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구글 애플리케이션]]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Android 시스템 WebView 로고.png|width=75]]||'''{{{#000 {{{+1 Android 시스템 WebView}}}}}}'''[br]Android System WebView ||}}} || || '''개발''' ||[[Google LLC]] || || '''플랫폼''' ||[[Android]] || || '''한국어 지원''' ||지원 || || '''관련 사이트'''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oogle.android.webview|[[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25]]]]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oogle.android.webview.canary|[[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25]]]]^^Canary^^[* 완전히 검토가 끝나지 않은 업데이트가 적용되는 베타 버전이다.] || [목차][clearfix] == 개요 == 안드로이드에서 [[웹 뷰어|웹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앱이다. 초창기에는 안드로이드 시스템 내부 기능이었지만, 보안 등의 업데이트가 용이하도록 현재는 앱으로 분리되어 있다. 구글 크롬과 코드 일부를 공유하는 등의 변화도 있었다. 주로 앱에서 웹을 볼 때 ASW를 이용한다. 대표적으로 외부링크를 클릭한다던가, 결제창을 띄울 때 별도 브라우저를 띄우지 않고 앱 내에서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인터넷 업체들은 서비스를 웹으로 구현하고 앱에는 웹뷰 하나 띄워놓아서 웹이지만 앱처럼 쓰는 환경을 제공하기도 한다. 인터넷 서비스들(쇼핑, 게시판 등)에서 웹뷰를 적극 활용한다. 한편 외부의 인터넷 페이지 접속을 하지 않더라도 이를 다른 방식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일례로 앱 내의 여러 화면을 앱 자체로 구현하지 않고 HTML 같은 웹문서 형식으로 작성하여, ASW 도움을 받아 앱처럼 사용하게 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네이티브 앱 보다는 반응이 느리지만, "원 소스 멀티 유즈"에 적합하고 개발 효율성이 좋기 때문에 선호하는 개발자들이 있다. == 논란 및 사건사고 == *2023년 3월 23일, 대한민국에서 안드로이드 시스템 웹뷰 89.0.4389.90 버전 업데이트 과정에 문제가 생겨 기존 앱과 충돌을 일으킨 [[안드로이드 시스템 웹뷰 대란]]이 벌어졌다. *[[2022년 Pixel Gun 3D 웹뷰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 *2023년 2월 13일, [[용구 탄생의 비밀]] 앱으로 인한 [[용구 탄생의 비밀/논란 및 사건 사고#용구 앱으로 인한 시스템 UI 충돌 사태|시스템 UI 충돌 사태]]가 벌어졌을 때 개발진이 Android 시스템 WebView가 문제라고 주장했으나 안드 웹뷰를 끈 이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고, 결국 광고시스템이 원인임이 밝혀졌다. *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껐는데도 멋대로 자동 업데이트가 되는 경우가 있다. 한 술 더 떠서 '''업데이트를 삭제하면 기기의 용량이 일정량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안드로이드 시스템 웹뷰 대란, version=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