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BEMANI]][[분류:BEMANI PRO LEAGUE]] [include(틀:BPL 역대 대회)] ||<-5> {{{#fff '''역대 [[BEMANI PRO LEAGUE|{{{#FFF BEMANI PRO LEAGUE}}}]] 일람'''}}} || || [[BEMANI PRO LEAGUE 2021|BEMANI PRO LEAGUE 2021]] || → || '''BEMANI PRO LEAGUE SEASON 2'''[br][[BEMANI PRO LEAGUE SEASON 2/beatmania IIDX|{{{-2 IIDX}}}]] [[BEMANI PRO LEAGUE SEASON 2/SOUND VOLTEX|{{{-2 SDVX}}}]] [[BEMANI PRO LEAGUE SEASON 2/DanceDanceRevolution|{{{-2 DDR}}}]][br]{{{-2 '''JAEPO 2023'''}}} || → || [[BEMANI PRO LEAGUE SEASON 3]][br][[BEMANI PRO LEAGUE SEASON 3/beatmania IIDX|{{{-2 IIDX}}}]] [[BEMANI PRO LEAGUE SEASON 3/SOUND VOLTEX|{{{-2 SDVX}}}]] || [목차] [clearfix] == 개요 == [[JAEPO]] 2023 [[코나미]] 부스에서 개최되는 [[BEMANI PRO LEAGUE SEASON 2]] 관련 이벤트에 대한 문서로, 내용이 많아져 별도의 문서로 분리 서술하였다. == 일정 == * 2023년 2월 10일 * 14:30 - BEMANI PRO LEAGUE ZERO DanceDanceRevolution 드래프트 회의 * 2023년 2월 11일 * 10:00 - BEMANI PRO LEAGUE ZERO DanceDanceRevolution 레귤러 스테이지 * 12:30 - esports 스페셜 스테이지 * 13:15 - BEMANI PRO LEAGUE SEASON 2 beatmania IIDX 스페셜 매치 * 14:30 - BEMANI PRO LEAGUE ZERO DanceDanceRevolution 결승전 == 관련 사이트 == [[https://www.konami.com/amusement/event/jaepo/stage.html|JAEPO 코나미 특설 사이트]] [[https://p.eagate.573.jp/game/bpl/season2/ddr/zero/index.html|BEMANI PRO LEAGUE ZERO DanceDanceRevolution 이벤트 페이지]] == 이벤트 상세 == === beatmania IIDX: BEMANI PRO LEAGUE SEASON 2 beatmania IIDX SPECIAL MATCH === 2023년 2월 11일 JAEPO 코나미 부스에서 우승팀 ROUND1과 나머지 선수들 중 일부로 구성된 특별 팀 간의 스페셜 매치를 진행한다. 특별 팀은 2023년 1월 12일 시작되어 동월 19일 종료된, 전체 1~4지명별 제일 인상깊은 선수와 그 이유를 질문하는 앙케이트에서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선수들로 이루어졌다. ||<-5> [[파일:bpl_logo_emblem.png|width=32]] '''{{{#fff BEMANI PRO LEAGUE SEASON 2 IIDX SPECIAL MATCH 출연진}}}''' || || '''사회자''' ||<-4> [[모리 잇쵸]] || || '''레지던트 DJ''' ||<-4> [[사이토 코스케]] || || '''어시스턴트 MC''' ||<-4> [[사에키 이오리]] || || '''해설''' ||<-4> [[U76NER|[[파일:leisure_land.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1D84; font-size: 1.0em;" {{{#FFF '''U76NER'''}}}}}}]] || || '''선수진[BR]([[파일:logo_round-1.png|width=50]])''' ||<-4> [[U*TAKA|[[파일:logo_round-1.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0C18; font-size: 1.0em;" {{{#FFF '''U*TAKA'''}}}}}}]] · [[KUREI|[[파일:logo_round-1.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0C18; font-size: 1.0em;" {{{#FFF '''KUREI'''}}}}}}]] · [[파일:logo_round-1.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0C18; font-size: 1.0em;" {{{#FFF '''I6VV'''}}}}}} · [[파일:logo_round-1.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0C18; font-size: 1.0em;" {{{#FFF '''MAKO-G'''}}}}}} || || '''선수진[BR](특별 팀)''' ||<-4> [[CORIVE|[[파일:gigo_cut.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dbf7; font-size: 1.0em;" {{{#006CDC '''CORIVE'''}}}}}}]] · [[EXIT(프로게이머)|[[파일:silkhat.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7C8C8; font-size: 1.0em;" {{{#000 '''EXIT'''}}}}}}]] · [[TATSU|[[파일:taito_station_tradz_cut.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00 '''TATSU'''}}}}}}]] · [[46(프로게이머)|[[파일:apina_vrames.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7B5; font-size: 1.0em;" {{{#FFF '''46'''}}}}}}]] || 특별 팀 선수진은 2월 8일 공개되었으며, 1지명 선수로 CORIVE, 2지명 선수로 EXIT, 3지명 선수로 TATSU, 그리고 4지명 선수로 46가 선발되었다. 또한, 레져 랜드 소속의 U76NER가 해설로 출연하였다. ==== 경기 진행 ==== 3~4지명 네 명과 1~2지명 네 명끼리 [[beatmania IIDX/ARENA 모드|ARENA 모드]]로 경기를 진행하며, 3~4지명끼리는 10~11레벨, 1~2지명끼리는 11~12레벨의 패턴만 선곡할 수 있다. 점수 옆 윗첨자는 사용한 노트 배열 옵션을 나타낸 것으로, 그 범례는 다음과 같다. || ^^정^^ || 정배치 || || ^^미^^ || 미러 || || 없음 || 랜덤 || || 선곡자 || 곡명 || 난이도 |||| {{{#fff '''MAKO-G'''}}} |||| {{{#fff '''I6VV'''}}} |||| {{{#fff '''46'''}}} |||| {{{#fff '''TATSU'''}}} || || {{{#fff '''MAKO-G'''}}} || [[ナイトフィクション]] || {{{#red ANOTHER 10}}} || 2135 || 1 || 2134^^정^^ || 0 || 2134 || 0 || 2162^^정^^ || 2 || || {{{#fff '''I6VV'''}}} || [[Pout]] || {{{#red ANOTHER 11}}} || 2582 || 0 || 2612^^정^^ || 2 || 2592 || 1 || 2590^^정^^ || 0 || || {{{#fff '''46'''}}} || [[Programmed 시리즈#s-7|Programmed Genom]] || {{{#red ANOTHER 11}}} || 2371 || 0 || 2392 || 0 || 2412 || 2 || 2398 || 1 || || {{{#fff '''TATSU'''}}} || [[POLꞰAMAИIA]] || {{{#red ANOTHER 11}}} || 2913 || 0 || 2948 || 1 || 2943 || 0 || 2959 || 2 || ||<-3> 합계 (포인트) |||| 1 |||| 3 |||| 3 |||| 5 || ||<-3> 순위 |||| 4 |||| 2 |||| 2 |||| 1 || || 선곡자 || 곡명 || 난이도 |||| {{{#fff '''KUREI'''}}} |||| {{{#fff '''U*TAKA'''}}} |||| {{{#fff '''EXIT'''}}} |||| {{{#fff '''CORIVE'''}}} || || {{{#fff '''KUREI'''}}} || [[Meissa]] || {{{#red ANOTHER 12}}} || 2794^^정^^ || 0 || 2851^^정^^ || 2 || 2765 || 0 || 2811 || 1 || || {{{#fff '''U*TAKA'''}}} || [[PLASMA SOUL NIGHT feat. Nana Takahashi / 709sec.]] || {{{#red ANOTHER 12}}} || 4434^^미^^ || 1 || 4496^^미^^ || 2 || 4377 || 0 || 4336 || 0 || || {{{#fff '''EXIT'''}}} || [[Peaktime Booster]] || {{{#red ANOTHER 12}}} || 3150 || 0 || 3275 || 2 || 3202^^미^^ || 0 || 3203^^미^^ || 1 || || {{{#fff '''CORIVE'''}}} || [[Don't believe the hype]] || {{{#red ANOTHER 12}}} || 3162^^미^^ || 0 || 3287^^미^^ || 2 || 3225^^정^^ || 0 || 3262^^미^^ || 1 || ||<-3> 합계 (포인트) |||| 1 |||| 8 |||| 0 |||| 3 || ||<-3> 순위 |||| 3 |||| 1 |||| 4 |||| 2 || ==== 총평 ==== 총 획득 포인트 13대 11로 라운드 원의 승리가 되었다. 모든 경기가 체급 그대로 경기가 흘렀고, 결과도 체급 순으로 좋은 성적을 거뒀다. 3~4지명 경기에서는 포지션상 준에이스 자리를 자주 넘봤던 타츠가 1위를 거뒀고, 실제 3지명인 이가와와 사실상 3지명인 시로가 공동 2위를 거뒀는데, 시즌 동안 부진이 많았던 이가와가 경기력이 좋아진 모습을 보이며 호평을 받았다. 1~2지명 경기에서는 엑시트와 칼리버가 스크래치곡을 골라 저격을 노렸지만 쿠레이를 한참 따돌리는 데 그치고[* 쿠레이가 시즌 당시에도 스크래치에 약하다는 평을 받았었는데, 이번 이벤트에서도 두 스크래치곡에서 3위인 엑시트에게 수십점 뒤쳐지며 한계를 드러냈다.] 유타카의 1위 독주를 막는 데는 실패하며 역전을 허용해야 했다. 유타카와 제일 근접한 기록이 칼리버가 본인 선곡에서 기록한 25점 차고 나머지는 최소 40점 이상 벌어지는 등 시즌 2에 이어서 유타카의 넘사벽 체급이 다시금 드러났다. 유타카 외 선수들은 유타카와 같은 팀 에이스인 칼리버가 2위를 찍었고, 쿠레이와 엑시트 중 체급이 조금 더 높은 쿠레이가 3위를 차지했다. EXIT는 이후 [[BEMANI PRO LEAGUE SEASON 3]] 불참을 택하면서 이것이 마지막 공식 BPL 이벤트/경기 참전이 되었다. === 사운드 볼텍스: esports 스페셜 스테이지 === 본 이벤트 자체는 BPL과 큰 관계가 없지만, 여기서 사운드 볼텍스 종목 레귤러 스테이지 1, 2위팀의 1지명 선수들의 메가믹스 배틀 실황이 예정되어 있다. 레귤러 스테이지 종료 결과, 1위는 GiGO, 2위는 APINA VRAMeS가 되었다. ||<-4> [[파일:bpl_logo_emblem.png|width=32]] '''{{{#fff esports 스페셜 스테이지 출연진}}}''' || || [[모리 잇쵸]] || 후쿠시마 란제 || [[DJ YOSHITAKA|니시무라 요시타카]]{{{-3 (Virtual)}}} || [[Yuei|우에마츠 유에이]]{{{-3 (Real)}}} || || {{{#fff '''선수진'''}}} ||<-3> [[파일:gigo_cut.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dbf7; font-size: 1.0em;" {{{#006CDC '''--H.R.''''''--'''}}}}}} · [[파일:apina_vrames.png|width=5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7B5; font-size: 1.0em;" {{{#FFF '''YU11'''}}}}}} || ==== 경기 진행 ==== ||<-3> '''--H.R.''''''--''' || {{{#fff '''경기 진행'''}}} ||<-3> '''YU11''' || || '''점수''' || ⭐ || '''스킬LV''' || '''선곡''' || '''스킬LV''' || ⭐ || '''점수''' || || {{{-2 10000000}}} || '''1''' || - || [[Gamerz FestivaL|{{{#006cdc Gamerz FestivaL}}}]][br]{{{-2 MAXIMUM LV.18}}} || - || '''1''' || {{{-2 10000000}}} || || {{{-2 10000000}}} || '''2''' || - || [[Everlasting Message|{{{#0057b5 Everlasting Message}}}]][br]{{{-2 EXHAUST LV.17}}} || - || '''2''' || {{{-2 10000000}}} || || {{{-2 10000000}}} || '''3''' || - || [[Dogeza Stairs|{{{#006cdc Dogeza Stairs}}}]][br]{{{-2 MAXIMUM LV.18}}} || - || '''3''' || {{{-2 10000000}}} || || {{{-2 9959266}}} || 3 || - || [[Xronièr|{{{#0057b5 Xronièr}}}]][br]{{{-2 EXHAUST LV.18}}} || 2 || '''8''' || {{{-2 9993211}}} || ||<-7>|| || {{{-2 10000000}}} || '''4''' || - || [[continew|{{{#006cdc continew}}}]][br]{{{-2 EXHAUST LV.17}}} || - || '''9''' || {{{-2 10000000}}} || || {{{-2 10000000}}} || '''5''' || - || [[HE4VEN 〜天国へようこそ〜|{{{#0057b5 HE4VEN 〜天国へようこそ〜}}}]][br]{{{-2 EXHAUST LV.17}}} || - || '''10''' || {{{-2 10000000}}} || || {{{-2 9994432}}} || '''13''' || 3 || [[Gamerz FestivaL|{{{#006cdc Gamerz FestivaL}}}]][br]{{{-2 MAXIMUM LV.18}}} || - || 10 || {{{-2 9988864}}} || || {{{-2 9939516}}} || 13 || - || [[LastΩmegA|{{{#0057b5 LastΩmegA}}}]][br]{{{-2 MAXIMUM LV.18}}} || 2 || '''15''' || {{{-2 10000000}}} || ||<-7>|| || {{{-2 10000000}}} || '''14''' || - || [[Dyscontrolled Galaxy|{{{#006cdc Dyscontrolled Galaxy}}}]][br]{{{-2 EXHAUST LV.17}}} || - || '''16''' || {{{-2 10000000}}} || || {{{-2 10000000}}} || '''15''' || - || [[おにいちゃんハイテック|{{{#0057b5 おにいちゃんハイテック}}}]][br]{{{-2 MAXIMUM LV.17}}} || - || '''17''' || {{{-2 10000000}}} || || {{{-2 9984366}}} || 15 || 3 || [[ミュージックプレイヤー|{{{#006cdc ミュージックプレイヤー}}}]][br]{{{-2 MAXIMUM LV.18}}} || - || '''18''' || {{{-2 9989577}}} || || {{{-2 9982773}}} || 15 || 1 || [[おにいちゃんハイテック|{{{#0057b5 おにいちゃんハイテック}}}]][br]{{{-2 EXHAUST LV.17}}} || 2 || '''23''' || {{{-2 10000000}}} || ||<-7>|| || ⭐ ||<-2> '''결과''' ||<|2> '''최종 결과''' ||<-2> '''결과''' || ⭐ || || 15 ||<-2> 패 ||<-2> '''승''' || '''23''' || ==== 총평 ==== 총 획득 별 개수 15 대 23으로 YU11의 승리가 되었다. 두 선수 모두 자신이 스킬을 쓴 턴에서는 승리를 거두고 서로 스킬을 쓰지 않은 턴에는 10000000점을 주고 받으며 동시에 별을 가져가는 엄청난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치열하게 경기가 흘러갔다. 그러나 11턴, 호우라이가 모아온 3레벨 스킬을 유이치가 카운터 치는데에 성공했고 이 순간 별 개수 차이가 3개로 벌어지면서 그대로 유이치의 승리가 확정되었다. 여담으로, 경기가 진행된 당일이 유이치의 생일이었는데, 호우라이가 패배 후 인터뷰에서 이번에 진 것은 생일 선물로 승리를 준 것이라고 드립을 쳤다. === DanceDanceRevolution: BEMANI PRO LEAGUE ZERO DanceDanceRevolution === BEMANI PRO LEAGUE SEASON 2 DanceDanceRevolution 종목 개최 기념으로 진행되는 프리퀄 대회 이벤트이다. ||<-4> [[파일:bpl_logo_emblem.png|width=32]] '''{{{#fff BEMANI PRO LEAGUE ZERO DanceDanceRevolution 출연진}}}''' || || '''사회자''' ||<-3> Maxwell Powers || || '''레지던트 DJ''' ||<-3> [[사이토 코스케]] || || '''MC''' ||<-3> 아라키 미스즈 || || '''해설''' ||<-3> gahou || || '''실황''' ||<-3> Kawaiiconic Ali{{{-3 (드래프트 불참)}}} || || '''팀 감독''' || [[나카하라 류타로]][br]{{{-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287c3; font-size: 1.0em;" {{{#FFF '''TEAM BLUE'''}}}}}}}}} || [[타가와 요시히로]][br]{{{-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f464c; font-size: 1.0em;" {{{#FFF '''TEAM RED'''}}}}}}}}} || [[이시카와 타카유키]][br]{{{-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ffff; font-size: 1.0em;" {{{#00aedf '''TEAM WHITE'''}}}}}}}}} || 사회 및 실황으로 일본에 거주중인 미국인 두명을 섭외하여 영어로 중계 및 실황을 진행하는 등 영미권 팬을 의식한 행보를 이어갔다. ==== 이벤트 진행 ==== * 드래프트 회의 * 총 3개의 Round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 Round마다 세 감독은 영입할 선수 한 명씩 지명한다. * 만약 선수를 단독으로 지명한 경우, 지명한 선수의 영입이 확정된다. 만약 지명이 중복되었을 경우, 가위바위보를 진행하여 승리한 팀이 지명한 선수를 영입하고 패배한 팀은 새로운 선수를 지명한다. * 매 Round마다 모든 팀이 선수 한 명씩 영입할 때 까지 위 과정을 반복한다. * 이런 식으로 마지막 3Round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며 팀마다 선수 세 명씩을 영입한다. * 경기 진행은 레귤러 스테이지와 결승전으로 진행된다. 레귤러 스테이지는 세 팀 간의 '''싱글 라운드 로빈'''(리그전 1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레귤러 스테이지 성적이 제일 좋은 두 팀이 결승전으로 진출한다[* [[BPL 2021]] 포스트시즌과 동일한 구성.]. 따라서 총 경기 수는 4경기이다. * 경기 규칙은 [[BEMANI PRO LEAGUE SEASON 2/DanceDanceRevolution#s-3.3.1|BPL S2 DDR 종목 레귤러 스테이지]]와 규칙이 같으나, 아래와 같은 차이점이 있다. * 선수별 코스트 제한이 없으나, 스트래티지 카드는 사용할 수 없다. * 한 번 선곡한 패턴은 '''결승전까지''' 재선곡할 수 없다. * 테마는 버전 3종류 중 하나와 패턴 성향 2종류 중 하나로 총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 버전 테마 || '''CLASSIC''' || [[DanceDanceRevolution(1998)|DDR(1st)]]부터 [[DanceDanceRevolution/역사#2.13|DDR X3 vs 2ndMIX]]까지의 수록곡 || || {{{#silver,#white '''WHITE'''}}} || [[DanceDanceRevolution(2013)|DDR(2013)]]부터 [[DDR A]]까지의 수록곡 || || {{{#gold '''GOLD'''}}} || [[DDR A20]]부터 [[DDR A3]]까지의 수록곡 || * 패턴 성향 테마 || '''STANDARD''' || 같은 난이도대에서 비교적 평이한 성향의 패턴 || || '''{{{#magenta TRICKY}}}''' || BPM 변화와 같은 강한 특징이 있는 패턴 || * 레귤러 스테이지와 결승전 모두 같은 규칙을 사용한다. * 레귤러 스테이지에서 획득한 승점이 제일 많은 두 팀이 결승전에 오른다. 승점 동점팀의 우열 판정은 BPL S2 DDR 종목 레귤러 스테이지와 같다. ==== 드래프트 회의 ==== ||<-3> '''{{{#white BEMANI PRO LEAGUE ZERO DanceDanceRevolution[br] 드래프트 선수 후보}}}''' || || UN-LIM || [[O4MA.]] || SHIZU || || NAYU || HIBIKI || PO || || [[HO4-KETI]] || MSKNP || YOSHIMIZ || 드래프트 참석자는 9명으로, 탈락 및 대기 선수 없이 드래프트 참석자 전원이 팀의 지명을 받는다. 참석자 중 3명(SHIZU, PO, MSKNP)는 여성 후보로, 사볼 종목과 비슷하게 세 명 모두 DDR 여성 부문 결선자들이다. ||<-3> '''{{{#white 드래프트 진행}}}''' || ||<#3287c3> '''{{{#fff TEAM[br]BLUE}}}''' ||<#df464c> '''{{{#fff TEAM[br]RED}}}''' ||<#d3ffff> {{{#00aedf '''TEAM[br]WHITE'''}}} || ||<-3> '''1Round''' || || --O4MA.-- || --O4MA.-- || '''O4MA.''' || || '''HIBIKI''' || '''HO4-KETI''' || - || ||<-3> '''2Round''' || || '''NAYU''' || --NAYU-- || --NAYU-- || || - || ~~UN-LIM~~ || '''UN-LIM''' || || - || '''YOSHIMIZ''' || - || ||<-3> '''3Round''' || || '''PO''' || '''MSKNP''' || '''SHIZU''' || ||<-3> {{{-2 {{{#FF0,#650 '''노란색'''}}}{{{#white : 영입 성공 |}}} ~~취소선~~{{{#white : 영입 실패}}}}}} || ==== '''드래프트 결과''' ==== * {{{#3287c3 '''TEAM BLUE'''}}} * 1Round: HIBIKI(히비키) - '''[[와카야마현|Wakayama]] EVOLVED''' 10th KAC 프리 부문 우승자. 현재 아래의 O4MA.와 함께 일본 DDR 유저들 중 투탑으로 평가받고 있는 탑랭커다. * 2Round: NAYU(나유) - '''Marveholic''' 10th KAC 본선 라운드에도 진출한 적이 있으며, 17레벨 판정력으로 유명한 유저이다. * 3Round: PO(포) - '''운동해서 훌륭하다''' 10th KAC 여성 부문의 우승자. * {{{#df464c '''TEAM RED'''}}} * 1Round: HO4-KETI(호시케치) - '''DDR에서 26kg 감량 후 7kg 리바운드 온 남자''' 유비트 및 리플렉 비트 탑랭커로 유명했지만, 2016년을 기점으로 DDR에서도 활동을 시작한 탑랭커. 10th KAC 본선 라운드에도 진출한 적이 있다. * 2Round: YOSHIMIZ(요시미즈) - '''홍련의 엔터테이너''' * 3Round: MSKNP(마스켐프) - '''하이스피드가 느린 사람''' 10th KAC 여성 부문의 준우승자. * {{{#00aedf,#d3ffff '''TEAM WHITE'''}}} * 1Round: O4MA.(오시마) - '''THE DDR''' KAC DDR 부문 초대 우승자 BROSONI.와 동일인물로, 드래프트 후보들 중 결승 입상이 가장 많은 유저이며 상기한 HIBIKI와 함께 일본 DDR 투탑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에 걸맞게 '''1Round에서 모든 팀의 지명'''을 받는 위엄을 보여주었다. * 2Round: UN-LIM(언림) - '''한계를 초과하기 위해!''' * 3Round: SHIZU(시즈) - '''서쪽의 호각 프린세스''' 10th KAC 여성 부문 결선 라운드 출전 선수. * '''기타''' * 예상대로 여성 후보들은 전원 3지명에 호명되었다. * 1~2Round에서 세 팀이 전부 선수 한 명을 공동 지명하는 상황이 나왔다. 반면 3Round는 남은 선수가 3명뿐인데도 유일하게 중복지명 없이 한방에 Round가 끝났다.[* 선수들이 이름 순서대로 앉아 대기하고 팀 영입이 확정된 선수는 유니폼을 입는 식으로 진행했는데, 공교롭게도 바로 아래에 나와있듯 선수 영입이 이름순으로 팀이 나뉘는 모양새가 되다보니 감독 세 명이 전부 똑같은 생각을 한 것으로 보인다. 만약 이런 상황이 없었다면 경기 결과에도 나왔듯이 여성 후보들끼리도 체급 차가 났고, 선수도 딱 세 명 뿐이었기 때문에 틀림없이 중복입찰이 생겼을 것이다.] * 후보들을 오십음도 순으로 정렬했을 때 맨 앞에 오는 세 명이 TEAM WHITE, 그 다음 세 명이 TEAM BLUE, 마지막 세 명이 TEAM RED에 들어갔다. * TEAM RED의 감독 DJ TOTTO는 모든 추첨입찰을 패하는 불운을 겪었다(...). ==== 경기 진행 ==== 점수 옆에 붙은 위첨자들의 범례는 아래와 같다. || ^^PFC^^ || PERFECT FULL COMBO || || ^^GFC^^ || GREAT FULL COMBO || || ^^FC^^ || FULL COMBO || ||<-7> {{{+1 {{{#fff '''레귤러 스테이지 1경기'''}}}}}} || ||<-3> '''PO''' || {{{#fff '''1st Match: CLASSIC, STANDARD'''}}} ||<-3> '''MSKNP''' || || '''점수''' ||<-2>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434'''^^PFC^^ || '''승''' || '''1''' || [[Tribe|{{{#3287c3 Tribe}}}]][br]{{{-2 CHALLENGE LV.13}}} || 0 || 패 || 1397 || || '''1138'''^^PFC^^ || '''승''' || '''2''' || [[xenon|{{{#df464c xenon}}}]][br]{{{-2 EXPERT LV.13}}} || 0 || 패 || 1127^^GFC^^ || ||<-7> || ||<-3> '''NAYU''' || {{{#fff '''2nd Match: WHITE, TRICKY'''}}} ||<-3> {{{#FFF '''HO4-KETI'''}}}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750''' || '''승''' || '''4''' || [[Ishtar|{{{#3287c3 Ishtar}}}]][br]{{{-2 CHALLENGE LV.16}}} || 0 || 패 || 1735^^GFC^^ || || 1846 || 패 || 4 || [[Reach The Sky, Without you|{{{#df464c Reach The Sky, Without you}}}]][br]{{{-2 EXPERT LV.17}}} || '''2''' || '''승''' || '''1855'''^^GFC^^ || ||<-7> || ||<-3> '''NAYU^^↑^^''' ||<|2> {{{#fff '''3rd Match: GOLD, STANDARD'''}}} ||<-3> {{{#FFF '''HO4-KETI^^↑^^'''}}} || ||<-3> '''HIBIKI,,↓,,''' ||<-3> {{{#FFF '''YOSHIMIZ,,↓,,'''}}}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975''' || '''1위''' ||<|2> '''7''' ||<|2> [[Jucunda Memoria|{{{#3287c3 Jucunda Memoria}}}]][br]{{{-2 EXPERT LV.17}}} ||<|2> '''5''' || '''2위''' || '''1973''' || || 1873 || 4위 || '''3위''' || '''1932''' || || '''1558''' || '''1위''' ||<|2> '''10''' ||<|2> [[Bang Pad(Werk Mix)|{{{#df464c Bang Pad(Werk Mix)}}}]][br]{{{-2 EXPERT LV.13}}} ||<|2> '''8''' || '''2위''' || '''1546''' || || 1522 || 4위 || '''3위''' || '''1541''' || ||<-7> || ||<-3> '''TEAM BLUE''' ||<|2> {{{#fff '''최종 결과'''}}} ||<-3> {{{#fff '''TEAM RED'''}}} || ||<-3> '''1승[br]승점 3점''' ||<-3> 1패[br]승점 0점 || '''왼쪽 기기 2P 자리가 발판 인식 불량'''이 발생한 바람에 그 자리에서 플레이한 히비키가 두 곡 모두 매우 큰 점수차로 뒤쳐지며 4위를 찍었다. 하지만 1st에 나간 포가 세트승을 거두고, 이어서 나유가 분투를 벌이며 pt를 많이 확보한 덕분에 블루 팀이 1승을 가져가게 되었다. ---- ||<-7> {{{+1 {{{#fff '''레귤러 스테이지 2경기'''}}}}}} || ||<-3> '''MSKNP''' || {{{#fff '''1st Match: GOLD, TRICKY'''}}} ||<-3> '''SHIZU''' || || '''점수''' ||<-2>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211'''^^PFC^^ || '''승''' || '''1''' || [[Get Your Wish|{{{#df464c Get Your Wish}}}]][br]{{{-2 EXPERT LV.14}}} || 0 || 패 || 1197^^GFC^^ || || '''1205''' || '''승''' || '''2''' || [[Get Your Wish|{{{#00aedf Get Your Wish}}}]][br]{{{-2 EXPERT LV.14}}} || 0 || 패 || 1172 || ||<-7> || ||<-3> '''YOSHIMIZ''' || {{{#fff '''2nd Match: CLASSIC, STANDARD'''}}} ||<-3> {{{#FFF '''O4MA.'''}}}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198 || 패 || 2 || [[TRIP MACHINE PhoeniX|{{{#df464c TRIP MACHINE PhoeniX}}}]][br]{{{-2 EXPERT LV.15}}} || '''2''' || '''승''' || '''1200'''^^PFC^^ || || 1828 || 패 || 2 || [[Anti-Matter|{{{#00aedf Anti-Matter}}}]][br]{{{-2 EXPERT LV.17}}} || '''4''' || '''승''' || '''1848''' || ||<-7> || ||<-3> '''HO4-KETI^^↑^^''' ||<|2> {{{#fff '''3rd Match: WHITE, STANDARD'''}}} ||<-3> {{{#FFF '''UN-LIM^^↑^^'''}}} || ||<-3> '''YOSHIMIZ,,↓,,''' ||<-3> {{{#FFF '''O4MA.,,↓,,'''}}}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336'''^^PFC^^ || '''3위''' ||<|2> '''5''' ||<|2> [[Sakura Mirage|{{{#df464c Sakura Mirage}}}]][br]{{{-2 EXPERT LV.14}}} ||<|2> '''7''' || 4위 || 1329^^PFC^^ || || '''1337''' || '''2위''' || '''1위''' || '''1341'''^^PFC^^ || || '''2269'''^^PFC^^ || '''2위''' ||<|2> '''8''' ||<|2> [[恋する☆宇宙戦争っ!!|{{{#00aedf 恋する☆宇宙戦争っ!!}}}]][br]{{{-2 CHALLENGE LV.17}}} ||<|2> '''10''' || 4위 || 2247 || || '''2249''' || '''3위''' || '''1위''' || '''2273'''^^PFC^^ || ||<-7> || ||<-3> '''TEAM RED''' ||<|2> {{{#fff '''최종 결과'''}}} ||<-3> {{{#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TEAM WHITE'''}}}}}} || ||<-3> 2패[br]승점 0점 ||<-3> '''1승'''[br]'''승점 3점''' || 오시마가 모든 경기에서 승리 및 1위를 찍는 하드 캐리를 선보이며 팀 화이트의 1승을 만들었다. 특히 2nd Match에서 BPL 모드가 불안정한 탓인지 Anti-Matter에서 오시마 쪽 기체의 '''싱크가 밀리는 버그'''가 발생했는데, 그럼에도 요시미즈를 누르고 승리하는 경이로운 체급차를 보여주기도 했다(...). 하지만 나머지 두 선수인 언림과 시즈가 pt를 획득하지 못한 것이 옥의 티. 레드 팀은 순식간에 2패를 누적하여 탈락이 확정되었고, 졸지에 이어지는 레귤러 스테이지 3경기는 1위 결정전이 되었다. 그 외에 특이사항으로 1st Match에서 선곡이 중복되는 상황이 나왔다. 이 당시 서로의 선곡 후보군에서조차 17000엔짜리 DDR GP용 장판을 사야만 플레이할 수 있는 본 곡과, 댄스 어라운드와의 연동 이벤트로만 해금할 수 있는 Acid, Tribal & Dance로 3곡중 2곡이 겹쳤다. ---- ||<-7> {{{+1 {{{#fff '''레귤러 스테이지 3경기'''}}}}}} || ||<-3> '''SHIZU''' || {{{#fff '''1st Match: WHITE, TRICKY'''}}} ||<-3> '''PO''' || || '''점수''' ||<-2>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263 || 패 || 0 || [[Elysium(DDR)|{{{#00AEDF Elysium}}}]][br]{{{-2 CHALLENGE LV.13}}} || '''1''' || '''승''' || '''1272'''^^GFC^^ || || 1344^^GFC^^ || 패 || 0 || [[StrayedCatz|{{{#3287C3 StrayedCatz}}}]][br]{{{-2 EXPERT LV.13}}} || '''2''' || '''승''' || '''1351''' || ||<-7> || ||<-3> '''O4MA.''' || {{{#fff '''2nd Match: GOLD, STANDARD'''}}} ||<-3> {{{#FFF '''NAYU'''}}}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998''' || '''승''' || '''2''' || [[Triple Cross|{{{#00AEDF Triple Cross}}}]][br]{{{-2 EXPERT LV.17}}} || 2 || 패 || 1944 || || '''2097'''^^GFC^^ || '''승''' || '''4''' || [[We're so Happy|{{{#3287C3 We're so Happy}}}]][br]{{{-2 EXPERT LV.16}}} || 2 || 패 || 2092^^PFC^^ || ||<-7> || ||<-3> '''O4MA.^^↑^^''' ||<|2> {{{#fff '''3rd Match: CLASSIC, TRICKY'''}}} ||<-3> {{{#FFF '''HIBIKI^^↑^^'''}}} || ||<-3> '''UN-LIM,,↓,,''' ||<-3> {{{#FFF '''NAYU,,↓,,'''}}}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511''' || '''2위''' ||<|2> '''6''' ||<|2> [[Pluto The First|{{{#00AEDF Pluto The First}}}]][br]{{{-2 EXPERT LV.17}}} ||<|2> '''6''' || '''1위''' || '''1514''' || || 1434 || 4위 || '''3위''' || '''1461''' || || '''1654'''^^PFC^^ || '''2위''' ||<|2> '''8''' ||<|2> [[EVOLVED 시리즈#s-5|{{{#3287C3 roppongi EVOLVED ver.D}}}]][br]{{{-2 EXPERT LV.15}}} ||<|2> '''10''' || '''1위''' || '''1657'''^^FC^^ || || 1627 || 4위 || '''3위''' || '''1643'''^^GFC^^ || ||<-7> || ||<-3>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TEAM WHITE'''}}} ||<|2> {{{#fff '''최종 결과'''}}} ||<-3> {{{#fff '''TEAM BLUE'''}}} || ||<-3> 1승 1패[br]승점 3점 ||<-3> '''2승[br]승점 6점''' || 1st에서 블루 팀이 승기를 잡고, 2nd에서 화이트 팀이 역전하나 싶었지만, 3rd에서 히비키가 두 곡 모두 1위를 차지하면서 곡마다 2pt씩 좁히며 게임을 블루 팀의 레귤러 스테이지 1위로 끝냈다. ---- ||<-7> {{{+1 {{{#fff '''결승전'''}}}}}} || ||<-3> '''PO''' || {{{#fff '''1st Match: CLASSIC, TRICKY'''}}} ||<-3> '''SHIZU''' || || '''점수''' ||<-2>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1418'''^^GFC^^ || '''승''' || '''1''' || [[Horatio|{{{#3287c3 Horatio}}}]][br]{{{-2 CHALLENGE LV.15}}} || 0 || 패 || 1311 || || '''1527'''^^GFC^^ || '''승''' || '''2''' || [[Go For The Top|{{{#00aedf Go For The Top}}}]][br]{{{-2 EXPERT LV.15}}} || 0 || 패 || 1499 || ||<-7> || ||<-3> '''HIBIKI''' || {{{#fff '''2nd Match: WHITE, STANDARD'''}}} ||<-3> {{{#FFF '''O4MA.'''}}}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2275''' || '''승''' || '''4''' || [[ENDYMION|{{{#3287c3 ENDYMION}}}]][br]{{{-2 EXPERT LV.18}}} || 0 || 패 || 2225 || || 2080^^GFC^^ || 패 || 4 || [[S!ck|{{{#00aedf S!ck}}}]][br]{{{-2 EXPERT LV.16}}} || '''2''' || '''승''' || '''2086'''^^PFC^^ || ||<-7> || ||<-3> '''NAYU^^↑^^''' ||<|2> {{{#fff '''3rd Match: GOLD, TRICKY'''}}} ||<-3> {{{#FFF '''UN-LIM^^↑^^'''}}} || ||<-3> '''HIBIKI,,↓,,''' ||<-3> {{{#FFF '''O4MA.,,↓,,'''}}}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2029''' || '''2위''' ||<|2> '''7''' ||<|2> [[New Era|{{{#3287c3 New Era}}}]][br]{{{-2 EXPERT LV.17}}} ||<|2> '''6''' || '''3위''' || '''2017''' || || '''2017''' || '''3위''' || '''1위''' || '''2040''' || || '''1913''' || '''3위''' ||<|2> '''8''' ||<|2> [[最小三倍完全数|{{{#00aedf 最小三倍完全数}}}]][br]{{{-2 EXPERT LV.17}}} ||<|2> '''11''' || '''2위''' || '''1923''' || || 1868 || 4위 || '''1위''' || '''1965''' || ||<-7> || ||<-3> '''TEAM BLUE''' ||<|2> {{{#fff '''최종 결과'''}}} ||<-3> {{{#fff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TEAM WHITE'''}}}}}} || ||<-3> 준우승 ||<-3> '''우승''' || 블루 팀의 우세로 경기가 흘러갔지만, 3rd Match에서 순식간에 게임이 뒤집혀버렸다. 화이트 팀의 언림이 pt를 획득하면서 선전하기 시작하더니 마지막 순간에 화이트 팀이 3rd 자선곡 최소삼배완전수에서 '''1,2위'''를 차지해 버린 것. 반면 이번 경기에서도 문제의 왼쪽 2P 자리에서 플레이한 히비키는 결국 지지부진한 기록을 거듭하며 고배를 마시게 되었다. 그나마 2nd Match는 발판에 문제가 없는 1P 자리에서 플레이한 덕분에, 자선곡인 ENDYMION으로 오시마를 50점 차로 이기면서 체면치레는 하였다. 그 외에는 3rd의 블루 팀 선곡 뉴 에라에서 히비키와 언림이 동점으로 공동 3위가 되어 둘 모두 1pt 획득 처리되었다. ==== 최종 결과 ==== ||<-11> '''{{{#!wiki style="letter-spacing: -0.2px;" {{{#fff [[BEMANI PRO LEAGUE|[[파일:bpl_logo_emblem.png|width=32]]]] BEMANI PRO LEAGUE ZERO DanceDanceRevolution}}}}}}{{{#fff 최종 결과}}}''' || || '''결과''' || '''팀''' || '''레귤러[br]순위''' || '''승점''' || '''승''' || '''무''' || '''패''' || '''pt''' || '''연속''' || '''비고''' || || 우승 || {{{#00aedf '''TEAM WHITE'''}}} ||<#adf,#2b5797> 2위 || 6 || 2 || 0 || 1 || 29 || 1승 || - || || 준우승 || {{{#fff '''TEAM BLUE'''}}} ||<#adf,#2b5797> 1위 || 6 || 2 || 0 || 1 || 28 || 1패 || - || || 레귤러 탈락 || {{{#fff '''TEAM RED'''}}} ||<#fCC,#880000> 3위 || 0 || 0 || 0 || 2 || 16 || 2패 || - || 화이트 팀의 대역전 우승으로 이벤트가 마무리되었다. 그와는 별개로 이벤트가 굉장히 벅찼는지 경기 종료 후 기진맥진하는 팀원들의 모습이 비춰졌다. ~~e"스포츠"~~ 대회 흐름에 대한 요약은 대체로 '''오시마의 차력쇼'''로 요약되는 분위기. 실제로 오시마는 문제의 2P 발판에 서본 적이 없음을 감안해도, 경기 내내 히비키에게만 패배를 허용하면서 팀 화이트를 우승으로 이끄는 하드캐리를 선보였다. 게다가 경기 종료 이후 오시마 역시 레귤러 스테이지 도중 '''Anti-Matter에서 싱크가 밀리는''' 히비키 못지 않은 억까를 당한 것이 밝혀지면서 DDR 유저들을 경악에 빠트렸다(...). 경기 외적으로는 테마 선정 규칙 중 패턴 성향과 관련된 테마인 STANDARD와 TRICKY의 기준이 모호하여[* 변속이 난이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엔젤릭 젤리가 TRICKY에 있거나, 런던 A는 TRICKY에 속하는데 런던 C는 STANDARD로 분류되는 등등.]선수들이 개인적인 뒷풀이 방송에서 의문을 표하기도 했다. 이후 BPL S2 DDR 종목도 같은 3x2 테마 체계로 진행하게 되었는데, 과제곡에 변화가 이루어질 지가 주목된다. 그 외에는 아래의 특징들이 있었다. * 여성 선수들은 체급 문제로 인해 전부 1st Match에만 출전했는데, 여성 선수들 끼리도 체급 차가 크게 벌어져 서열 정리가 되었다. 블루 팀의 포가 10th KAC 여성부 우승자답게 여성 선수들 사이에서도 뛰어난 체급을 보이면서 모든 경기를 이겼고, 레드 팀의 마스켐프는 시즈에게 세트승을 땄지만 포에게 세트패를 거뒀으며, 화이트 팀의 시즈는 모든 경기를 졌다. 다만 다른 팀원인 오시마와 언림이 크게 활약하면서 프리퀄 한정이지만 '''전패 우승'''이라는 독특한 기록을 세웠다. * 네 경기 모두 패배 팀의 pt가 8pt라는 묘한 공통점이 있고, 그래서 패턴 동점이 없었던 레귤러 스테이지는 전부 10대 8로 경기가 끝났다(...). * 레귤러 스테이지 1위가 최종 준우승, 2위가 최종 우승하는 BPL 전통의 징스크가 이번 이벤트에서도 나오게 되었으며, 공교롭게도 준우승을 한 블루 팀의 감독인 류는 BPL ZERO IIDX 준우승팀인 TEAM Ryu☆의 감독도 맡았었다보니 이번에도 본인 팀이 준우승을 거두었다. * 프리퀄이기는 하지만 BPL 결승전에 붉은색 팀이 없는 첫 사례이기도 하다. * 화이트 팀의 감독을 맡은 타카는 첫 경기부터 결승전까지 로스터를 시즈-오시마-오시마,언림으로만 내보냈다. 그로 인해 오시마는 총 6세트를 뛰면서 선수들 중 제일 많은 세트를 뛰었다. ##템플릿 ##||<-7> {{{+1 {{{#fff '''결승전'''}}}}}} || ##||<-3> '''★1st선수1''' || {{{#fff '''1st Match: CLASSIC, TRICKY'''}}} ||<-3> '''★1st선수2''' || ##|| '''점수''' ||<-2>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점수11''' || '''★승무패11''' || '''★PT11''' || [[★1st곡1|{{{★팀색1 ★1st곡1}}}]][br]{{{-2 ★패턴종류 LV.★}}} || ★PT21 || ★승무패21 || ★점수21 || ##|| ★점수12 || ★승무패12 || ★PT12 || [[★1st곡2|{{{★팀색2 ★1st곡2}}}]][br]{{{-2 ★패턴종류 LV.★}}} || '''★PT22''' || '''★승무패22''' || '''★점수22''' || ##||<-7> || ##||<-3> '''★2nd선수1''' || {{{#fff '''2nd Match: WHITE, STANDARD'''}}} ||<-3> {{{#FFF '''★2nd선수2'''}}}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점수13''' || '''★승무패13''' || '''★PT13''' || [[★2nd곡1|{{{★팀색1 ★2nd곡1}}}]][br]{{{-2 ★패턴종류 LV.★}}} || ★PT23 || ★승무패23 || ★점수23 || ##|| ★점수14 || ★승무패14 || ★PT14 || [[★2nd곡2|{{{★팀색2 ★2nd곡2}}}]][br]{{{-2 ★패턴종류 LV.★}}} || '''★PT24''' || '''★승무패24''' || '''★점수24''' || ##||<-7> || ##||<-3> '''★3rd선수1a(▲)''' ||<|2> {{{#fff '''3rd Match: GOLD, TRICKY'''}}} ||<-3> {{{#FFF '''★3rd선수2a(▲)'''}}} || ##||<-3> '''★3rd선수1b(▼)''' ||<-3> {{{#FFF '''★3rd선수2b(▼)'''}}} || ##|| '''점수''' ||<-2> '''{{{#000,#fff 결과}}}''' || '''선곡''' ||<-2> '''{{{#000,#fff 결과}}}''' || '''점수''' || ##|| '''★점수1a5''' || '''★순위1a5''' ||<|2> '''★PT15''' ||<|2> [[★3rd곡1|{{{★팀색1 ★3rd곡1}}}]][br]{{{-2 ★패턴종류 LV.★}}} ||<|2> '''★PT25''' || '''★순위2a5''' || '''★점수2a5''' || ##|| '''★점수1b5''' || '''★순위1b5''' || '''★순위2b5''' || '''★점수2b5''' || ##|| '''★점수1a6''' || '''★순위1a6''' ||<|2> '''★PT16''' ||<|2> [[★3rd곡2|{{{★팀색2 ★3rd곡2}}}]][br]{{{-2 ★패턴종류 LV.★}}} ||<|2> '''★PT26''' || '''★순위2a6''' || '''★점수2a6''' || ##|| '''★점수1b6''' || '''★순위1b6''' || '''★순위2b6''' || '''★점수2b6''' || ##||<-7> || ##||<-3> '''TEAM ★''' ||<|2> {{{#fff '''최종 결과'''}}} ||<-3> {{{#fff '''TEAM ★'''}}} || ##||<-3> 준/'''우승''' ||<-3> 준/'''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