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fc3FDJ_Ti6s)] [[Apo11o program|Apo11o"FILAMENT"program]]이 작곡하고 [[Guriri]]와 DD "Nakata" Metal[* [[RoughSketch]]와 함께 [[Booths of Fighters]] 등의 곡에 참여했으며, Apo11o program의 곡인 [[Creation of Fighters]]에서 보컬을 맡았다.]이 보컬을 맡은 [[DEEMO II]] 수록곡이다. 이름의 뜻은 '맞거울'로 앞뒤에 거울을 두고 뒷모습을 보는 것을 의미한다. 원래 [[Ice(작곡가)|Ice]]와 합작으로 기획되어 제작 중이었으나 2020년 7월 18일 Ice가 중국 측의 압박으로 퇴사하면서 Apo11o program이 마무리하는 형태로 완성되었으며, 제목의 A와 I만 대문자인 이유나 [[BEMANI 시리즈 아티스트 명의 삭제 논란|작곡가 이름이 표기되어 있지 않은 이유]]는 이 때문이며 Ice의 처음이자 마지막 DEEMO II 수록곡이다. == 가사 == * 가사가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 파트가 '''매우''' 많다. B(읽는 방법)의 출처는 [[https://wikiwiki.jp/deemo_ii/AwasekagamI|일본 DEEMO II 위키]]이며, 발음과 해석은 B를 기준으로 하여 작성되어 있다. * [[https://twitter.com/ice_loki/status/1482670465185366018|Ice의 언급]]에 따르면 Apo11o의 권유로 [[10 -ichizero-]]에서 이어지는 1과 0, 생명과 죽음의 컨셉으로 가사를 생각했다고 하며 때문에 거울에 비치는 자신(Ice)의 행적을 짚어가며 가사가 진행된다. * Guriri와 DD"ナカタ"Metal은 각각 "만물을 창조하는 자"의 [[보컬]]과 "만물을 파괴하는 자"의 [[데스메탈]]을 의미한다고 한다. 또한 DD"ナカタ"Metal의 랩 부분은 Apo11o program이 작사했다. 또한 가사 곳곳에서 Ice, Apo11o program, 구리리의 과거의 곡 인용이 들어가 있다. ||
'''• AwasekagamI •''' || || {{{#violet '''구리리'''}}} / {{{#gray '''DD"ナカタ"Metal'''}}} || || {{{#violet '''[ruby(傘, ruby=かさ)]ねても 微かな[ruby(思, ruby=おもい)]が[ruby(心, ruby=こどう)]を停める'''[* DEEMO에 수록된 [[Precipitation]]의 일러스트를 묘사] ^^카사네테모 카스가나 오모이가 코도오오 토메루^^ 우산을 써도 희미한 감정이 고동을 붙잡아 '''Awasekagam!の[ruby(惢先, ruby=さき)]はもう消えるの?''' ^^아와세카가미노 사키와 모오 키에루노?^^ 맞거울의 너머는 더이상 사라지는 거야?}}} {{{#gray '''[[10 -ichizero-|20180213]]からの[ruby(狂, ruby=いか)]れたCATASTROPHA'''[* 20180213은 [[DEEMO]] 3.2 업데이트 출시일이며, 이 때 [[10 -ichizero-]]가 포함된 Ice Collection이 DEEMO에 수록되었다. 또한 CATASTROPHA는 Ice의 곡 [[https://youtu.be/P9x-VaPdn8c|Principio Catastropha]]로, RayarkCon 2017에서 [[KIVΛ]]의 [[Cytus II]] 수록곡 공연 도중 [[https://youtu.be/7jnV69zLCZU|KIVΛ Remix]] 버전이 포함되어 있어 추후 수록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Ice의 퇴사로 무산되었다.] ^^ーーー카라노 이카레타 CATASTROPHA^^ 20180213으로부터 미쳐버린 CATASTROPHA '''遺跡深く 黒色 隠すのは'''[* [[Cytus II]]에서 참여한 곡들을 의미. ConneR의 언급으로 L 앨범이 유적에서 발견되었다는 묘사가 있으며, [[Phagy Mutation]]에서 Glatteis(검은 얼음) 명의를 사용했다.] ^^이세키 후카쿠 쿠로이로 카쿠스노와^^ 유적 깊은 곳에 검은색을 감추는 것은 '''永別の唄''' / '''鏡が[ruby(Eyes, ruby=アイス)]'''[* 일본어가 익숙하지 않았던 시절 [[아이즈 러더포드]] 컨셉으로 활동하려다가 실수로 アイズ(Eyes)에서 アイス(Ice)가 작곡 명의로 정해졌고 이를 계속 사용하게 되었다. [[https://twitter.com/ice_loki/status/1110103652906065920|#]]] ^^에이베츠노 우타 / 카가미가 Eyes^^ 영별의 노래 / 거울이 Eyes '''憂さ晴らしに [ruby(忒, ruby=たが)]うTwice''' ^^우사바라시니 타가우 Twice^^ 기분 전환을 의심하는 Twice '''[[Precipitation]] of [[Roar, On the deserted lands|Deserted Land]] rocks''' '''My Sensation 解放つ[[Pandora's Box|Pandora's box]]''' ^^My Sensation 카이호오츠 Pandora's Box^^ My Sensation 개방하는 Pandora's Box '''打鍵の響かない世界 其でお前は全壊''' ^^다켄노 히비카나이 세카이 소레데 오마에와 젠카이^^ 키보드 소리가 들리지 않는 세계 그러니 네 녀석은 완전 파괴}}} {{{#violet '''[ruby(20180213, ruby=カリスト)]に残る世界の果ての破損に[ruby(再起, ruby=また)]君の[ruby(面影, ruby=おみかげ)]を[ruby(観測, ruby=おいかけ)]て[ruby(後追う, ruby=はしる)]ボク''' ^^카리스토니 노코루 세카이노 하테노 하손니 마타 키미노 오미카게오 오이카케테 하시루 보쿠^^ 칼리스토에 남겨진 세상 끝의 파손에 다시 너의 모습을 따라가러 달려가는 자신 '''20180213に残る世界[ruby(の, ruby=は)]ボク[ruby(は, ruby=と)][ruby(光景, ruby=けしき)]の[ruby(鏡面に, ruby=らせん)]手向けた[ruby(花束, ruby=Marigold)]を零す''' ^^ーーー니 노코루 세카이와 보쿠토 케시키노 라센 타무케타 Marigold오 코보스^^ 20180213에 남겨진 세상은 나와 풍경의 나선, 바치는 Marigold를 흘려}}} {{{#gray '''眼前は[[CHAOS(Rayark)|[ruby(混沌, ruby=CHAOS)]]]''' / '''光射す[ruby(闇暗, ruby=タンタロス)]''' / '''Insanity Reality''' ^^간젠와 카오스 / 히카리 사스 탄타로스 / Insanity Reality^^ 눈 앞은 카오스 / 빛이 내리는 탄탈로스 / Insanity Reality '''嘆いて 神頼り''' / '''[ruby(羨望, ruby=あくがれ)]の[ruby(写鏡, ruby=かがみのなか)]へ''' ^^나게이테 카미타요리 / 아쿠가레노 카가미노 나카에^^ 한탄하며 신께 의지하며 / 설레이는 거울 속으로}}} {{{#violet '''重ねても (重ねても) 微かな[ruby(切欠, ruby=かけら)]が[ruby(心臓, ruby=こころ)]を停める''' ^^카사네테모 (카사네테모) 카스가나 카케라가 코코로오 토메루^^ 거듭해도 (거듭해도) 희미한 조각이 마음을 붙잡아 '''AwasekagamIの向こうに君はいるの?''' ^^아와세카가미노 무코우니 키미와 이루노?^^ 맞거울의 너머에 네가 있는 거야? '''重ねても (重ねても) 僅かな[ruby(誤交, ruby=ごかい)]が貴方と[ruby(決別, ruby=わか)]つ''' ^^카사네테모 (카사네테모) 와즈카나 고카이가 아나타토 와카츠^^ 거듭해도 (거듭해도) 조그만 후회가 당신과 나를 갈라 '''AwasekagamIのさきで僕らは待つよ''' ^^아와세카가미노 사키데 보쿠라와 마츠요^^ 맞거울의 너머에서 우리들은 기다릴게 '''殘された [ruby(愛, ruby=いと)]さえも''' ^^노코사레타 이토사에모^^ 남겨진 실까지도 '''[ruby(綻, ruby=ほど)]けた[ruby(呪縛, ruby=くさり)]に[ruby(姿, ruby=わたし)]を映すのなら''' ^^호도케타 쿠사리니 와타시오 우츠스노나라^^ [[vandarhythm|풀린 인연]]에 나를 비추는 것이라면 '''叩き割ってしまえ!! このSpiegelwelt''' ^^타타키왓테 시마에!! 코노 Spiegelwelt^^ 쳐부숴버려!! 이 Spiegelwelt}}} {{{#gray '''[ruby(最初, ruby=はじまり)]の[[Entrance]]''' / '''[[V.|[ruby(Ⅴ, ruby=ご)]]]番目の逃避行''' ^^하지마리노 Entrance / 고반메노 토오히코오^^ 시작의 Entrance / 5번째의 도피행 '''此のShowへ[ruby(恍惚, ruby=トランス)]''' / '''夕景の宇宙飛行'''[* Interstellar Exploration. Ice가 Spacebot (floating) 명의로 [[DEEMO -Reborn-]] 전용으로 제공한 곡] ^^코노 Show에 토란스 / 유우케이노 우츄우히코오^^ 이 Show를 향해 Trance / 황혼의 우주비행 '''[ruby(幼眼, ruby=ようがん)]の[[小悪魔×3の大脱走!?|悪魔]]が[[Waltz in Devil's Playground|嗤う]]''' / '''とどめを乞う[ruby(愛に餓える, ruby=あいえる)]''' ^^요오간노 아쿠마가 와라우 / 토도메오 코우 아이에루^^ 어린 눈의 악마가 비웃고 있어 / 숨통을 끊어주길 바라는 IL '''誰にも響か[ruby(ない, ruby=ぬ)]音階''' / '''其の程度の存在''' ^^다레니모 히비카누 온카이 / 소노 테에도노 손자이^^ 누구에게도 울려퍼지지 않는 음계 / 딱 그 정도의 존재}}} {{{#violet '''[ruby(末, ruby=すえ)]の露も[ruby(本, ruby=もと)]の雫も輪廻に[ruby(孵, ruby=かえ)]て''' ^^스에노 츠유모 모토노 시즈쿠모 린네니 카에테^^ 최후의 한점도 시초의 이슬도 윤회로 돌아가서 '''[ruby(破片, ruby=ひきさ)]く[ruby(声, ruby=うた)]を嗄らす[ruby(虚像, ruby=かがみ)]の先''' ^^히키사쿠 우타오 카라스 카가미노 사키^^ 찢어질 듯한 노래를 쉬게 하는 거울의 너머 '''[ruby(久遠, ruby=えいえんに)]も螺旋の末も幾重[ruby(も, ruby=にも)]無く''' ^^에이엔니모 라센노 스에모 이쿠에니모 나쿠^^ 영원히도 나선의 끝도 겹쳐지지도 않고 '''[ruby(鏡に触れない, ruby=ゆびをあてても)]触れ[ruby(れ, ruby=られ)]ぬ[ruby(偶像, ruby=とわ)]''' ^^유비오 아테테모 후레라레누 토와^^ 손가락을 대보아도 닿지 않는 영원 '''重ねても (重ねても) 微かな[ruby(切欠, ruby=かけら)]が[ruby(心臓, ruby=こころ)]を停める''' ^^카사네테모 (카사네테모) 카스가나 카케라가 코코로오 토메루^^ 거듭해도 (거듭해도) 희미한 조각이 마음을 붙잡아 '''AwasekagamIの向こうに君はいるの?''' ^^아와세카가미노 무코우니 키미와 이루노?^^ 맞거울의 너머에 네가 있는 거야? '''重ねても (重ねても) 僅かな[ruby(交思, ruby=おもい)]が貴方と[ruby(決別, ruby=わか)]つ''' ^^카사네테모 (카사네테모) 와즈카나 오모이가 아나타토 와카츠^^ 거듭해도 (거듭해도) 작은 생각이 당신과 나를 갈라 '''AwasekagamIの[ruby(罅, ruby=ひび)]から[ruby(僕ら, ruby=ぼく)]は行くよ''' ^^아와세카가미노 히비카라 보쿠와 유쿠요^^ 맞거울 속에서의 일상에서 나는 떠날게 '''[ruby(殘された, ruby=さびたとき)][ruby(路, ruby=きろ)]さえも''' ^^사비타토키 키로사에모^^ 녹슬었을 때의 돌아갈 길까지도 '''[ruby(新構築の, ruby=ふたたび)][ruby(天来, ruby=あおぞら)]に[ruby(至辿, ruby=とど)]く[ruby(運命, ruby=みらい)]なら''' ^^후타타비 아오조라니 토도쿠 미라이나라^^ 다시 한번 푸른 하늘에 닿을 미래라 한다면 '''[ruby(残酷な結末, ruby=ざんこく)]だとしても このUtopieweltへ''' ^^잔코쿠다토 시테모 코노 Utopiewelt에^^ 잔혹하다고 해도 이 Utopiewelt로 '''『さようなら』''' ^^『사요오나라』^^ "안녕."}}} || == [[DEEMO II]] == [include(틀:DEEMO II/무제02 - 세월의 선회)] === 채보 === ||<-5>
'''AwasekagamI''' || ||<-5> [[파일:DEEMO II AwasekagamI.png|width=240]] || || 작곡 ||<-4> Apo11o program || || 보컬 ||<-4> Guriri vs. DD "Nakata" Metal || || BPM ||<-4> 160 ~ 180 || || 난이도 || '''{{{#fff,#333 Easy}}}''' || '''{{{#fff,#333 Normal}}}''' || '''{{{#fff,#333 Hard}}}''' || '''{{{#fff,#333 Expert}}}''' || || 레벨 || 6 || 8 || {{{#red '''10'''}}} || {{{#red '''10'''}}} || || 노트 수 || 582 || 1046 || 1657 || 1923 || ||<-2>
'''해금 조건''' || || '''Easy''' ||<|3> [[DEEMO II/티켓#에코의 티켓|에코의 티켓]] 상급 티켓 보상 100레벨 달성 || || '''Normal''' || || '''Hard''' || || '''Expert''' || [[DEEMO II/업적|업적]] '【곡 일러스트】 80장 수집하기' 달성 || 게임 서비스 극초기에는 유일하게 Expert 난이도가 존재했던 곡이었다. ==== Easy ==== ==== Normal ==== ==== Hard ==== [youtube(h2DKL07dHRc)] AC 영상. 플레이어는 ようこそゲストさん. 16비트 트릴과 중간에 한 번 나오는 단타+슬라이드 복합 패턴이 주를 이루며, 그 외에 특징적인 패턴은 없다. 단 곡이 꽤 길기 때문에 집중력을 요구한다. 또한 위 영상 기준 0:59 구간의 단타 + 슬라이드가 엇박으로 산개해서 나오는 패턴은 개인차에 따라서 Expert 채보의 동구간보다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 ==== Expert ==== [youtube(RoD3yMn55FQ)] AC 영상. 플레이어는 yuta1000gt. Hard 채보에서 다소 허전했던 부분을 폭타와 트릴 등으로 메꾸었으며 기존의 폭타는 노트 배치를 더 꼬아놓는 식으로 더 강화되었고[* 특히 트릴 중간에 짤막한 계단 배치를 껴놓아 [[배드밀림]]을 유발하는 구간이 꽤 많은 편이다.], 중간의 간주 부분에는 저속 변속이 들어가서 처리가 다소 까다로워졌다. 또한 총 노트 수가 거의 2000개에 육박하며, 현재 디모 2에서 가장 많은 노트 수를 보유하고 있는 채보이다. 초기에는 변속이 어색하게 곡 하이라이트 부분에서 일어났고 변속 사인 예고도 없이 변속이 일어나는 등 문제가 다소 있던 채보였다. 이후 패치로 변속 구간이 곡의 간주 부분으로 옮겨갔고, 변속 사인이 뜨지 않던 문제도 수정되었다. 그리고 간주 구간의 패턴이 조금 수정되어 노트의 수가 1930개에서 1923개로 줄어들었다. === 기타 === * 사실상 1.0버전의 최종 해금곡이라는 점과 [[구리리|Guriri]]가 보컬로 참여했다는 점, Hard 채보가 최고 난이도인 10레벨을 배정받았다는 점과 처음으로 Expert 난이도 채보가 추가된 점 등, 여러모로 전작의 [[Magnolia]]와 비슷한 초기 보스곡 포지션 대우를 받고 있는 곡이다. 다만 동레벨 내에서는 [[Gemini about the Innocence]] 등을 비롯한 더 어려운 곡들이 많아서 난이도적인 면에서는 최종 보스곡으로 평가받지 않는 편이다. * 43~49마디에는 [[Entrance]]의 멜로디를 앞뒤 반전시켜 넣었다고 작곡가가 밝혔다. [[https://m.dcinside.com/board/deemo/28382|#]] * 상술했듯 Ice와의 합작곡이 될 예정이었으나 퇴사로 무산되었다. 이 곡의 출시 기념 후일담으로 퇴사 직전 DEEMO에 [[https://twitter.com/ice_loki/status/1482671198039609348|Ice Collection vol.2]]를 기획중이었다고 하지만 같이 폭파되었다고... [* 언급된 2020년 8월에는 3.8 버전 업데이트가 예정되어 있었으므로, 정상적으로 출시되었다면 4.0 업데이트에 수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분류:DEEMO II/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