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P9}}}'''[br]''MaschinenPistole 9mm''[br]''9mm 기관단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tmp9.jpg|width=100%]]}}}|| ||<-2><:> {{{#000,#ddd {{{-1 기본형 / MP9}}}}}} || || '''종류''' ||[[기관권총]][br][[기관단총]] || || '''원산지'''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18]] [[스위스]]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01년]]~현재 || || '''개발''' ||[[B&T]] || || '''개발년도''' ||[[1992년]] || || '''생산''' ||[[B&T]] || || '''생산년도''' ||[[2001년]]~현재 || || '''생산수''' ||108,000~162,000정 || || '''사용국'''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18]] [[스위스]][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3]] [[프랑스]][br][[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23]] [[레바논]][br][[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3]] [[폴란드]][br][[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3]] [[벨기에]][br][[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23]] [[에스토니아]][br][[파일:인도 국기.svg|width=23]] [[인도]][br][[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3]] [[인도네시아]][br][[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마카오]][br][[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23]] [[도미니카 공화국]][br][[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3]] [[말레이시아]][br][[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3]] [[포르투갈]][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3]] [[대한민국]][br][[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3]] [[불가리아]][br][[파일:태국 국기.svg|width=23]] [[태국]][br][[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3]] [[네덜란드]][br][[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3]] [[싱가포르]] || || '''사용된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 ||<-2> {{{#White '''기종'''}}} || || '''원형''' ||[[슈타이어 TMP]] || || '''파생형''' ||TP9[br]TP9SF[br]MP9-N[br]TP9-N[br]TP380 || ||<-2> {{{#White '''제원'''}}} || || '''탄약''' ||[[9×19mm 파라벨룸]][br][[6.5×25mm CBJ]][br][[.45 ACP]](MP45) || || '''급탄''' ||15, 20, 25, 30발 들이 박스탄창(TMP, APC9) || || '''작동방식''' ||쇼트 리코일[br]총열 회전식 노리쇠[br][[클로즈드 볼트]] || || '''총열길이''' ||130mm || || '''전장''' ||523mm(개머리판 폈을 때)[br]303mm(개머리판 접었을 때)[br]300mm(TP9) || || '''전고''' ||166mm || || '''전폭''' ||45mm || || '''중량''' ||1.4kg[br]1.3kg(TP9) || || '''발사속도''' ||900RPM[br]1100RPM(MP9-N) || || '''탄속''' ||400m/s || || '''유효사거리''' ||1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454233c8c4c83084a2e5879d47cb20fde89c2829091ae60d4bb4d664d90cad6.jpg|width=100%]]}}} || || 2019년 8월 22일 MP9을 들고 트리플 빔 작전[* Operation Triple Beam - Third Coast : 2019년 4월 7일부터 9월 30일까지 텍사스에서 진행된 강력 범죄 저지 작전으로, 목표는 폭력 범죄를 저지르는 갱단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체포를 통한 치안 유지이다. 이 작전으로 351명이 체포되고 430만 달러가 압수되었다. 보안관 뿐만 아니라 [[DEA]], [[ATF]], 검찰청, 텍사스 공공 안전부 등 여러 법 집행기관들이 참여하여 태스크포스 형태로 진행되었다.]을 수행 중인 미 연방 [[보안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JXqXAYLJ4A)]}}} || || MP9-N 리뷰 영상 || [[스위스]]의 총기 제작사 [[B&T]]에서 생산하는 [[기관권총]]/[[기관단총]]. == 역사 == [[오스트리아]]의 [[슈타이어 암즈]] 社는 자사에서 제작한 [[슈타이어 TMP|TMP]]가 저조한 성과를 내자, 2001년 [[스위스]]의 [[B&T]]에 관련 권리를 판매했다. 이후 B&T의 개조를 거쳐 2004년에 MP9로 출시되었다. B&T는 훗날 이 탄창을 9mm 범용 표준 탄창으로 지정해 [[B&T APC|APC]], [[B&T GHM9|GHM9]], [[SIG SG540#KH9|KH9]], [[B&T P26|P26]], [[B&T SPC9|SPC9]]에도 호환되게 설계했다. == 특징 == [[파일:Batmp9diagramn2.jpg|width=500]] [[슈타이어 TMP|TMP]] 문서에도 나와있다시피 9mm 기관단총이지만 특이하게 쇼트 리코일 방식을 사용한다.[* 권총탄을 발사하는 대부분의 기관단총은 주로 블로우백 방식을 많이 쓰며, [[SIG MPX]]처럼 가스 작동식도 있지만 대부분의 [[기관단총]]은 블로우백 방식이다. 쇼트 리코일 방식을 쓰는 기관단총으로는 [[LWRC SMG-45]]가 있다. (쇼트 리코일 지연 블로우백)] 기존의 [[슈타이어 TMP|TMP]]에 없던 접철식 개머리판을 추가하였으며, 기본적으로 [[피카티니 레일]]이 적용되어 있다. 안전장치가 3개나 되는데, 기본적인 조정간 안전, 방아쇠 잠금, 충격으로 인한 자동 격발 방지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배럴 가이드(분해도 맨 상단 오른쪽에서 3번째 부품)에는 전용 소음기를 끼울 수 있는 돌기가 있다. == 파생형 == * TP9, TP9SF, TP9-N 민수용으로 판매하는 총이며 반자동으로만 발사되는 사양이다. TP9SF는 수직 손잡이 대신 하단 피카티니 레일이 장착되어 있다. * MP9-N 분당 발사 속도를 900발에서 1,100발으로 올렸고, 조정간을 기존의 크로스 볼트 타입 조정간에서 양손잡이용 회전식 조정간으로 바뀌었다. 기본형 MP9과 마찬가지로 단발에서 연발로 바꾸려면 조정간을 많이 돌려야 한다. * TP380 380 ACP를 호환하는 모델. 특이하게도 [[B&T USW]]와 유사한 개머리판이 부착되었고, 2015년에 공개했지만 2022년, 2023년에 출시할 예정이다. [[https://bemil.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3/07/2019030701657.html|#]][[https://www.youtube.com/watch?v=Kg-9fdmQ4Ko|#]] * MP45 45 ACP를 호환하는 모델. 아직 출시되지 않았다. == 채택 국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ds.joins.com/NISI20150924_0005940616_web.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9060402247_0.jpg|width=100%]]}}} || || 2015년 문경 세계 군인 체육대회 대테러훈련. 기본 접철식 개머리판을 [[맥풀]]제 MOE 신축식 개머리판으로 교체하고 [[소음기]], 옵틱을 장착했다. || 2019년 6월 4일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대비 훈련.[br]버스로 진입하는 대원이 MP9을 들고 있다. || * [[네덜란드]] - [[네덜란드 공군]]에서 사용하고 있다. * [[대한민국]] - [[제707특수임무단]]에서 실내전 시 [[포인트맨]]용 총기로 MP9를 사용하고 있다. 한동안 포인트맨용 총기로 [[H&K MP7|MP7]]이나 [[FN P90|P90]] 등 소구경 고속탄을 사용하는 [[PDW]]들이 대한민국 경찰특공대, 해경특공대를 포함하여 서방권 특수부대에 유행처럼 퍼졌으나 707특임단에서는 PDW를 사용하지 않고 MP9만을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소구경 고속탄이 예상보다 [[대인저지력]]이 약해 실전에서 위험하다는 미군 특수부대의 실전경험을 생각한다면 상당히 현명한 처사라고 생각된다. 다만 4.6mm 탄환을 비롯한 PDW 전용 탄종들이 각광을 받고, 특수부대들에 선택된 이유는 소음기를 장착하고도 훌륭한 탄도를 유지하기 때문이기에 직접적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 [[러시아]] - [[FSB]]의 [[알파 그룹]]에서 사용하고 있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불가리아]] * [[스위스]] - [[스위스 경찰]] 및 [[스위스군]]에서 사용하고 있다. * [[싱가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태국]] * [[포르투갈]] - [[포르투갈군]]에서 사용하고 있다. * [[프랑스]] == 등장 매체 == === 게임 === [youtube(8WAx6dN-3j0)] * [[레인보우 식스 시즈]] - MP9-N이 [[클래시(레인보우 식스 시즈)|클래시]]와 [[칼리(레인보우 식스 시즈)|칼리]]의 보조 무기로 등장한다. 특이하게도 현실에서 특수부대들의 MP9 운용사유가 안정성임에도 게임에선 컨트롤하기가 불편한 반동을 지녔다... * [[바이오하자드 4]] - 본편의 크라우저나 용병 모드의 [[헝크]]가 사용하며 헝크의 MP9은 커스텀 TMP라고 이름이 바뀌었다.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하드라인]] - 비트레이얼 DLC를 통해 프로페셔널 부무장으로 추가되었다. * [[배틀필드 2042]] - MP9-N이 기관단총으로 등장한다. * [[오퍼레이션7]] - 소리가 마치 [[비둘기야 먹자]]에서 책상을 두드리는 듯한(...) 소리가 나서 일명 비둘기총으로 불린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 [youtube(BkXB9HbFxAw)] *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 전작들에서는 TMP로 등장했지만 본작에서는 MP9으로 등장. 대테러부대 전용 기관단총으로 연사력은 빠르지만, 그만큼 탄창을 빨리 비운다. 반동은 기관단총치고 센 편이다. 점프 시 명중률이 스카웃보다도 높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 MP9이 원형인 TMP라는 명칭으로 등장한다. 15발에 연사가 빨라 순식간에 거덜나지만 근접 화력이 뛰어나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 이번에는 MP9이라는 올바른 이름으로 등장. * [[AVA]] - 소음기 기본 부착형으로 AVA의 등급전 개념인 아레나 보상으로 등장한다. 그 후로 우후죽순 변종이 쏟아졌다. * [[Cry of Fear]] - 후원자 전용 무기로 나온다. * [[Dirty Bomb]] - 보조무기로 등장한다. 기관권총인데 주무장에 맞먹는 OP급 성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너프를 잔뜩먹어 위상이 많이 낮아졌다. 하지만 여전히 기관권총 중에 탑급의 성능을 자랑한다. * [[Escape from Tarkov]] - MP9과 MP9-N이 등장했다. 반동이 강하지만 연사력도 뛰어나 9mm SMG 대표주자인 벡터 9mm 모델 다음가는 성능으로 가볍게 사용하기 좋은 평가를 받는다. * [[PUBG: BATTLEGROUNDS]] - 19.1 패치로 추가된 [[데스턴]] 한정 기관단총으로, TP9SF 모델을 사용한다. 레이저 사이트와 소음기가 기본 장착된 것이 특징이다. 자세한 내용은 [[MP9(PUBG: BATTLEGROUNDS)]] 참조. * [[Ready or Not(게임)]] === 영화 === * [[레지던트 이블 4: 끝나지 않은 전쟁]] - 초반부 시부야 지하에 위치한 [[엄브렐러(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엄브렐러]] 본사를 공격하는 [[앨리스(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앨리스]]의 클론들이 [[아킴보]]로 사용한다. [[http://www.imfdb.org/wiki/Resident_Evil:_Afterlife#Br.C3.BCgger_.26_Thomet_MP-9|#]] * [[RED(영화)|레드]] - 마빈이 호텔 주방에서 사용한다. [[http://www.imfdb.org/wiki/Red#Br.C3.BCgger_.26_Thomet_MP-9|#]] * [[루퍼]] - 조가 [[드라이브 바이]]를 할 때 사용한다. [[http://www.imfdb.org/wiki/Looper#Br.C3.BCgger_.26_Thomet_MP-9|#]] == 에어소프트건 == 가스건과 전동 모델로 발매되었다. === 가스건 === * [[KWA]]과 [[KSC]]에서 가스건이 나왔다. 독자규격으로 인한 옵션의 부재, 망한 내부설계 등의 악평이 있지만 그렇게 나쁘지는 않다고 한다. === 전동건 === * 한국 [[합동과학]]에서 보이즈 기박을 탑제한 전동건으로 발매된 것이 있다. 완성도가 뛰어난 편이나 기어의 내구도는 아카데미 세미전동보다 떨어지며 플라바렐을 사용한다는 점 방아쇠의 움직임이 콜트와 같은 슬라이드 방식이라 고증에 어긋난다는 점이 있다. 일본에는 [[크라운#s-10]] 메이커에서 ELEX-9이라는 이름으로 수출되었다. 국내용과의 차이점은 탄창이 짤짤이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내수용을 안 만드는지 시중에서 안 보인다. * ARMY사에서 출시했다. 가격은 48,000원 정도. 금형은 합동과학이랑 똑같다고 하나, 탄창이 투명한가 흑색인가로 구별할 수 있다. 아카데미 TMP와 비교하면, 총몸의 높이가 약간 낮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스위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네덜란드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포르투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한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인도네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인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P9, version=103)] [[분류:기관권총]][[분류:기관단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B&T]][[분류:2001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