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BEASTARS)] ||<-2>
'''[[넷플릭스|{{{#01295c,#f5f5f5 넷플릭스 오리지널}}}]]'''[br]{{{#01295c,#f5f5f5 '''{{{+1 {{{#e6003e,#e6003e 비}}}스타즈}}}''' (2019)[br]{{{#e6003e,#e6003e B}}}EASTAR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비스타즈_애니키비주얼2.jpg|width=100%]]}}} || ||<-2> {{{#01295c,#f5f5f5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01295c,#f5f5f5 장르}}}''' ||[[드라마]], [[판타지]], [[범죄물|범죄]], [[스릴러]],[br][[미스터리]], [[로맨스]], [[성장물|성장]] || || '''{{{#01295c,#f5f5f5 원작}}}''' ||[[이타가키 파루]] || || '''{{{#01295c,#f5f5f5 감독}}}''' ||마츠미 신이치(松見真一) || || '''{{{#01295c,#f5f5f5 각본}}}''' ||히구치 나나미(樋口七海) || || '''{{{#01295c,#f5f5f5 캐릭터 디자인}}}''' ||오오츠 나오(大津 直) || || '''{{{#01295c,#f5f5f5 CG 치프 디렉터}}}''' ||이노모토 에이지(井野元英二) || || '''{{{#01295c,#f5f5f5 CG 리드 아티스트}}}''' ||미야코다 타카유키(都田崇之) || || '''{{{#01295c,#f5f5f5 VFX 아트 디렉터}}}''' ||야마모토 켄스케(山本健介) || || '''{{{#01295c,#f5f5f5 미술 감독}}}''' ||카스가 미나미(春日美波) || || '''{{{#01295c,#f5f5f5 미술 설정}}}''' ||스에 노부히토(須江信人) || || '''{{{#01295c,#f5f5f5 색채 설계}}}''' ||하시모토 사토시(橋本 賢) || || '''{{{#01295c,#f5f5f5 촬영 감독}}}''' ||후루쇼 시오리(古性史織)[br]채백륜(蔡伯崙) || || '''{{{#01295c,#f5f5f5 편집}}}''' ||우에마츠 준이치(植松淳一) || || '''{{{#01295c,#f5f5f5 음악}}}''' ||[[코사키 사토루]] ,,(MONACA),, || || '''{{{#01295c,#f5f5f5 음악 제작}}}''' ||후지퍼시픽 뮤직[br][[도호]] 뮤직 || || '''{{{#01295c,#f5f5f5 치프 프로듀서}}}''' ||타카세 유키코(高瀬透子)[br]타카하시 아키토(高橋亜希人)[br]오오시마 타카유키(大島孝幸) || || '''{{{#01295c,#f5f5f5 프로듀서}}}''' ||호소이 슌스케(細井駿介)[br]타케에다 요시노리(竹枝義典) || || '''{{{#01295c,#f5f5f5 제작 프로듀서}}}''' ||김형태 || || '''{{{#01295c,#f5f5f5 애니메이션 제작}}}''' ||[[오렌지(기업)|오렌지]] || || '''{{{#01295c,#f5f5f5 제작}}}''' ||BEASTARS [[제작위원회]] || || '''{{{#01295c,#f5f5f5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9년 10월|2019. 10. 10.]] ~ 2019. 12. 26. || || '''{{{#01295c,#f5f5f5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후지 테레비]]([[+Ultra]])[br](목) 00:55 || || '''{{{#01295c,#f5f5f5 스트리밍}}}''' ||[[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title/81054847|▶]]^^독점^^ || || '''{{{#01295c,#f5f5f5 편당 러닝타임}}}''' ||24분 || || '''{{{#01295c,#f5f5f5 화수}}}''' ||12화 || || '''{{{#01295c,#f5f5f5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25]] {{{#373a3c,#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 || '''{{{#01295c,#f5f5f5 관련 사이트}}}''' ||[[https://bst-ani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st_anime)]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만화 [[BEASTARS]]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제1기.+ULTRA 시간대에 방영한다. [[보석의 나라/애니메이션|보석의 나라]]로 유명한 [[오렌지(기업)|오렌지]]에서 제작하는 3D 애니메이션 작품. 감독은 마츠미 신이치. 만화의 1화부터 48화까지가 애니메이션 시즌 1의 내용이다. 적절하게 끊은 타이밍에 다음 시즌은 모든 것의 시발점인 식살사건의 주인공을 찾아내고 맞서는 99화까지가 될 것이 거의 확정적. 캐릭터들의 표정은 [[모션 캡처|페이셜 캡처]]로 만들었는데 '미야코다 타카유키'(都田崇之)라는 오렌지의 CG 제작자가 1, 2기의 40명 이상의 캐릭터를 혼자 다 표정 연기하고 수정했다고 한다. 표정 연기가 뛰어난 CG 제작자는 좀처럼 없어서 일본에서 이 사람만 할 수 있다고 한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6H1qskbEIg, width=100%)]}}} || || '''PV 제1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dCFoOocol5o, width=100%)]}}} || || '''PV 제2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pJ3wd6u4zlQ, width=100%)]}}} || || '''PV 제3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35-JRzT7k, width=100%)]}}} || || '''PV 제4탄''' || == [[BEASTARS/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BEASTARS/등장인물)] == [[BEASTARS#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BEASTARS, 앵커=설정)] == 주제가 == === OP === ||<-2>
'''{{{#01295c,#01295c OP[br]Wild Sid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go9dJB_icw, width=100%)]}}} || ||<-2> '''{{{#01295c,#01295c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5heWZ9occg, width=100%)]}}} || ||<-2> '''{{{#01295c,#01295c Full ver.}}}''' || || '''노래''' || ALI || || '''작사''' || Leo[br]Jua || || '''작곡''' ||<|2> ALI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오프닝 감독''' ||<|3> 카토 미치야(加藤道哉) || || '''콘티''' || || '''편집'''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특이하게도 마치 영화 [[크리스마스 악몽]]또는 [[판타스틱 미스터 폭스#s-4]]처럼 [[스톱모션]] 기법을 쓴 것이 특징인데, 안 그래도 간지나는 반주와 어우러져 자신에게서 끓어오르는 육식동물의 본능과 하루를 향한 사랑 사이에서 방황하면서 성장하게 되는 레고시의 이야기가 담긴 비스타즈의 내용을 잘 담아낸 연출에 팬들은 대호평 중이다. 1분 정도의 곡과 영상이라고 해도 오렌지 답게 곳곳에 상징적 의미가 많아 영상을 풀이 해본 사람도 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beastars&no=2593&exception_mode=recommend&page=2|여는 노래]] [[카우보이 비밥]]의 ost로 유명한 [[Tank!]]를 샘플링한걸로 추정된다. === ED1 === ||<-2>
'''{{{#01295c,#01295c ED1[* 2, 5, 8, 9화 사용.][br]Le zo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MweKnCCQXg, width=100%)]}}} || ||<-2> '''{{{#01295c,#01295c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0JbQYcnnPGg, width=100%)]}}} || ||<-2> '''{{{#01295c,#01295c Full ver.}}}''' || || '''노래''' || [[YURiKA]] || || '''작사''' || [[카라사와 미호]] || || '''작곡''' ||<|2> [[코우사키 사토루]]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엔딩 감독''' || 미츠즈미 리나(三皷梨菜)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2 === ||<-2>
'''{{{#01295c,#01295c ED2[* 3, 7, 10화 사용.][br]眠れる本能[br]잠자는 본능}}}'''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_mb4D2RPRs, width=100%)]}}} || ||<-2> '''{{{#01295c,#01295c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1295c,#01295c Full ver.}}}''' || || '''노래''' || [[YURiKA]] || || '''작사''' || [[카라사와 미호]] || || '''작곡''' ||<|2> 히로카와 케이이치(広川恵一)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엔딩 감독''' || 미츠즈미 리나(三皷梨菜)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3 === ||<-2>
'''{{{#01295c,#01295c ED3[* 4, 11화 사용.][br]マーブル[br]Marbl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8JUszX9sZ8, width=100%)]}}} || ||<-2> '''{{{#01295c,#01295c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1295c,#01295c Full ver.}}}''' || || '''노래''' || [[YURiKA]] || || '''작사''' || [[카라사와 미호]] || || '''작곡''' ||<|2> 타카하시 쿠니유키(高橋邦幸)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엔딩 감독''' || 미츠즈미 리나(三皷梨菜)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12화 ED === ||<-2>
'''{{{#01295c,#01295c 12화 ED[br]月に浮かぶ物語[br]달에 뜨는 이야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1295c,#01295c Full ver.}}}''' || || '''노래''' || [[YURiKA]] || || '''작사''' || [[카라사와 미호]] || || '''작곡''' || [[코우사키 사토루]] || || '''편곡''' || 히로카와 케이이치(広川恵一)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히구치 나나미(樋口七海) ||
'''회차''' || '''제목'''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CG 디렉터''' || '''방영일''' || || {{{-2 제1화}}} || {{{-2 満月は照らす獣を選んでる[br]만월은 비출 짐승을 선택한다}}} ||<-2> {{{-2 마츠미 신이치[br](松見真一)}}} || {{{-2 오오츠 나오[br](大津 直)}}} || {{{-2 이케야 마이코[br](池谷茉衣子)[br]키요미야 신고[br](清宮慎吾)[br]오오타 미츠키[br](太田光希)}}} || {{{-2 2019.10.10.}}} || || {{{-2 제2화}}} || {{{-2 学園の心臓部は庭園にあり[br]학원의 심장부는 정원에 있다}}} || {{{-2 게시 타카히로[br](下司泰弘)[br]마츠미 신이치}}} || {{{-2 게시 타카히로}}} || {{{-2 미야자키 히토미[br](宮崎 瞳)}}} || {{{-2 키요미야 신고[br]오오타 미츠키[br]이케야 마이코}}} || {{{-2 2019.10.17.}}} || || {{{-2 제3화}}} || {{{-2 オスオオカミ 出生のとき[br]수컷 늑대 출생의 순간}}} || {{{-2 아라카와 마사츠구[br](荒川眞嗣)[br]마츠미 신이치}}} || {{{-2 소쿠자 마코토[br](則座 誠)}}} || {{{-2 치바 미츠루[br](千葉 充)}}} || {{{-2 오오타 미츠키[br]키요미야 신고[br]이케야 마이코}}} || {{{-2 2019.10.24.}}} || || {{{-2 제4화}}} || {{{-2 君は聖杯までふやかして[br]너는 성배까지 불리며}}} || {{{-2 무토 켄지[br](武藤健司)}}} || {{{-2 유카와 아츠유키[br](湯川敦之)}}} || {{{-2 미야자키 히토미[br]치바 미츠루}}} || {{{-2 오오타 미츠키}}} || {{{-2 2019.10.31.}}} || || {{{-2 제5화}}} || {{{-2 しっぽの汚れにも[br]理由を見出すお年頃[br]꼬리의 더러움에도[br]그 이유를 찾는 나이대}}} || {{{-2 [[쿄고쿠 타카히코]]}}} || {{{-2 게시 타카히로}}} || {{{-2 오오츠 나오}}} || {{{-2 이케야 마이코}}} || {{{-2 2019.11.07.}}} || || {{{-2 제6화}}} || {{{-2 視界の滲み 夢か現か[br]시야의 번짐 꿈인가 생시인가}}} || {{{-2 슨다 아츠시[br](寸田篤志)}}} || {{{-2 소쿠자 마코토}}} || {{{-2 미야자키 히토미}}} || {{{-2 키요미야 신고}}} || {{{-2 2019.11.14.}}} || || {{{-2 제7화}}} || {{{-2 制服と被毛とそのまた下の[br]교복과 몸의 털과 그 아래의}}} || {{{-2 아라카와 마사츠구}}} || {{{-2 야마모토 켄스케[br](山本健介)}}} || {{{-2 치바 미츠루[br]미야자키 히토미}}} || {{{-2 오오타 미츠키}}} || {{{-2 2019.11.21.}}} || || {{{-2 제8화}}} || {{{-2 犬歯に糸ようじひっかけるように[br]개 이빨에 실밥 쑤시듯이}}} ||<-2> {{{-2 게시 타카히로}}} || {{{-2 미야자키 히토미}}} || {{{-2 이케야 마이코}}} || {{{-2 2019.11.28.}}} || || {{{-2 제9화}}} || {{{-2 エレベーター最上層の戦慄[br]엘리베이터 최상층의 전율}}} || {{{-2 [[사토 신지]]}}} || {{{-2 소쿠자 마코토}}} || {{{-2 치바 미츠루[br]미야자키 히토미}}} || {{{-2 키요미야 신고}}} || {{{-2 2019.12.05.}}} || || {{{-2 제10화}}} || {{{-2 綿毛、地の果てまで追うならば[br]솜털, 땅끝까지 쫓을 거라면}}} || {{{-2 슨다 아츠시}}} || {{{-2 카토 다이키[br](加藤大貴)}}} || {{{-2 미야자키 히토미}}} || {{{-2 오오타 미츠키}}} || {{{-2 2019.12.12.}}} || || {{{-2 제11화}}} || {{{-2 ゆきゆきて 夏のネオン街[br]진격하라 여름의 네온 거리}}} || {{{-2 [[이시이 토시마사]]}}} || {{{-2 게시 타카히로}}} || {{{-2 치바 미츠루[br]오오이시 미에[br](大石美絵)[br]미야자키 히토미}}} || {{{-2 이케야 마이코}}} || {{{-2 2019.12.19.}}} || || {{{-2 제12화}}} || {{{-2 夏嵐の後ろ姿[br]여름폭풍의 뒷면}}} || {{{-2 아라카와 마사츠구}}} || {{{-2 마츠미 신이치}}} || {{{-2 미야자키 히토미}}} || {{{-2 키요미야 신고}}} || {{{-2 2019.12.26.}}} || == 평가 == 1기가 끝나면서 '''간만에 나온 기승전결이 완벽한 애니메이션'''의 압도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많다.[* 특히 소수 마니아층을 제외하면 수인과 수인러(통칭 퍼리,Furry)에 대한 거부감이 만연한 서양쪽에서도 비스타즈 애니메이션만큼은 "I am not a furry but...(내가 수인러는 아니긴 한데...)"로 일컬어지며 까임방지권을 얻는 엄청난 파급력을 선보였다.] PV에서부터 보여준 '''디테일한 부분은 자연스레 2D로 잘 녹여내고 상당히 자연스럽게 구현된 3D 그래픽을 채용한 모습을 보여줘서 동서양 구분없이 호평일색이다. ''' 일본 작품 특유의 감성이 아예 없는건 아니지만 호불호가 크게 갈리지 않는 요소들과 잘 짜여진 시나리오 구성덕분에 꽤 높은 평가를 유지중이다. 드라마,영화의 화면 배치 기법을 배치와 연출에 사용하면서 세련된 애니메이션이라는 평가도 있다. 인물간의 심리와 시선을 한 화면에 비춰주는 2중 3중의 컷배치. [* 예시로 레고시의 조명배치로 루이에게 설명할때, 루이는 눈을 레고시는 손짓을 한 화면에 클로즈업하고 잘라내 배치하여 서로의 시점 차이를 보여주는 연출.]고정되지않은 화면 움직임[* 빌이 싸움 연습상대로 레고시와 싸울때 카메라 앵글 움직임.] 등등. 각 화마다 띄워지는 제목, 애니메이션의 연출과 소품, 여는 노래, 엔딩까지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소재들이 매우 많다. 특히 여는 노래가 큰 히트를 쳐, 여는 노래에 애니메이션을 봤다고 말할정도로 파급력이 가히 엄청났다. 1화 마지막에 여는 노래가 선공개되자 일주일도 안 돼서 유튜브에 리믹스 커버가 10곡 이상 올라왔을 정도. 1화에서 보여준 연출과 3D 모델링의 움직임이 매우 부드럽고 위화감 없이 다가와 비쥬얼 면에서 놀라운 애니메이팅 능력이라고 극찬이 많다. 특히 모델링은 원작 캐릭터의 특징을 3D 환경으로 완벽하게 옮겨놓았으면서도 거부감 없게 디자인되어 꺼리는 사람이 잘 없이 호평일색이다. 이에 힘입어 작화 붕괴 문제가 전무한 건 덤. 원작 4화분량을 1화에 전부 담은것에 생략된건 많지만 잘라낸 만큼 흐름이 자연스럽고 꼭 담아낸것만 보여주어서 좋은 시작을 끊었다. 배경 음악 면에서는 그간 일본 애니메이션의 틀에 박히고 정형화된 음악이 아닌 차별화된 음악을 사용한 동시에 배경 음악들의 수준 역시 뛰어남을 보여주어서 반응이 가히 폭발적이다. 이후 에피소드에서는 수많은 설정소개와 사건들을 1화보다 잘라낸 부분이 많았으나 불필요한것도 없이 전개상으로는 매우 매끄럽게 진행되어서 깔끔한 진행력을 보인다. 그리고 특히 레고시 3D 모델링의 움직임이 매우 부드럽고 작중 레고시의 성격면을 잘 보여줘서 귀엽다는 평이 많다. 7화에 접어들고 잭이 레고시의 비밀스러운 잡지를 알아차리고 숨겼을때라던지 그간 라이트했던 연출력[* 심리를 상징적으로 연출하는 부분은 강화하여 내보내서 극적인 효과는 가히 수준급이지만, 절망적인 상황이나 어두워야할 연출은 다소 완화시켰는데 이 때문에 눈은 즐겁지만 다소 심심해 보인다는 평도 꽤 있는편이다. 레고시가 암시장을 알고 고힌에게 이것저것 듣는 부분등도 사회의 뒷면과 심각함보다는 레고시의 심적 상황에 너무 초점이 맞춰져 있어 암시장에 대한 내용이 가볍게 흘러간 느낌이 이러한 것중 하나다.]이 이 파트에서도 적용되어 유일하게 원작과 비교되게 아쉽다는 평과 함께 그간 7편이 방영되면서 1화의 식살사건을 제외하면 눈에 띄게 진행되는 느낌이 없어, 조금 루즈하다는 평도 좀 생기는 중이다. 어느 애니메이션이 그렇듯, 원작부터 봐왔던 독자들에겐 어느정도 아쉬움이 많은 편. 심리묘사와 배경 설명등이 상당수 잘려나간 것이 특히 그렇다. 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선 꼭 필요한 굵직한 스토리 라인만으로 잘 구성하면서 최소한의 설명만 덧붙히고 잘라낸만큼 연출면을 부각시켜 그 공백을 잘 메꿔 내면서 어느정도는 누그려졌다. 사실 원작이 워낙 일상 에피소드라던지 배경 속 사회설명 등이 많은 편이라 이를 애니메이션에 다 넣기에는 무리이기도 하다. 그리고 잘려나간 심리묘사를 대신하여 연출용 장식품[* 가령 하루가 등장할 때마다 같이 등장하는 꽃, 서로 대비되는 상황에서 조명 연출과 강조되는 배경 등.]을 교묘히 잘 이용하는 점이 떡밥의 해석과 분석을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상당한 호평이다. 서양권에서도 비스타즈 애니메이션에 대해 호평일색이다. 한입을 모아 어두운 [[주토피아]]라고 말하며, 흥미로운 주제와 이야기, 기가막힌 모델링과 캐릭터 모션, 수인물이나 일본 아니메 특유의 거부감이 없이 잘 구성된 연출과 애니메이션 등등[* 그 흔한 외국인 리액션 영상에서 다들 PV 리액션을 부탁한 구독자들에게 '너네들 퍼리야? 그건 좀..' 이라는 반응을 하다가 PV를 보고 한눈에 반한건 물론. 1화에서 보여준 흡입력과 성우들의 연기덕분에 순정만화를 보는 독자들처럼 울고 웃고 화내며 최고의 '퍼리 애니메이션'이라고 한입모아 말할정도며, 리뷰어 유튜버들도 제목에 '난 퍼리가 아니야. 아무튼 아니야' 라는 느낌으로 시작했다가 자신들도 재밌게 본 수준급의 애니메이션이라고 칭찬하기까지 한다. ], 평범한 애니 오타쿠계는 물론, 심지어 비수인러 사이에서도 꽤 인기가 있는 편이다. 앞서 언급했듯 수인물이 대중적이지 않은 서양에서 수인물로서 암묵적인 까임방지권을 얻었을 정도면 말 다했다. 여담으로 애니메이션 방영기간중 BEASTARS + Reaction 이 조합만 있어도 조회수 폭발할 정도.[* 완결된지 꽤 됐음에도 여전히 비스타즈+리액션은 조회수 늘리기에 최고의 조합이다.] 일부 리뷰에서는 '퍼리들아 너네들을 위한게 아니라 모두를 위한 작품이다.' 라고 딱 말할정도로 호평. 일본의 애니메이션 평론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히카와 류스케]]도 추천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이 시작할 때 보여준 추리물 장르의 느낌이 갑작스럽게 로맨스 학원물로 바뀌면서 몇몇 연출이 혼란스러워졌다는 평가가 있다. 특히 1화에서 하루의 냄새를 맡는 연출이 원작을 안본 사람들은 추리물로 착각해 ''누군가가 약을 뿌린거 아니냐'' 라는 감상평이 있을정도.[* [[주토피아]] 세계관 내에서 육식동물들의 야성을 깨우치게 만들어 폭주시키는 약물인 밤의 울음꾼을 연상한 듯 하다. 이는 리뷰하는 사람들의 10에 10은 주토피아와 연관짓는데 이는 라이온킹 이후로 제2의 동물만화 전성기를 일으킨 영화이면서 대 흥행작이기 때문. 본 사람이 그만큼 많고 비스타즈의 시놉시스와 주토피아의 주 내용과 비슷하기에 이러한 연관성을 이어낸걸로 보인다. 식살 사건이 추리물의 도입부처럼 보이기도해서 이것도 누가 육식동물을 자극시킨걸 뿌리나? 라는 결론이 나온것.] 그리고 일명 '''드래곤볼 폭주'''[* 본능이 깨어나면서 피가 활발히 돌며 레고시가 폭주하게되는데 이때 온몸을 베베꼬며 온몸에 붉은색 불빛이 일어나는 연출인데 이 부분만 보면 또 장르가 다르게 보인다. 다행히 사자파 습격때는 눈이 붉게 변하는 걸로 변경해서 괜찮아졌다. ]연출. 그리고 중요하다고 보이는 설정이나 부분[* 암시장, 식살사건의 영향, 레고시의 이상행동 등]을 잘라내거나 너무 빨리 흘려 보내버리면서 너무 인물중심에 과하게 초점이 맞춰진것에 비스타즈 세계의 설정의 깊이가 떨어져 이해하기 어렵다는 평가가 있다. 그러나 중반부에 들어서서는 괜찮아진 편. 마찬가지의 이유로 빌이나 잭 같은 주요 조연들의 분량이 대거 잘려나간 탓에 캐릭터의 전반적인 이미지가 변하는등 매력이 줄어들어 아쉽다는 평도 존재한다.[* 루이가 그저 중2병 말기로, 빌이 비호감으로만 묘사되는 등.] 본작의 호평과 흥행으로 인해 완결까지 후속 시리즈 제작이 결정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BEASTARS, version=442, paragraph=8.1)] [[분류:BEASTARS/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9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넷플릭스 독점 판권 애니메이션]][[분류:오렌지(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