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ySign for PC, AnySign4PC [[http://www.softforum.co.kr/solutions/solution_01_01.asp|제품 홈페이지]] [목차] == 개요 == > '''구글 NPAPI 폐지에 완벽 대응, Non-ActiveX 기반 웹구간 암호화 솔루션''' > ----- > - '''한컴시큐어[* [[한글과컴퓨터]] 계열사이다.]''' (구 소프트포럼) 홈페이지에서의 프로그램 소개 한컴시큐어 (구 소프트포럼) 에서 제작한 Non-ActiveX 기반 [[공인인증서|공인인증]] 및 웹 구간 암호화 솔루션 프로그램이다. [[ActiveX]]를 사용하지 않는 '''상주형 보안모듈'''이며, 서비스 형태로 부팅 시부터 항상 실행된다. 현재 공인인증서 로그인이 필요한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권장하는 필수 설치항목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AhnLab]]의 [[AhnLab Safe Transaction|Safe Transaction]], [[nProtect]], 혹은 [[Fasoo DRM]]과 비슷하게 시스템 방해 행각을 벌인다. 강제 종료가 가능하고, 전체 시스템을 감시하는 [[백신]]은 아니기에 주로 CPU만 과부하시키지만, [[ActiveX]]를 막으면 exe를 가동시켜 훨씬 복잡한 행동을 하게 구성된 Non-ActiveX 기반 악질 프로그램이다. == 문제점 == === 부팅 시 자동 실행 === 상주형 보안 모듈이므로 부팅 시부터 서비스 형태로 실행되어 백그라운드에 상주한다. 자체 보호 기능이 없어서 강제 종료 및 자동 실행 종료가 가능하나, 이렇게 할 경우 공인인증이 자주 필요한 환경에서는 매우 귀찮아진다. 자세한 것은 해결책 문단에 후술. === PC 성능 저하 === [[파일:Fxxking_Anysign.png]] 불특정 주기로 CPU 점유율이 폭주하여 PC의 가동 속도를 저하시키며, CPU를 많이 사용하는 작업이나 게임을 하는 중에는 이러한 영향이 가장 두드러진다. 순간적으로 프레임이 뚝뚝 끊기고 [[프리징]] 전조현상이 일어나며,[* 예를 들어 [[오버워치]] 같은 게임은 순간적으로 프레임이 20 이하로 떨어진다.] 마우스 및 키보드 같은 외부장치의 동작이 멈추기도 한다. 일부 PC에서는 CPU 점유율이 남아도는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와 충돌하는지 매우 짧은 주기로 화면에 프리징을 걸어 짜증을 유발한다[* 노트북 인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igfx)에서 해당 현상이 일어나며 평소에 얼마 쌓이지도 않는 시스템 오류 로그를 대량으로 생성하는 주범이다.]. 공인인증 관련 작업을 전혀 하지 않는데 왜 CPU 점유율이 폭주하는지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은 CPU 성능에 상관없이 100% 리소스를 끌어쓰기 때문에 고사양 PC라고 해도 치명적이다. 게다가 이런 식으로 가동시키면 CPU를 가변 [[클럭]]으로 설정했을 경우[* EIST, Cool'n'Quiet 등] 무조건 최고 클럭으로 고정시키는 것이므로, [[노트북 컴퓨터]] 배터리 감소가 가중적으로 심하다. 설치파일이 exe파일이라 [[태블릿 PC]]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하다. === 절전모드 진입 차단 === >C:/WINDOWS/system32>powercfg -waketimers >[PROCESS] /Device/HarddiskVolume3/Program Files (x86)/Softforum/XecureWeb/AnySign/dll/AnySign4PC.exe에서 설정한 타이머가 (입력시간)에서 (입력날짜)에 만료됩니다. > 이유: generic ([[명령 프롬프트]]에서 절전모드 해제 타이머 확인 명령어를 입력한 결과) 프로세스가 백그라운드에 상주하면서 자동 [[절전]]모드 진입을 차단하며, 수동으로 절전모드에 진입하면 강제로 시스템을 깨워서, 자동으로 절전모드의 끔과 켬을 반복한다. [[http://hearit.tistory.com/13|(해당 증상을 설명한 블로그)]] Windows 자체 문제가 아닌 이상, 불필요하게 절전모드 진입을 차단하여 문제가 된 프로그램은 거의 없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상당히 어이없는 문제다. 절전모드를 사용하려면 이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해야 한다. 이 문제는 전원 환경이 제한되어 있는 [[노트북 컴퓨터]] 환경에서 매우 심각하다. 설치파일이 exe파일이라 태블릿 PC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하다. 전원 문제로 제작사에 직접 문의할 경우 해당 오류가 수정된 버전을 이메일로 받을 수 있다.[* 파일 그대로 배포해도 문제없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는 B2B [[거래]]상의 계약 때문으로 추정된다. 계약서에 업데이트를 보장한다는 내용이 명시되어있지 않을 경우, 업데이트 시 제작사 측에 따로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재 === 시스템 전반을 건드리는 백신 혹은 포어그라운드 프로그램이 아닌 공인인증 전용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이므로 별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없고, [[시작 메뉴]]에서도 찾을 수 없으며, 흔한 트레이 아이콘조차 없다. 이는 자동 시작이나 수동 실행에 대한 사용자 편의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조치로, 이 프로그램에 대한 대책이 복잡해지게 하는 원인이다. == 해결책 == 인터넷 뱅킹 보안 프로그램에 대한 최고의 해결책은 첫째는 인터넷뱅킹을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폰뱅킹을 이용하는 것, 둘째는 인터넷뱅킹 사용 후 즉시 삭제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 한정으로 해결책이 있다면 브라우저 공인인증서'''만''' 사용하는 것인데, 이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저장장치에 있는 공인인증서를 사용할 때만 설치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인터넷뱅킹과 저장장치 공인인증서를 계속 사용하는데 재설치가 귀찮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특정 문제를 발견하고 고객 센터에 연락해서 해결책을 마련해 달라고 하면 1주일 주기로 전화를 해서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을 요청한다. 물론 문제에 대한 수정이 있었던 게 아니라 그냥 날짜만 되면 전화를 하는 것이라서 문제 해결에는 도움이 되지 않고, 고객의 시간만 매번 30분부터 1시간 정도를 낭비시키므로, 혼자서 해결하는 것이 유리하다.] * 필수사항: 시작프로그램 목록에서 AnySign For PC를 사용 안 함으로 바꾼다. 참고로 이렇게 하고 아래의 서비스를 끄지 않을 경우는 부팅 시 AnySign4PC.exe의 최초 실행은 막히지 않으므로, 부팅 후 수동으로 날려줘야 한다. [* 보통의 프로그램은 이것만 하면 되지만 Anysign은 그래도 작동한다!] * 부팅 직후, 혹은 인터넷뱅킹 사용 직후 [[작업 관리자]]로 AnySign4PC.exe를 강제 종료한다. 참고로 AnySign4PCLauncher.exe는 '''필요 시''' 프로그램을 재실행하는 [[서비스#s-3|서비스]] 프로세스이므로 취향껏 처리하자. * [[서비스#s-3|서비스]]에 들어가서 AnySign4PC Launcher의 시작 유형을 "수동"으로 바꾼다. 이렇게 하면 부팅 시 AnySign4PCLauncher.exe가 실행되지 않고 따라서 AnySign4PC.exe도 실행되지 않으며, 필요 시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로를 찾아가서 직접 실행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C:/Program Files (x86)/Softforum/XecureWeb/AnySign/dll 폴더에 저장되며, 편한 곳에 바로가기를 만들어두면 그나마 편리하다. == 기타 == 비슷한 프로그램으로 [[베라인]]의 제작사인 WIZVERA가 제작한 "Delfino"가 있는데, 이 프로그램도 만만찮은 악질로 유명하다. 현재 인터넷 뱅킹 관련 프로그램은 대부분 이러한 악질 프로그램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AhnLab Safe Transaction, version=327)][[분류:보안 프로그램]][[분류:브라우저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