanceDanceRevolution]] === ||<-12> [[DanceDanceRevolution/난이도 체계|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 ||<|3> '''싱글 플레이''' |||| {{{#blue,#0bf BEGINNER}}}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0c0 EXPERT}}} ||<-3> {{{#purple,#plum CHALLENGE}}} || |||| {{{#blue,#0bf 2}}} |||| {{{#orange 5}}} |||| {{{#red 9}}} |||| {{{#green,#0c0 12}}} ||<-3> {{{#purple,#plum -}}} || || {{{#blue,#0bf 81}}} || {{{#blue,#0bf 8}}} || {{{#orange 171}}} || {{{#orange 3}}} || {{{#red 265}}} || {{{#red 3}}} || {{{#green,#0c0 366}}} || {{{#green,#0c0 3}}} || {{{#purple,#plum -}}} || {{{#purple,#plum -}}} || {{{#purple,#plum -}}} || ||<|3> '''더블 플레이''' ||||<|3> -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0c0 EXPERT}}} ||<-3> {{{#purple,#plum CHALLENGE}}} || |||| {{{#orange 5}}} |||| {{{#red 9}}} |||| {{{#green,#0c0 12}}} ||<-3> {{{#purple,#plum -}}} || || {{{#orange 169}}} || {{{#orange 9}}} || {{{#red 267}}} || {{{#red 3}}} || {{{#green,#0c0 356}}} || {{{#green,#0c0 5}}} || {{{#purple,#plum -}}} || {{{#purple,#plum -}}} || {{{#purple,#plum -}}} || || BPM ||<-11> 142 || || 아케이드 버전분류 ||<-11> [[DanceDanceRevolution A20]] || [youtube(yDXyuJL15Ns)] SP-EXPERT 영상. === [[DJMAX 시리즈]] === ==== [[DJMAX RESPECT 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one+(Marshmello)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405, #f86873)" '''{{{#6c5002 RESPECT}}}'''}}} || ||<-4>'''{{{+5 Alone}}}'''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70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1082}}} || - || -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60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831}}} || -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58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98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328}}}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63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100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453}}}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8e8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DDR을 제외한 동양 리듬게임치곤 드물게 서양 판권곡이 수록됐다. 라이센스 곡이므로 키음이 없고, 곡을 커팅해서 수록한 DDR과는 달리 원곡을 그대로 수록하였는데, 이때문에 [[POP/STARS]]와 마찬가지로 웬만한 익스텐디드 곡에 버금가는 곡 길이를 자랑한다. BGA 역시 원래 뮤직비디오가 그대로 나온다. 워낙 인기 곡이라 그런지 곡이 길고 패턴이 단조로워서 지루하다는 평에도 불구하고 인포그래픽 TOP30에 들었었다. 여담으로 V에 먼저 수록된 곡임에도 SC 채보가 없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Yb_QDKzgR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9j3g0ANNPw)]}}}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pPdLe5KtU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Clz5aIRg4s)]}}}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VDWkXZqdz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ll4rYhjTH0)]}}}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QHw2-30wzk)]}}} || || 6B MX는 트릴이 꽤 길게 떨어지지만 BPM이 낮아 별로 어렵지 않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Lr-B-wQoO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H-Xzl4GXHM)]}}}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ik7H2awo5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