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BEMANI]][[분류:BEMANI PRO LEAGUE]] [include(틀:상위 문서, top1=BEMANI PRO LEAGUE SEASON 2/DanceDanceRevolution)] [include(틀:BEMANI PRO LEAGUE SEASON 2 경기 일람)]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BEMANI PRO LEAGUE|[[파일:bpl_logo_emblem.png|width=42]]]] {{{+1 {{{#white '''BEMANI PRO LEAGUE SEASON 2''' '''DanceDanceRevolution 세미파이널·결승전'''}}}}}}}}} || ||<#fff,#222> [[파일:silkhat.png|width=80%]] ||<#fff,#222><:> [[파일:game_panic.png|width=60%]] || ||<:> {{{+1 '''SILK HAT'''}}} ||<:> {{{+1 '''GAME PANIC'''}}} || ||<#fff,#222> [[파일:gigo_cut.png|width=80%]] ||<#fff,#222><:> [[파일:logo_round-1.png|width=60%]] || ||<:> {{{+1 '''GiGO'''}}} ||<:> {{{+1 '''ROUND1'''}}} || ||<-7> '''{{{#fff BEMANI PRO LEAGUE SEASON 2 DanceDanceRevolution 세미파이널·결승전 중계}}}''' || || '''사회자''' ||<-3> Maxwell Powers{{{-2 (2개국어)}}}[br]아라키 미스즈{{{-2 (일본어)}}} || || {{{#!wiki style="letter-spacing: -0.8px;" '''실황'''}}} ||<-3> Kawaiiconic Ali{{{-2 (2개국어)}}} || || '''해설''' ||<-3> gahou{{{-2 (2개국어)}}}[br][[파일:apina_vrames.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7B5; font-size: 1.0em;" {{{#FFF '''MAMURU3'''}}}}}}, [[파일:supernova_tohoku.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0091; font-size: 1.0em;" {{{#FFF356 '''YOSHIMIZ'''}}}}}}, [[파일:taito_station_tradz_cut.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00 '''YUDAI'''}}}}}}, [[파일:leisure_land.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1D84; font-size: 1.0em;" {{{#FFF '''NAYU'''}}}}}}{{{-2 (일본어)}}} || BEMANI PRO LEAGUE SEASON 2 DDR 종목 세미파이널 및 결승전에 대한 문서. 2023년 7월 1일 코나미 긴자 스튜디오에서 유관중으로 진행된다. 특이하게도 온라인 생방송의 경우 2개국어 중계 / 일본어 중계 / 무해설 방송이 따로 중계된다. 일본어 중계와 무해설 방송은 Zaiko 플랫폼에서만 볼 수 있으며, 전체 공개는 2023년 7월 11일, 유튜브를 통해 2개국어 중계 방송만 공개된다. 각 경기 간에는 1시간동안 휴식시간이 주어지는데, 이 시간동안 다음 경기에 출전할 선수들이 워밍업 플레이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기존 KAC나 쿼터파이널까지의 경기에서 워밍업 없이 하다보니 충분한 기량을 펼치지 못한다는 점을 반영한 조치인 듯 하다. 단 워밍업 시간 중에는 서로간에 전략을 볼 수 없도록 양 팀 사이에 가림막이 쳐진 상태로 하게 된다. 일본어 중계 방송에서는 해설진들과 선수들의 토크쇼를 볼 수 있으며, 나머지 방송에서는 워밍업 장면을 천장에 설치된 카메라로 보여준다. 대회 규칙은 [[BEMANI PRO LEAGUE SEASON 2/DanceDanceRevolution]] 문서를 참조할 것. #################################################### ## ##1. 매 패턴마다 "pt를 얻지 못한 선수"의 점수, 승무패, pt에 붙은 볼드를 지워 일반 글씨로 바꿔줍니다. ##2. 최종 결과의 경우에는 "승리하지 못한 팀"의 전적, 획득 승점에 붙은 볼드를 지워 일반 글씨로 바꿔줍니다. ##3. 3rd Match에 있는 순위 란에는 "1위", "2위", "3위", "4위" 이런식으로 적으면 됩니다. 공동순위가 발생했을 때도 공동 없이 순위만 적어주세요. ##4. 스트래티지 선언이 된 경우 아래의 각주를 사용합니다. ## ##[* 첫 선곡은 (바뀌기 전 선곡) 였지만 스트래티지 카드로 무효화.] ##[*X 양 팀 모두 스트래티지 카드를 사용하여 선곡 유지.] ## ##5. DDR 종목은 상대가 제시한 3곡 중 1곡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선곡됩니다. BPL ZERO DDR 템플릿 제작 당시 선택하지 않은 패턴은 생략한 채로 작성했기에 본 문서도 선택하지 않은 패턴을 생략한 채로 템플릿을 수정했습니다만, 원하신다면 선택하지 않은 패턴도 방법 불문하고 기재하셔도 관계없습니다. 단, 템플릿 하나가 아닌 모든 템플릿을 수정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 쿼터파이널 결과 == ||<-2><#000> '''{{{#fff Group A 최종 결과}}}''' || || 1위 || [[파일:silkhat_cut.png|width=45]] || || 2위 || [[GiGO/e스포츠|[[파일:gigo_cut.png|width=65]]]] || || 3위 || [[GAME PANIC/e스포츠|[[파일:game_panic_cut.png|width=45]]]] || || 4위 || [[파일:taito_station_tradz_cut.png|width=65]] || ||<-2><#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word-break: keep-all" {{{-2 {{{#adf,#2b5797 파란색}}}: 진출 | {{{#fbb,#800 빨간색}}}: 탈락}}}}}} || ||<-2><#000> '''{{{#fff Group B 최종 결과}}}''' || || 1위 || [[ROUND1/e스포츠|[[파일:logo_round-1.png|width=65]]]] || || 2위 || [[LEISURE LAND/e스포츠|[[파일:leisure_land_cut.png|width=65]]]] || || 3위 || [[APINA VRAMeS|[[파일:apina_vrames_cut.png|width=65]]]] || || 4위 || [[SUPERNOVA Tohoku|[[파일:supernova_tohoku_cut.png|width=65]]]] || ||<-2><#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word-break: keep-all" {{{-2 {{{#adf,#2b5797 파란색}}}: 진출 | {{{#fbb,#800 빨간색}}}: 탈락}}}}}} || == 관전 포인트 == 쿼터파이널까지 경기를 치룬 결과, Group A에서 실크 햇, 기고, 게임 패닉이, Group B에서 라운드 원이 세미파이널에 진출하게 되었다. * '''{{{#c7c8c8 SILK HAT}}}''' 출중한 실력을 보유한 KANAME(카나메)를 필두로 저레벨 담당 GINXYASU(긴야스)와 고레벨 담당 ABETAKU(아베타쿠)의 분투로 지금까지 '''패배를 당하지 않은 유일한 팀'''이자, 여덟 팀 중에서 레귤러 스테이지 성적이 가장 높은 팀이 되었다. 특히 다른 팀의 에이스들이 저레벨에서 예상 밖의 일격을 맞는 와중에 실크 햇은 오히려 이를 무기삼아 다른 팀들을 관광보내는 등 레벨대가 낮은 1st와 4th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하지만 저레벨 세트보다 고레벨 세트가 더 많고, 고레벨 보조 포지션인 아베타쿠가 3지명의 한계를 계숙 비추고 있다보니 태그 배틀에서 같이 고레벨을 뛰는 카나메 입장에서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으며, 특히 5th Match는 4th Match와 달리 1위+4위로 무재배를 할 수 없기 때문에[* 1위+4위시 4pt+0pt로 4pt를 획득하지만, 2위+3위시 3pt+2pt로 5pt를 획득하기 때문에 꼴지를 한 쪽이 무조건 pt를 덜 번다.] 결코 안심할 수 없는 입장이다. * '''{{{#c7c8c8 SILK HAT 우승 시}}}''' * 창단 이래 첫 우승을 기록한다. * ABETAKU(아베타쿠)가 [[로열로더]]를 기록한다. [* 나머지 두 멤버들은 대회 출전 경험이 있다.] * 초대 BPL부터 이어져온 '''레귤러 스테이지 성적이 제일 높은 팀이 준우승을 기록하는 징크스'''[* "레귤러 스테이지 성적이 제일 높은 팀"은 본래 "레귤러 스테이지 1위"였지만 BPL이 진행되면서 점점 그룹 순위를 사용하다보니 전체 순위는 크게 의미가 없어지게 되었다.]를 깬다. * '''BPL 사상 처음으로 전체 경기 무패를 기록한 팀'''이 된다. [* 참고로 BPL S2 사볼 종목의 GiGO가 전체 경기 무패를 목전에 앞두고 결승전에서 패배하여 이루지 못한 바 있다.] * '''{{{#ffcb21 GAME PANIC}}}''' 세미파이널 진출팀들 중 '''유일하게 업셋승으로 진출'''한 팀이다. 레귤러 스테이지의 성적이 좋지 못했지만, 쿼터파이널에서 경기력 향상과 불굴의 의지를 보여준 바 있었기 때문에 다음 경기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2지명 GIEZ-ACS(지즈)가 1지명 HO4-KETI(호시케치) 못지 않은 폼을 보여줬기 때문에 두 선수가 태그 배틀에 들어갔을 때의 호성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쿼터파이널 업셋승이 상대 레져 랜드가 안일하게 나선 감도 있고, 호시케치의 레귤러 스테이지 성적이 그렇게 좋진 않았다보니 또 다른 강팀이자 레귤러 스테이지에서 이기지 못했던 실크 햇을 잡을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 '''{{{#ffcb21 GAME PANIC 우승 시}}}''' * 창단 이래 첫 우승을 기록한다. * YO4-YEAH(요시에)가 [[로열로더]]를 기록한다. [* 나머지 두 멤버들은 대회 출전 경험이 있다.] * BPL S2 사볼 종목에 이어 '''그룹(리그) 3위가 우승하는 사례가 2번 연속으로 나오게 된다'''. * '''{{{#006CDC GiGO}}}''' 일본 DDR 투탑 중 한 명인 HIBIKI(히비키), BPL ZERO DDR의 결승전부터 무난한 폼을 보여주고 있는 UN-LIM(언리미), 쿼터파이널에서 제대로 물이 오른 TSUYOSHI(츠요시) 세 명 모두 막강한 폼을 보여주면서 기고가 우승 후보임을 몸소 증명하고 있는 팀이다. 특히 히비키와 언리미가 고레벨 경기 특화 선수라 제일 비중이 높은 5th에서 상대를 몰아붙이기 쉽고, 비슷한 점수를 자주 기록해서 은근 죽이 맞는 모습도 보여준데다, BPL ZERO DDR에 출전하여 대회 환경에 익숙하거나 감이 잡히는 등 경험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다만 에이스 히비키가 저레벨에서 은근 부진하는 등 흠 잡을 점들도 비췄기 때문에 이어지는 세미파이널과 결승전에서 개선되었는지 증명해야 하는 상태기도 하다. * '''{{{#006cdc GiGO 우승 시}}}''' * 창단 이래 첫 우승을 기록한다. * ROUND1에 이어 두 번째로 '''준우승 직후 우승을 기록'''하는 팀이 된다. * UN-LIM가 BPL IIDX 종목 선수 [[KENTAN]](켄탄)에 이어 BPL ZERO를 포함하여 '''BPL 2연속 우승'''을 기록하는 선수가 된다. * HIBIKI가 시즌2 IIDX의 종목의 [[U*TAKA]]에 이어 '''KAC-BPL 그랜드슬램'''을 달성하게 된다.[* O4MA.는 10th KAC을 준우승으로 끝마쳤고, SDVX 종목의 YU11는 10th KAC을 우승했으나 세미 파이널에서 탈락했다.] * '''{{{#d80c18 ROUND1}}}''' 일본 DDR 투탑 중 한 명인 O4MA.(오시마)가 BPL ZERO DDR에 이어 정식 BPL 시즌에서도 상당한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시즌 시작 전의 기대를 이어가고 있고, 비에이스진들인 ZERO.(제로)와 UN-RE(언리) 역시 제 몫을 충분히 하고 있어 우승 후보로 불리는 팀들 중 하나이며, 다른 Group B 팀들인 레져 랜드, 아피나 브레임즈, 슈퍼노바 토호쿠가 쿼터파이널에서 줄줄이 탈락하며 졸지에 '''Group B 최후의 보루'''가 되었다. 오시마와 제로 둘 다 대체로는 어느 레벨대든 크게 깨지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어느 Match든 무난한 활약을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에이스 오시마는 쿼터파이널 2nd Match에서 선곡된 [[Tohoku EVOLVED]] CSP '''두 판'''에 3rd Match까지 연이어 치뤘는데도 한 번 빼고 전부 승리 및 1위를 차지했을 정도로 체력이 상당한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에 세트를 많이 치뤄야하는 세미파이널과 결승전에서 체력상 우위를 보여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기는 게 하늘의 별따기일 정도로 압도적인 위치는 아니라 몇몇 선수들이 오시마 공략에 성공한 바 있기 때문에 방심은 금물이다. * '''{{{#d80c18 ROUND1 우승 시}}}''' * '''종목 무관 BPL 최초 2회 우승팀'''이 되며, O4MA. 역시 프리퀄 시즌 포함 '''DDR 종목 2회 우승'''을 달성한다. * 직전 종목에서 최하위 성적을 거둔 팀이 다음 종목에서 우승하는 사례가 나온다. * BPL S2 사볼 종목에서 깨졌던 '''레귤러 스테이지 성적이 2번째로 높은 팀이 우승'''하는 사례가 다시 나오게 된다. == 세미파이널 == 점수 옆에 붙은 위첨자들의 범례는 아래와 같다. || ^^PFC^^ || PERFECT FULL COMBO || || ^^GFC^^ || GREAT FULL COMBO || || ^^FC^^ || FULL COMBO || === Round1 SILK HAT VS GAME PANIC === ||<-5> {{{+1 {{{#fff '''세미파이널 Round1'''}}}}}} || ||<-2> [[파일:silkhat.png|width=50%]] || '''VS''' ||<-2> [[파일:game_panic.png|width=50%]] || ||<-2> {{{#fff '''SILK HAT'''}}} || '''팀명''' ||<-2> {{{#fff '''GAME PANIC'''}}} || ||<-5> '''세트별 테마''' || || '''{{{#000,#fff 1st Match}}}''' || '''2nd Match''' || '''3rd Match''' || '''4th Match''' || '''5th Match''' || || '''{{{#gold GOLD}}}[br]{{{#fuchsia STANDARD}}}''' || '''{{{#silver,#white WHITE}}}[br]{{{#orange TRICKY}}}''' || '''{{{#silver,#white WHITE}}}[br]{{{#fuchsia STANDARD}}}''' || '''{{{#black,#gray CLASSIC}}}[br]{{{#orange TRICKY}}}''' || '''{{{#gold GOLD}}}[br]{{{#orange TRICKY}}}''' || >세미파이널 Round1 SILK HAT vs GAME PANIC > >SILK HAT은, KANAME(카나메), GINXYASU(긴야스), ABETAKU(아메타쿠) 3명의 팀. >쿼터 파이널에선 싱글 배틀에서 압권의 4연승. 그 흐름 그대로 훌륭하게 승리를 따냈다. >SILK HAT의 일루전 쇼는 계속된다. > >GAME PANIC은, HO4-KETI(호시케치), GIEZ-ACS(지즈), YO4-YEAH(요시에). >레귤러 스테이지는 3위로 고전했지만, 쿼터 파이널에서는 2nd match 부터 크게 흐름을 쥐고, 팀의 결속력으로 마지막까지 싸워나가 승리. >이번 세미 파이널에서도 훨씬 큰 천둥소리를 울려줄 것이다. > >GAME PANIC이 레귤러 스테이지에서 진 빚을 갚을 것인가, 아니면 승승장구의 군단 SILK HAT이 그 힘을 다시 보여줄 것인가. >6명의 선수의 마음이 교차하는 세미파이널 제 1시합, 초접전의 싸움을 놓치지 마라. 창단 첫 유관중 무대에 오르지만, 올라온 과정은 서로 달랐던 두 팀의 대결이다. 게임 패닉에게 패하여 탈락한 레져 랜드가 상당한 강팀이었기 때문에 실크 햇 입장에선 한 번 이겨봤고, 폼도 상대적으로 낮은 게임 패닉이 세미파이널 상대가 된 것에 대해 꽤 마음이 놓일 것이다. 하지만 게임 패닉이 쿼터파이널에서 제법 물이 올랐고, 고레벨 대결은 결코 실크 햇이 강우세라 볼 수 없기 때문에 방심은 금물이다. 그와는 별개로 실크 햇은 첫 세미 파이널 진출, 게임 패닉은 기적의 업셋에 힘입어 사기가 충만한 상태로 무대에 올랐기 때문에 양보할 수 없는 치열한 싸움이 예상된다. ==== 경기 진행 ==== ||<-6> '''출전 로스터''' || || '''팀''' || '''1st Match[br]{{{-3 {{{#gold GOLD}}}, {{{#fuchsia STANDARD}}}}}}''' || '''2nd Match[br]{{{-3 {{{#white WHITE}}}, {{{#orange TRICKY}}}}}}''' || '''3rd Match[br]{{{-3 {{{#white WHITE}}}, {{{#fuchsia STANDARD}}}}}}''' || '''4th Match[br]{{{-3 {{{#black CLASSIC}}}, {{{#orange TRICKY}}}}}}''' || '''5th Match[br]{{{-3 {{{#gold GOLD}}}, {{{#orange TRICKY}}}}}}''' || || '''SILK HAT''' || '''GINXYASU''' || '''KANAME''' || '''ABETAKU''' || '''KANAME[br]GINXYASU''' || '''KANAME[br]ABETAKU''' || || '''GAME PANIC''' || '''YO4-YEAH''' || '''GIEZ-ACS''' || '''HO4-KETI''' || '''GIEZ-ACS[br]YO4-YEAH''' || '''HO4-KETI[br]GIEZ-ACS''' || ||<-7> || ||<-3> '''GINXYASU''' || {{{#fff '''1st Match: GOLD, STANDARD'''}}} ||<-3> '''YO4-YEAH''' || || '''점수''' ||<-2>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697'''^^PFC^^ || '''승''' || '''1''' || [[BITTER CHOCOLATE STRIKER|{{{#a0a0a0 BITTER CHOCOLATE STRIKER}}}]][br]{{{-2 EXPERT LV.14}}} || 0 || 패 || 1686^^GFC^^ || || 1309^^PFC^^ || 패 || 1 || [[熱情のサパデアード|{{{#ffc000 熱情のサパデアード}}}]][br]{{{-2 EXPERT LV.13}}} || '''1''' || '''승''' || '''1311'''^^PFC^^ || ||<-7> || ||<-3> '''KANAME''' || {{{#fff '''2nd Match: WHITE, TRICKY'''}}} ||<-3> {{{#FFF '''GIEZ-ACS'''}}}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815''' || '''승''' || '''3''' || [[IMANOGUILTS|{{{#a0a0a0 IMANOGUILTS}}}]][br]{{{-2 CHALLENGE LV.15}}} || 1 || 패 || 1805^^PFC^^ || || 1839^^GFC^^ || 패 || 3 || [[Magnetic|{{{#ffc000 Magnetic}}}]][br]{{{-2 EXPERT LV.15}}} || '''3''' || '''승''' || '''1842'''^^PFC^^ || ||<-7> || ||<-3> '''ABETAKU''' || {{{#fff '''3rd Match: WHITE, STANDARD'''}}} ||<-3> {{{#FFF '''HO4-KETI'''}}}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2389^^GFC^^ || 패 || 3 || [[Elemental Creation|{{{#a0a0a0 Elemental Creation}}}]][br]{{{-2 EXPERT LV.17}}} || '''5''' || '''승''' || '''2397'''^^GFC^^ || || 2035 || 패 || 3 || [[灼熱Beach Side Bunny|{{{#ffc000 灼熱Beach Side Bunny}}}]][br]{{{-2 CHALLENGE LV.18}}} || '''7''' || '''승''' || '''2151''' || ||<-7> || ||<-3> '''KANAME^^↑^^''' ||<|2> {{{#fff '''4th Match: CLASSIC, TRICKY'''}}} ||<-3> {{{#FFF '''GIEZ-ACS^^↑^^'''}}} || ||<-3> '''GINXYASU,,↓,,''' ||<-3> {{{#FFF '''YO4-YEAH,,↓,,'''}}}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445'''^^PFC^^ || '''1위''' ||<|2> '''9''' ||<|2> [[Horatio|{{{#a0a0a0 Horatio}}}]][br]{{{-2 CHALLENGE LV.15}}} ||<|2> '''8''' || '''3위''' || '''1435'''^^PFC^^ || || '''1445'''^^PFC^^ || '''1위''' || 4위 || '''1420'''^^GFC^^ || || '''1159'''^^PFC^^ || '''1위''' ||<|2> '''13''' ||<|2> [[On The Break|{{{#ffc000 On The Break}}}]][br]{{{-2 EXPERT LV.13}}} ||<|2> '''10''' || 4위 || 1150^^PFC^^ || || '''1151''' || '''3위''' || '''2위''' || '''1154'''^^PFC^^ || ||<-7> || ||<-3> '''KANAME^^↑^^''' ||<|2> {{{#fff '''5th Match: GOLD, TRICKY'''}}} ||<-3> {{{#FFF '''HO4-KETI^^↑^^'''}}} || ||<-3> '''ABETAKU,,↓,,''' ||<-3> {{{#FFF '''GIEZ-ACS,,↓,,'''}}}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671''' || '''1위''' ||<|2> '''19''' ||<|2> [[Firestorm|{{{#a0a0a0 Firestorm}}}]][br]{{{-2 CHALLENGE LV.16}}} ||<|2> '''15''' || '''2위''' || '''1664'''^^PFC^^ || || '''1662'''^^PFC^^ || '''3위''' || '''3위''' || '''1662'''^^GFC^^ || || '''1674''' || '''1위''' ||<|2> '''23''' ||<|2> [[Firestorm|{{{#ffc000 Firestorm}}}]][br]{{{-2 CHALLENGE LV.16}}} ||<|2> '''20''' || '''2위''' || '''1669'''^^PFC^^ || || 1658 || 4위 || '''3위''' || '''1666'''^^PFC^^ || ||<-7> || ||<-3> '''SILK HAT''' ||<|2> {{{#fff '''최종 결과'''}}} ||<-3> {{{#fff '''GAME PANIC'''}}} || ||<-3> '''결승전 진출''' ||<-3> '''{{{#f00 탈락}}}''' || ==== 총평 ==== 실크 햇은 1지명 카나메를 4th, 5th에 보내기 위해 카나메를 2nd에, 3지명 아베타쿠를 3rd에 배치하는 수를 뒀고, 반대로 게임 패닉은 호시케치를 3rd, 5th에 배치하였다. 1st와 2nd는 무승부가 되었고 3rd에서 아베타쿠가 호시케치에게 밀리면서 게임 패닉 쪽으로 경기가 기우는가 싶었지만 4th에 나간 카나메와 긴야스가 자선곡인 Horatio CSP에서 공동 1위를 하면서 순식간에 역전했고, 5th에서 중복 선곡된 Firestorm CSP의 첫판에서 아베타쿠가 공동 3위를 찍으면서 pt 손해를 면하는 등 실크 햇이 승기를 쥔 채로 잘 버틴 덕에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 Round2 GiGO VS ROUND1 === ||<-5> {{{+1 {{{#fff '''세미파이널 Round1'''}}}}}} || ||<-2> [[파일:gigo_cut.png|width=50%]] || '''VS''' ||<-2> [[파일:logo_round-1.png|width=50%]] || ||<-2> {{{#fff '''GiGO'''}}} || '''팀명''' ||<-2> {{{#fff '''ROUND1'''}}} || ||<-5> '''세트별 테마''' || || '''{{{#000,#fff 1st Match}}}''' || '''2nd Match''' || '''3rd Match''' || '''4th Match''' || '''5th Match''' || || '''{{{#gold GOLD}}}[br]{{{#orange TRICKY}}}''' || '''{{{#black,#gray CLASSIC}}}[br]{{{#fuchsia STANDARD}}}''' || '''{{{#black,#gray CLASSIC}}}[br]{{{#orange TRICKY}}}''' || '''{{{#silver,#white WHITE}}}[br]{{{#orange TRICKY}}}''' || '''{{{#silver,#white WHITE}}}[br]{{{#fuchsia STANDARD}}}''' || >세미파이널 Round2 GiGO vs ROUND1 > >GiGO는, HIBIKI(히비키), UN-LIM(언리미), TSUYOSHI(츠요시). >쿼터파이널에서는 싱글 배틀에서 압도적인 힘을 보이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그들이 목표로 하는 승리라는 이름의 오아시스까지 앞으로 2전. 그 지복의 순간을 추구하며, 그들은 계속 싸워나간다. > >ROUND1은, O4MA.(오시마), ZERO.(제로), UN-RE(언리)의 3명. >쿼터 파이널에서는 상대의 맹추격을 태그 배틀에서 뿌리치며 훌륭하게 승리. 이 세미 파이널로 패을 내밀었다. >정점을 목표로 하는 3명의 붉은 힘, 그 강함을 세미파이널에서도 보여줄 것이다. > >The 10th KONAMI Arcade Championship 결승에서 맞붙은 두명이 이끄는 2 팀이 BPL에서 다시 격돌. >과거의 시합에서는 HIBIKI 선수의 손을 들어 줬지만 이번에는 과연. >고속의 발놀림으로 양 팀이 격렬하게 부딪치는 세미파이널 Round 2. >상대보다도 정확한 "STEP MACHINE"이 되어 승리를 손에 쥐어라. 일본 DDR 투탑 히비키와 오시마가 소속된 두 팀의 대결. 두 팀 모두 상위권 팀답게 준수한 경기력을 지니고 있어 팽팽한 대결이 예상되며, 히비키와 오시마의 빅매치가 어떻게 될 지도 주목되는 경기이기도 하다. 또한, BPL ZERO DDR 우승 팀인 TEAM WHITE의 내전이 되었다는 점도 특징이다. [* 팀 구성원 중 오시마와 언리미가 각각 라운드 원, 기고 소속이고 시즈는 선수는 아니지만 기고의 어드바이저로 참여했다.] ==== 경기 진행 ==== ||<-6> '''출전 로스터''' || || '''팀''' || '''1st Match[br]{{{-3 {{{#gold GOLD}}}, {{{#orange TRICKY}}}}}}''' || '''2nd Match[br]{{{-3 {{{#black CLASSIC}}}, {{{#fuchsia STANDARD}}}}}}''' || '''3rd Match[br]{{{-3 {{{#black CLASSIC}}}, {{{#orange TRICKY}}}}}}''' || '''4th Match[br]{{{-3 {{{#white WHITE}}}, {{{#orange TRICKY}}}}}}''' || '''5th Match[br]{{{-3 {{{#white WHITE}}}, {{{#fuchsia STANDARD}}}}}}''' || || '''GiGO''' || '''TSUYOSHI''' || '''UN-LIM''' || '''HIBIKI''' || '''UN-LIM[br]TSUYOSHI''' || '''HIBIKI[br]UN-LIM''' || || '''ROUND1''' || '''ZERO.''' || '''O4MA.''' || '''UN-RE''' || '''O4MA.[br]ZERO.''' || '''O4MA.[br]ZERO.''' || ||<-7> || ||<-3> '''TSUYOSHI''' || {{{#fff '''1st Match: GOLD, TRICKY'''}}} ||<-3> '''ZERO.''' || || '''점수''' ||<-2>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150'''^^PFC^^ || '''승''' || '''1''' || [[Dance Phenomena|{{{#006cdc Dance Phenomena}}}]][br]{{{-2 EXPERT LV.12}}} || 0 || 패 || 1148^^PFC^^ || || '''1269'''^^PFC^^ || '''승''' || '''2''' || [[Mythomane|{{{#d80c18 Mythomane}}}]][br]{{{-2 EXPERT LV.13}}} || 0 || 패 || 1266^^PFC^^ || ||<-7> || ||<-3> '''UN-LIM''' || {{{#fff '''2nd Match: CLASSIC, STANDARD'''}}} ||<-3> {{{#FFF '''O4MA.'''}}}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643 || 패 || 2 || [[SILVER☆DREAM|{{{#006cdc SILVER☆DREAM}}}]][br]{{{-2 EXPERT LV.15}}} || '''2''' || '''승''' || '''1648'''^^GFC^^ || || 1623^^PFC^^ || 패 || 2 || [[Sakura Sunrise|{{{#d80c18 Sakura Sunrise}}}]][br]{{{-2 CHALLENGE LV.16}}} || '''4''' || '''승''' || '''1629'''^^GFC^^ || ||<-7> || ||<-3> '''HIBIKI''' || {{{#fff '''3rd Match: CLASSIC, TRICKY'''}}} ||<-3> {{{#FFF '''UN-RE'''}}}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915''' || '''승''' || '''4''' || [[ΔMAX|{{{#006cdc ΔMAX}}}]][br]{{{-2 CHALLENGE LV.17}}} || 4 || 패 || 1873 || || '''1859'''^^GFC^^ || '''승''' || '''6''' || [[POSSESSION|{{{#d80c18 POSSESSION}}}]][br]{{{-2 EXPERT LV.17}}} || 4 || 패 || 1847 || ||<-7> || ||<-3> '''UN-LIM^^↑^^''' ||<|2> {{{#fff '''4th Match: WHITE, TRICKY'''}}} ||<-3> {{{#FFF '''O4MA.^^↑^^'''}}} || ||<-3> '''TSUYOSHI,,↓,,''' ||<-3> {{{#FFF '''ZERO.,,↓,,'''}}}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311^^GFC^^ || 4위 ||<|2> '''9''' ||<|2> [[Top The Charts|{{{#006cdc Top The Charts}}}]][br]{{{-2 CHALLENGE LV.14}}} ||<|2> '''7''' || '''3위''' || '''1326'''^^PFC^^ || || '''1332'''^^PFC^^ || '''1위''' || '''2위''' || '''1330'''^^PFC^^ || || 1442^^GFC^^ || 4위 ||<|2> '''11''' ||<|2> [[Squeeze|{{{#d80c18 Squeeze}}}]][br]{{{-2 EXPERT LV.15}}} ||<|2> '''11''' || '''1위''' || '''1457'''^^PFC^^ || || '''1453'''^^PFC^^ || '''2위''' || '''3위''' || '''1448'''^^GFC^^ || ||<-7> || ||<-3> '''HIBIKI^^↑^^''' ||<|2> {{{#fff '''5th Match: WHITE, STANDARD'''}}} ||<-3> {{{#FFF '''O4MA.^^↑^^'''}}} || ||<-3> '''UN-LIM,,↓,,''' ||<-3> {{{#FFF '''ZERO.,,↓,,'''}}}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2214'''^^PFC^^ || '''1위''' ||<|2> '''15''' ||<|2> [[Astrogazer|{{{#006cdc Astrogazer}}}]][br]{{{-2 CHALLENGE LV.18}}} ||<|2> '''16''' || '''2위''' || '''2197'''^^GFC^^ || || 2156 || 4위 || '''3위''' || '''2169''' || || '''2095'''^^PFC^^ || '''2위''' ||<|2> '''20''' ||<|2> [[めうめうぺったんたん!!|{{{#d80c18 めうめうぺったんたん!!}}}]][br]{{{-2 CHALLENGE LV.16}}} ||<|2> '''22''' || '''1위''' || '''2100''' || || '''2092'''^^GFC^^ || '''3위''' || '''3위''' || '''2092''' || ||<-7> || ||<-3> '''GiGO''' ||<|2> {{{#fff '''최종 결과'''}}} ||<-3> {{{#fff '''ROUND1'''}}} || ||<-3> '''{{{#f00 탈락}}}''' ||<-3> '''결승전 진출''' || ==== 총평 ==== 라운드 원은 실크 햇과 마찬가지로 오시마를 4th, 5th에 배치하고자 3지명 언리를 3rd에 배치했고, 기고는 게임 패닉과 마찬가지로 1지명 히비키를 3rd에 배치했다. 4th 종료 시점에서 무승부가 되는 팽팽한 접전이 벌어졌지만, 5th에서 라운드 원이 조금씩 pt를 벌리면서 마지막 곡에서 공동 3위로 pt를 추가로 벌리며 아슬아슬하게 결승전 티켓을 땄다. 기고의 경우 3지명 츠요시는 1st를 각각 2퍼펙트, 3퍼펙트를 내고 4th에서도 자선곡을 3퍼펙트하는 등 포텐셜을 크게 발휘하였고, 1지명 히비키도 3rd를 완승하고 5th에서 자선곡을 유일하게 PFC하는 등 투톱에 걸맞는 실력을 보여주었다. 다만 2지명 언리미가 상대방의 1지명, 2지명에게 밀려서 크게 득점을 하지 못한 것이 패인으로 작용했다. 이번 경기 승리로 오시마는 10th KAC 준우승의 복수를 성공시켰고, 히비키-카나메 형제의 2차 내전은 히비키의 탈락으로 무산되었다. == 결승전 == ||<-2><#000> '''{{{#fff Group A 최종 결과}}}''' || || 1위 || [[파일:silkhat_cut.png|width=45]] || || 2위 || [[GiGO/e스포츠|[[파일:gigo_cut.png|width=65]]]] || || 3위 || [[GAME PANIC/e스포츠|[[파일:game_panic_cut.png|width=45]]]] || || 4위 || [[파일:taito_station_tradz_cut.png|width=65]] || ||<-2><#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word-break: keep-all" {{{-2 {{{#adf,#2b5797 파란색}}}: 결승 진출[BR]{{{#fB8,#850 주황색}}}: SF 탈락 | {{{#fbb,#800 빨간색}}}: QF 탈락}}}}}} || ||<-2><#000> '''{{{#fff Group B 최종 결과}}}''' || || 1위 || [[ROUND1/e스포츠|[[파일:logo_round-1.png|width=65]]]] || || 2위 || [[LEISURE LAND/e스포츠|[[파일:leisure_land_cut.png|width=65]]]] || || 3위 || [[APINA VRAMeS|[[파일:apina_vrames_cut.png|width=65]]]] || || 4위 || [[SUPERNOVA Tohoku|[[파일:supernova_tohoku_cut.png|width=65]]]] || ||<-2><#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word-break: keep-all" {{{-2 {{{#adf,#2b5797 파란색}}}: 결승 진출[BR]{{{#fB8,#850 주황색}}}: SF 탈락 | {{{#fbb,#800 빨간색}}}: QF 탈락}}}}}} || === 테마 === ||<-5> {{{+1 {{{#fff '''결승전'''}}}}}} || ||<-5>{{{#!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bpl2_ddr_final.jpg|width=100%]]}}} || ||<-2> [[파일:silkhat.png|width=50%]] || '''VS''' ||<-2> [[파일:logo_round-1.png|width=50%]] || ||<-2> {{{#fff '''SILK HAT'''}}} || '''팀명''' ||<-2> {{{#fff '''ROUND1'''}}} || ||<-5> '''세트별 테마''' || || '''1st Match''' || '''2nd Match''' || '''3rd Match''' || '''4th Match''' || '''5th Match''' || || '''{{{#silver,#white WHITE}}}[br]{{{#orange TRICKY}}}''' || '''{{{#gold GOLD}}}[br]{{{#fuchsia STANDARD}}}''' || '''{{{#black,#gray CLASSIC}}}[br]{{{#fuchsia STANDARD}}}''' || '''{{{#silver,#white WHITE}}}[br]{{{#fuchsia STANDARD}}}''' || '''{{{#black,#gray CLASSIC}}}[br]{{{#orange TRICKY}}}''' || >「BEMANI PRO LEAGUE SEASON 2 - DanceDanceRevolution」 초대 챔피언을 가리는 싸움이 드디어 시작된다. 게임 패닉을 꺾고 창단 최초의 결승전을 밟아 첫 우승까지 노리는 실크 햇, BPL 최초의 2관왕이라는 대업을 노리는 라운드 원의 대결이 성사되었다. 세미파이널과 같은 날 진행하는 점 때문에 세미파이널 테마 및 주목 포인트 공개와 함께 결승전의 테마와 주목 포인트도 같이 올렸다. 일단 DDR 종목에서 전체 순위를 취급하진 않다보니 누가 이기든 레귤러 스테이지에서 1위를 거둔 팀이 우승을 못하는 징크스는 깨지게 되었다. ~~다만 둘 다 1위라 1등이 준우승을 하는 징크스는 계속 유지되게 되었다.~~ [* 굳이 레귤러 스테이지 종합 순위를 매기자면 실크 햇이 1위, 라운드 원이 2위가 된다.] ==== 경기 진행 ==== ||<-6> '''출전 로스터''' || || '''팀''' || '''1st Match[br]{{{-3 {{{#white WHITE}}}, {{{#orange TRICKY}}}}}}''' || '''2nd Match[br]{{{-3 {{{#gold GOLD}}}, {{{#fuchsia STANDARD}}}}}}''' || '''3rd Match[br]{{{-3 {{{#black CLASSIC}}}, {{{#fuchsia STANDARD}}}}}}''' || '''4th Match[br]{{{-3 {{{#white WHITE}}}, {{{#fuchsia STANDARD}}}}}}''' || '''5th Match[br]{{{-3 {{{#black CLASSIC}}}, {{{#orange TRICKY}}}}}}''' || || '''SILK HAT''' || '''GINXYASU''' || '''ABETAKU''' || '''KANAME''' || '''GINXYASU[br]ABETAKU''' || '''KANAME[br]ABETAKU''' || || '''ROUND1''' || '''ZERO.''' || '''O4MA.''' || '''UN-RE''' || '''O4MA.[br]ZERO.''' || '''O4MA.[br]ZERO.''' || ||<-7> || ||<-3> '''GINXYASU''' || {{{#fff '''1st Match: WHITE, TRICKY'''}}} ||<-3> '''ZERO.''' || || '''점수''' ||<-2>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437^^GFC^^ || 패 || 0 || [[Cytokinesis|{{{#a0a0a0 Cytokinesis}}}]][br]{{{-2 EXPERT LV.14}}} || '''1''' || '''승''' || '''1449'''^^GFC^^ || || 1315 || 패 || 0 || [[Top The Charts|{{{#d80c18 Top The Charts}}}]][br]{{{-2 CHALLENGE LV.14}}} || '''2''' || '''승''' || '''1328'''^^PFC^^ || ||<-7> || ||<-3> '''ABETAKU''' || {{{#fff '''2nd Match: GOLD, STANDARD'''}}} ||<-3> {{{#FFF '''O4MA.'''}}}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726 || 패 || 0 || [[toy boxer|{{{#a0a0a0 toy boxer}}}]][br]{{{-2 EXPERT LV.16}}} || '''4''' || '''승''' || '''1730''' || || 1903^^GFC^^ || 패 || 0 || [[斑咲花|{{{#d80c18 斑咲花}}}]][br]{{{-2 EXPERT LV.16}}} || '''6''' || '''승''' || '''1923'''^^PFC^^ || ||<-7> || ||<-3> '''KANAME''' || {{{#fff '''3rd Match: CLASSIC, STANDARD'''}}} ||<-3> {{{#FFF '''UN-RE'''}}}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2267''' || '''승''' || '''2''' || [[888(DanceDanceRevolution)|{{{#a0a0a0 888}}}]][br]{{{-2 CHALLENGE LV.18}}} || 6 || 패 || 2167 || || '''2051''' || '''승''' || '''4''' || [[PARANOiA Revolution|{{{#d80c18 PARANOiA Revolution}}}]][br]{{{-2 EXPERT LV.18}}} || 6 || 패 || 1980 || ||<-7> || ||<-3> '''ABETAKU^^↑^^''' ||<|2> {{{#fff '''4th Match: WHITE, STANDARD'''}}} ||<-3> {{{#FFF '''O4MA.^^↑^^'''}}} || ||<-3> '''GINXYASU,,↓,,''' ||<-3> {{{#FFF '''ZERO.,,↓,,'''}}}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656''' || '''3위'''^^PFC^^ ||<|2> '''5''' ||<|2> [[Synergy For Angels|{{{#a0a0a0 Synergy For Angels}}}]][br]{{{-2 EXPERT LV.14}}} ||<|2> '''11''' || '''1위''' || '''1663'''^^PFC^^ || || 1653 || 4위 || '''2위''' || '''1659'''^^PFC^^ || || 1671 || 4위 ||<|2> '''6''' ||<|2> [[Engraved Mark|{{{#d80c18 Engraved Mark}}}]][br]{{{-2 EXPERT LV.15}}} ||<|2> '''16''' || '''1위''' || '''1691'''^^PFC^^ || || '''1685''' || '''3위''' || '''2위''' || '''1690'''^^PFC^^ || ||<-7> || ||<-3> '''KANAME^^↑^^''' ||<|2> {{{#fff '''5th Match: CLASSIC, TRICKY'''}}} ||<-3> {{{#FFF '''O4MA.^^↑^^'''}}} || ||<-3> '''ABETAKU,,↓,,''' ||<-3> {{{#FFF '''ZERO.,,↓,,'''}}}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958''' || '''2위''' ||<|2> '''9''' ||<|2> [[Valkyrie dimension|{{{#a0a0a0 Valkyrie dimension}}}]][br]{{{-2 EXPERT LV.18}}} ||<|2> '''22''' || '''1위''' || '''1965'''^^GFC^^ || || 1882 || 4위 || '''3위''' || '''1936''' || || '''1721'''^^PFC^^ || '''2위''' ||<|2> '''12''' ||<|2> [[Fascination MAXX|{{{#d80c18 Fascination ~eternal love mix~}}}]][br]{{{-2 CHALLENGE LV.18}}} ||<|2> '''28''' || '''1위''' || '''1730''' || || 1644 || 4위 || '''3위''' || '''1708''' || ||<-7> || ||<-3> '''SILK HAT''' ||<|2> {{{#fff '''최종 결과'''}}} ||<-3> {{{#fff '''ROUND1'''}}} || ||<-3> 준우승 ||<-3> '''우승''' || ==== 총평 ==== 실크 햇은 전략을 바꿔 카나메를 3rd에 배치한 반면, 라운드 원은 세미파이널과 똑같이 3지명 언리를 3rd에 위치하고 오시마와 제로 투트랙 체제를 선택하였다. 1st와 2nd에서 실크 햇이 라운드 원에게 밀리며 6pt를 헌납하였고, 3rd에서 카나메가 세트승을 따내 게임을 4대 6으로 수습했지만 4th에서 긴야스와 아베타쿠가 대차게 깨지며 6대 16이 되어버렸고 결국 5th 첫 곡에서도 라운드 원이 pt를 더 벌어가면서 마지막 곡 직전에 승패가 확정지어졌다. 선수들의 폼도 폼이지만 라운드 원은 전략 면에서도 실크 햇을 압살했는데, 한명이 3rd~5th를 3연속으로 뛰지 못한다는 제한을 역이용하여, 3rd에는 약간 포인트를 손해 보더라도 경기력이 낮은 3지명을 배치하고, 1지명과 2지명 두 명을 4th와 5th에 배치해 태그 매치에서 우세를 노리는 전략을 짰다. 자칫하면 선수의 체력에 부담이 될 수 있었지만 오시마와 제로 둘 다 상당한 DDR 짬과 폼을 자랑했기에 큰 탈 없이 전략을 성공시킬 수 있었다. 반대로 실크 햇은 잠깐 다른 바람이 불었는지, 아니면 선수 체력 분배에 부담을 느꼈는진 몰라도 3지명 아베타쿠를 제일 많이 보내는 허술함을 보였고, 결국 벌어지는 pt차를 감당하지 못한 채 준우승이라는 고배를 마셔야 했다. 라운드 원이 우승하면서 BPL 사상 첫 2관왕이 탄생했고, 시즌 2의 세 종목 모두 붉은 색 팀이 우승하는 결과가 나오게 되었다. 또한 이 경기에서 BPL 경기 내 최다 획득 pt[* 종전에는 BPL 2021 결승전(20pt)→BPL S2 DDR 세미파이널 1경기(23pt)]와 pt차[* 종전에는 BPL S2 사볼 세미파이널 2경기(13pt)]를 모두 경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