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Arsenal]] [include(틀:상위 문서, top1=Arsenal/무기)] [include(틀:Arsenal/하위 문서)] [목차] == 개요 == [[Arsenal]]의 소총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이다. == 무기 목록 == === 돌격/자동/전투 소총 === ==== [[M16A1]] ==== ||<-2> {{{#ffffff '''{{{+1 M16A1}}}'''}}} || ||<-2> [[파일:아스널 M16A1.png|width=140%]] || || {{{#fff '''탄창'''}}} || 20/80 || || {{{#fff '''데미지'''}}} || 18~37 || || {{{#fff '''공격 속도'''}}} || 0.073초 || || {{{#fff '''움직임 속도'''}}} || 19.041sps || || {{{#fff '''재장전 시간'''}}} || 2.63초 || || {{{#fff '''최대 탄퍼짐'''}}} || 0.873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1.5초 || 미제 소총. 데미지랑 장탄 수도 낮은데다 공속도 은근 빠르기 때문에 장탄관리에 신경을 써줘야한다. 여름 업데이트 이후 총소리와 장전 소리가 달라졌다. ==== [[M16A2]] & [[M203 유탄발사기|M203]] ==== ||<-2> {{{#ffffff '''{{{+1 M16A2 & M203}}}'''}}} || ||<-2> [[파일:아스널 M16A2.png|width=140%]] || || {{{#fff '''탄창'''}}} || {{{-2 30/90(M16A2) - 1/1(M203)}}} || || {{{#fff '''데미지'''}}} || {{{-3 28~52(M16A2) - 150~199(M203)}}} || || {{{#fff '''자해 데미지(M203)'''}}} || 15, 즉사 || || {{{#fff '''공격 속도'''}}} || {{{-2 0.08(M16A2) - ?(M203)}}} || || {{{#fff '''움직임 속도(공통)'''}}} || 17.92sps || || {{{#fff '''재장전 시간'''}}} || {{{-2 2.5초(M16A2) - ?(M203)}}} || || {{{#fff '''최대 탄퍼짐(M16A2)'''}}} || 3.497 || || {{{#fff '''{{{-3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M16A2)}}}'''}}} || 2초 || 미제 돌격소총+유탄발사기. 처음 착용하면 [[M16A2]] 사격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며, 마우스 우클릭을 해서[* 또는 V키를 눌러서] [[M203 유탄발사기|M203]] 사격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 이 때 다시 한번 마우스 우클릭(V키 누르기)을 하면 다시 M16A2 사격 모드로 돌아온다.] M16A2는 미사격 상태일때도 크로스헤어가 늘어나있지만 사격 시 그렇게 늘어나진 않기 때문에 탄퍼짐은 준수한 편이고, 3점사이면서 발당 데미지도 출중하면서 반동도 그리 크지 않아 모든 면에서 벨런스를 고려한, 완전 좋지는 않지만 나쁜 쪽도 아닌, 중간 정도의 성능을 낸다. M203은 [[M79 유탄발사기]]와 같은 성능을 낸다. '''즉, 한방이 나는 OP이다.''' 따라서 적군이 몰려있을때 쓰기 딱 좋은 무기이다. 단, 유탄은 골든 건처럼 두발밖에 없으니 주의. [[M16A2]] 사격 모드일땐 M203 총열에 왼손을 올려두지만 [[M203 유탄발사기|M203]] 사격 모드일땐 왼손으로 M203 방아쇠를 집는다. M16A2 조준기는 있지만 M203 전용 조준기가 존재하지 않는 고증오류가 있다. --있으면 뭐해 짜피 아스널은 [[기계식 조준기]]로는 조준 못하는데-- 진회색으로 도색되어 있는 실총과는 다르게 전체적으로 검정에 가깝게 도색되어있다. 아스널 공식 위키에선 M203은 없다. 즉, [[Arsenal|나무위키의 아스널]]에서 임의로 만든 것이다.[* 근데 실제로 M203 유탄발사기는 문서까지 만들어질 정도로 이름도 널리 알려져있고 M16A2과는 종류도 다른 무기다. --아스널 공식 위키가 나사가 하나 빠져있긴 하다.--] ===== [[CAR-15#s-2.3.2|M4A1]] ===== ||<-2> {{{#ffffff '''{{{+1 M4A1}}}'''}}} || ||<-2> [[파일:아스널 엠포.png|width=140%]] || || {{{#fff '''탄창'''}}} || 30/90 || || {{{#fff '''데미지'''}}} || 21~52 || || {{{#fff '''공격 속도'''}}} || 0.073초 || || {{{#fff '''움직임 속도'''}}} || 19.041sps || || {{{#fff '''재장전 시간'''}}} || 2.8초 || || {{{#fff '''최대 탄퍼짐'''}}} || 2.184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1.5초 || M16A2에서 파생된 돌격소총. M16A1보다 장탄수가 많기 때문에 한 탄창을 소비하는 일이 적어졌다. 즉, 상위호환. 이름이 M4A1이지만 카스글옵처럼 진짜 M4가 아니라 [[CAR-15]] 계열중 하나인 [[CAR-15#s-2.3.2|콜트 모델 723(M16A2 카빈/XM4)]], 그 중에서도 [[M4 카빈|M4]]형 단축원통형 총열이 적용된 후기형 M723인데, 총열은 M727 아부다비 카빈에 사용되는 외형이다. M4A1은 가늠자가 A2형이지만 723은 운반손잡이(캐링핸들)은 M16A1식 구형 가늠자가 보인다. 2021년 여름 업데이트로 사운드가 바뀌고 연사력이 조금 빨라졌다. ====== [[네일건|네일건 (Nailgun)]] ====== ||<-2> {{{#ffffff '''{{{+1 Nailgun}}}'''}}} || ||<-2> [[파일:아스널 못총.png|width=140%]] || || {{{#fff '''탄창'''}}} || 60/120 || || {{{#fff '''데미지'''}}} || 11~28 || || {{{#fff '''공격 속도'''}}} || 0.05초 || || {{{#fff '''움직임 속도'''}}} || 19.041sps || || {{{#fff '''재장전 시간'''}}} || 2.8초 || || {{{#fff '''최대 탄퍼짐'''}}} || 0.437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1.5초 || 문자 그대로 '''[[못총]].''' [[CAR-15#s-2.3.2|M4A1]]에 [[https://toolmonger.com/2008/07/14/update-dewalt-16|디월트식 도색을 입히고 스타나그 대신 못 통을 끼워놓은 형상이다.]] 못총이니만큼 투사체일 듯 하나 얘는 '''[[히트스캔]]이며,''' 연사력도 느린 편이 아니라 적을 살살 녹여주는 플레이를 할 수 있다. 과거 [[메딕(팀 포트리스 2)|메딕]]의 메디건 발사음이 났다. 현재는 다른 소리로 교체.[* 틱틱틱틱틱하면서 발사해서 무의식적으로 마우스 꾹 누르고 있으면 탄창을 가는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다.--기분이 좋다.--] ==== [[AK-74]] ==== ||<-2> {{{#ffffff '''{{{+1 AK-74}}}'''}}} || ||<-2> [[파일:아스널 AK74.png|width=140%]] || || {{{#fff '''탄창'''}}} || 30/60 || || {{{#fff '''데미지'''}}} || 21~76 || || {{{#fff '''공격 속도'''}}} || 0.096초 || || {{{#fff '''움직임 속도'''}}} || 17.92sps || || {{{#fff '''재장전 시간'''}}} || 2.7초 || || {{{#fff '''최대 탄퍼짐'''}}} || 2.184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1.25초 || 소련제 돌격소총. 모델은 AKS-74이다. 탄이 상당히 튀나, 그만큼 살상력이 높다. 때문에 성능은 무난하다. 이상하게 왼손잡이용 모델을 사용한다.(...)[* 기관단총 문서의 마이크로 우지 항목에도 서술되어 있듯이 오른손잡이 사수가 왼손잡이용 소총을 사용하면 '''[[화상|막 발사되어 뜨겁게 달궈진 탄피가 왼팔로 튀어 팔이 구워질 수 있다.]]'''][* 개발팀이 밸브 사의 패러디인 것을 감안하면 [[카운터 스트라이크]] 초창기의 AK 모델링이 좌우반전이 되어 있었다는 것을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 ===== [[칼륨|포타슘]] [[AK-74|파워]] [[칼륨|(Potassium]] [[AK74|Power)]] ===== ||<-2> {{{#ffffff '''{{{+1 Potassium Power}}}'''}}} || ||<-2> [[파일:BANAN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png|width=140%]] || || {{{#fff '''탄창'''}}} || 15/60 || || {{{#fff '''데미지'''}}} || 24/30 || || {{{#fff '''공격 속도'''}}} || 0.072초 || || {{{#fff '''움직임 속도'''}}} || 17.92sps || || {{{#fff '''재장전 시간'''}}} || 2.35초 || || {{{#fff '''최대 탄퍼짐'''}}} || 1.834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1.25초 || 외형은 노란색 페인트를 칠한 AK-74이나, 15발들이 '''[[바나나]]'''(...)[* [[https://youtu.be/s8MDNFaGfT4|peanut butter jelly time]]이라는 고전 서양 밈에 나온 바나나이다. 로블록스 카탈로그에도 이 밈을 본 딴 아이템이 있으며, 거기서 팔 다리를 뗀 모델링이 포타슘 파워에 달린 바나나 탄창이다.]를 사용한다.[* 포타슘의 다른 이름이 [[칼륨]]이고, 바나나에는 칼륨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는 점에서 착안해 이름을 지은듯 하다.] 연사력이 상당히 빠르다.[* 15발이라 탄소모 체감시간이 짧아서 그렇다. 공격속도는 AK74와 비슷하다.][* 과거엔 '''더 미친듯이''' 빨랏었다. 하지만 19년 6월 업데이트로 너프되었다..] 2021년 여름 업데이트로 발사음이 바뀌었다.[* 이전엔 '''"타타타타타타타타"''' 이러던게 '''"투루루투투투루투루루투투투루"''' 이런다. --[[쓸데없이 고퀄리티|쓸데없이 자세하게 묘사해놨다.(...)]]--] 2021년 할로윈 업데이트로 발사음이 한번 더 바뀌었다.[* '''"투루루투투투루투루루투투투루"''' 이러던게 그냥 단순하게 '''"툽툽툽툽툽툽툽툽툽툽"''' 이런다. --굳이 힘들게 묘사를 하지 말라고--] ==== [[AKM]] ==== ||<-2> {{{#ffffff '''{{{+1 AKM}}}'''}}} || ||<-2> [[파일:아스널 AKM.png|width=140%]] || || {{{#fff '''탄창'''}}} || 30/60 || || {{{#fff '''데미지'''}}} || 22~98 || || {{{#fff '''공격 속도'''}}} || 0.096초 || || {{{#fff '''움직임 속도'''}}} || 17.92sps || || {{{#fff '''재장전 시간'''}}} || 2.7초 || || {{{#fff '''최대 탄퍼짐'''}}} || 2.184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1.25초 || 소련제 돌격소총. 성능은 AK74랑 비슷하나 대미지가 더 높아지고 반동도 강해졌다. 2021 할로윈 업데이트로 총기 사운드가 변경되었는데 구 PP비존의 소리가 난다. ==== [[슈타이어 AUG|AUG]] ==== ||<-2> {{{#ffffff '''{{{+1 AUG}}}'''}}} || ||<-2> [[파일:미안하다 이거 보여줄려고 AUG로끌었다.png|width=140%]] || || {{{#fff '''탄창'''}}} || 30/60 || || {{{#fff '''데미지'''}}} || 19~50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오스트리아제 돌격소총. 모델은 A3.[* 어그가 [[불펍]]식이다 보니 전체적으로 길이가 길어서 총구 부분이 조금 떨어져 보이고, 특히 [[너굴맨|노리쇠가 전방을 다 가려서]] 알아보기는 조금 어렵다. 다만 피카티니 레일을 보면 A3에 가깝다.] 탄퍼짐, 데미지 등 돌격소총의 표준격 되는 소총이다. ==== [[Mk.14 EBR|M14 EBR]][* 잘못 표기된 것이 아니고 진짜로 M14 EBR이라 쓰여 있다. [[파일:EBRHUD.jpg|width=100%]]] ==== ||<-2> {{{#ffffff '''{{{+1 M14 EBR}}}'''}}} || ||<-2> [[파일:아스널 이비얼.png|width=140%]] || || {{{#fff '''탄창'''}}} || 30/60 || || {{{#fff '''데미지'''}}} || 20~60+[* 왜 60+로 기록하냐면, 헤드샷을 하면 대부분 최소인 60으로 들어간다. 몸을 '''억지로 비벼넣었을 때''' 몸샷이 24 또는 25가 들어가는 것으로 보아 헤드샷 최대가 75인 것으로 추정된다.]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미제 전투소총. 원본과 다르게 연사가 가능하며 [[도트사이트]]도 장착되어있다. 따라서 중장거리 교전도 문제가 없는 소총.[* 다만 조준 시 데미지가 약간 낮아진다.] 참고로 폴오프가 존재하는 총기 중 최소~최대 대미지 차이가 가장 적다. 하지만 폴오프가 가장 짧은지 대부분의 교전에서 최소 대미지로만 들어간다.[* 몸샷 최대는 25로 추정되고, 최소는 20이다. 상술했듯 폴오프가 0.1스터드에서 시작하여 약 5~10스터드(...)부터 최소 대미지가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로 다른 돌격소총은 120~150스터드는 넘겨야 최소대미지다.] ==== [[Mk.18 CQBR|MK18]] ==== ||<-2> {{{#ffffff '''{{{+1 MK18}}}'''}}} || ||<-2> [[파일:아스널 MK18.png|width=140%]] || || {{{#fff '''탄창'''}}} || 30/60 || || {{{#fff '''데미지'''}}} || 17~49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외형은 [[소음기]], 앵글포어그립과 [[도트사이트]]를 단 Mk.18 Mod.1이다. 도트사이트 덕분에 정조준을 하여 사격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M14 EBR과 비슷한 느낌이다. 비교하자면 이쪽이 연사력은 높지만 헤드샷 데미지는 조금 약한 편. 기본 상태에서 에임이 다소 벌어져있긴 하지만 별로 안 늘어나서 지향사격으로도 문제없다. ==== 펄스 레이저 (Pulse Laser) ==== ||<-2> {{{#ffffff '''{{{+1 Pulse Laser}}}'''}}} || ||<-2> [[파일:아스널 펄스 레이저.png|width=140%]] || || {{{#fff '''탄창'''}}} || 60/120 || || {{{#fff '''데미지'''}}} || 12, 18 || || {{{#fff '''공격 속도'''}}} || '''0.034초'''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현 레이저 라이플의 과거 버전. '''공격속도가 미칠 정도로 빠른데, 1초 정도 꾹 누르고 있으면 30발 가까이 나갈 정도로 빠르다.''' --[[레이저 포인터]]--[* 진짜로 레이저 포인터마냥 펄스 레이저로 사람을 죽이면 시체가 눈부시게 빛난다.] 장전 시간도 짧으며[* 다만 더블 배럴 형식이기 때문에 바로 밑 레이저 라이플보다는 조금 더 느리다.] 반동과 탄퍼짐이 '''전혀''' 없기 때문에 에임이 좋다면 킬을 쓸어 담을 수 있다. 여담으로 이 총을 모티브로 한 [[너프(장난감)|너프건]]이 출시되었다. ===== 레이저 라이플 (Laser Rifle) ===== ||<-2> {{{#ffffff '''{{{+1 Laser Rifle}}}'''}}} || ||<-2> [[파일:아스널 레이저 라이플.png|width=140%]] || || {{{#fff '''탄창'''}}} || 60/120 || || {{{#fff '''데미지'''}}} || 12, 18 || || {{{#fff '''공격 속도'''}}} || '''0.034초'''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2020년 10월 Sci-Fi 업데이트로 추가된 기존 레이저 라이플(현 펄스 레이저)의 리모델링 소총이다. 성능은 기존 레이저 라이플과 같다. '''즉, 얘도 기관총 씹어먹는 공속을 가진 [[OP]].''' 한가지 장점이 있다면 기존의 레이저 라이플의 더블 배럴 형식을 벗어나 탄창형으로 변경됐기 때문에 장전속도가 더 빠르다. ==== [[FN FAL]] ==== ||<-2> {{{#ffffff '''{{{+1 FN FAL}}}'''}}} || ||<-2> [[파일:폭☆FAL.png|width=140%]] || || {{{#fff '''탄창'''}}} || 20/60 || || {{{#fff '''데미지'''}}} ||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벨기에제 전투소총. FAL의 초기형 모델로 목재 개머리판과 핸드가드가 달려있으며, 20발들이 탄창을 사용한다. 실총과 다르게 반동이 그렇게 크지 않아[* 동시대 7.62 나토탄을 쓰는 전투소총류의 연사반동은 절레절레 할 정도로 심각했다. 일부 FAL과 M14를 반자동으로 만들어버린 것도 그 이유 중 하나.] 상당히 강력해졌다. AK랑 데미지가 비슷해서 적에게 총알 몇발을 박아보면 [[Say Goodbye|치료제와 탄약 상자를 볼 수 있다.]] ==== [[FAMAS|파마스 (FAMAS)]] ==== ||<-2> {{{#ffffff '''{{{+1 FAMAS}}}'''}}} || ||<-2> [[파일:아스널 파마스.png|width=140%]] || || {{{#fff '''탄창'''}}} || 25/75 || || {{{#fff '''데미지'''}}} ||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프랑스제 돌격소총. 모델은 전기형이다.[* 방아쇠 덮개가 손잡이 전체를 감싸지 않고 있다.] 실총답게 '''믹서기같은''' 공속을 보여준다. 데미지도 무시할만한 수준이 아니라서 그냥 기관단총급이다. ==== [[Mk.17 SCAR-H|스카-H (SCAR-H)]] ==== ||<-2> {{{#ffffff '''{{{+1 SCAR-H}}}'''}}} || ||<-2> [[파일:아스널 스카에이치.png|width=140%]] || || {{{#fff '''탄창'''}}} || 20/60 || || {{{#fff '''데미지'''}}} || 22~110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벨기에제 돌격소총. '''[[망원조준경]]이 달려있다.''' 따라서 큰 탄퍼짐을 커버할 수 있는 무시무시한 성능을 가진 소총. [[Mk.17 SCAR-H|H]] 모델이기 때문에 [[FN SCAR|L]]보단 장탄수가 약간 낮다. 과거 장탄수가 30발로 버프를 먹은 적이 있었으나 데미지 상향 및 20발로 다시 줄어들어 고증이 맞게 되었다. 모델링, 장탄 수, 그리고 보통 저격총에 쓰이는 조준경이 달린걸 보면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등장 장비/소총#s-3.3|이 녀석]]을 의식한듯 하다. [[파일:Remake_scar_arsenal.png|width=140%]] 2022년 발렌타인 업데이트로 총의 도색이 군청색으로 도색되었다. ==== [[FN SCAR|스카-L (SCAR-L)]] ==== ||<-2> {{{#ffffff '''{{{+1 SCAR-L}}}'''}}} || ||<-2> [[파일:아스널 스카엘.png|width=140%]] || || {{{#fff '''탄창'''}}} || 30/60 || || {{{#fff '''데미지'''}}} ||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2018년 삭제되었다가 2021 여름 업데이트로 다시 나온 돌격소총. [[Mk.17 SCAR-H|H]]와 달리 [[FN SCAR|L]]이기 때문에 망원조준경을 통한 저격난사는 불가능하지만 탄창 조금 많아진 FN FAL쯤 된다. ==== XR15 ==== ||<-2> {{{#ffffff '''{{{+1 XR15}}}'''}}} || ||<-2> [[파일:아스널 XR15.png|width=140%]] || || {{{#fff '''탄창'''}}} || 20/60 || || {{{#fff '''데미지'''}}} ||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2019년 7월 5일 업데이트 때 추가된 2점사 돌격소총. 모델은 [[https://www.evike.com/products/68300/|S.T.A.R. XR-5 FG-1508 Advanced Battle Rifle]]이라는 [[에어소프트건]]이다. 점사 무기이니만큼 성능은 무난하다. --모바일에선 기관단총으로 마개조가 가능하다-- 노리쇠가 존재하지 않아서 장전이 일반 소총보다 조금 빠른 축에 속한다. ==== [[H&K G11|G11]] ==== ||<-2> {{{#ffffff '''{{{+1 G11}}}'''}}} || ||<-2> [[파일:G11 3인칭시점.png|width=140%]] || || {{{#fff '''탄창'''}}} || 45/90 || || {{{#fff '''데미지'''}}} ||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서독제 돌격소총. 모델은 G11K1이다. [[H&K G11|실총이 실총이니만큼]] 독특한 외형을 자랑한다.[* 탄창을 앞으로 끼우거나 일체형 조준기, 각진 외형 등.. 인게임에선 구현되어 있진 않지만 [[무탄피탄]]이라는 특징도 있다.] 스카-H와 비슷하게 '''[[망원조준경]]이 달려있어''' 전 거리를 모두 커버하며 같은 망원조준경을 가진 소총인 스카와 비교하면 탄퍼짐과 데미지는 비등비등하고 연사력은 [[Mk.17 SCAR-H|스카]]가 더 빠르나, G11은 [[톰슨 기관단총|토미 건]] 못지않은 미친 장탄수를 자랑한다. 스카-H는 DPS로 녹이는 타입이라면, G11은 전투지속력으로 상대하는 타입이다. Good Weapons로 분류된다. ==== [[H&K G36|G36]] ==== ||<-2> {{{#ffffff '''{{{+1 G36}}}'''}}} || ||<-2> [[파일:G36.png|width=140%]] || || {{{#fff '''탄창'''}}} || 30/60 || || {{{#fff '''데미지'''}}} ||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독일제 돌격소총. 다른 돌격소총과는 다른 환상의 성능을 자랑한다. 탄퍼짐도 적고 장전시간도 짧고 데미지도 출중한 에이스. G36이라지만 정작 모델링은 G36K다.(...) ==== 집중 (Focus) ==== ||<-2> {{{#ffffff '''{{{+1 Focus}}}'''}}} || ||<-2> [[파일:뻒커스.png|width=140%]] || || {{{#fff '''탄창'''}}} || 60/120 || || {{{#fff '''데미지'''}}} || 20, 25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2020년 10월 Sci-Fi 업데이트로 추가된 레이저 소총이다. 피해량은 상술한 두 레이저 소총들보다 더 높으나 연사력이 꽤 낮기 때문에 지져서 적을 죽일 순 없다.[* 가운데의 원통이 돌아가며 퐁퐁퐁과 봉봉봉의 중간쯤 되는 소리가 난다.] 헤드샷이 반 강제되는 소총이다. 몸샷이 20데미지이기 때문에 5번 쏴서 죽여야하는데, 헤드샷 데미지는 25로 4발만 쏴서 처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2021년 업데이트 이전엔 헤드샷 데미지가 23데미지라 머리 몸 상관없이 다 쏴야 했다. [[쓰레기|더 이전엔 몸샷 '''13'''(...)데미지, 헤드샷 데미지 20...]]] ==== [[AK-47|AK-47]] ==== ||<-2> {{{#ffffff '''{{{+1 AK-47}}}'''}}} || ||<-2> [[파일:아스널 AK47.png|width=140%]] || || {{{#fff '''탄창'''}}} || 30/60 || || {{{#fff '''데미지'''}}} ||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2020년 12월 크리스마스 업데이트로 추가된 소련제 돌격소총. AK-74보다 모델링이 세부화되었고 안정성도 높아졌다. 탄퍼짐과 반동이 적으며[* 다만 실총은 AK-74보다 [[7.62×39mm|구경이 큰 탄]]을 쓰기에 반동이 더 높다. 밸런스를 위한 일종의 고증오류.] 피해량은 AK류다운 강력한 면모를 보인다. ==== [[마우저 C96#s-3.3|마우저 소총 (Mauser Carbine)]] ==== ||<-2> {{{#ffffff '''{{{+1 Mauser Carbine}}}'''}}} || ||<-2> [[파일:마우스 카빈.png|width=140%]] || || {{{#fff '''탄창'''}}} || 20/60 || || {{{#fff '''데미지'''}}} ||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2019 할로윈 업데이트 때 추가된 소총.[* 위키에선 기관단총으로 분류되어있다. --이름부터 카빈인데?--] 독일제국의 권총인 [[마우저 C96]]의 카빈형이다.[* 고증오류가 있는데 실제 카빈형은 자동형이 아니고 인게임에서 연사 기능을 넣은 것이다.] 전방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어 [[마우저 C96#s-3.7|과거 1936년에 쓰였던 마우저 C96]]을 연상시킨다. 연사력이 빠르고 반동도 약해서 쓰기 좋지만 20발이라 탄소모가 엄청 빠르다. 소음기가 장착돼서 MP9-S처럼 조용한 축에 속한다. 성능이 FMG-9의 하위호환 격으로 써보면 DPS도 좋아서 적을 생각보다 빠르게 녹인다. ==== [[갈릴|갈릴(Galil)]] ==== ||<-2> {{{#ffffff '''{{{+1 Galil}}}'''}}} || ||<-2> [[파일:갈릴레이.png|width=140%]] || || {{{#fff '''탄창'''}}} || 30/60 || || {{{#fff '''데미지'''}}} ||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2022년 발렌타이 업데이트로 나온 소총. 이스라엘제 소총으로, 대체로 AK74와 비슷한 능력치를 가졌지만 최소 대미지가 더 낮다. 그런데 막상 써보면 잘 안맞는다.(...) === 반자동/레버액션 소총 === 연사는 되지 않지만 이 종류의 무기들은 데미지가 항상 강력하게 나온다. ==== [[M1 개런드|M1 개런드 (M1 Garand)]] ==== ||<-2> {{{#ffffff '''{{{+1 M1 Garand}}}'''}}} || ||<-2> [[파일:가란드.png|width=140%]] || || {{{#fff '''탄창'''}}} || 8/24 || || {{{#fff '''데미지'''}}} || 38~'''450'''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미제 반자동 소총. 저격총 '''못지않은''' 강력한 살상력을 지녔다. 게다가 탄퍼짐도 적으니 혜자총. 재장전 시 실총처럼 클립과 탄피가 상쾌하게 '''"핑~"''' 하고 빠진다. ==== [[M1 카빈|M1A1 카빈 (M1A1 Carbine)]] ==== ||<-2> {{{#ffffff '''{{{+1 M1A1 Carbine}}}'''}}} || ||<-2> [[파일:아스널 M1A1 카빈.png|width=140%]] || || {{{#fff '''탄창'''}}} || 15/45 || || {{{#fff '''데미지'''}}} || 38~'''297'''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적당한 성능을 지닌 반자동소총. 헤드샷 데미지가 거리 불문 한방으로 죽여주기 때문에 [[지정사수소총]]으로 활용해도 된다. 몸샷 최대대미지가 잘 드러나지 않는 총기 중 하나로, 몸샷 최대 대미지는 99이다. 근거리 폴오프가 극히 짧은 총기[* 대부분 0.1스터드로 맞추는 듯 하다. P250, M14 EBR 등이 그 예시.]라서 그런 듯. ===== [[M1 카빈|M1A1 공수부대용 (M1A1 Paratrooper)]] ===== ||<-2> {{{#ffffff '''{{{+1 M1A1 Paratrooper}}}'''}}} || ||<-2> [[파일:파라트루퍼.png|width=140%]] || || {{{#fff '''탄창'''}}} || 15/45 || || {{{#fff '''데미지'''}}} || 38~'''297'''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공수부대|파라트루퍼(Paratrooper).]]''' 즉, 공수부대용 버전이며, 원본과 비교하면 성능이 거의 같으나 탄퍼짐이 아주 조금 적지만 무게가 아주 조금 크다. 하지만 무게 차이가 거의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M1A1 카빈처럼 쓰면 된다. 위 사진에서도 볼 수 있듯이 [[개머리판]]이 접이식이다. 평소엔 펴놓지만 F키를 눌러 살펴 볼 때 한번 접는다.[* 근데 롤브가 마개조를 시켰는지 오른쪽이 아닌 반대쪽으로 접는다..] ==== [[M14 소총|M14]] ==== ||<-2> {{{#ffffff '''{{{+1 M14}}}'''}}} || ||<-2> [[파일:아스널 M14.png|width=140%]] || || {{{#fff '''탄창'''}}} || 20/40 || || {{{#fff '''데미지'''}}} || 45~'''180'''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미제 전투 소총... 이지만 실총과는 다르게 연사가 되지 않아서 반자동소총으로 분류된다.[* 고증 오류는 아니다. 실제로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의 [[높으신 분들]]이 연사가 반동이 높다는 이유로 조정간을 땜질해 자동소총에서 반자동소총으로 만들어버린걸 반영한듯 하다. 원래 실총 [[M14]]도 [[M2 카빈]]처럼 자동소총이였다. 위 자동소총인 [[FN FAL]]도 여러 나라에서 반자동으로 개수했으나 원본 모델은 완전자동이다.] 데미지는 무난하나 M1A1계열과 비교하면 무게가 더 무겁고 탄퍼짐은 비등비등하나 히트박스가 너무 딸린다.(...) ==== [[박하#s-3|페퍼민트 소총 (Peppermint Rifle)]] ==== ||<-2> {{{#ffffff '''{{{+1 Peppermint Rifle}}}'''}}} || ||<-2> [[파일:맛있어보이는거.png|width=140%]] || || {{{#fff '''탄창'''}}} || 20/40 || || {{{#fff '''데미지'''}}} || 45~'''180'''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2020년 겨울 업데이트로 나온 반자동소총. 모델은 Walther M1918이라는 소총의 프로토타입이다. 이름에 걸맞게 총체가 [[박하사탕]]의 형태이며 통조림도 보면 박하사탕이 든 깡통이라는 걸 알 수 있다. --[[민트초코#s-5|호불호가 갈릴거 같다.]]-- 전체적으로 M14와 성능이 비슷하나 무게가 가볍고 탄퍼짐이 살짝 덜해서 상위호환 취급. 사실상 탄창 늘어난 M1A1이다. 이전에는 M1A1과 사운드를 공유했으나 현재는 땡!땡! 하는 유리 두들기는 듯한 소리가 난다. ==== 스펜서 카빈 (Spencer Carbine) ==== ||<-2> {{{#ffffff '''{{{+1 Spencer Carbine}}}'''}}} || ||<-2> [[파일:쓰레기 카빈.png|width=140%]] || || {{{#fff '''탄창'''}}} || 6/18 || || {{{#fff '''데미지'''}}} || 87, 105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레버액션 소총. '''호불호가 상당히 갈리는 소총인데,''' 루거만큼 애매한 공속, 몸샷이 거리 불문 87데미지여서 중하수에겐 [[에어소프트건]]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나, 2단 점프가 가능한 몇 안되는 총이기 때문에 고수들에겐 그나마 나은 평을 받고있다. 장전 모션이 되게 이상하다. [[관형탄창|개머리판에서 탄창을 빼내고 한번 돌렸다가 다시 삽입하는데,]] [[스피드 로더|그냥 탄창을 한번 돌렸을 뿐인데 탄이 채워져 있다.]] ==== [[헨리 소총|헨리 소총 (Henry Rifle)]] ==== ||<-2> {{{#ffffff '''{{{+1 Henry Rifle}}}'''}}} || ||<-2> [[파일:쓰레기통에 넣고 싶다.png|width=140%]] || || {{{#fff '''탄창'''}}} || 6/18 || || {{{#fff '''데미지'''}}} || 87, 105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또 다른 레버액션 소총. 일일이 탄을 넣는다는 장전 방식을 빼면 스펜서 카빈과 같은 성능을 지녔다. '''그래서 얘도 호불호가 심히 갈리는 소총.'''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드라구노프 (Dragunov)]] ==== ||<-2> {{{#ffffff '''{{{+1 Dragunov}}}'''}}} || ||<-2> [[파일:드래곤노프.png|width=140%]] || || {{{#fff '''탄창'''}}} || 15/45 || || {{{#fff '''데미지'''}}} || 45~'''180'''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2019 기념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반자동소총.''' --?-- 초창기땐 정상적인 반자동 저격소총으로 나왔지만 어째서인지 업데이트로 스코프가 제거되고 [[Arsenal|이 게임]] 특성상 간이조준기마저 사용이 불가능해 반자동소총 취급을 받는다.[* 실제 드라구노프는 저격소총용이 아닌, [[지정사수소총|DMR]]이기도 하다. 그리고 근접~근거리 전투를 치러야 할 때를 대비하여 실제로 스코프를 떼고 일반 반자동 소총처럼 운용하기도 한다. 무게도 최소 4.31Kg으로 우리나라의 [[K2 소총#K2C1|K2C1]]과 비슷하며 착검장치도 마련되어 있다. 근거리전을 위해서 일부러 스코프를 뗀 것이라면 이것도 나름대로 고증이다.] 성능은 무난하다. M1A1 카빈의 상위호환.[* 최대 대미지는 60으로 M1A1보다 낮지만 최소 대미지는 45로 오히려 높고 탄퍼짐도 덜하다.] --킬 아이콘이 스크립트가 잘못된것인지 M14의 것으로 나왔다.-- Sci-Fi 업데이트로 고유의 아이콘을 가지게 되었다. ==== [[SKS]] ==== ||<-2> {{{#ffffff '''{{{+1 SKS}}}'''}}} || ||<-2> [[파일:스크스.png|width=140%]] || || {{{#fff '''탄창'''}}} || 10/30 || || {{{#fff '''데미지'''}}} || 55~288 || || {{{#fff '''공격 속도'''}}} || 0.4초 || || {{{#fff '''움직임 속도'''}}} || 17.92sps || || {{{#fff '''재장전 시간'''}}} || 1.4초 || || {{{#fff '''최대 탄퍼짐'''}}} || 2.184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1.25초 || 2021 할로윈 업데이트로 추가된 소련제 반자동소총. 일명 '''스크스.''' M1 개런드처럼 '''미친듯이 강력한 살상력을 지니고 있다.'''[* 비교해봤을 때, 탄이 좀 작아서인지 근거리 몸샷이 99로 한방컷은 안나지만 원거리 대미지가 무려 55에 달해 어시스트도 문제없다.] 탄퍼짐도, 반동도 상당히 적어서[* SKS는 [[SVT-40]]을 기준으로 해서 제작된 총기이다. [[SVT-40]]의 문제였던 낮은 명중률을 SKS에서 보완했기 때문에 고증을 잘 따랐다.] OP처럼 보이겠지만 그에 따른 희생대가가 조금 심한 편인데, 먼저 총을 꺼내는 속도가 굉장히 느리며[* 총이 화면 위쪽에서 아래로 움직인다. 즉 위쪽으로 꺼내는 것.] 공격 속도도 심히 느려서 공속 하나는 헨리나 스펜서랑 동급이다.. 재장전 방식이 스프링필드와 유사하지만 특이점이 있다. 잔탄이 없을 경우, 또는 잔탄이 5발인 경우 클립을 사용해서 재장전하고, 그 외엔 탄을 하나씩 넣어서 채운다. 잔탄이 5발이 될 경우 클립을 사용하지만 10발 클립에서 5발만 채워 욱여넣는다. --다른 무기들은 전부 다 왼편을 보여주지만 얘는 그냥 기본상태다.--[* 이유는 얘가 인게임에서 총기를 살펴보는 모션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 기타 소총 === ==== [[스프링필드 M1903|스프링필드 소총 (Springfield Rifle)]] ==== ||<-2> {{{#ffffff '''{{{+1 Springfiled Rifle}}}'''}}} || ||<-2> [[파일:아스널 스프링필드 라이플.png|width=140%]] || || {{{#fff '''탄창'''}}} || 5/15 || || {{{#fff '''데미지'''}}} || 85~'''700?''' || || {{{#fff '''공격 속도'''}}} ||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모신나강과 비슷한 성능의 총.[* 단 이쪽은 스코프가 없는 대신 볼트를 당기는 시간이 훨씬 빠르다.] 데미지는 중장거리 몸샷은 85이나 근접샷이나 헤드샷은 상당히 강력하다.[* 근접 헤드샷 시 머스킷 딜량인 600을 넘긴다!] 특이한 점은 총알 유무에 따라 재장전 모션이 달라지는데, 총알이 하나라도 있을 경우 일일이 총알을 넣고, 다 사용했을 경우 클립을 사용해 장전한다. 이런 저연사력 소총이 그렇듯이 PvP에서 어중간한 에임으로는 암걸리는 무기이지만, 에임이 뛰어나면 1킬 적립이나 다름없다. 이 때문에 Bad Weapon으로 분류되나 다른 소구경 볼트액션 저격소총보다는 처지가 낫다. 연사력 면에서나 대미지 면에서나 우월하다. ==== [[머스킷|머스킷 (Musket)]] ==== ||<-2> {{{#ffffff '''{{{+1 Musket}}}'''}}} || ||<-2> [[파일:머스키토.png|width=140%]] || || {{{#fff '''탄창'''}}} || 1/12 || || {{{#fff '''데미지'''}}} || '''600, 750''' || || {{{#fff '''공격 속도'''}}} || '''6초'''[* 장전시간, 장전 직후 약간의 선딜을 고려하면 딱 6초다.]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5.6초'''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말 그대로 '''"[[머스킷]]".''' 이상하게 아스널 공식 위키에서는 저격소총으로 분류하고 있다.[* 스코프가 없기에 소총으로 분류했다.] 데미지는 몸샷 '''"600"'''으로 소총 중 가장 높은 데미지를 자랑한다. 하지만 높은 데미지인 만큼 그에 따른 희생대가가 있으니.. 머스킷의 장전방식을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단발식이라 한번 쏘면 재장전해야하는데 문제는 [[쓸데없이 고퀄리티|공이를 내리고 화약을 넣는 것과 탄을 넣고 꼬질대로 집어넣고 꼬질대를 다시 총에 꽂는 장전법을 진짜 쓸데없이 자세하게 묘사해놨다.]] --머스킷의 장전방법을 세세하게 배울수 있는 교육적인 아스널-- 골든 건보다도 더 느리며 장전시간이 [[FP45 리버레이터|정확히 '''5.6초'''가 걸린다!]][* 이 때문에 중하수들에게는 '''__아스널 최악의 무기__''' 중 하나로 꼽히는데, 머스킷이기 때문에 한번 쏘면 장전하는데 장전속도가 끔찍하게 느리므로 골든 건의 하위호환이라 해도 이상할게 없고, 교전 중에 못 맞췄다면 지형지물을 이용해 도망을 치건 칼 뽑고 싸우건 둘 중 하나를 골라야 한다. 하지만 고수들에겐 얘기가 달라지는데, 소총 중 이동속도가 제일 빠르고 강력하기 때문에 한번 맞추면 꽁킬을 제공받는것과 같다.] 인세인 모드에서는 무기 데미지가 절반으로 깍이는 모드 특성 때문에 '''그나마''' 쓸만하다.[* 사격 성공 시 한정. 장전시간은 여전히 5.6초기 때문에 칼보다 못하다는 평도 있다..] BTK가 훌쩍 늘어난 다른 무기들과 달리 여전히 1방컷이 나기 때문. ===== [[007 황금총을 가진 사나이|황금]] [[머스킷]] [[007 황금총을 가진 사나이|(Golden]] [[머스킷|Musket)]] ===== ||<-2> {{{#ffffff '''{{{+1 Golden Musket}}}'''}}} || ||<-2> [[파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png|width=140%]] || || {{{#fff '''탄창'''}}} || 1/4 || || {{{#fff '''데미지'''}}} || 99, 297 || || {{{#fff '''공격 속도'''}}} || '''6초''' || || {{{#fff '''움직임 속도'''}}} || || || {{{#fff '''재장전 시간'''}}} || '''5.6초''' || || {{{#fff '''최대 탄퍼짐'''}}} || || || {{{#fff '''최대 탄퍼짐 초기화 시간'''}}} || || 2021년 할로윈 업데이트로 나온 소총. 황금으로 만들어진 머스킷이다. --롤브가 황금에 미쳐가고 있다-- 허쉬 퍼피-황금 허쉬 퍼피 관계처럼 데미지 빼고 성능이 같다. 즉, 얘도 장전시간이 '''5.6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잔여 탄약이 '''3배로 줄어들었고''' 데미지가 '''허쉬 퍼피와 같아졌다.(...)''' --쏘지 말라고 작정을 한건가--[* 이유는 황금 허쉬 퍼피와 비슷하게 인세인 모드에서 고정으로 나오는 무기이기 때문이다. 다만 얘는 대미지가 어느정도 있다보니 스탠다드나 건 로테이션 등에도 나오기도 한다.] 얘도 황금 무기이니만큼 디모트가 가능하다. 다만 허쉬 퍼피로 머리를 날린 사람이면 알겠지만, 허쉬 퍼피 데미지를 그대로 [[Ctrl CV|복붙]]했기 때문에 적의 머리를 맞추면 황금 동상으로 박제시킬 수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Arsenal/무기, version=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