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변이 및 변종]] [include(틀:상위 문서, top1=SARS-CoV-2/변이 및 변종)] [include(틀: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B.1.630은 202?년 ??월 ??일에 발견된 [[SARS-CoV-2]]의 변이이다. 이 변이는 삼중 변이를 가지고 있기에 백신의 효과를 떨어트릴 가능성이 높다. == 변이 == || 변이 || '''{{{#red T478R}}}''' || '''{{{#red L452R}}}''' || '''{{{#red E484Q}}}''' || || 특징 || '''{{{#red 백신 회피 돌연변이}}}''' || '''{{{#red 백신 회피 돌연변이}}}''' || '''{{{#red 백신 회피 돌연변이}}}''' || == 경과 == 삼중 변이였으나 거의 보도되지 않았고 결국 잡변이로 굴러떨어졌다. == 백신 및 치료제 저항성 == [[B.1.351]], [[A.VOI.V2]]는 강한 백신 회피 변이가 2개나 있었기에 백신의 효과를 크게 떨어트리거나 무력화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변이는 강한 백신 회피 변이가 1개밖에 없으며 나머지 백신 회피 변이 2개는 강한 백신 회피 변이 1개보다 백신 회피 강도가 낮다. 물론 삼중 변이기에 백신의 효과가 크게 떨어질 가능성이 높으나 강한 백신 회피 변이가 2개나 있는 [[B.1.351]], [[A.VOI.V2]]보다 백신 회피 강도가 약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E484Q가 얼마나 잘 작동하냐에 따라 백신 회피 강도가 [[베타 변이]]와 비슷해질 수 있다. 백신 회피 변이의 백신 회피 강도 기준으로 확인한다면 이 변이의 백신 회피 강도는 [[B.1.617.2]] + E484Q의 상위호환으로 보이나 [[B.1.351]]보다 백신 회피 강도가 낮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E484Q가 은근히 강한 변이기에 최악의 경우 [[베타 변이]]와 비슷한 백신 회피 강도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 || 백신 || 제약사 || 예방 효과 || 중화항체 역가 || 비고 || || [[코미나티주]] || [[화이자]] || 예방 효과 존재 가능성 높음 || || || || [[mRNA-1273]] || [[모더나]] || 예방 효과 존재 가능성 높음 || || || || [[Ad26.COV2-S]] || [[얀센]] || || || || || [[NVX-CoV2373]] || [[노바백스]] || || || || || [[AZD1222]] || [[아스트라제네카]] || || || 무력화 될 가능성이 존재 || == 기타 == 한때 B.1.618이 삼중 변이라는 루머가 있었으나 사실은 그냥 E484K 하나만 있는 평범한 변이였다. 결국 그리스 문자로 명명되지 않은 채 잡변이로 전락했다. == 같이보기 == [[https://outbreak.info/situation-reports?pango=B.1.630|B.1.630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