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브 라이브! 더 스쿨 아이돌 무비의 수록곡)] ||<-2>
[[러브 라이브! The School Idol Movie|{{{#white '''극장판'''}}}]] {{{#white '''삽입곡 싱글 1 : '''}}}[br]{{{#white '''Angelic Angel'''}}}{{{#white ''' / '''}}}[[Hello, 星を数えて|{{{#white '''Hello, 星を数えて'''}}}]]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lovelive-anime.jp/cd_54a.png|width=100%]]}}} || ||<-2> {{{#white '''Track 01. Angelic Angel'''}}} || || '''작사''' || [[하타 아키]] (畑 亜貴) || || '''작곡''' || 모리 신타로 (森 慎太郎) || || '''편곡''' || 쿠라우치 타츠야 (倉内 達矢) || || '''가수''' || [[μ’s]] || || '''센터''' || [[아야세 에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include(틀:스포일러)] || {{{#!wiki style="margin: -6px -10px" [kakaotv(304544946)]}}} || || '''{{{#white 극장판 MV}}}'''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3NjfiQ-flc)]}}} || || '''{{{#white 스쿠스타 MV}}}'''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WIE7GwJu3c)]}}} || || '''{{{#white 라이브 ver.}}}'''[* Lantis Channel 에서 공개한 공식 PV영상. 극장판 블루레이 발매 전까지(2015년 12월) 유일하게 정식으로 공개된 라이브 영상이다.]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_9FhBDS4Kdw)]}}} || || '''{{{#white Full ver.}}}''' || >'''내일은 [[코사카 호노카|네]]가 리드해서 최고의 퍼포먼스를 만들어.''' >- [[아야세 에리]] --호노카에게서 센터를 가져가며.-- > >'''무엇을 위해서 (노래를) 부르는가...''' >- [[코사카 호노카]] [[러브 라이브! The School Idol Movie]]의 삽입곡. 앨범은 [[Hello, 星を数えて]]와 함께 일본내 [[2015년]] [[7월 1일]] 발매. 약칭 '''AA'''. 극중 러브라이브 홍보차 외국 방송사에서 제안한 해외 공연을 위해 미국으로 원정을 나선 μ’s가 선보인 라이브. 이 라이브는 설정상 웹상에 업로드 되어 전세계에서 볼 수 있었으며, 세계적 인지도를 가진 뉴욕 [[타임 스퀘어]]와 역시나 세계적인 도심 공원인 뉴욕 [[센트럴 파크]]의 넓은 잔디밭이 배경으로 비치는 곳[* 라이브 시작은 타임 스퀘어이나 도중에 양쪽의 배경이 자연스레 교차로 등장한다. 타임 스퀘어 무대 베이스로 홀로그램 영상이라도 띄운 것인지 아니면 아예 제3의 장소에서 연출한 것인지는 작품 내에서 언급되지 않으며 제작진도 언급한 바 없다.]에서 치른 덕에, 이 라이브 이후 작중의 뮤즈는 관련 동영상 재생 횟수가 엄청나게 오르고 [[?←HEARTBEAT|변장을 안 하면 자유로이 밖에 못 나가는 수준이 되는 등]] 갑작스레 세계구급 인기를 얻는다. 눈에 띄는 퍼포먼스로는 무엇보다 극장판 홍보용 포스터에서도 선보인 기모노풍의 의상과 접이식 황금색 부채를 이용해 보여주는 안무가 돋보이며 특히 부채를 휘두를 때 보이는 금색 잔상이 멤버들의 동작에 역동적 효과를 준다. 라이브 내내 부채 잔상으로 그리는 하트도 포인트. 참고로 부채 퍼포먼스는 애니메이션 외 악곡인 [[카구야의 성에서 춤추고 싶어]]에서 이미 쓰인 적이 있다. 단, 카구야는 담당 성우들의 라이브에서만 부채 퍼포먼스를 볼 수 있는 반면,[* 이 라이브 연습 당시 힘의 상징으로 통하는 [[닛타 에미]]는 부채를 5장이나 찢어 먹었다고 한다.] Angelic Angel은 극장판 삽입곡이라 캐릭터 PV가 있어 인지도가 더 높은 편. 멤버들의 모습 중에서 특히 회자된 것은 머리를 [[미스터도넛]]의 폰데링처럼 땋은 다음, [[미키 마우스]]의 귀처럼 양쪽을 둥글게 묶은 [[소노다 우미]]의 헤어 스타일.[* 약 7년 후 [[Chance Day, Chance Way!|오마주되었다]]. ] 각각 안무 중 합을 맞추는 페어로 나름 특이하다면 특이한 커플링. 아울러 라이브의 센터 포지션인 --공연 전날엔 호노카더러 리드하라고 해놓고 정작 자기가 센터에다 가장 돋보이는-- 에리의 작화 버프가 특출나다. 특히 곡의 오프닝 부분에서 고개를 한 번 돌리는 장면의 작화 퀼리티가 끝내준다는 평.(참고로 한국이 하청받았다!) 2015년 7월 17일 [[금영엔터테인먼트]]에 수록되었다. 번호는 43934. 태진노래방에서는 28012번으로 선곡할 수 있다. === 멤버별 솔로 버전 === ||<-3><:> '''Angelic Angel''' || || [youtube(qmybjd0ukDM, width=100%, height=75)] || [youtube(M1Qws1-UxYk, width=100%, height=75)] || [youtube(OOm02udsY_4, width=100%, height=75)] || ||<:> '''[[코사카 호노카|{{{#fff 호노카}}}]]''' ||<:> '''[[아야세 에리|{{{#fff 에리}}}]]''' ||<:> '''[[미나미 코토리|{{{#fff 코토리}}}]]''' || || [youtube(rAF62i8rFPU, width=100%, height=75)] || [youtube(8NIi307QRbg, width=100%, height=75)] || [youtube(UMdUsDiVQQo, width=100%, height=75)] || ||<:> '''[[소노다 우미|{{{#fff 우미}}}]]''' ||<:> '''[[호시조라 린|{{{#fff 린}}}]]''' ||<:> '''[[니시키노 마키|{{{#fff 마키}}}]]''' || || [youtube(-r3BOkNuznE, width=100%, height=75)] || [youtube(FACofVdv5A8, width=100%, height=75)] || [youtube(0M0Wtijhs6s, width=100%, height=75)] || ||<:> '''[[토죠 노조미|{{{#fff 노조미}}}]]''' ||<:> '''[[코이즈미 하나요|{{{#fff 하나요}}}]]''' ||<:> '''[[야자와 니코|{{{#fff 니코}}}]]''' || === 여담 === * 이 공연은 미국 뉴욕의 랜드마크 중 하나인 [[타임 스퀘어]]에서 치러진다. 현실의 타임 스퀘어는 엄청나게 많은 인파와 차량 탓에 새해맞이 행사 정도를 제외하면 극중에서 보여지는 수준의 무대 설치와 공연은 불가능하며 애초에 허가가 나지도 않는다. 물론 영화 [[스파이더맨]] 촬영과 같은 식으로 시간과 예산을 들이면 전세내는 게 불가능한 건 아니지만, 작중 멤버들을 초대한 방송국이 그러한 수준의 공을 들였다는 묘사는 없다. 이 때문에 극장판 스토리에 현실성이 없다고 비판하는 목소리도 존재하나, 러브라이브! 작중 세계관은 현실에서 엄금되기로는 마찬가지인 [[아키하바라]] 쥬오도리에서의 대규모 집회도 태연히 치러지는 곳이다. 즉, 애니메이션 속 세계관을 현실과 동일시할 필요는 없다. * 타임 스퀘어의 명물과도 같은 각종 광고판들이 모두 깨알같이 재현된다. 타임 스퀘어 문서에 기재된 모습을 보면 재현율도 적절한 편. 물론 어른의 사정상 간접 광고가 안 되고 저작권 문제 등이 있어서 살짝 수정되긴 했다. 아래가 자세한 예시. * 타임 스퀘어 메인 광고판에 [[코카콜라]] 광고의 전매특허인 특유의 병모양 실루엣이 나온다. 이어서 [[닛산 GT-R]]도 등장하며 이역시 헤드라이트와 라디에이터 그릴이 닛산 GT-R 프로토타입 모델과 매우 유사하여 자동차 좀 안다는 사람들은 쉽게 알아 볼 수 있는 편이다. 다만 메인 광고판에 고정적으로 나오기로 유명한 [[삼성전자]]의 광고는 S Company로 [* 단, 실제로 타임스퀘어에서 삼성전자 광고판은 코카콜라 광고판 위에 크게 있지만 작중에서 S Company의 광고가 나오는 위치는 코카콜라 아래쪽 [[현대자동차]] 광고판이 있는 위치이다. 로고도 그렇고 위치도 그렇고 아무래도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를 같이 뭉뚱그려서 한국 기업들의 저작권을 피하려는 의도인 듯. ], 아이스크림 프랜차이즈 업체인 [[배스킨라빈스 31]]은 숫자가 32로 바뀌었다. * 무대 정면을 기준으로 오른편 건물 광고판엔 흰색 가면과 함께 PHANTOM이란 단어가 쓰여 있는데, 이는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뮤지컬)|오페라의 유령]]을 의미한다. 단, 디자인은 [[에릭(오페라의 유령)|유령]]이 착용하는 오리지널 흰 가면과 달리 가면 카니발에 나올 법한 디자인으로 변경됐다. * 무대 정면 왼편의 광고판엔 호랑이 얼굴 그림과 함께 Tiger Queen(호랑이 여왕) 문구[* 이 문구는 본 라이브 전날 호노카가 낙오되어 길을 잃었을 때 [[여성 싱어]]를 만난 골목 광고판에도 나온다.]가 나오는데, 이는 1997년부터 절찬리에 상연되고 있는 [[뮤지컬]] [[라이온 킹(뮤지컬)|라이온 킹]]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광고와 달리 비교적 적극적으로 문구 수정을 가한 것은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자사의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관리가 워낙 철저하기로 유명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보통 적당히 패러디하는 정도는 대부분의 제작사에서 홍보가 된다는 이유도 있어 넘어가는 경우가 많지만(물론 심한 왜곡이나 노골적 베끼기라 판단하면 가차 없이 고발하는 경우가 대부분), 디즈니 법무팀은 사전 동의 없이 영리 추구를 위해 이미지나 이름을 비슷하게만 써먹어도 소송을 걸어 끈덕지게 물고 늘어지는 경우가 왕왕 있다보니. * 2016년 3월 31일에 발매된 극장판 정발BD UFE 버전의 특전으로 이 라이브를 배경으로 한 팝업 형태의 무대가 동봉되었다. UFE 버전의 수납 박스와 페어로 탈착도 가능하며 [[넨도로이드 푸치]] μ’s AA 버전과 찰떡 궁합이라는 평. 자세한 것은 발매사 [[https://youtu.be/j0Gynr_uPnQ|공식 영상]] 참조. * 담당 성우들의 라이브는 2016년에 열린 [[μ’s FINAL LOVE LIVE! ~μ’sic forever~]]에서 초연. 애니메이션과 동일한 의상은 물론이고 [[미모리 스즈코]]는 작중 돋보이던 우미의 폰데링 머리도 그대로 재현했으며,[* 본인의 진짜 머리는 아니고, 붙임머리를 이용해서 머리길이를 추가로 늘린 다음에 땋은듯 하다. 여담이지만 [[쿠스다 아이나]]가 링 사이에 손가락을 집어넣는 장난을 치기도 했다.] 부채를 휘두를 때의 황금색 잔상도 어느정도 비슷하게 연출을 하는 등[* 부채에서 실제로 빛이 난 건 아니고, 곡 막판에 하트를 그릴 때 대형 스크린에 비춰지는 나마뮤즈 맴버들의 부채에 금빛잔상 CG를 입혔다. 물론 완벽하게 싱크가 맞진 않았다.] 극장판 인기 곡답게 신경을 많이 쓴 듯하다. 더불어 무릎 반월판 손상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파이널 라이브 무대에서도 많이 나서지 못했던 [[난죠 요시노]]도 이 곡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에리와 동일하게 센터로서 참여하였다. ==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 ||<-5> '''{{{#white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일반 악곡 해금 순서}}}''' || || [[純愛レンズ]] || → || '''Angelic Angel''' || → || [[Private Wars]] || ||<-5> '''{{{#white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연계 퀘스트 전용 악곡 해금 순서}}}''' || || [[どんなときもずっと]] || → || '''Angelic Angel''' || → || [[SUNNY DAY SONG]] || || '''난이도''' ||<#0063ff> '''EASY''' ||<#6fe6a4,#1b9250> '''NORMAL''' || '''HARD''' ||<#ffd700> '''EXPERT[br]{{{#b404ae (RANDOM)}}}''' || '''MASTER[br]{{{#b404ae (RANDOM)}}}''' || || '''레벨''' || 3 || 6 || 8 || 9(10)/10(스윙) || 11(12) || || '''노트 수''' || 125 || 207 || 362 || 577/602(스윙) || 831(469) || || '''BPM''' |||||||||| 160 || || '''비고''' |||||||||| '''극장판 수록곡'''[br]'''9레벨 최다 노트수'''[br]'''극장판 수록곡 중 MASTER 최초 공개''' || 일본판 스쿠페스를 이용하는 해외 유저들은 본의 아니게 공식이 주는 스포일러 테러를 고스란히 먹고 말았다. 물론 이 곡은 5th 라이브와 극장판 PV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공개되었으니 개의치 않는 사람들이 더 많았지만 일본에 비해 개봉 시기가 늦는 타국 유저들은 이 곡 이외의 다른 극장판 곡도 개봉 전에 공개되는 것이 아닌가 불안해 하는 목소리도 있었다고. [Youtube(kz6AotrMgag)] 기존의 9레벨 최다 노트수를 가진 [[だってだって噫無情]]를 무려 '''45개 차이'''로 제쳤다. 10성까지 합쳐도 [[ユメノトビラ]]와 같이 전체 4위. 노트수도 이렇거니와 중간중간 등장하는 트릴이나 짧은 롱놋 등으로 인해 [[Happy maker!]][* 10성으로 변경됨], [[恋のシグナルRin rin rin!]]에 이은 9성 [[불렙곡]]의 신성으로 불린다(...). 하지만 사실 노트만 오질나게 많지 패턴 자체가 어려운 부분은 없기는 하다. [Youtube(mnLEoW3_UGY)] 표기 난이도는 예상과는 달리 10렙을 유지. 산발 트릴이 보다 강력해졌긴 하지만 정박이 대부분에 577개 노트가 곡 전체에 고루 퍼져 있고 산발 폭타급 패턴은 없다 보니 체감 난이도도 노트는 많지만 어렵진 않은 [[好きですが好きですか?|스키스키]]와 비슷한 10렙 중상급 수준이다. [Youtube(z4-VrG1dfzc)] 극장판 수록곡 중에서 처음으로 마스터 난이도가 추가되었다. 전체적으로 익스의 방향성을 이어받았으며 중간중간에 나오는 강제 원핸드와 가운데 노트와 끄트머리 노트 한 개를 동시에 누르는 무리배치를 주의하자. 2019년 11월 15일에 이 곡의 [[아야세 에리]]의 솔로버전이 기간한정 수록되었다. 채보는 일반 버전과 동일하다. == [[러브 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after school ACTIVITY~]] == || ||<#00BFFF> '''{{{#FFFFFF EASY}}}''' ||<#32CD32> '''{{{#FFFFFF NORMAL}}}''' ||<#FFBD19> '''{{{#FFFFFF HARD}}}''' ||<#FF00FF> '''{{{#FFFFFF EXTREME}}}''' ||<#B404AE> '''{{{#FFFFFF CHALLENGE}}}''' || || '''레벨''' || 1 || 4 || 5 || 7 || 8 || || '''노트 수''' || || || || 423 || 579 || || '''비고''' |||||||||| || [youtube(cmHOgQ6vzdQ)] EXTREME 난이도 플레이 영상 [youtube(3mdoILkmD7U)] CHALLENGE 난이도 플레이 영상 == [[러브라이브! ALL STARS/수록곡|러브라이브! ALL STARS]] == [include(틀:스쿠스타 의상)] ||
<-5> '''{{{#white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ALL STARS 일반 악곡 해금 순서}}}''' || || 라이브 스테이지 22-1장[br][[ジングルベルがとまらない]] || → || '''슈퍼 스테이지 22장[br]Angelic Angel''' || → || 라이브 스테이지 23-1장[br][[Hop? Stop? Nonstop!]] || ||
<#FB217F>
<-4> '''곡명''' || ||<-4> [[파일:angelic angel.jpg|width=300]] || ||<|2><#FB217F> '''권장 라이브 파워''' ||<#0063ff> '''초급''' ||<#6fe6a4,#1b9250> '''중급''' ||<#ffd700> '''상급''' || || 3,200 || 6,700 || 12,000 || ||<|2><#FB217F> '''권장 스태미나''' ||<#0063ff> '''초급''' ||<#6fe6a4,#1b9250> '''중급''' ||<#ffd700> '''상급''' || || 24,300 || 51,300 || 90,000 || ||<|2><#FB217F> '''S랭크 점수''' ||<#0063ff> '''초급''' ||<#6fe6a4,#1b9250> '''중급''' ||<#ffd700> '''상급''' || || 727,000 || 2,175,000 || 7,601,000 || ||<|2> {{{#FFF '''노트 데미지'''}}} ||<#0063FF> '''초급''' ||<#3CB371> '''중급''' ||<#FFD700> '''상급''' || || 154 || 447 || 518 || ||<#FB217F><-4> '''라이브 기믹''' || ||<-4><:>{{{#!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초급[펼치기, 접기] ||<-4>
라이브 중, 엘레강트 속성 이외의 기본 어필 5% 감소 ||}}}}}}|| ||<-4><:>{{{#!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중급[펼치기, 접기] ||<-4>
<#fff,#1f2023>
라이브 중, 엘레강트 속성 이외의 기본 어필 10% 감소 ||}}}}}}|| ||<-4><:>{{{#!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상급[펼치기, 접기] ||<-4>
라이브 중, 엘레강트 속성 이외의 기본 어필 20% 감소 ||}}}}}}|| ||<#FB217F><-4> '''노트 기믹''' || ||<-4><:>{{{#!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초급[펼치기, 접기] ||<-4>
초급 노트 기믹 || ||<-4> 초급 노트 기믹 || ||<-4> 초급 노트 기믹 || ||<-4> 초급 노트 기믹 || ||<-4> 초급 노트 기믹 || ||<-4> 초급 노트 기믹 || ||<-4> 초급 노트 기믹 ||}}}}}}|| ||<-4><:>{{{#!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중급[펼치기, 접기] ||<-4>
중급 노트 기믹 || ||<-4> 중급 노트 기믹 || ||<-4> 중급 노트 기믹 || ||<-4> 중급 노트 기믹 || ||<-4> 중급 노트 기믹 || ||<-4> 중급 노트 기믹 || ||<-4> 중급 노트 기믹 ||}}}}}}|| ||<-4><:>{{{#!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상급[펼치기, 접기] ||<-4>
노트 처리 성공 시 10노트 간 뮤즈 맴버의 어필 20% 상승 || ||<-4> 노트 처리 성공 시 10노트 간 Sp 타입의 SP게이지 획득량 50% 상승 ||}}}}}}|| ||<#FB217F><-4> '''어필 찬스 목록''' || ||<-4><:>{{{#!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초급[펼치기, 접기] ||
<:> 순번 || 목표 || 특수효과 || || 1 || 어필 찬스 목표 || 특수효과 설명 || || 2 || 어필 찬스 목표 || 특수효과 설명 || || 3 || 어필 찬스 목표 || 특수효과 설명 ||}}}}}}|| ||<-4><:>{{{#!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중급[펼치기, 접기] ||
<:> 순번 || 목표 || 특수효과 || || 1 || 어필 찬스 목표 || 특수효과 설명 || || 2 || 어필 찬스 목표 || 특수효과 설명 || || 3 || 어필 찬스 목표 || 특수효과 설명 || || 4 || 어필 찬스 목표 || 특수효과 설명 ||}}}}}}|| ||<-4><:>{{{#!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상급[펼치기, 접기] ||
<:> 순번 || 목표 || 특수효과 || || 1 || SP 특기로 합계 72,000 볼티지를 획득 || AC 중 Sp 타입의 기본 SP 게이지 획득량 30% 상승 || || 2 || 합계 249,000 볼티지를 획득 || AC 중 Sp 타입의 기본 SP 게이지 획득량 30% 상승 || || 3 || SP 특기로 합계 145,000 볼티지를 획득 || AC 중 Sp 타입의 기본 SP 게이지 획득량 30% 상승 || || 4 || 합계 298,000 볼티지를 획득 || AC 중 Sp 타입의 기본 SP 게이지 획득량 30% 상승 || || 5 || 합계 387,000 볼티지를 획득 || AC 중 Sp 타입의 기본 SP 게이지 획득량 30% 상승 ||}}}}}}|| [youtube(bbeMpIh2ETk)] 11월 30일 패치에서 22-10장 해금곡으로 확정되었다. 이로서 Angelic Angel은 2020년 마지막 스쿠스타 수록곡(일본 서버)이 되었다. 이 곡도 [[애온의 시]]처럼 소도구로 부채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자치카]]를 편성하고 돌릴 경우 귀여워지며[[https://www.youtube.com/watch?v=MUWw8oRoETw|#]] 극장판 MV에 있던 부채의 잔상이 구현되었다. MV 자체는 퀄리티 좋다는 평이 많지만 무대를 극장판의 그 뉴욕 타임스퀘어 광장을 구현한게 아닌 [[未来の僕らは知ってるよ]]의 무대를 돌려쓰기한 것에 대한 비판이 있다[* 바로 다음 수록곡인 [[Hop? Stop? Nonstop!]]도 이탈리아의 스페인 광장 재현이 아닌, [[Happy maker!]] 무대의 재탕이 되었다. 이게 아쿠아가 뮤즈의 학교인 오토노키자카 여고 교내에서 라이브를 하는 상황이라 졸지에 아쿠아가 우라노호시 폐교되고 단체로 오토노키자카로 전학왔냐고 볼멘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Sp타입에 버프를 주므로 sp타입으로 편성하는 것이 좋다. 숫자표기는 카드넘버 (입수 난이도는 낮고, 의상용으로는 가장 효율이 높은편이다.) 호노카 : 533 에리 : 507 코토리 : 548 우미 : 520 린 : 513 마키 : 544 노조미 : 491 하나요 : 525 니코 : 503 2021년 7월 카스미 이벤트부터 이 곡 의상이 등장한다. 첫 타자는 가챠로 등장하는 노조미. == [[신 태고의 달인]] == [include(틀:태고의 달인 7렙 중위)] ||<-999> Angelic Angel || ||<-3> BPM ||<-999> 160 || ||<-999> NAC 기준 || ||<|2> 난이도 || 간단 || 보통 || 어려움 || 오니 || || {{{#f66f05 3 }}} || {{{#green 4}}} || {{{#002040 4}}} || {{{#purple 7}}} || || 노트 수 || {{{#f66f05 }}} || {{{#green }}} || {{{#002040 273}}} || {{{#purple }}} || || 수록 버전 ||<-999> NAC WHITE || || 비고 ||<-999> || [[Snow halation(곡)|스노하레]]와 함께 2015년 12월 10일부터 일본내 가동된 신 태고의 달인 화이트에 수록되었다. == 가사 == * 멤버별 파트는 각 멤버의 고유 색상으로 구분하였다. ||<:> {{{#skyblue ココはどこ?}}} {{{#skyblue 코코와 도코?}}} {{{#skyblue 여긴 어디야?}}} {{{#skyblue 待って言わないで わかってる}}} {{{#skyblue 맛테 이와나이데 와캇테루}}} {{{#skyblue 잠깐 말하지 마, 알고 있어}}} {{{#orange 夢に見た熱い蜃気楼なのさ}}} {{{#gold 유메니 미타 아츠이 신키로 나노사}}} {{{#orange 꿈에서 봤던 뜨거운 신기루인 거야}}} {{{#gray キミはだれ?}}} {{{#hotpink 키미와 다레?}}} {{{#gray 너는 누구?}}} {{{#gray なんて訊かないよ わかってる}}} {{{#hotpink 난테 키카나이요 와캇테루}}} {{{#gray 라고 묻지 않아, 알고 있어}}} {{{#gold おたがいの願いが呼んだ出会い}}} {{{#orange 오타가이노 네가이가 욘다 데아이}}} {{{#gold 서로의 바람이 부른 만남}}} {{{#red 遠ざかるほど光る一番星}}} {{{#blue 토오자카루호도 히카루 이치방호시}}} {{{#red 멀어질수록 반짝이는 처음 뜨는 별}}} {{{#blue いつかそんな恋してみたかった}}} {{{#red 이츠카 손나 코이 시테미타캇타}}} {{{#blue 언젠가 그런 사랑을 해 보고 싶었어}}} {{{#green もういらないよ胸のブレーキは }}} {{{#purple 모우 이라나이요 무네노 브레키와}}} {{{#green 더는 필요없어, 가슴의 브레이크는}}} {{{#skyblue 見つめあうために生まれた二人になってく}}} {{{#skyblue 미츠메아우 타메니 우마레타 후타리니 낫테쿠}}} {{{#skyblue 바라보기 위해서 태어난 두 사람이 되어가}}} Ah!「もしも」は欲しくないのさ 아아 「모시모」와 호시쿠나이노사 아아 「만약」은 원하지 않아 「もっと」が好きAngel 「못토」가 스키 Angel 「좀 더」가 좋아 Angel 翼をただの飾りにはしない 츠바사오 타다노 카자리니와 시나이 날개를 그저 장식으로만 두지 않아 Ah!「もしも」は欲しくないけど 아아 「모시모」와 호시쿠나이케도 아아 「만약」은 원하지 않지만 「もっと」は好きAngel 「못토」와 스키 Angel 「좀 더」는 좋아 Angel 明日じゃない 아시타쟈 나이 내일이 아니야 大事なときは今なんだと気がついて 다이지나 토키와 이마 난다토 키가 츠이테 소중한 때는 '지금이야'라는 느낌이 들어서 こころの羽ばたきはとまらない 코코로노 하바타키와 토마라나이 마음의 날갯짓은 멈추지 않아 {{{#red ボクたちはずっと信じてた わかりあって}}} {{{#blue 보쿠타치와 즛토 신지테타 와카리앗테}}} {{{#red 우리들은 계속 믿어 왔어, 서로 이해하며}}} {{{#purple おたがいをぶつけあえる出会い}}} {{{#green 오타가이오 부츠케아에루 데아이}}} {{{#purple 서로를 부딪힐 수 있는 만남}}} {{{#skyblue 寒い場所ほど熱い炎のステップ}}} {{{#skyblue 사무이 바쇼호도 아츠이 호노우노 Step}}} {{{#skyblue 차가운 장소일 수록 뜨거운 불꽃의 Step}}} {{{#orange そうさ恋のためにぜんぶ賭けて}}} {{{#gold 소우사 코이노 타메니 젠부 카케테}}} {{{#orange 그래 사랑을 위해서 모든 걸 걸고}}} {{{#hotpink さあ引き寄せて少し痛いくらい}}} {{{#gray 사아 히키요세테 스코시 이타이 쿠라이}}} {{{#hotpink 자, 끌어당겨 줘 조금 아플 정도로}}} {{{#gold ひと筋の雫 喜びそれともシンパシー?}}} {{{#orange 히토스지노 시즈쿠 요로코비? 소레토모 Sympathy}}} {{{#gold 한 줄기의 물방울, 기쁨? 그게 아니면 Sympathy?}}} Ah! 今宵は一夜限り 二度とは無いPassion 아아 코요이와 히토요카기리 니도토와 나이 Passion 아아 오늘 밤은 한 번 뿐이야 두 번 다시 없는 Passion 燃え尽きるまで踊らなきゃダメさ 모에츠키루마데 오도라나캬 다메사 불타버릴 때까지 춤추지 않으면 안 돼 Ah! 今宵は一夜限り 二度とは無いPassion 아아 코요이와 히토요카기리 니도토와 나이 Passion 아아 오늘 밤은 한 번 뿐이야 두 번 다시 없는 Passion 捕まえたら そのまま強く抱きしめてと囁いた 츠카마에타라 소노 마마 츠요쿠 다키시메테토 사사야이타 붙잡았다면 그대로 강하게 안아줘라고 속삭인 愛しい夢はまだ終わらない 이토시이 유메와 마다 오와라나이 사랑스러운 꿈은 아직 끝나지 않아 {{{#orange 時間はとめられないと知って}}} {{{#gold 지칸와 토메라레나이토 싯테}}} {{{#orange 시간은 멈출 수 없다는 걸 알고}}} {{{#green 君と早く会いたかったよ}}} {{{#purple 키미토 하야쿠 아이타캇타요}}} {{{#green 너와 빨리 만나고 싶었어}}} {{{#gray 届けたい言葉が音に溶けて Call Angel!}}} {{{#hotpink 토도케타이 코토바가 오토니 토케테 Call Angel}}} {{{#gray 전하고 싶은 말이 소리에 녹아서 Call Angel}}} {{{#skyblue Ah!「もしも」は欲しくないのさ}}} {{{#skyblue 아아 모시모와 호시쿠나이노사}}} {{{#skyblue 아아 '만약'은 원하지 않아}}} {{{#skyblue 「もっと」が好きAngel}}} {{{#skyblue 「못토」가 스키 Angel}}} {{{#skyblue 「좀 더」가 좋아 Angel}}} {{{#red 翼をただの飾りにはしない}}} {{{#blue 츠바사오 타다노 카자리니와 시나이}}} {{{#red 날개를 그저 장식으로만 두지 않아}}} Ah!「もしも」は欲しくないけど 아아 「모시모」와 호시쿠나이케도 아아 「만약」은 원하지 않지만 「もっと」は好きAngel 「못토」와 스키 Angel 「좀 더」는 좋아 Angel 明日じゃない 아시타쟈 나이 내일이 아니야 大事なときは今なんだと気がついて 다이지나 토키와 이마 난다토 키가 츠이테 소중한 때는 '지금이야'라는 느낌이 들어서 こころの羽ばたきはとまらない 코코로노 하바타키와 토마라나이 마음의 날갯짓은 멈추지 않아|| [[분류:러브 라이브!/음악]][[분류:태고의 달인의 수록곡]][[분류:나무위키 러브 라이브! 프로젝트]][[분류:2015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