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리듬 게임 수록 정보]][[분류:CHUNITHM의 수록곡]][[분류: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의 수록곡]][[분류:DEEMO/수록곡]][[분류:Cytus II의 수록곡]][[분류:Chrono Circle의 수록곡]][[분류:태고의 달인의 수록곡]][[분류:펌프 잇 업 수록곡]] [목차] == 개요 == [[Aragami]]의 리듬 게임 수록 정보를 담은 문서. == [[CHUNITHM]] == [youtube(S7rP2XxdyZo)] --기행플-- [[세가]]의 리듬게임인 [[CHUNITHM]]에 수록되었다. 처음에 등장했을 때의 난이도는 마스터가 12+였으나 업데이트가 되면서 13으로 상향되었다. ALL JUSTICE 난이도는 13 상급이나, 클리어만으로 보면 12+와 13 사이에 있다. 슬라이드 롱노트와 에어노트가 거의 없다시피 한 탓인지 건반형 리듬게임을 좀 해봤다면 체감 난이도가 상당히 쉽기 때문이다. 반면 그렇지 않다면 체감 난이도가 올라간다. NEW에서는 레벨 체계의 변화로 인해 14+로 올라갔으나 과도하게 올라가서 물렙이 된 케이스다. 14+중에서는 AIR와 함께 X밥이라는 말이 절로 나올정도다. [* 특히 WORLD END인 光에서는 [[HIVEMIND|AJC 난이도는 1]]이라는 소리를 자주 듣는다.] 그나마 올저와 SSS+에서는 14+값을 한다. NEW PLUS 기준 상수는 14.6이다. 다만, 판정만 어렵지, 단순 클리어는 상당히 물렙이라서 이 이상 올라가기는 어려울것으로 보인다. == [[사운드 볼텍스]] ==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Aragami.png|width=150]] || [[파일:Aragami.png|width=150]] || [[파일:Aragami.png|width=150]] ||[[파일:Aragami.png|width=150]] || || 레벨 || 06 || 11 || 15 || 17 || || 체인 수 || 0777 || 1273 || 1556 || 2033 || || 일러스트 담당 ||<-4> [[iimo]]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Megacycle || || 수록 시기 ||<-4> {{{#17a4ff,#008ce8 IV 01 (2016.12.21)}}} || || [[BPM]] ||<-4> 48-196 || * [[스킬 애널라이저|SKILL ANALYZER]] 수록 * EXHAUST: Skill Level 07 B 코스 (2017.02.17 ~ 2017.04.27) * MAXIMUM: Skill Level 10 (2018.02.22 ~ 2018.08.09) === 채보 상세 === [youtube(1uKfySjo2qE, width=420, height=680)] MXM 난이도 손배치 포함 PUC 영상 17레벨 상~최상위권에 위치한 곡으로 노트 처리력이 낮다면 18레벨까지 체감 레벨이 상승하며, 반대로 노트 처리력이 높다면 17레벨 중위권까지 떨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초반의 저속, 변속 구간과 최후반의 24비트 계단으로 인해 PUC 난이도는 굉장히 높은 편. EX 레이트로 플레이할 경우 초반에 갑작스럽게 변속이 되는 부분을 조심해야 한다. 변속 바로 전에 손배치를 해놓으면 틀릴 일이 없으니 참고하면 좋다. 처음 부분은 빠른 손이동과 원핸드를 바탕으로 난이도를 올려 두었고 후반 부분은 계단 폭타가 주로 나온다. 이펙터는 Megacycle. 정석적이고 제한적인 패턴을 주로 짜는 Megacycle의 특징 상 곡 자체의 이펙팅 자체는 잘 되어있고 패턴도 괜찮게 뽑힌 편이다. 다만 하이라이트의 피아노 발광에서는 마지막 나선계단이나 중간에 짤막한 24비트 트릴을 제외한 대부분이 16비트의 무난한 계단 형식의 폭타, 4, 8비트 위주의 정박 동타로 짜여져 있기 때문에 곡에 비해 살짝 쉽게 나와 아쉽다는 반응도 조금 있는 편. [youtube(QvgVy12_MuQ, width=420, height=680)] EXH 난이도 손배치 포함 PUC 영상 15레벨 치고는 만만치 않은 난이도로 중반 양쪽 노브를 조작하는 부분에서의 탈선과 최후살의 동타 - 단타 - 동타 - 단타 부분을 조심해야 한다. 변속과 저속 구간 때문에 15레벨 채보임에도 불구하고 PUC 난이도는 레벨에 비해 많이 높은 편. == [[DEEMO]] == [include(틀:DEEMO/Samsara Collection)] === 채보 === [include(틀:DEEMO/채보/Extra, 곡명=Aragami, 작곡=xi, BPM=196, 이지레벨=7, 노말레벨=9, 하드레벨=11, 엑스트라레벨=xi, 이지노트=558, 노말노트=962, 하드노트=1260, 엑스트라노트=1370, 확장자=png)] Hard 채보가 선행공개되고 [[Ice(작곡가)|Ice]]가 트윗에서 [[ANiMA]]한테 밀린다고 못박아둔 상황에서 [[Magnolia]]와 [[Myosotis]]의 뒤를 잇는 [[Marigold(Rayark)|M 시리즈]]가 나온다는 소식에 그대로 묻히는 줄 알았으나, 신곡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예상을 깨고 Extra 난이도의 등장으로 모두의 뒤통수를 후려쳤다. 사실 [[Parodia Sonatina Var.II]]의 Extra 채보가 3.0 트레일러에 공개되면서 신곡도 Extra 채보가 나올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하긴 했지만, [[ANiMA]]에게 밀린다는 인식도 대부분이었던 데다가, 이미 채보도 다 공개된 상태라 xi Collection이나 다른 곡을 기대하는 분위기에다, [[Marigold(Rayark)|Marigold]]의 등장과 기존 곡들 중에서 일부 곡의 Extra 난이도 추가에 들떠있는 사이 점점 잊혀지는 듯 했지만 결국 대반전을 일으켰다. 3.3 패치 때 Hard 채보의 레벨이 10에서 11레벨로 상향되었다. ==== Easy ==== '''최초의 Easy 7레벨.''' ~~Easy가 어디까지 Hard해질 수 있는지 보여주는 곡~~ Easy 난이도임에도 불구하고 초반부터 고밀도 트릴이 반겨준다. 중후반부로 갈수록 단타+슬라이드 압박으로 이어지는 채보이다. Normal에서 많이 열화된 모습이지만 그래도 7레벨 대에서도 어려운 편에 속한다. ==== Normal ==== [youtube(5sgaIqu7MFo)] AC 영상. 플레이어는 PunjiThePlayer. Hard 채보에서의 고밀도 슬라이드 덩어리와 많은 단타 트릴이 사라졌지만 꾸준히 내려오는 슬라이드 노트 때문에 [[Myosotis]]와 함께 Normal 채보의 양대산맥이다. 그 때문에 [[Myosotis]]처럼 슬라이드에 약할경우 FC/AC 난이도가 높아진다. ==== Hard ==== [youtube(8zXdgre1NHg)] AC 영상. 플레이어는 FlowerColor. 빠른 트릴, 고밀도 슬라이드 등 전체적으로 [[Ragnarok]]를 강화한 듯한 성격을 띄고 있다. 초반에 한 번, 후반에 두 번 쏟아지는 폭타와 짧막한 슬라이드 노트들은 미스를 유발하므로 주의해야 하며, 전체적으로 두 번 나오는 고밀도 두 줄 슬라이드는 삐끗하면 한두개를 놓쳐서 콤보가 끊어지므로 조심해야한다. 개인차를 배제한 체감 난이도는 10레벨 최상위권 정도. 높은 난이도를 감안해서인지 3.3 업데이트에서 11레벨로 승격되었다. 11레벨 내에서는 중상위권 정도의 난이도. 11레벨이 많이 추가된 현재로서도 여전히 중위권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AC 난이도 역시 11레벨 중상위권에 해당한다. '''터치펜 AC'''가 보고되었다. 플레이어는 [[https://youtu.be/AFwNXKLzeAs| ひがし〜]] ==== Extra[* 잊혀진 모래시계를 사용하여 4회차에서 해금가능하다.] ==== [youtube(IYON5Kou_aw)] '''AC''' 영상. 플레이어는 すいれんっ! ||
<-5> '''DEEMO의 보스곡''' || || [[ANiMA]][br][[Myosotis]][br][[Run Lads Run]][br][[MagiCatz]][br](~v2.4) || → || [[Aragami]]^^(xi)^^[br][[Parodia Sonatina Var.II]]^^(L)^^[br][[Marigold(Rayark)|Marigold]][br][[ANiMA]]^^(xi)^^[br](~v3.1) || → || [[RE:UNION -Duo Blade Against-]]^^(El Cid)^^[br][[Scherzo -pain in rain-]]^^(Pain)^^[br][[Cloud9(xi)|Cloud9]]^^(xi)^^[br](진행 중) || Extra 채보로 뒤통수를 친 것도 모자라 '''고밀도 슬라이드와 초고속 폭타, 역대 최강의 다지 능력을 요구하는 패턴''' 등으로 고난도곡 기교에 정점을 찍었다. 또한 [[Magnolia]] Extra, [[Scherzo -pain in rain-]] Extra와 더불어 디모에서 3점 터치 이상을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한 보면이라 할 수 있다. ~~후반 패턴만 봐도 그렇다.~~ 초반부터 가관인데, 일단 시작하고 3동타로 분위기를 깔아주더니, 곡 분위기 전개가 갑자기 이루어짐과 동시에 안 그래도 어려웠던 Hard의 폭타 구간이 아예 두 손가락으로 처리가 불가능할 정도로 강화되었다. 슬라이드 노트도 모두 단타로 대체되었고, 난해한 배치와 계단은 마치 4키 건반형 리듬게임을 연상시키는 패턴. 그 뒤로는 하드의 채보보다 강화되었으나 그럭저럭 할만 한 채보가 이어지지만, 가끔 나오는 3동타를 신경써야 한다. 그 후 계단패턴이 트릴과 동시타로 강화되어 나오고, 화면을 가득 메울 정도의 초고밀도 슬라이드가 등장한다. 저사양 기기라면 이 구간에서 엄청난 프레임 드랍을 볼 수 있다. 이 이후 하이라이트 진입 전까지는 하드와 유사한 패턴[* 1분 22초의 부분의 경우 오히려 열화된 느낌이다. 다만 필요한 손의 속도와 AC난이도는 올라갔다.]이 나오다가 다시 한 번 초고밀도 슬라이드가 나온 후 하이라이트가 시작된다. 하드와 유사한 채보가 이어지지만 1:30초의 경우 두 손가락을 필요로 하는 트릴이 나오니 조심하자. 2동타, 3동타, 4동타 후 가장 특징적인 '''양쪽 슬라이드+단타 2동타에 슬라이드 교차 패턴이 겹쳐서 내려온다.''' 슬라이드를 가만히 누르고 있으면 시스템상 곧 미스가 뜨기 때문에 손가락을 조금이라도 꾸준히 움직여줘야 한다. 이 패턴이 끝나면 초반에 나왔던 폭타가 패턴이 바뀌어 다시 쏟아지는데, 24비트 계단이 섞여서 나오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그리고 마지막의 슬라이드도 단타로 강화되어(?) 나오면서 곡을 마무리짓는다. 초반과 최후의 4열로 내려오는 폭타와 중반부에 이따금 내려오는 3동타, 그리고 후반의 4동시타 후살 때문에 네 손가락 플레이를 강제하기 때문에 사실상 엄지 유저들은 플레이조차 불가능하다. Magnolia의 경우 빠르게 치면 처리는 가능했지만... 채보의 특징으로는, 대부분의 키음이 단타 노트로 내려오는 타 엑스트라 채보들과는 달리 슬라이드로 치환한 키음의 비중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그래서인지 다른 보스곡들보다 어느 정도의 점수는 얻기 쉬운 편. [[DEEMO]]의 보스곡이라 평가받는 곡들 중에서도 [[Myosotis]] 급으로 상당한 개인차를 타는 보스곡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의외로 점수는 다른 보스곡에 비해 잘 나오는 편인데, 곡 전체에 걸쳐서 슬라이드가 많은 편이고 초반과 후반의 다지 구간만 제외하면 나머지는 타 보스곡들에 비해서는 꽤 한산하고 뭉개기도 쉽게 나오기 때문에 어느 정도까지의 스코어링 난이도는 타 보스곡에 비해 쉬운 편이다. 하지만 FC나 AC로 넘어가면 다지 능력이 약한 사람은 FC도 이 악물고 도전해야하며, AC 난이도는 말할 것도 없다.[* FC 난이도와 AC 난이도 차이의 범위는 [[L5: Lapse|이 곡]]과 함께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더불어 '''Deemo 역사상 첫 AC 달성자가 보고되기까지 가장 오래 걸린 곡'''이다. 같은 시기에 수록된 다른 곡들이 하나하나 AC가 뚫릴 동안 이 곡만 잠잠했었는데, 결국 [[https://youtu.be/IYON5Kou_aw|2017년 8월 20일에 AC 인증이 올라왔다.]] 무려 '''142일'''이 걸렸다.[* 3.0 업데이트로 동시에 추가된 [[Marigold(Rayark)|Marigold]]가 '''5일,''' [[ANiMA]] Extra가 '''9일,''' [[Parodia Sonatina Var.II]] Extra가 '''15일'''의 방어 기간을 가졌고, 3.2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RE:UNION -Duo Blade Against-]]가 '''1일''',--근데 이건 달성자가 보통 사람이 아니다-- [[Scherzo -pain in rain-]]이 '''52일'''만에 AC 달성자가 나온 것에 반해 정말 긴 방어기간을 가졌다...][* 신기하게도 [[VOEZ|같은 회사의 다른 리듬게임]]의 보스곡 중 하나인 [[Noël]] 역시 방어 기간이 142일로 같다.] === 기타 === * [[ふ?]]가 정작 [[RE:UNION -Duo Blade Against-|최종 보스곡]]은 AC를 ~~그것도 0.5배속으로~~ 달성했지만, [[DEEMO]]에서 유일하게 AC를 찍지 못한 곡이 바로 이 곡이다.[* 이를 근거로 일각에서는 ふ?가 다지 패턴에 약한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 [[Lanota]]의 [[Stasis]]도 후반부에서 다지 패턴이 나오기로 유명한데 이 곡도 아직 PP를 달성하지 못한 것처럼.~~근데 이건 채보 자체가 미쳤다~~ 그렇기 때문에 어쩌면 자기가 다지 능력에 '''정말로 미친듯이 약하다면''' 이 곡이 최종 보스곡으로 느껴질 수도 있을 듯하다.] * 2016년 7월 15일, Rayark Concept에서 있었던 [[Ice(작곡가)|Ice]]의 미니라이브에서 수록이 밝혀져 2.4에 수록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수록을 밝힌 시기가 2.4 업데이트 전이었다.][* 이때 유저들 사이에서 [[xi]] 콜렉션이 출시되는 것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있었다.] 수록되지 않았고, 3.0에 수록된 곡이다. * [[Sdorica -sunset-]]의 정보 공개 행사를 [[Ice(작곡가)|Ice]]가 라이브 하였는데, [[Oceanus]]를 제치고, [[DEEMO]] 출시이래 최초 Easy '''7레벨'''[[http://cafefiles.naver.net/MjAxNzAxMjRfMjI5/MDAxNDg1MjYxMzg3MzY1.Lq_dYjyUPLDmZI4LJ09Nu1_Qhrd8HQHEWsURgdpD4-gg.cR0V0uNLZeXwkfuP9eRnR01JDMfmyABZAAztXthEnVMg.PNG.anfrhrl4162/%EC%BA%A1%EC%B2%98_2017_01_24_21_35_58_64.png|#]]로 평균 레벨 1위에,[* 업데이트 당시엔 8.6으로 [[Marigold(Rayark)|Marigold]]와 동률이었지만 3.3 업데이트에서 11랩으로 상향되며 단독 1위가 되었다.] 노트 밀도도 '''10.9'''로 2.x 수록곡 중 노트 밀도가 최고였던 [[Ragnarok]]를 제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Flight of the bumblebee가 1분 15초의 플레이 시간에 922개의 노트수로 '''12.8'''이라는 노트 밀도를 가져 2등으로 밀려서 콩라인(...), La Campenella의 노트밀도 '''11.5'''로 결국 3위에 자리잡았다. 허나 Extra 패턴이 '''11.91'''의 노트 밀도를 가지게 되면서 콩라인으로 복귀했다(...). [* 3.6 기준 1위가 {{{#darkorange,#ff8c00 Flight of the bumblebee Hard}}}의 '''12.8''', 2위가 {{{#purple,#ff7ffe Aragami Extra}}}의 '''11.9''', 3위가 {{{#purple,#ff7ffe Parodia Sonatina Var.II Extra}}}의 '''11.8''', 4위가 {{{#darkorange,#ff8c00 Fur War, Pur War Hard}}}의 '''11.7''', 5위가 {{{#darkorange,#ff8c00 La Campanella Hard}}}의 '''11.5''', 6위가 {{{#darkorange,#ff8c00 Aragami Hard}}}의 '''10.9'''이다. ] * 일러스트에 [[가면 쓴 여자아이]]의 형상으로 추정되는 부분이 있다![br][[파일:Deemo_3_Aragami2.jpg|width=500]] * 여담으로 이 곡을 사실상 '''3.0의 보스곡'''일 것이라고 추측하는 사람들도 있었는데, 그동안 진행한 업데이트들을 돌아보면 [[Oceanus|선행 공개된]] [[PUPA/리듬 게임 수록|채보들]]은 거의 페이크였다. 그렇게 Aragami의 Hard 보면도 상위권이라 평가받고 있는데 더 극악한 곡이 나올지는 두고 봐야 할 일...이었으나 뜬금없이 공개된 Extra 난이도가 3.0 최종보스급 패턴으로 나와버렸다. * Extra 난이도 채보 후반부의 4동타 구간이 [[사운드 볼텍스]]의 노브+버튼 구간을 연상시킨다는 말도 있다. ~~사운디 몰텍스 2~~ * 2018년 5월 27일, [[https://twitter.com/higashi_kei_/status/1000416348105687040?s=19|'''드디어 국내에서도 최초로 AC 달성자가 나왔다!''']] 플레이어는 [[https://youtu.be/IvV964ogG8s|ひがし〜]] 이후 해당 플레이어는 '''0.5배속'''으로도 FC를 [[https://www.youtube.com/watch?v=rPCvUjAsAto&feature=youtu.be&a=|달성했다.]] * 2018년 8월 31일, [[https://twitter.com/__KosA/status/1035583314784968704|Ko sA라는 플레이어가]] [[https://www.youtube.com/watch?v=NW30Ex97fW8&t=122s|국내 2번째로 AC를 달성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4W5J5MvM7CQ|이후 한 번 더 찍었다.]] * '''엄지로 FC'''를 찍은 영상이 나왔다. 플레이어는 despair2000.[* 트위터에선 ~なぎさ~/2000 으로 활동하는 유저로, 이 곡을 마지막으로 3.2의 Extra 채보 세 곡을 제외한 '''[[DEEMO]] 전곡을 엄지로 FC한 유저다.''' RE:UNION은 아예 휴대폰을 들고 네손가락을 써 풀콤할 수준.] * 이후 한동안 조용하다가 PoChi48이란 유저가 19년 10월 5일 [[https://twitter.com/PoChi48_89023/status/1180432003759362052?s=19|AC를 달성하였다.]] 근데 이후 트위터에 올라온 글들을 보면 '''최소 AC를 10번'''은 재 AC를 한듯하다. * '''두번째 엄지 풀콤자'''가 나왔다. 플레이어는 おうび [[https://youtu.be/1J5Kz8ebnH0|#]] * '''세번째 엄지 풀콤자'''가 나왔다. [[https://twitter.com/otoge_H/status/1266310187557646336?s=19|#]] * --ふ?를 대신하여-- 0.5배속 Extra 보면 AC를 달성한 사람이 있다. 플레이어는 ゆぅ.[[https://youtu.be/zzlgl_Upfyw|#]] [youtube(scLBjB5Q0Bo)] * 피아노로 연주한 ~~괴물~~사람이 나왔다. 주 멜로디와 피아노 발광을 아르페지오로 동시에 연주하다시피 하는게 압권. 잘 들어보면 특히 24비트음의 피아노음을 전부 쳐내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 이 곡을 일단 최대한 비슷하게나마 친 것부터가 [[갓갓갓|이미 사람의 탈을 벗은 것이다]].[* xi 왈: Aragami는 피아노 악보로 변환하면 연탄곡이 되버리는데 이걸 혼자서 연주하는건 놀랍다.] [youtube(kaU0eHvawdE)] * 연탄곡 채보. 밑의 악보와의 큰 차이점이라 하면 중반의 전자 드랍음이 있다는 것. [youtube(e3QbcdobGQA)] * 피아노 솔로 채보. == [[Cytus II]] == [include(틀:Cytus II/Hans)] ||<-4> '''{{{#fff Aragami}}}''' || ||<-4> [[파일:Aragami.webp|width=300]] || || 작곡 ||<-3> [[xi]] || || BPM ||<-3> 196[* 스크롤속도 ?~130.6] || || 연주 시간 ||<-3> 2:00 || ||<|2> {{{#373A3C,#DDDDDD 레벨}}} || '''EASY''' || '''HARD''' || '''CHAOS''' || || 5 || 9 || 14 || || 노트 수 || 325 || 750 || 1065 || || 특이사항 ||<-3> '''챕터 Hans 개인차 보스곡''' [br] '''14레벨 개인차 보스곡''' || ||<-2> '''해금 조건''' || || '''EASY''' ||<|3> OA 내 모든 과제 완료 || || '''HARD''' || || '''CHAOS''' || === 채보 === ==== EASY ==== ==== HARD ==== [youtube(wJDe2lvmlas)] MM 영상. 플레이어는 Pupplestorm. 축연타하고 고밀도 슬라이드, 고속 트릴이 난이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느라 개인차가 꽤나 갈리는 9레벨이다. 개인차를 배제하면 전반적으로 9레벨 상위라는 평이다. ==== CHAOS ==== [youtube(gGgtgeaWCmo)] TP100 영상, 플레이어는 tiace. 곡 초반과 후반에 꾸준히 나오는 16비트 연타와 후살 24비트 12연타 때문에 이미 14레벨 최상위권 등극. 15레벨이라 평가해도 될 정도의 불렙이라는 평이다. 다만 박자가 정직하고 패턴 자체가 난해하다기 보다는 단순 물량공세로 밀어붙이는 채보이기 때문에 노트지력만 된다면 동챕터의 [[Lost in the nowhere]]가 더 어렵다는 평가도 있다.[* 해당 곡은 엇박의 향연과 애매한 스크롤 속도로 이루어져있으며, 노트 물량 또한 상당한 편이다. TP에 한해서는 압도적으로 [[Lost in the nowhere]]가 더 어렵다는 평가를 받는다.] 물론 둘 다 14레벨이라고 할 수 없는 불렙곡이므로 판단은 본인 몫이다. 고속 트릴과 연타가 주가 되는 패턴이라 개인차가 꽤나 발생힌다. 여담으로, 동일 작곡가의 [[Magical Toy Box|이런]] [[Ascension to Heaven|곡]]들도 15레벨로 나왔는데, 정작 더 어렵게 나올 것 같던 이 곡이 14레벨로 나온 것이 이해가 힘들다는 평도 있다. 다만, 게임의 특징 상 슬라이드로 치환 가능한 피아노 속주곡이 어렵게 나오기는 힘들어서 어쩔 수 없는 부분. ==== DREAM ==== [youtube(y4y4rhNC0xw)] TP100 영상. 플레이어는 Motleyorc. 카오스에서의 고난도 트릴 구간 대부분이 건반형으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건반형 적응 여부에 따라 카오스 채보와 이것 중 어느 것이 더 어려운지에 대해서는 개인차가 갈릴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카오스 채보를 더 높게 쳐 주는 편. 카오스와 달리 이쪽은 불렙 논란이 거의 없다. === 기타 === Cytus II v4.5 예고편에서 Argami라고 오타를 냈다. [[https://m.dcinside.com/board/rayarkcytus/68493|#]]~~아가미~~ == [[크로노 서클]] == == [[신 태고의 달인]] == == [[펌프 잇 업]] 시리즈 == * [[펌프 잇 업/수록곡]]으로 돌아가기 || 최초 수록 버전 |||| [[펌프 잇 업 PHOENIX]] || || 아티스트 |||| [[xi(작곡가)|xi]] || || BPM |||| 48 ~ 196 || || 비주얼 |||| [[iimo]] || || 채널 |||| World Music / PHOENIX || ||<-3><#ddd,#383b40> 레벨 데이터 ※[[펌프 잇 업 PHOENIX|PHOENIX]] 기준 || || 타입 |||| 레벨 || ||<|3> Normal ||<#ff5400> Single || 15 / 17 / 19 / 22 / 24 || ||<#00881a> Double || 17 / 21 / 24 / 26 || ||<-3> 채보 제작자 || || 타입 |||| 레벨 및 제작자 || ||<|2> Normal || S15 / S17 / S19 / S22 / S24 ||<|2>[[FEFEMZ]]|| || D17 / D21 / D24 / D26 || === 싱글 === * S15 / S17 [youtube(gYJD6FElO00)] * S19 / S22 [youtube(mmSLXVzPSjA)] S19 레벨은 체력안배를 위주로 잡힌 채보이다. 5단, 3단 떨기를 얼마나 힘들이지 않게 밟고 그 이후에 나오는 폭타를 처리하는것이 브렉온 포인트. 중후반부터 사이드 5단 떨기를 미리 숙지하지 않으면 이 부분에서 게이지가 우수수 깎일 수 있으니 주의. S22레벨은 전체적으로 한발을 고정한 떨기가 주를 이루는 채보이다, 곡이 시작하자마자 초반에 나오는 축 떨기에서 체력을 빼지 않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후 중 후반부터 쏟아지는 축 떨기와 BPM 196의 고속폭타를 원할하게 밟아야 클리어가 가능한 체력곡이다. 체감 난이도는 난이도 중~중상 * S24 [youtube(3kg019IY7y0)] 떨기 중간에 잔 겹발을 넣어 강화시킨 형태의 채보, 중 후반 떨기부터 뒷발을 빼야하는 고각 떨기가 시작된다. 마지막 하이라이트는 [[Further]]와 비슷한 겹발 롱잡의 떨기를 버티고 겹발의 트릴로 마무리, 클리어를 위해서 체력안배와, 버려야할 노트를 명확히 숙지해야하는 채보이다. 체감난이도는 동레벨의 [[Further]] 보다 더 어려운 난이도. === 더블 === * D17 [youtube(Bo6bcDzX7YU)] * D21 [youtube(xbQ6U_q2LSw)] * D24 [youtube(QkvKbHuk8So)] * D26 [youtube(EK9z96YiQ2A)] 곡 전체에 떨기가 깔려 있는 떨기 위주의 채보이다. 후살 부분의 롱놋이 섞인 2+2 떨기가 브렉온 포인트. 26레벨에서 중급 정도의 난이도라고 평가받지만, 그와는 별개로 채보의 완성도에 대해 상당히 호불호가 갈리는 채보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Aragami, version=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