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온게키 시리즈의 수록곡, rd1=Apollo(온게키))] [목차] === 개요 === ||<#FFFFAA><:> '''곡명''' ||<:> [[Apollo]] || ||<#FFAAFF><:> '''[[장르]]''' ||<:> '''11''' || ||<#AAFFAA><:> '''[[BPM]]''' ||<:> '''155''' || ||<#FFAAAA><:> '''[[작곡가]]''' ||<:> '''xelloscope''' || ||<#AAFFFF><:> '''[[BGA]]''' ||<:> '''A00''' || ||<#AAAAFF><:> '''BGA 형식''' ||<:> '''MPEG-BGA''' || ||<#AAAAAA><:> '''Extended''' ||<:> '''-''' || [youtube(J9eWYvUkG3U)] BGA 2011년 개최된 합작 [[BMS]] 이벤트인 'Mutual Faith' 이벤트[* 참고로, 이 대회의 우승곡은 [[PEACE BREAKER]]이고, 준우승곡은 [[Akasagarbha]]이다.]에 출전한 곡이다. 곡 제목의 유래는 [[아폴로 11호]]이다.[* 장르명은 [[아폴로 11호]]에서 따온 11이며, 차분명에서도 그것에 대한 정보가 있는데, 1969.07.16은 [[아폴로 11호]]가 발사된 날짜이고, Mare Tranquillitatis는 [[아폴로 11호]]가 착륙한 [[고요의 바다]]의 라틴어이다.] 작곡가는 xelloscope 명의를 사용한 xellox(daisan)와 horoscope([[ルゼ]]). === 차분 === |||||||||||||| [[발광 BMS]] 난이도 체계 || || 차분명 || 발광 난이도 || 노트 수 || 토탈값 || 판정 || 차분 제작자 || 비고 || || 1969.07.16 || ★14 || 2319 || 595 || {{{#green EASY}}} || swa || || || Mare Tranquillitatis || ★22, ▼22 || 3028 || 555 || {{{#orange NORMAL}}} || あ || || || SUPERVAKA || ★★5 || 2585 || 888 || {{{#green EASY}}} || KEH || overjoy || || LAST-DANCE || ◆22, ◆◆10 || 2062 || 470 || {{{#green EASY}}} || やべぇ || [[롱노트|LN]], LN overjoy || || Monsther || sl4 || 1991 || 430 || {{{#green EASY}}} || Monsta || 새틀라이트 || 전체적으로 곡을 따라간 연타 위주의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다. 1969.07.16 차분과 Mare Tranquilitatis차분의 경우 발광에 잡연타가 끼인 형태의 패턴이, SUPERVAKA 차분의 경우는 아예 전체적으로 연타 도배를 해놓았다. --중반부의 7라인 연타는 Tatsh도 울고 갈 수준이다-- === 차분 영상 === [youtube(ckmyxBOcPxc)] ★14 1969.07.16 [youtube(9-38BWoHox8)] ★22 Mare Tranquillitatis [youtube(lvyEEZ_birs)] ★★5 SUPERVAKA 1분 3초부터 시작되는 연타가 압권. [youtube(EHdVrbNT9bY)] ◆22 LAST-DANCE [[분류:Be-Music Script의 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