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BEMANI PRO LEAGUE SEASON 4)] [include(틀:BPL 역대 대회)] ||<-5> {{{#fff '''역대 [[BEMANI PRO LEAGUE|{{{#FFF BEMANI PRO LEAGUE}}}]] 일람'''}}} || || [[BEMANI PRO LEAGUE SEASON 3]][br][[BEMANI PRO LEAGUE SEASON 3/beatmania IIDX|{{{-2 IIDX}}}]] [[BEMANI PRO LEAGUE SEASON 3/SOUND VOLTEX|{{{-2 SDVX}}}]] || → || '''BEMANI PRO LEAGUE SEASON 4'''[br]'''{{{-2 IIDX}}}''' || → || - || [목차] == 개요 == [[BEMANI PRO LEAGUE SEASON 4]]의 [[beatmania IIDX]] 종목에 관해 서술하는 문서이다. == 일정 == === 대회 전 일정 === * 2024년 2월 22일 ~ 3월 3일: beatmania IIDX 프로테스트 엔트리 * 2024년 3월 12일 ~ 3월 17일: 면접 * 2024년 3월 30일 ~ 3월 31일: 실기 시험 * 2024년 4월 23일: beatmania IIDX 드래프트 === 대회 일정 === * 2024년 6월 1일, 6월 2일, 8월 3일, 8월 4일: 레귤러 스테이지 실 경기일 * 2024년 7월 6일, 7월 7일, 8월 31일: 레귤러 스테이지 예비 실 경기일 * 2024년 10월 5일: 세미파이널, 파이널 경기일 == 대회 규칙 == 변경된 규칙은 '''볼드체'''로 표기하였다. === 선수 영입 === === 시즌 진행 방식 === [[BPL S3/SDVX|시즌 3 사운드 볼텍스 종목]]과 동일한 형식으로 진행된다. * 레귤러 스테이지 '''7팀'''이 '''싱글 라운드 로빈(리그전 1회)'''을 진행하여 상위 '''4팀'''이 '''세미 파이널'''에 진출하며 '''쿼터파이널은 폐지'''되었다. * 세미 파이널 레귤러 스테이지 성적에 따라 아래의 대진 하에 두 팀씩 토너먼트전을 진행하여 승리한 두 팀이 파이널에 진출한다. * 1위 vs 4위 * 2위 vs 3위 === 경기 진행 방식 === 모든 경기는 ARENA 모드의 규칙을 따르면서 1대1 매치로 변형한 BPL BATTLE 모드를 사용하여 플레이한다. ==== 레귤러 스테이지 ==== * 한 경기는 '''1st, 2nd, Final Match'''로 구성된다. * 각 세트별로 한 명씩 팀당 총 3명이 한 시합에 출전하고, 각 세트당 양 선수가 1곡씩 선택하여 2곡으로 대결한다. * 만약 두 선수가 같은 곡을 선곡한 경우, 곡 하나는 랜덤 선곡으로 대체된다. 랜덤 선곡된 곡은 양 팀 모두 재선곡할 수 있다. * 경기 중 어시스트 옵션(오토 스크래치, 레거시 노트)은 사용 불가능하다. * 모든 선수들은 시작 시 '''160'''의 코스트를 보유한다. * 선봉전 출전 시 '''20''', 중견전 출전 시 '''30''', 대장전 출전 시 '''40'''의 코스트를 소비한다. * 모든 선수들은 지정 코스트 내에서 최소 4경기 이상 출전해야 한다. * 한번 선곡한 곡은 시즌이 끝날 때 까지 재선곡이 불가능하다. * 각 세트별로 레벨 제한과 7개의 테마 중 하나가 지정되어 있어 그에 맞는 과제곡 중에서 선곡이 가능하다. * 세트 별 레벨 제한은 아래의 '''지정 A, B'''로 두 종류가 있다. || || 지정 A || 지정 B || || 선봉전 ||<-2> 8~10 || || 중견전 || 10 || 11 || || 대장전 || 11 || 12 || * 테마 * {{{#fuchsia NOTES}}}: 곡 길이 대비 총 노트수 비율 * {{{#orange PEAK}}}: 노트가 가장 밀집되어있는 구간의 밀도 * {{{#red SCRATCH}}}: 곡 길이 대비 스크래치 수 * {{{#purple CHARGE}}}: 차지노트와 백스핀 스크래치의 난이도 * {{{#green CHORD}}}: 동시치기의 난이도 * [[SOFT LANDING ON THE BODY|{{{#blue SOF-LAN}}}]]: BPM 변화에 따른 변속 난이도 * '''{{{#B4C000 TREND}}}: [[beatmania IIDX 31 EPOLIS]]에서 추가된 패턴'''[* 따라서, 트렌드 테마의 패턴은 다른 테마의 패턴과 겹친다. 또한 "곡"이 아닌 "패턴"이라고 언급되어 있기 때문에 곡 자체는 이전에 추가되었더라도 패턴이 31 EPOLIS에서 추가되었다면 트렌드 테마 과제곡에 포함될 수 있다.] * 테마별 과제곡과 테마 선정 방법은 발표되지 않았다. * 팀마다 스트래티지 카드가 주어진다. * 스트래티지 카드를 사용하면 상대의 선곡이 랜덤 선곡으로 대체된다. * 양팀이 서로 스트래티지 카드를 사용하면 상쇄되지 않고 랜덤 선곡 2곡으로 진행한다. * 모든 팀에게 '''2장씩''' 주어지며, 세미파이널 이후로 이월시킬 수 없다. * 스트래티지 카드로 지워진 선곡은 다음 경기 이후에 사용할 수 있다. * '''한 경기에서 스트래티지 카드를 여러 장 사용할 수 없다.''' * 사용 세트에 제한이 없으나, '''같은 세트에 스트래티지 카드를 두 장 이상 사용할 수 없다.'''[* BPL S3에서도 적용된 규칙이나, 당시에는 규칙에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 왼쪽 팀의 곡이 먼저, 오른쪽 팀의 곡이 나중에 플레이된다. * 곡 별로 승자가 선봉전은 '''2pt''', 중견전은 '''3pt''', 대장전은 '''4pt'''를 얻는다. * pt 합산을 비교해 팀에 승점을 부여한다. (승리 3점, 무승부 1점, 패배 0점) * 순위는 승점의 합산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동점자가 나오는 경우 아래 순으로 상위 팀을 결정한다. * 총 획득 pt * 해당 팀끼리 직접 대결에서 획득한 pt * 위 2가지가 모두 같을 경우 추첨으로 정함 ---- 이번 시즌에서도 선수별 비중 평준화를 위한 규칙 추가를 감행했는데, BPL 사상 처음으로 세트별 획득 pt가 조정되었다는 점이 눈에 띈다. pt 조정으로 인해 마지막 세트의 pt 비율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앞의 세트를 모두 져도 마지막 세트를 이기면 최소 무승부를 거둘 수 있었던 지난 시즌들과 달리 이번 시즌에서는 이것이 패턴 동점 없이는 불가능해졌다. 하지만 pt가 조정되면서 코스트도 조정되었는데, 초기 코스트와 마지막 세트의 코스트가 각각 160, 40이 되면서 한 선수가 전체 경기의 절반을 넘는 4개 경기에 대장전을 맡을 수 있게 되었다보니 팀별 에이스 선수의 비중이 크게 꺾일지는 미지수이다. 그 외에 변수가 있다면 7팀 체계로 인해 규칙이 풀리그제로 바뀌면서 세트별 레벨 지정이 시즌 2의 형태로 롤백되었는데, 총 경기수가 21경기라 절반으로 나눠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지정 비율을 1:2로 잡는 게 아닌 이상 시즌 2와 마찬가지로 팀별로 지정 비율이 상이할 것이라는 점이다. 다만 주요 변수 수단이었던 스트래티지는 지난 시즌과 거의 동일한 사양으로 나왔으며, 지난 시즌 폐지된 스트래티지 상쇄 기능이 이번 시즌에도 없다. 여담으로, 세트 표기가 시즌 2 DDR 종목처럼 서수 표기로 바뀌었다. 단, 시즌 2 DDR 종목과 달리 마지막 세트는 서수 대신 Final로 표기했다. ==== 세미 파이널 ==== * 한 경기는 '''1st~3rd, Final Match'''로 구성된다. * 각 세트별로 한 명씩 '''팀원 전원이 경기에 한 세트씩 출전'''하고, 각 세트당 양 선수가 1곡씩 선택하여 2곡으로 대결한다. * 만약 두 선수가 같은 곡을 선곡한 경우, 곡 하나는 랜덤 선곡으로 대체된다. 랜덤 선곡된 곡은 양 팀 모두 재선곡할 수 있다. * 경기 중 어시스트 옵션(오토 스크래치, 레거시 노트)은 사용 불가능하다. * 세트 별 레벨 제한 및 pt || 세트 || 레벨 제한 || pt || || 1st || 8~10 || '''3pt''' || || 2nd || '''10''' || '''4pt''' || || 3rd || 11 || '''5pt''' || || Final || 12 || '''6pt''' || * 세트마다 상기한 '''일곱 테마''' 중 정해진 테마 내에서 선곡해야 한다. 테마 선정 방식은 공개되지 않았다. * 한 경기에는 팀의 모든 플레이어가 출전해야 한다. * 단, 같은 선수가 연속해서 출전할 수 없다. * 한번 선곡한 곡은 시즌이 끝날 때 까지 재선곡이 불가능하다. * 팀마다 스트래티지 카드가 주어진다. * 스트래티지 카드를 사용하면 상대의 선곡이 랜덤 선곡으로 대체된다. * 양팀이 서로 스트래티지 카드를 사용하면 상쇄되지 않고 랜덤 선곡 2곡으로 진행한다. * 모든 팀에게 1장씩 주어지며, 파이널로 이월시킬 수 없다. * 스트래티지 카드로 엎어진 선곡은 다음 경기 이후에 사용할 수 있다. * 사용 세트에 제한이 없다. * pt 합산을 비교하여 승패를 가린다. 만약 pt 합산이 같다면 레귤러 스테이지 순위로 승패를 가린다. ---- 레귤러 스테이지 이상으로 규칙이 크게 바뀌었는데, 레귤러 스테이지와 마찬가지로 pt를 전체적으로 증가시켜 마지막 세트가 첫번째 세트의 2배가 되도록 조정된데다 5세트 중 2세트를 맡아 전체 pt의 절반을 벌어오는 원맨쇼를 막을 생각인지 아예 세트수를 팀별 선수 수에 딱 맞춰 4개로 줄여버렸다. 그에 따라 모든 선수들이 세트를 하나씩만 맡게 되었고, 세트 및 선수별 비중 차이가 조금씩 줄어들게 되었다. 여담으로, 결승 토너먼트 내에선 처음으로 10레벨 단독 세트가 배정되었으며, BPL 창단 이래 처음으로 한 명이 한번에 5pt 이상 획득할 수 있는 세트[* 4pt는 시즌 2 사볼 종목의 결승 토너먼트 부장전이 최초이다.]와 짝수 개 세트로 진행되는 경기가 나왔다. ==== 파이널 ==== * 한 경기는 '''1st~7th, Final Match'''로 구성된다. * 각 세트별로 한 명씩 '''팀원 전원이 경기에 두 세트씩 출전'''하고, 각 세트당 양 선수가 1곡씩 선택하여 2곡으로 대결한다. * 단, 한 선수가 두 세트를 연속 출전할 수 없다. * 만약 두 선수가 같은 곡을 선곡한 경우, 곡 하나는 랜덤 선곡으로 대체된다. 랜덤 선곡된 곡은 양 팀 모두 재선곡할 수 있다. * 경기 중 어시스트 옵션(오토 스크래치, 레거시 노트)은 사용 불가능하다. * 세트 별 레벨 제한 및 pt || 세트 || 레벨 제한 || pt || || 1st ||<|3> 8~10 ||<|2> '''4pt''' || || 2nd || || 3rd ||<|3> '''5pt''' || || 4th ||<|3> 11 || || 5th || || 6th ||<|2> '''6pt''' || || 7th ||<|2> 12 || || Final || '''7pt''' || * 세트마다 상기한 일곱 테마 중 정해진 테마 내에서 선곡해야 한다. 테마 선정 방식은 공개되지 않았다. * 한번 선곡한 곡은 시즌이 끝날 때 까지 재선곡이 불가능하다. * 팀마다 스트래티지 카드가 주어진다. * 스트래티지 카드를 사용하면 상대의 선곡이 랜덤 선곡으로 대체된다. * 양팀이 서로 스트래티지 카드를 사용하면 상쇄되지 않고 랜덤 선곡 2곡으로 진행한다. * 모든 팀에게 1장씩 주어진다. * 사용 세트에 제한이 없다. * pt 합산을 비교해 우승/준우승을 가리게 된다. 만약 pt 합산이 같을 경우 팀별 스코어 합산을 비교하여 승패를 가린다. ---- 세트가 하나 줄어든 세미파이널과 달리 8~10레벨짜리 세트 하나가 추가되어 세트가 총 8개가 되었다. 따라서 세미파이널과 마찬가지로 선수마다 같은 세트 수 만큼 균등분할하게 되었으며, 파이널 역시 획득 pt가 증가되었기 때문에 앞의 세트들의 중요도가 높아졌다. 세트 수가 8개가 되면서 BPL에서 제일 많은 세트가 배정된 경기가 되었으며, 경기에서 획득할 수 있는 pt의 양이 최소 74pt가 되면서 최다 획득 pt 기록이 무조건 깨지게 되었다. 거기다 경기에 따라 패배팀 획득 pt 기록도 깨질 수도 있다. == 참가 팀 == [include(틀:BPL SEASON 4 참가팀)] == 선수 이동 및 선발 == === 스토브리그 === 2023년 12월 25일에 BPL S3 출전 팀이었던 [[SUPERNOVA Tohoku]]가 활동 종료를 선언하면서 소속 선수 네 명([[TATSU]], [[NIKE.]], TAKWAN, [[46(프로게이머)|46]])과 어드바이저 kome가 모두 FA로 풀렸다. 지난 시즌들에서는 프로테스트를 진행하는 동안 BPL 측에서 어드바이저 모집 또는 팀으로 어드바이저 추천을 하기도 했지만, 이번 시즌에서는 프로테스트 엔트리 페이지에 어드바이저 모집 관련을 하지 않음을 공지했다. 즉, 어드바이저 희망자는 무조건 팀에 따로 문의해야 한다. === 드래프트 === ==== 드래프트 후보 ==== ==== 진행 ==== ==== 결과 및 총평 ==== == 출전 선수 == == 출연진 == [include(틀:BPL 중계진)] == 경기 진행 == [include(틀:BEMANI PRO LEAGUE SEASON 4 경기 일람)] == 관련 이벤트 == == 여담 == * 시즌 3 사볼 종목과 마찬가지로 레귤러 스테이지 21경기를 4일 동안 진행하도록 예정되어 있어 팀별로 경기 일정에 차이가 생길 수 있게 되었다. * 이번 시즌에선 예비 경기일이 추가로 배정되어 있다. 이는 시즌 3 사볼 종목처럼 경기 일정에 트러블이 생기는 상황에 대비하여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 한 시즌만에 드래프트 회의일이 4월로 돌아왔다. == 사건사고 == [[분류:BEMANI]][[분류:BEMANI PRO LEA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