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지금까지 이어온 BMS OF FIGHTERS의 전체 곡의 개인별 총점, 중앙값, 평점, 팀별 총점, 중앙값, 평점, 그리고 특기할 만한 사항을 모아놓은 문서이다. 총평점 순위는 [[BMS OF FIGHTERS|BMS OF FIGHTERS 2009]]부터 투고된 모든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그 아래 대회에서는 아직 제대로 점수제에 대한 정립(2004년은 임프레 한 개의 점수당 가산점이 붙었고, 2008년은 1L-Impre 점수가 달랐다.)이 되지 않았고, 2009년부터 유의미적인 임프레 반등을 보였기 때문이다. BOF2008의 몇몇 예외를 빼고는 해당사항이 전혀 없기 때문에 따로 측정하지 않는다. BOF2009 이전의 예외는 현재 아래의 한 곡 뿐이다. 집계방식의 모호성 때문에 특별히 따로 분류했다. ||부문||작품명||작곡자||출품 대회||총점||임프레션 수||중앙값||평점|| ||개인 중앙값, 평점||[[ニライカナイ]][* 1L-Point를 단지 보정점수로 이해할 경우. BOF2008의 result는 이를 따른다.]||roop||BOF2008||46080||47||'''1000'''||{{{#red '''980.43'''}}}|| 특기할 만한 사항은 기타에서 다루는데, 1인팀 우승을 한 작곡가라거나, 최다 참가팀 등을 다룬다. BOF2004부터 대회 전체를 통틀어서 기록할 만한 사항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기록한다. BOFU2016, BOFXV가 다른 대회들 보다 압도적으로 긴 기간동안 투표가 가능했던 탓에 총점에서 많은 이득을 얻었을 가능성을 감안해서, 총점 분야에 일평균 획득 점수량 기록을 추가했으며, 소수점 두번째 자리까지만 적었다.[*참고 투표기간은 2009: 28일, 2010: 36일, 2011: 35일, 2012: 35일, 2013: 35일, 2014: 36일, 2015: 40일, 2016: 48일, 2017: 35일, 2018: 33일, 2019: 51일, 2020: 44일, 2021: 47일 14시간, 2022: 54일 3시간 이었다.] == 개인전 순위/전체 == === 총점/전체 === BMS OF FIGHTERS의 공식 순위를 결정하는 양대 요소이다. 총점이 높다는 건 BOF에서 최고의 관심을 받은 인기곡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다만 총점은 네임드 작곡가에 대한 팬심, 대회장에서의 곡 위치, 대회 전체 흥행 여부 같은 곡 외부적인 요소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다. 즉, 총점이 극히 높은 곡은 대중적이고 인기가 많은 건 사실이지만, 애매하게 높은 총점이 곡의 질을 보장하지는 않는 셈이다. 상위 20위 곡들은 모두 BOF2010 이후에 투고된 작품들이다[* 2008년 이전의 대회에서는 10배가 아니라 그 이상의 보정(20배까지 가면 넘는 곡들이 있기는 하다.)을 하더라도 2009년 이후의 인기곡들을 따라잡지 못하는게 아이러니. BOF2009 대회의 곡들이 있었으나 2016년 이후 전부 20위 밖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2009년 이후 상승한 BOF의 인기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 G2R2018 결과까지 반영했는데도 불구하고 2010년 곡이 아직 상위 30위 안에 1곡, 2011년 곡이 3곡이나 남아있는 등 그때 당시 곡들의 저력을 알 수 있다. G2R2018에서 역대 최고 수준의 흥행을 보여주면서 총점 20만을 넘은 작품이 종전의 14곡에서 '''24곡''', 25만점을 넘은 곡이 종전의 4곡에서 9곡으로 대폭 늘어났다. 특히 '''40만점을 넘은 곡 2개'''가 높은 점수차로 앞서있다. BOFXV 이후부터는 일본의 유명 제작자 상당수가 불참한 탓에 최상위권의 임프레 수가 저조한 대신 전곡에 임프레가 골고루 많이 쌓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만 총점 20만을 넘은 작품은 매년 1곡 이상 꾸준히 나왔고, 현재는 총 30곡이다. ||순위||작품명||작곡자||출품 대회||총점||임프레션 수||중앙값||평점||일평균 획득 점수|| ||1||'''[[Destr0yer]]'''||[[削除]] feat. Nikki Simmons||G2R2018||{{{#red '''458369'''}}}||464||1000||987.86||{{{#red '''13889.97'''}}}|| ||2||'''[[R.I.P.]]'''||[[eicateve]]||G2R2018||{{{#red '''441465'''}}}||448||1000||985.41||{{{#red '''13377.73'''}}}|| ||3||'''[[Aleph-0]]'''||[[LeaF]]||BOFU2016||'''296410'''||305||1000||971.83||6175.2|| ||4||'''[[Flashdance]]'''||music:[[litmus*]]/bms::Point7less||G2R2018||'''290726'''||297||1000||978.87||'''8809.88'''|| ||5||'''[[NULCTRL]]'''||[[Silentroom]]||G2R2018||'''283914'''||288||1000||985.81||'''8603.45'''|| ||6||'''[[MARENOL]]'''||[[LeaF]]||G2R2018||'''280555'''||302||999||928.99||'''8501.67'''|| ||7||'''[[Nhelv]]'''||[[Silentroom]]||BOFU2017||'''268759'''||273||1000||984.47||7678.83|| ||8||'''[[conflict]]'''||[[siromaru]] + [[Cranky]]||BOF2011||'''266347'''||273||1000||975.63||7609.91|| ||9||'''[[Altale]]'''||[[削除]]||G2R2014||'''263326'''||268||1000||982.56||7314.61|| ||10||'''[[New York Back Raise]]'''||saaa + kei_iwata + stuv + わかどり||BOF:ET||'''258059'''||269||995||959.32||4767.83|| ||11||'''[[Aeventyr|Äventyr]]'''||[[Grand Thaw]]||BOF2012||'''247808'''||254||1000||975.62||7080.22|| ||12||'''[[Giselle]]'''||[[Sobrem|Widowmaker]]||G2R2018||'''246435'''||249||1000||'''989.69'''||7647.73|| ||13||'''[[NightTheater]]'''||わかどり||BOFXVI||'''241899'''||250||1000||967.59||5625.55|| ||14||'''[[Cutter]]'''||[[EmoCosine]]||BOFXVI||'''232049'''||243||999||954.93||5396.48|| ||15||'''[[Black Lotus(BMS)|Black Lotus]]'''||wa.||BOFU2016||'''227020'''||231||1000||982.77||4729.58|| ||16||'''[[Berry Go!!]]'''||Freezer||BOFU2017||'''224549'''||231||1000||972.07||6415.69|| ||17||'''[[DataErr0r]]'''||[[Lunatic Sounds]]||BOFU2015||'''221885'''||229||1000||968.93||5547.12|| ||18||'''[[Random(BMS)|Random]]'''||[[Sobrem]] × [[Silentroom]]||BOFXVII||'''221654'''||229||1000||967.92||4658.22|| ||19||'''[[Bad Elixir]]'''||[[xi]]||G2R2018||'''220573'''||229||990||963.20||7115.25|| ||20||'''[[ヒュブリスの頂に聳えるのは]]'''||qfeileadh feat.のあ||BOF:ET||'''219608'''||225||1000||976.03||4057.42|| ||21||'''[[VALLISTA]]'''||[[削除]]||BOF2011||'''218401'''||225||1000||970.67||6240.02|| ||22||'''[[Life is PIANO]]'''||[[Junk]]||G2R2018||'''216455'''||220||1000||983.88||6559.24|| ||23||'''[[On And On!!]]'''||[[ETIA.]] feat. Jenga||G2R2018||'''210991'''||215||1000||981.35||6393.67|| ||24||'''[[Dreadnought]]'''||Mastermind([[xi]]+[[nora2r]])||BOFU2015||'''210114'''||215||1000||977.27||5252.85|| ||25||'''[[もぺもぺ]]'''||[[LeaF]]||BOFU2017||'''208809'''||277||900||{{{#blue '''753.82'''}}}||5965.97|| ||26||'''[[Good Life]]'''||[[litmus*]]||G2R2018||'''204697'''||208||1000||984.12||6202.94|| ||27||'''[[Halcyon]]'''||[[xi]]||BOF2010||'''204325'''||213||1000||959.27||5675.69|| ||28||'''[[HAELEQUIN]]'''||orangentle||BOF2012||'''203288'''||211||999||963.45||5808.22|| ||29||'''[[METATRON]]'''||[[SHIKI]]||BOFU2015||'''202120'''||220||970||918.73||5053.00|| ||30||'''[[花たちに希望を]]'''||[[sound piercer|Sound piercer]] feat.[[다즈비|DAZBEE]]||BOFXV||'''200287'''||204||1000||981.79||3927.19|| G2R2018이 역대 최고 수준의 흥행을 보여주면서, 총점 순위가 격변했다. [[削除]]의 Destr0yer와 [[eicateve]]의 R.I.P.이 일평균 획득점수 14000에 근접한 독보적인 점수로 앞서 있으며, [[litmus*]]의 Flashdance 와 [[Silentroom]]의 NULCTRL, [[LeaF]]의 MARENOL은 일평균 획득점수로 2017년도의 우승곡 Nhelv를 제쳤다. G2R2018에 20만 점을 돌파한 곡이 무려 10곡이나 등장하면서, 20만 점을 돌파하지 않으면 상위 20위 안에 들기에도 불가능하게 되었다. BOF:ET 이후로 20만 점을 돌파한 곡이 30곡이 되었다. === 중앙값/전체 === 총점과 함께 BMS OF FIGHTERS의 공식 순위를 결정하는 양대 요소이다. 총점의 순위가 대회에서 악곡의 인기를 가늠하는 수치인 반면, 중앙값 순위는 즉, 매우 뛰어난 작품이면서 높은 인기를 얻은 수작이거나, 상대적으로 인기는 덜하더라도 플레이어들에게 인정을 받은 좋은 작품이라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임프레션 테러 하나로도 평점에 치명적인 타격이 가는 등 평점 순위의 이런저런 한계 때문에, BOF2008부터는 평점과 중앙값을 함께 집계하고, 중앙값 순위를 우선적으로 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중앙값이 같은 경우는, 평점이 높은 곡을 높은 순위로 한다. 특이사항으로, 상위 30위 곡들의 중앙값이 모두 '''1000''', 즉 만점이다. BOFU2017과 G2R2018을 거치면서 중앙값 1000, 평점 980 이상의 곡들이 대거 등장하였고, 중앙값 순위와 평점 순위가 사실상 동일해지게 되었다. [* 또한, 공식적으로는 중앙값을 제외한 평점 순위를 발표하지 않는다.] ||순위||작품명||작곡자||출품 대회||총점||임프레션 수||중앙값||평점|| ||1||'''[[Giselle]]'''||[[Sobrem|Widowmaker]]||G2R2018||246435||249||1000||{{{#red '''989.69'''}}}|| ||2||'''[[Destr0yer]]'''||[[削除]] feat. Nikki Simmons||G2R2018||458369||464||1000||{{{#red '''987.86'''}}}|| ||3||'''[[fly*high*five]]'''||Ino× みずたま||BOFU2017||91866||93||1000||{{{#red '''987.81'''}}}|| ||4||'''[[NULCTRL]]'''||[[Silentroom]]||G2R2018||283914||288||1000||{{{#red '''985.81'''}}}|| ||5||'''[[Dove]]'''||[[sound piercer|Sound piercer]] & [[Puru]] feat.Emma J.||BOFU2017||76887||78||1000||{{{#red '''985.73'''}}}|| ||6||'''[[R.I.P.]]'''||[[eicateve]]||G2R2018||441465||448||1000||{{{#red '''985.41'''}}}|| ||7||'''[[Nhelv]]'''||[[Silentroom]]||BOFU2017||268759||273||1000||'''984.47'''|| ||8||'''浮世絵横丁'''||黄泉路テヂーモ×dawn-system×かゆき||BOFU2017||131890||134||1000||'''984.25'''|| ||9||'''[[Good Life]]'''||[[litmus*]]||G2R2018||204697||208||1000||'''984.12'''|| ||10||'''[[Life is PIANO]]'''||[[Junk]]||G2R2018||216455||220||1000||'''983.88'''|| ||11||'''[[Dstorv]]'''||[[Feryquitous]]||G2R2014||140650||143||1000||'''983.57'''|| ||12||'''[[Take The Long Way Home]]'''||[[RiraN]] ft. core mc||BOFU2017||130771||133||1000||'''983.24'''|| ||13||'''[[rainbow(BMS)|rainbow]]'''||[[ああああ]]||G2R2018||152386||155||1000||'''983.13'''|| ||14||'''5192296858534827628530496329220096'''||mommy||G2R2018||140572||143||1000||'''983.02'''|| ||15||'''[[Black Lotus(BMS)|Black Lotus]]'''||wa.||BOFU2016||227020||231||1000||'''982.77'''|| ||16||'''アイム・マイヒーロー'''||Ino(chronoize) feat. 柳瀬マサキ||G2R2018||120879||123||1000||'''982.75'''|| ||17||'''[[Hyper Fiber World Spectrum]]'''||[[Crimsona]]||BOFU2016||134623||137||1000||'''982.64'''|| ||18||'''[[Altale]]'''||[[削除]]||G2R2014||263326||268||1000||'''982.56'''|| ||19||'''Auburn Halo'''||Arctures||BOFU2017||113973||116||1000||'''982.53'''|| ||20||'''[[CO5M1C R4ILR0AD]]'''||kanone||BOFU2016||199378||203||1000||'''982.15'''|| ||21||'''[[花たちに希望を]]'''||[[sound piercer|Sound piercer]] feat.[[다즈비|DAZBEE]]||BOFXV||200287||204||1000||'''981.79'''|| ||22||'''恋スケッチノート'''||[[sound piercer|Sound piercer]]||BOFU2017||57915||59||1000||'''981.61'''|| ||23||'''[[STAGER]]'''||Ras||BOF2013||124657||127||1000||'''981.55'''|| ||24||'''On And On!!'''||[[ETIA.]] feat.Jenga||G2R2018||210991||215||1000||'''981.35'''|| ||25||'''This Club is not 4 U'''||EmoCo.||G2R2018||143238||146||1000||'''981.08'''|| ||-[* Widow's kiss, Don't Make Me One 두 곡은 중앙값이 1000이 아니므로 중앙값 순외권 외]||'''Widow's kiss'''||[[Sobrem|Widowmaker]]||BOFU2017||63760||65||994||'''980.92'''|| ||-||'''Don't Make Me One'''||Kyuzo Sameura feat. a-m||BOFU2017||84359||86||990||'''980.92'''|| ||26||'''Kalte'''||Dachs||BOFU2017||80429||82||1000||'''980.84'''|| ||27||'''夢/あるいは在りし日の'''||Nego_tiator||BOFU2017||163723||167||1000||'''980.38'''|| ||28||'''[[Snow White(BMS)|Snow White]]'''||[[Puru]]||BOFU2015||114696||117||1000||'''980.31'''|| ||29||'''The SkyScrapers'''||[[litmus*]]||BOFU2017||84293||86||1000||'''980.15'''|| ||30||'''[[Midnight o'clock]]'''||mossari feat.TEA||BOFU2016||179365||183||1000||'''980.13'''|| BOFU2017과 G2R2018을 거치면서 대격변이 일어났다. 각 연도에 중앙값 1000점에 평점 980점이 10곡이나 생기면서 Dstorv의 아성이 3년만에 깨졌다. BOFU2017 대회가 규약을 위반하는 테러 임프레가 상당히 많았다는 점, 그리고 그로 인해 많은 곡들이 규약을 위반하지 않는 테러를 피해갔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정말 아이러니한 상황이 펼쳐졌다. G2R2018에 이르러서는 평점 980점을 돌파한 곡이 총 31곡, BOFXV에서는 총 33곡까지 늘어났다. 과거보다는 줄어든 임프레션 테러, 계속해서 나아지는 곡들의 퀄리티 덕분에 최근 대회의 곡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BOF2012 이전 곡들은 모두 Top 30에서 밀려났을 정도로 최근 곡들의 점수가 두드러지고 있다. 중앙값 및 평점 상위 30위에 2곡 이상을 올린 작곡가는 [[Feryquitous]]와 [[Puru]] 2명뿐이었으나, BOFU2017을 기점으로 Feryquitous가 빠지고 [[sound piercer|Sound piercer]]가, G2R2018에는 [[削除]]와 Ino, [[Silentroom]], [[litmus*]], 그리고 [[RiraN]]이 들어왔다. BOFXV에서는 [[RiraN]]의 [[The Guardians Of The Sun]]이 빠지고 [[sound piercer]]의 [[花たちに希望を]]가 들어오면서, [[sound piercer]]는 유일하게 중앙값 및 평점 상위 30위에 3곡 이상을 올린 작곡가가 되었다. 한국 곡 중에서는 한국 BMS 최초로 중앙값 1000을 달성한 4곡 중 [[Castorpollux(BMS)|Castorpollux]], [[Engine]], [[DataErr0r]] 3곡이 상위 30곡 안에 자리잡고 있었으나 당시 곡들은 BOFU2017가 되면서 모두 밀려나게 되었다. BOFXV가 종료된 시점에서 상위 30곡 안에 들어가 있는 한국 곡으로는 [[sound piercer|Sound piercer]]의 세 곡 [[Dove]], 恋スケッチノート와 [[花たちに希望を]], [[Crimsona]]의 [[Hyper Fiber World Spectrum]], [[litmus*]]의 [[Good Life]]와 The SkyScrapers, EmoCo의 This Club is Not 4 U, [[RiraN]]의 Take The Long Way Home, Widowmaker 명의를 쓴 [[Sobrem]]의 [[Giselle]]이 채웠다. 2019년 BOFXV에서 중앙값 1000, 평점 980을 넘긴 곡이 30곡을 넘어서면서, 기본으로 평점 980을 달성하지 못하면 중앙값 top 30 안에 들어가기에도 어렵게 되었다. 중앙값 top 30 중 최저 총점 보유곡은 恋スケッチノート이며, 최다 총점 보유곡은 [[Destr0yer]]이다. BOFXV 개인 중앙값 준우승을 차지한 Lokan의 [[introspect]]는 간발의 차로 아쉽게 (980.11) 중앙값 top 30에 들지 못하게 되었다. 중앙값 1000, 평점 980을 달성한 곡 중 유일한 케이스. BOFXVI 이후로는 중앙값 우승곡이 960~970대의 평점을 기록하는 등 BOF2013 이전과 비슷한 평점 양상을 보이고 있어 당분간은 top 30 목록이 갱신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개인전 순위/한국 == === 총점/한국 === ||순위||작품명||작곡자||출품 대회||총점||임프레션 수||중앙값||평점||일평균 획득 점수|| ||1||'''[[Flashdance]]'''||music::[[litmus*]]/[br]bms::Point7less||G2R2018||{{{#red '''290726'''}}}||297||1000||978.87||'''8809.88'''|| ||2||'''[[Giselle]]'''||[[Sobrem|Widowmaker]]||G2R2018||{{{#red '''246435'''}}}||249||1000||'''989.69'''||'''7647.73'''|| ||3||'''[[Cutter]]'''||[[EmoCosine]]||BOFXVI||{{{#red '''232049'''}}}||243||999||954.93||5396.48|| ||4||'''[[DataErr0r]]'''||[[Lunatic Sounds]]||BOFU2015||{{{#red '''221885'''}}}||229||1000||968.93||5547.12|| ||5||'''[[Random(BMS)|Random]]'''||[[Sobrem]] × [[Silentroom]]||BOFXVII||{{{#red '''221654'''}}}||229||1000||967.92||4658.22|| ||6||'''[[Good Life]]'''||[[litmus*]]||G2R2018||{{{#red '''204697'''}}}||208||1000||984.12||6603.12|| ||7||'''[[花たちに希望を]]'''||[[sound piercer|Sound piercer]] feat.[[다즈비|DAZBEE]]||BOFXV||{{{#red '''200287'''}}}||204||1000||981.79||3927.19|| ||8||'''[[Rush-Hour]]'''||[[litmus*]]||BOF:ET||'''196763'''||209||980||941.44||3635.34|| ||9||'''[[Bliss]]'''||[[litmus*]]||BOFXVI||'''190983'''||206||972.5||927.10||4441.46|| ||10||'''[[Rush-More]]'''||[[litmus*]]||BOFXV||'''178285'''||185||990||963.70||3495.78|| ||11||'''[[slic.hertz]]'''||[[Sobrem]]||BOF:ET||'''177740'''||184||999||965.97||3283.87|| ||12||'''[[ELIMINATOR]]'''||[[Cosmograph]]||BOFXVI||'''176640'''||184||995.5||960.00||4107.90|| ||13||'''[[Engine]]'''||eFeL||BOFU2015||'''163862'''||168||1000||975.37||4096.55|| ||14||'''[[The Last Page]]'''||[[ARForest]]||BOFXV||'''163240'''||168||1000||971.66||3200.78|| ||15||'''Time For Revenge'''||[[RiraN]] ft. core mc||BOFXV||'''160376'''||166||1000||966.12||3144.62|| ||16||'''[[The Guardians Of The Sun]]'''||[[RiraN]]||G2R2018||'''155810'''||159||1000||979.94||4721.52|| ||17||'''2anyFirst'''||[[Sobrem]]||BOFXV||'''150454'''||154||1000||977.03||2950.07|| ||18||'''[[enchanted love]]'''||linear ring||BOFXVI||'''149225'''||157||990||950.47||3470.34|| ||19||'''[[The World of Cyber]]'''||[[DJ LATI]]||G2R2014||'''145481'''||154||980||944.68||3041.13|| ||20||'''[[Drop Down]]'''||[[Lunatic Sounds]]||BOFU2017||'''144939'''||148||1000||979.32||4141.11|| 역대 최고의 흥행이벤트 G2R2018, 한국 아티스트들이 최상위권을 휩쓴 BOFXV 및 BOFXVI를 거치며 순위가 격변했다. G2R2018에서 놀라운 흥행성적을 거둔 [[litmus*]]의 Flashdance가 2위와 약 4만 5천점이라는 점수차를 보이며 앞서고 있다. BOFU2015 우승곡인 DataErr0r보다 7만가까이 앞서는데도 3위라는 점에서 G2R2018의 규모가 실감된다. BOF:ET 기준 총점 20만점을 달성한 곡 총 27곡중, 한국인 작곡가가 참여한 곡은 총 7곡이다. === 중앙값/한국 === ||순위||작품명||작곡자||출품 대회||총점||임프레션 수||중앙값||평점|| ||1||'''[[Giselle]]'''||[[Sobrem|Widowmaker]]||G2R2018||246435||249||'''1000'''||989.69|| ||2||'''[[Dove]]'''||[[sound piercer|Sound piercer]] & [[Puru]]||BOFU2017||76887||78||'''1000'''||985.73|| ||3||'''[[Good Life]]'''||[[litmus*]]||G2R2018||204697||208||'''1000'''||984.12|| ||4||'''[[Take The Long Way Home]]'''||[[RiraN]] ft. core mc||BOFU2017||130771||133||'''1000'''||983.24|| ||5||'''[[Hyper Fiber World Spectrum]]'''||[[Crimsona]]||BOFU2016||134623||137||'''1000'''||982.64|| ||6||'''[[花たちに希望を]]'''||[[sound piercer|Sound piercer]] feat.[[다즈비|DAZBEE]]||BOFXV||200287||204||'''1000'''||981.79|| ||7||'''恋スケッチノート'''||[[sound piercer|Sound piercer]]||BOFU2017||57915||59||'''1000'''||981.61|| ||8||'''This Club is not 4 U'''||[[EmoCosine|EmoCo.]]||G2R2018||143238||146||'''1000'''||981.08|| ||9||'''The SkyScrapers'''||[[litmus*]]||BOFU2017||84293||86||'''1000'''||980.15|| ||10||'''[[introspect]]'''||Lokan||BOFXV||115654||118||'''1000'''||980.11|| ||11||'''[[The Guardians Of The Sun]]'''||[[RiraN]]||G2R2018||155810||159||'''1000'''||979.94|| ||12||'''[[Drop Down]]'''||[[Lunatic Sounds]]||BOFU2017||144939||148||'''1000'''||979.32|| ||13||'''[[Castorpollux(BMS)|Castorpollux]]'''||[[sound piercer]]||BOFU2015||106741||109||'''1000'''||979.27|| ||14||'''[[Flashdance]]'''||music:[[litmus*]]/bms::Point7less||G2R2018||290726||297||'''1000'''||978.87|| ||15||'''2anyFirst'''||[[Sobrem]]||BOFXV||150454||154||'''1000'''||977.03|| ||16||'''[[Engine]]'''||eFeL||BOFU2015||163862||168||'''1000'''||975.37|| ||17||'''[[Dizzolve]]'''||[[litmus*|Ester]]||BOFU2017||132276||136||'''1000'''||972.62|| ||18||'''[[The Last Page]]'''||[[ARForest]]||BOFXV||163240||168||'''1000'''||971.66|| ||19||'''[[DataErr0r]]'''||[[Lunatic Sounds]]||BOFU2015||221885||229||'''1000'''||968.93|| ||20||'''[[Random(BMS)|Random]]'''||[[Sobrem]] × [[Silentroom]]||BOFXVII||221654||229||'''1000'''||967.92|| G2R2018을 거치면서 중앙값 1000점 달성곡이 총 16곡, BOFXV를 거치면서 총 21곡으로 늘어나 상위 20위 안의 모든 곡이 중앙값 1000점을 달성하게 되었다. 또, BOFXV를 거치며 상위 10위 이내의 모든 곡이 중앙값 1000, 평점 980을 달성하였다. 상위 20위 이내의 모든 곡들이 BOFU2015 이후에 출품된 곡들이며, 당시 최초로 중앙값 1000을 달성한 4곡 중 3곡이 2019년까지도 상위 20위 안에 남아 있다. 2015년 이후 한국 작가들의 실력이 눈부시게 발전했음을 알 수 있는 부분. === 평점/한국 === ||순위||작품명||작곡자||출품 대회||총점||임프레션 수||중앙값||평점|| ||1||'''[[Giselle]]'''||[[Sobrem|Widowmaker]]||G2R2018||246435||249||1000||{{{#red '''989.69'''}}}|| ||2||'''[[Dove]]'''||[[sound piercer|Sound piercer]] & [[Puru]]||BOFU2017||76887||78||1000||{{{#red '''985.73'''}}}|| ||3||'''[[Good Life]]'''||[[litmus*]]||G2R2018||204697||208||1000||'''984.12'''|| ||4||'''[[Take The Long Way Home]]'''||[[RiraN]] ft. core mc||BOFU2017||130771||133||1000||'''983.24'''|| ||5||'''[[Hyper Fiber World Spectrum]]'''||[[Crimsona]]||BOFU2016||134623||137||1000||'''982.64'''|| ||6||'''[[花たちに希望を]]'''||[[sound piercer|Sound piercer]] feat.[[다즈비|DAZBEE]]||BOFXV||200287||204||1000||'''981.79'''|| ||7||'''恋スケッチノート'''||[[sound piercer|Sound piercer]]||BOFU2017||57915||59||1000||'''981.61'''|| ||8||'''This Club is not 4 U'''||EmoCo.||G2R2018||143238||146||1000||'''981.08'''|| ||9||'''Widow's kiss'''||[[Sobrem|Widowmaker]]||BOFU2017||63760||65||994||'''980.92'''|| ||10||'''The SkyScrapers'''||[[litmus*]]||BOFU2017||84293||86||1000||'''980.15'''|| ||11||'''[[introspect]]'''||Lokan||BOFXV||115654||118||1000||'''980.11'''|| ||12||'''[[The Guardians Of The Sun]]'''||[[RiraN]]||G2R2018||155810||159||1000||979.94|| ||13||'''[[Drop Down]]'''||[[Lunatic Sounds]]||BOFU2017||144939||148||1000||979.32|| ||14||'''[[Castorpollux(BMS)|Castorpollux]]'''||[[sound piercer]]||BOFU2015||106741||109||1000||979.27|| ||15||'''[[Flashdance]]'''||music:[[litmus*]]/bms::Point7less||G2R2018||290726||297||1000||978.87|| ||16||'''2anyFirst'''||[[Sobrem]]||BOFXV||150454||154||1000||977.03|| ||17||'''[[Engine]]'''||eFeL||BOFU2015||163862||168||1000||975.37|| ||18||'''[[Unshakable]]'''||[[RiraN]]||BOFU2016||103125||106||997||972.88|| ||19||'''[[Dizzolve]]'''||[[litmus*|Ester]]||BOFU2017||132276||136||1000||972.62|| ||20||'''HoneyButterBass'''||[[Sobrem]] feat.[[sound piercer|Sound piercer]]||BOFU2017||47643||49||990||972.31|| BOFXV 종료를 기점으로 총 11곡이 평점 980점을 돌파하고 있으며, TOP 20 이내 곡은 모두 BOFU2015 이후의 출품작이다. BOF2013년에 출품된 [[Circuitry]]는 무려 2018년까지 6년간 상위 20위권을 지키다 2019년 BOFXV에 들어서야 상위 20권에서 빠지게 되었다. == 팀전 순위 == === 팀 순위/총점 === * BOF2010부터 도입된 에이스곡 보정 포함 점수.[* BOF:ET 이후로 에이스곡 제도가 파이널 스트라이커 제도로 바뀌면서 보정 배율이 1.25에서 1.5로 증가했다.] ||순위||팀명||출전 대회||팀 총점||곡 수||임프레션 수||팀 중앙값||팀 평점||일평균 획득 점수|| ||1||'''除草剤'''||G2R2018||'''{{{#!html 1074089}}}'''||3||995||1000||964.31||32548.15|| ||2||'''R.I.P.'''||G2R2018||'''{{{#red 813938}}}'''||3||718||1000||979.91||24664.79|| ||3||'''孤高クローバー'''(2016)||BOFU2016||'''{{{#red 652344}}}'''||3||595||1000||971.8||13590.5|| ||4||'''Memoirs'''||BOF2012||'''{{{#red 647848}}}'''||3||606||990||966.8||18509.94|| ||5||'''Seville Film Studio'''||G2R2018||'''{{{#red 638535}}}'''||3||580||1000||978.55||19349.55|| ||6||'''孤高クローバー'''(2017)||BOFU2017||'''{{{#red 630007}}}'''||2||463||980||841.9||17027.18|| ||7||'''Guardians of the OTOGE'''||BOF:ET||'''594632'''||4||743||990||952.13||10986.27|| ||8||'''#SexyTime with litmus*'''||G2R2018||'''569451'''||3||513||999||968.36||17256.09|| ||9||'''3ight'''||BOF2011||'''557607'''||3||523||990||961.7||15931.62|| ||10||'''SILENTROOM'''||BOFU2017||'''546455'''||4||652||1000||977.6||14769.05|| ||11||'''ウオウオ'''(2022)||BOF:ET||'''544732'''||4||670||980||943.76||10064.33|| ||12||'''ウオウオ'''(2020)||BOFXVI||'''541178'''||4||697||980||948.4||12585.53|| ||13||'''Glitch Throne'''||BOFU2015||'''539569'''||3||502||999||964.3||13489.22|| ||14||'''PARTY PARROT'''||BOFXVI||'''537603'''||4||710||990||949.8||12502.39|| ||15||'''234 Trident'''||BOF2012||'''528444'''||3||519||960||931.3||15098.4|| ||16||'''Lyrical Signal'''||BOF2010||'''526916'''||3||495||998||961.2||14636.55|| ||17||'''BMSから逃げるな'''||G2R2018||'''526710'''||3||508||998||968.54||15960.91|| ||18||'''カタストロフィー理論'''||G2R2014||'''524019'''||3||474||999||966.6||14556.08|| ||19||'''あの日聴いた曲の名前を僕達はまだ知らない。'''||BOF2011||'''523494'''||3||475||990||961.9||14956.97|| ||20||'''リア充'''||BOF2011||'''518116'''||3||489||985||965.1||14803.31|| ||21||'''Lyrical Signal Revival'''||BOF2011||'''512215'''||3||482||980||964.3||14634.71|| ||22||'''sniped/pierced'''||G2R2018||'''493599'''||3||441||1000||979.57||14957.55|| ||23||'''のらねこさい'''(2014)||G2R2014||'''491400'''||3||461||990||961.1||13650|| ||24||'''地味に窮地'''||G2R2018||'''484072'''||3||442||999||975.85||14668.85|| ||25||'''のらねこさい'''(2015)||BOFU2015||'''473438'''||3||456||999.5||965.6||11835.95|| ||26||'''AESTORIA'''||BOFXVII||'''468449'''||3||452||980||955.8||9844.81|| ||27||'''True Colours'''||BOFXV||'''454988'''||3||414||1000||978.0||8921.33|| ||-||Black Jacks[* [[Jack-the-Ripper◆]]에 에이스곡 보정을 가한다고 가정할 경우]||BOF2009||445782||3||439||960||919.3||15920.78|| ||28||'''ノリと勢い'''||BOFU2016||'''433489'''||6||818||995||974.0||9031.02|| ||29||'''音ゲーがうまい'''||G2R2018||'''428784'''||3||417||980||947.88||12993.45|| ||30||'''Team Yesod'''||G2R2018||'''426612'''||3||387||999||970.12||12927.64|| G2R2018이 역대 최고 흥행을 기록하면서 TOP 30 순위 안에 무려 11팀이 들어오는 대이변이 벌어졌다. 우승팀 除草剤는 BMS 이벤트 사상 최초로 '''100만점'''을 뚫는 대기록을 세웠으며 준우승, 3위, 4위 팀까지도 대부분의 역대 팀전 총점 우승팀을 가볍게 누르고 최상위권에 자리하게 되었다. BOFU2016와 BOFU2017에서 [[LeaF]]의 팀 孤高クローバー가 역대 3위와 6위를 각각 기록하고 있으며, BOFU2016때의 경우 1인팀으로 세운 놀라운 점수이다. 대회 당시 총점 순위 1위와 2위 곡이 한 팀에 있었던 BOF2012의 팀 Memoirs가 약 65만점이라는 수치로 4위를 기록하고 있다. 1위 除草剤, 3위 孤高クローバー(2017) 팀의 경우 에이스 보정 포함 1곡당 무려 평균 30만점 이상이라는 말이 안 되는 수치를 기록 중이다. 노라네코사이 팀은 3년동안 전부 30위권 내에 안착해 있었으나, 2017년에 사라졌다. BOF2013의 경우에는 팀전 우승 팀조차도 팀 총점 상위 30위에 들지 못하였다. BOFU2017에서 두 팀이 Top 10 안에 들어갔으나 그 두 팀을 제외하고는 Top 30 안에 들지 못하였다. 에이스 보정이 없었던 시대인 BOF2009의 우승팀 Black Jacks팀은 현재 룰에 의한 보정을 하면 상위 30위 안에 위치한다. BOF2004 우승팀인 nullpo corperation은 10배 보정 시 이 순위에 들어갔었지만, G2R2018을 기점으로 30위 밖으로 밀려난다. 팀전 총점 TOP 30 안에 들어온 한국인팀은 총 8팀으로, BOFU2015의 우승팀 Glitch Throne, BOFXVI 준우승팀이자 한국팀 중 전력으로는 역대 최강급으로 평가받는 PARTY PARROT, G2R2018에서 높은 성적을 거둔 [[litmus*]] 1인팀, Team Yesod (2018, 2020), Virtual Youtuber, sniped/pierced, BOFXV 우승팀 True Colours이 있다. === 팀 순위/중앙값 === 팀 순위 중앙값과 평점은 개인전 순위와 다르게 평점이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만 나와 있다. 하지만 소수점 둘째자리부터는 다 다르기 때문[* 임프레 수와 총점의 비율이 정확히 일치하기는 힘들다.]에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같다고 하더라도 정확한 계산을 통해서 순위가 작성되었다. 현재 팀 중앙값 1000을 달성한 팀은 '''16팀'''이다. ||순위||팀명||출전 대회||팀 총점||곡 수||임프레션 수||팀 중앙값||팀 평점|| ||1||'''COLORTRONICS 2017'''||BOFU2017||194355||3||186||{{{#red '''1000'''}}}||980.8|| ||2||'''R.I.P.'''||G2R2018||813938||3||718||{{{#red '''1000'''}}}||979.91|| ||3||'''sniped/pierced'''||G2R2018||493599||3||441||{{{#red '''1000'''}}}||979.57|| ||4||'''Seville Film Studio'''||G2R2018||638535||3||580||{{{#red '''1000'''}}}||978.55|| ||5||'''MEGALOPULSE'''||BOFU2016||371526||3||354||{{{#red '''1000'''}}}||978.3|| ||6||'''True Colours'''||BOFXV||454988||3||414||{{{#red '''1000'''}}}||978.0|| ||7||'''SILENTROOM'''||BOFU2017||546455||4||652||{{{#red '''1000'''}}}||977.6|| ||8||'''Virtual Youtuber'''||G2R2018||418063||3||388||{{{#red '''1000'''}}}||977.09|| ||9||'''Futurist Voices'''||BOFU2016||395481||3||354||{{{#red '''1000'''}}}||976.3|| ||10||'''孤高クローバー'''(2016)||BOFU2016||652344||3||595||{{{#red '''1000'''}}}||971.8|| ||11||'''黒船ユナイテッド'''||BOFU2017||181613||4||210||{{{#red '''1000'''}}}||969.7|| ||12||'''13/VIS'''||BOFU2017||346433||4||443||{{{#red '''1000'''}}}||969.0|| ||13||'''自主休講'''||BOFU2015||250391||3||231||{{{#red '''1000'''}}}||968.4|| ||14||'''Re:Resolutions'''||BOFU2015||325178||3||293||{{{#red '''1000'''}}}||966.9|| ||15||'''除草剤'''||G2R2018||1074089||3||995||{{{#red '''1000'''}}}||964.31|| ||16||'''NEW MUSIC!!'''||BOFU2017||261645||3||238||{{{#red '''1000'''}}}||961.9|| ||17||'''のらねこさい'''(2015)||BOFU2015||473438||3||456||'''999.5'''||965.6|| ||18||'''大人げない人たち'''||BOFU2017||202733||3||184||'''999'''||976.9|| ||19||'''地味に窮地'''||G2R2018||484072||3||442||'''999'''||975.85|| ||20||'''Resolutions'''||G2R2014||278808||3||250||'''999'''||974.5|| ||21||'''「LAZY-ESC」'''||BOFU2017||257500||3||228||'''999'''||970.4|| ||22||'''Team Yesod'''||G2R2018||426612||3||387||'''999'''||970.12|| ||23||'''#SexyTime with litmus*'''||G2R2018||569451||3||513||'''999'''||968.36|| ||24||'''パワー'''||BOFU2017||277177||2||182||'''999'''||967.3|| ||25||'''カタストロフィー理論'''||G2R2014||524019||3||474||'''999'''||966.6|| ||26||'''Glitch Throne'''||BOFU2015||539569||3||502||'''999'''||964.3|| ||27||'''Red Velvet'''||BOFU2017||310362||3||285||'''998'''||972.9|| ||28||'''BMSから逃げるな'''||G2R2018||526710||3||508||'''998'''||968.54|| ||29||'''GOODMEN'''||BOFU2017||274024||3||234||'''998'''||964.8|| ||30||'''Lyrical Signal'''||BOF2010||526916||3||495||'''998'''||961.2|| BOFU2016, BOFU2017, G2R2018 최근 3년의 대회에서 가공할 수준의 중앙값과 평점이 나와 기존에 있던 팀들이 대량으로 삭제되었다. === 팀 순위/평점 === 현재 팀 평점 980 이상을 기록한 팀은 '''1팀''', 970 이상을 기록한 팀은 총 '''27팀'''이다.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표기되어 있으나, 둘째 자리부터는 다 다르기에 공동 순위는 없다. ||순위||팀명||출전 대회||팀 총점||곡 수||임프레션 수||팀 중앙값||팀 평점|| ||1||'''COLORTRONICS 2017'''||BOFU2017||194355||3||186||1000||'''{{{#!html 980.8}}}'''|| ||2||'''R.I.P.'''||G2R2018||813938||3||718||1000||{{{#red '''979.91'''}}}|| ||3||'''sniped'''||BOFU2017||161416||2||99||990||{{{#red '''979.6'''}}}|| ||4||'''sniped/pierced'''||G2R2018||493599||3||441||1000||{{{#red '''979.57'''}}}|| ||5||'''Seville Film Studio'''||G2R2018||638535||3||580||1000||{{{#red '''978.55'''}}}|| ||6||'''MEGALOPULSE'''||BOFU2016||371526||3||354||1000||{{{#red '''978.3'''}}}|| ||7||'''True Colours'''||BOFXV||454988||3||414||1000||{{{#red '''978.0'''}}}|| ||8||'''SILENTROOM'''||BOFU2017||546455||4||652||1000||{{{#red '''977.6'''}}}|| ||9||'''Virtual Youtuber'''||G2R2018||418063||3||388||1000||{{{#red '''977.09'''}}}|| ||10||'''大人げない人たち'''||BOFU2017||202733||3||184||999||{{{#red '''976.9'''}}}|| ||11||'''Futurist Voices'''||BOFU2016||395481||3||354||1000||{{{#red '''976.3'''}}}|| ||12||'''sweez / fluffy / 滅茶PIPE'''||BOFU2017||135450||3||129||999||{{{#red '''976.1'''}}}|| ||13||'''地味に窮地'''||G2R2018||484072||3||442||999||{{{#red '''975.85'''}}}|| ||14||'''Resolutions'''||G2R2014||278808||3||250||999||'''974.5'''|| ||15||'''ノリと勢い'''||BOFU2016||433489||6||818||995||'''974.0'''|| ||16||'''ああ…翡翠茶漬け…'''||G2R2018||333601||3||324||996||'''973.89'''|| ||17||'''ああ…翡翠茶漬け… ~もっと おかわり!~'''||BOFU2016||170806||3||165||990||'''973.6'''|| ||18||'''Red Velvet'''||BOFU2017||310362||3||285||998||'''972.9'''|| ||19||'''Re/Im:agine'''||BOFU2016||302547||3||268||995||'''972.7'''|| ||20||'''紅蓮月影 VS 魔界都市ニイガタ'''||BOFU2017||204546||3||202||990||'''972.5'''|| ||21||'''エレピ3兄弟'''||G2R2014||243067||3||232||990||'''972.3'''|| ||22||'''孤高クローバー'''||BOFU2016||652344||3||595||1000||'''971.8'''|| ||23||'''ああ…翡翠茶漬け… ~もっともっとおかわり!~'''||BOFU2017||215558||3||203||990||'''971.5'''|| ||24||'''KUROSHIRO'''||BOFU2017||345016||3||313||990||'''971.5'''|| ||25||'''「LAZY-ESC」'''||BOFU2017||257500||3||228||999||'''970.4'''|| ||26||'''Team Yesod'''||G2R2018||426612||3||387||999||'''970.12'''|| ||27||'''僕の私のM@ster&Peace!'''||G2R2018||311922||3||297||992||'''970.03'''|| ||28||'''黒船ユナイテッド'''||BOFU2017||181613||4||210||1000||'''969.7'''|| ||29||'''なめプ'''||BOFU2015||285656||3||265||990||'''969.7'''|| ||30||'''BMSから逃げるな'''||G2R2018||526710||3||508||998||'''968.54'''|| BOFU2016 대회에서 6팀이나 평점이 970을 넘었고 특히 1위 팀인 MEGALOPULSE는 970점 후반대를 받으며 980점대 평점 팀의 가능성을 열었고 바로 이듬해인 BOFU2017에서 [[sound piercer|Sound piercer]]와 [[Sobrem]], [[Puru]] 합작팀 COLORTRONICS 2017가 최초로 평점 980점을 뚫으며 1위에 자리했다. BOFU2016에서 같은 임프레 수를 기록한 MEGALOPULSE와 Futurist Voices의 관계가 상당히 특이한데, 총점은 Futurist Voices가 높은데도 불구하고, MEGALOPULSE의 평점이 더 높다. 이는 MEGALOPULSE 쪽에서 비에이스곡의 활약이 더 두드러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PABAT!]] 2017에서 중앙값 1위를 기록했던 작곡가 [[Sobrem|Widowmaker]]가 참가한 sniped 팀은 당시 기준 역대 2위 (BOFXV 기준 역대 3위) 평점을 기록하며, 유일한 임프레 두 자릿수 대 팀으로 순위권에 등재되었다. 특이사항으로 동일 컨셉의 팀이 다년간 TOP 30에 올라온 사례가 2개 있는데, [[ああああ]]가 참가한 팀 ああ…翡翠茶漬け…(3회), Widowmaker가 참가한 팀 sniped(2회) 이다. == 기타 == 개인부분 총점과 중앙값을 모두 석권 ||번호||작품명||작곡자||출품 대회||총점||임프레션 수||중앙값||평점||팀 석권|| ||1||'''[[路上のギリジン#s-2|路上のギリジン-Shou+rt Mix-]]'''||tarolabo||BOF2006||7130||76||95[* 100점 임프레 시대. 공식적인 중앙값 집계는 하지 않음]||93.81|| X[* 팀 중앙값은 동률(90점)이나 팀 평균값 석권 실패. 총점 우승은 soundDeMP, 평균값 우승은 Sunset Cafe Del Mar ] || ||2||'''[[conflict]]'''||[[siromaru]] + [[Cranky]]||BOF2011||266347||273||1000||975.63|| X[* 팀 총점 석권 실패. 총점 우승은 3ight, 중앙값 우승은 あの日聴いた曲の名前を僕達はまだ知らない。 ] || ||3||'''[[Äventyr]]'''||[[Grand Thaw]]||BOF2012||247808||254||1000||975.62|| O[* 최초의 그랜드 슬램 달성, 팀명은 Memoirs] || ||4||'''[[花たちに希望を]]'''||[[sound piercer|Sound piercer]] feat.[[다즈비|DAZBEE]]||BOFXV||200287||204||1000||981.79|| O[* 2번째 그랜드 슬램 달성, 팀명은 True Colours] || ||5||'''[[NightTheater]]'''||わかどり||BOFXVI||241899||250||1000||967.59|| X[* 팀 중앙값 석권 실패. 중앙값 우승은 TRINTIA] || 서로 다른 대회에서 총점과 중앙값(2006년까지는 평점)을 각각 석권한 작곡가는 [[Nankumo]]([[DRAGONLADY]], [[T-EDIT]])와 [[Sobrem]]([[Random]], [[Giselle]])이 있다. 개인전 총점 1,2위 최대, 최소 격차[* BOF2009 이전은 고려하지 않음] ||항목||대회명||순위||작곡가||작품명||점수||격차|| ||<|2>최대||<|2>G2R2014||1위||[[削除]]||[[Altale]]||263326||<|2>70075|| ||2위||[[xi]]||[[Aragami]]||193251|| ||<|2>최소||<|2>BOF2009||1위||[[Nankumo]]||[[DRAGONLADY]]||172455||<|2>3650|| ||2위||[[sasakure.UK]]||[[Jack-the-Ripper◆]]||168805|| 개인전 평점 1,2위의 최대, 최소 격차[* BOF2009 이전은 고려하지 않음] ||항목||대회명||순위||작곡가||작품명||점수||임프레 수||평점||격차|| ||<|2>최대||<|2>BOFXVII||1위||[[Project-G|ProjectG]]||[[Regain]]||162792||167||974.8023||<|2>6.8810|| ||2위||[[Sobrem]] × [[Silentroom]]||[[Random(BMS)|Random]]||221654||229||967.9213|| ||<|2>최소||<|2>BOFXVI||1위||わかどり||[[NightTheater]]||241899||250||967.596||<|2>0.1186|| ||2위||qfeileadh||[[Psalms ~魂の還るばしょ~]]||149959||155||967.4774|| 개인전 총점 최다 우승 ||순위||작곡자||출품 대회||작품명||합작 여부|| ||<|2>1||<|2>'''[[削除]]'''||G2R2014||[[Altale]]||X|| ||[[G2R2018]]||[[Destr0yer]]||X|| ||<|2>2||<|2>'''[[Silentroom]]'''||BOFU2017||[[Nhelv]]||X|| ||BOFXVII||[[Random(BMS)|Random]]||O[* Sobrem × Silentroom의 합작]|| ||<|2>3||<|2>'''わかどり'''||BOFXVI||[[NightTheater]]||X|| ||BOF:ET||[[New York Back Raise]]||O[* saaa + kei_iwata + stuv + わかどり의 합작]|| 개인전 총점 최다 준우승 ||번호||작곡자||출품 대회||작품명|| ||<|2>1||<|2>'''[[sasakure.UK]]'''||BOF2008||[[AVALON]]|| ||BOF2009||[[Jack-the-Ripper◆]]|| ||<|2>2||<|2>'''[[Junk]]'''||BOF2010||[[elegante]]|| ||BOF2013||[[The Formula]]|| ||<|2>3||<|2>'''[[xi]]'''||G2R2014||[[Aragami]]|| ||BOFU2015||[[Dreadnought]]|| 개인전 총점 최다 3위 ||번호||작곡자||출품 대회||작품명|| ||<|3>1||<|3>'''[[litmus*]]'''||[[G2R2018]]||[[Flashdance]]|| ||BOFXVI||[[Bliss]]|| ||BOF:ET||[[Rush-Hour]]|| 로얄로더 [* 첫 대회인 2004년 포함.] ||출품 대회||작곡자||작품명|| ||BOF2004||'''[[AKITO]]'''||[[7つの鍵盤のためのソナタ -嬰ニ短調-]]|| ||BOFXVI||'''わかどり'''||[[NightTheater]]|| 참가팀이 여러 번 우승한 작곡가 ||순위||작곡자||출품 대회||팀 이름||<-12><:>작품 목록[* 작곡가의 곡에 볼드 처리.]|| ||<|4>1||<|4>'''[[LeaF]]'''||G2R2014||カタストロフィー理論||<-4><:>'''[[Poison AND÷OR Affection]]'''||<-4><:>[[Altale]]||<-4><:>[[BLUE SCREAM]]|| ||BOFU2016||孤高クローバー||<-4><:>'''[[Aleph-0]]'''||<-4><:>'''[[Alice in Misanthrope -厭世アリス-]]'''||<-4><:>'''[[ATHAZA]]'''|| ||BOFU2017||孤高クローバー||<-6><:>'''[[もぺもぺ]]'''||<-6><:>'''[[Lyrith -迷宮リリス-]]'''|| ||G2R2018||除草剤||<-4><:>[[Bad Elixir]]||<-4><:>[[Destr0yer]]||<-4><:>'''[[MARENOL]]'''|| ||<|3>2||<|3>'''[[SHIKI]]'''||BOF2004||ぬるぽコーポレーション||<-4><:>'''[[- Jupiter -]]'''||<-4><:>[[七つの鍵盤のためのソナタ -嬰ニ短調-]]||<-4><:>[[Red-rize "B172 mix"]]|| ||BOF2008||友達なんか要りません||<-4><:>'''[[Lapis]]'''||<-4><:>'''[[Pure Ruby]]'''||<-4><:>'''[[CHASER]]'''|| ||BOF2009||Black Jacks||<-4><:>[[Jack-the-Ripper◆]]||<-4><:>[[Her Majesty]]||<-4><:>'''[[BABYLON]]'''|| ||<|3>2||<|3>'''[[削除]]'''||BOF2011||3ight||<-4><:>'''[[Neurotoxin]]'''||<-4><:>'''[[VALLISTA]]'''||<-4><:>'''[[Laplace]]'''|| ||G2R2014||カタストロフィー理論||<-4><:>[[Poison AND÷OR Affection]]||<-4><:>'''[[Altale]]'''||<-4><:>[[BLUE SCREAM]]|| ||G2R2018||除草剤||<-4><:>[[Bad Elixir]]||<-4><:>'''[[Destr0yer]]'''||<-4><:>[[MARENOL]]|||| ||<|2>3||<|2>'''[[sasakure.UK]]'''||BOF2005||♂ShooTinG StaR★ミ||<-4><:>[[雪月夜鐘]]||<-4><:>[[物怪舞踏]]||<-4><:>'''[[海神寓拝]]'''|| ||BOF2009||Black Jacks||<-4><:>'''[[Jack-the-Ripper◆]]'''||<-4><:>[[Her Majesty]]||<-4><:>[[BABYLON]]|| ||<|2>3||<|2>'''[[Grand Thaw]]'''||BOF2010||Lyrical Signal||<-4><:>'''[[ERIS]]'''||<-4><:>[[風仁雷仁]]||<-4><:>[[Halcyon]]|| ||BOF2012||Memoirs||<-4><:>[[HAELEQUIN]]||<-4><:>'''[[Äventyr]]'''||<-4><:>[[Lieselotte]]|| ||<|2>3||<|2>'''[[xi]]'''||BOF2010||Lyrical Signal||<-4><:>[[ERIS]]||<-4><:>[[風仁雷仁]]||<-4><:>'''[[Halcyon]]'''|| ||G2R2018||除草剤||<-4><:>'''[[Bad Elixir]]'''||<-4><:>[[Destr0yer]]||<-4><:>[[MARENOL]]|||| ||<|2>3||<|2>'''qfeileadh'''||BOFXVII||AESTORIA||<-4><:>[[Luminaria]]||<-4><:>'''[[アルスノヴァに喝采を]]'''||<-4><:>[[無機質世界に彩を]]|| ||BOF:ET||Guardians of the OTOGE||<-3><:>[[Rush-Hour]]||<-3><:>'''[[ヒュブリスの頂に聳えるのは]]'''||<-3><:>[[Song]]||<-3><:>* this game does not exist *|| 총점 1위, 2위팀에 동시에 곡 제공 ||참가 대회||작곡가||팀 이름||<-12><:>작품 목록[* 작곡가의 곡에 볼드 처리]|| ||<|2>BOFXV||<|2>'''GUANA'''||True Colours||<-4><:>'''Another Day'''||<-4><:>[[introspect]]||<-4><:>[[花たちに希望を]]|| ||同人時代||<-4><:>'''Flinty'''||<-4><:>[[MAGENTA POTION]]||<-4><:>Time For Revenge|| ||<|2>BOF:ET||<|2>'''qfeileadh'''||Guardians of the OTOGE||<-3><:>[[Rush-Hour]]||<-3><:>'''[[ヒュブリスの頂に聳えるのは]]'''||<-3><:>[[Song]]||<-3><:>* this game does not exist *|| ||ウオウオ||<-3><:>[[New York Back Raise]]||<-3><:>ネイクド・ワイルド・パラノイド||<-3><:>Peridot||<-3><:>'''[[MESMERA]]'''|| 작곡가 1인팀 우승 ||번호||작곡자||출품 대회||팀 이름||||||작품 목록|| ||1||'''[[SHIKI]]'''||BOF2008||友達なんか要りません||[[Lapis]]||[[Pure Ruby]]||[[CHASER]]|| ||2||'''[[削除]]'''||BOF2011||3ight||[[Neurotoxin]]||[[VALLISTA]]||[[Laplace]]|| ||3||'''[[LeaF]]'''||BOFU2016||孤高クローバー||[[Aleph-0]]||[[Alice in Misanthrope -厭世アリス-]]||[[ATHAZA]]|| 최다 개인 우승곡 BGA 제작자 ||순위||BGA 제작자||출품 대회||작품명|| ||<|2>1||<|2>'''[[TOHRU MiTSUHASHi]]'''||BOF2008||[[Lapis]][* KANON 명의로 제작]|| ||BOF2009||[[DRAGONLADY]][* Cube3 명의로 제작]|| 최다 개인 평점 1위곡 BGA 제작자 ||순위||BGA 제작자||출품 대회||작품명|| ||<|2>1||<|2>'''百舌谷'''||G2R2014||[[Dstorv]][* Sight 명의로 제작]|| ||BOF2016||[[Black Lotus(BMS)|Black Lotus]]|| 팀의 곡들이 전부 Top 10 ||번호||팀 이름||참가 대회||<-6><:>작품 목록(순위)||순위 평균|| ||1||'''ぬるぽコーポレーション'''||BOF2004||||<:>[[七つの鍵盤のためのソナタ -嬰ニ短調-]](1)||||<:>[[Red-rize "B172 mix"]](2)||||<:>[[- Jupiter -]](5)||2.67|| ||2||'''catnap'''||BOF2004||||<:>とびらにじいろ(3)||||<:>x-Aria(4)||||<:>adolescent person(8)||5.00|| ||3||'''♂ShooTinG StaR★ミ'''||BOF2005||||<:>[[海神寓拝]](1)||||<:>[[物怪舞踏]](3)||||<:>[[雪月夜鐘]](5)||3.00|| ||4||'''Black Jacks'''||BOF2009||||<:>[[Jack-the-Ripper◆]](2)||||<:>[[BABYLON]](4)||||<:>[[Her Majesty]](5)||3.67|| ||5||'''Lyrical Signal'''||BOF2010||||<:>[[Halcyon]](1)||||<:>[[ERIS]](3)||||<:>[[風仁雷仁]](9[* 에이스 보정 포함 시 14등])||4.33|| ||6||'''3ight[* 현재 이 목록에서 유일한 1인팀이다.]'''||BOF2011||||<:>[[VALLISTA]](2)||||<:>[[Neurotoxin]](7)||||<:>[[Laplace]](9[* 에이스 보정 포함 시 13등])||6.00|| ||7||'''234 Trident'''||BOF2012||||<:>[[Valedict]](3)||||<:>[[Valhalla]](7)||||<:>[[Kronos]](9[* 에이스 보정 포함 시 12등])||6.33|| ||8||'''のらねこさい'''||G2R2014||||<:>[[Aragami]](2)||||<:>[[GO BACK 2 YOUR RAVE]](6)||||<:>[[オトゲラヴ!]](10[* 에이스 보정 포함 시 14등])||6.00|| ||9||'''孤高クローバー'''||BOFU2017||<-3><:>[[もぺもぺ]](3)||<-3><:>[[Lyrith -迷宮リリス-]](5)||4.00|| ||10||'''除草剤'''||G2R2018||||<:>[[Destr0yer]](1)||||<:>[[MARENOL]](5)||||<:>[[Bad Elixir]](7)||4.33|| 유튜브 내의 BGA 역대 조회수 ||순위||작품명||작곡자||출품 대회||조회수|| ||1||'''[[もぺもぺ]]'''||[[LeaF]]||BOFU2017||10,067,951회[* 2022년 5월 5일 기준][* MARENOL과 함께 조회수 400만회를 달성한 곡으로, 현재는 MARENOL의 조회수를 훌쩍 넘어선 천만 조회수를 넘겼으며, 5년이 지난 2022년에도 조회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MARENOL과 もぺもぺ 두 곡 모두 [[LeaF|같은 작곡가]]가 만들었다는 것이 특징.]|| ||2||'''[[MARENOL]]'''||[[LeaF]]||G2R2018||6,926,988회[* 2022년 5월 5일 기준][* 이 곡이 유튜브에 올라와있는 BGA에서 최초로 조회수 400만회를 달성했으나, もぺもぺ에게 최다 조회수 자리를 넘겨주게 되었다. 아무래도 연령 제한의 비중이 큰 듯.]|| ||3||'''[[B.B.K.K.B.K.K.]]'''||[[nora2r]]||BOF2013||3,988,330회[* 2022년 5월 5일 기준]|| BOF 최다 참가팀[* 팀명과 멤버의 변화가 없다는 조건 한정] ||순위||팀명||대회 참가 횟수||||||멤버|| ||1||'''Maple brit'S'''||BOF2005~BOFU2016(11번)[* BOFU2017에 불참하면서 기록 갱신이 종료됐다. 연장된 신청기간 동안 MapleA라는 팀으로 yassu를 제외한 나머지 두명이 참가하기는 했다.]||[[Ym1024]]||HOUJIROU||yassu|| 우승팀이 개인 우승곡 배출 실패 ||번호||팀명||출품 대회||팀 1위곡||팀 최고점||당해 우승곡||우승곡 점수|| ||1||'''Black Jacks'''||BOF2009||[[Jack-the-Ripper◆]]||168805||[[DRAGONLADY]]||172455|| ||2||'''3ight'''||BOF2011||[[VALLISTA]]||218401||[[conflict]]||266347|| ||3||'''無課金'''||BOF2013||[[The Formula]]||144050||[[B.B.K.K.B.K.K.]]||163548|| ||4||'''孤高クローバー'''||BOFU2017||[[もぺもぺ]]||208809||[[Nhelv]]||268759|| ||5||'''AESTORIA'''||BOFXVII||[[Luminaria]]||163999||[[Random(BMS)|Random]]||221654|| ||6||'''Guardians of the OTOGE'''||BOF:ET||[[ヒュブリスの頂に聳えるのは]]||219608||[[New York Back Raise]]||258059|| conflict와 Nhelv는 BOF 역사에서 기록적인 작품이고, 다른 두 개는 중독성과 코믹함으로 승부를 본 곡인 게 포인트. 우승곡 보유 팀들 중 팀 총점 최저 순위 달성 팀 ||순위||팀명||참가 대회||대회 순위||<-12><:>참가곡[* 대회 우승곡에 볼드 처리]|| ||1||'''Team ”DejaVu”'''||BOF2013||<:>'''6위'''||<-4><:>'''[[B.B.K.K.B.K.K.]]'''||<-4><:>Crafty trick||<-4><:>乙女ノススメ!|| ||2||'''[Clue]'''||BOFXVII||<:>'''3위'''||<-3><:>A Gleam for the Sightless||<-3><:>'''[[Random(BMS)|Random]]'''||<-3><:>self-dissociation||<-3><:>Sense|| ||<|4>3||'''7.31 dancer'''||BOF2009||<:>'''2위'''||<-4><:>RAPSAY||<-4><:>'''[[DRAGONLADY]]'''||<-4><:>SKYLINE|| ||'''あの日聴いた曲の名前を僕達はまだ知らない。'''||BOF2011||<:>'''2위'''||<-4><:>[[Fragment of tears]]||<-4><:>'''[[conflict]]'''||<-4><:>snow ache|| ||'''SILENTROOM'''||BOFU2017||<:>'''2위'''||<-3><:>[[Finixe]]||<-3><:>[[Implexrough]]||<-3><:>'''[[Nhelv]]'''||<-3><:>[[GAMEBOY]]|| ||'''ウオウオ'''||BOF:ET||<:>'''2위'''||<-3><:>'''[[New York Back Raise]]'''||<-3><:>ネイクド・ワイルド・パラノイド||<-3><:>Peridot||<-3><:>[[MESMERA]]|| 멤버 전원이 총점 우승을 해본 적이 있는 팀 [* 1인팀 제외, 팀 결성 이후에 우승한 경우도 포함] ||참가 대회||팀 이름||멤버||첫 우승년도||우승 곡|| ||<|3>G2R2014||<|3>'''カタストロフィー理論'''||[[削除]]||2014년||[[Altale]]|| ||[[Nankumo]]||2009년||[[DRAGONLADY]]|| ||[[LeaF]]||2016년||[[Aleph-0]]|| ||<|3>G2R2018||<|3>'''除草剤'''||[[xi]]||2010년||[[Halcyon]]|| ||[[削除]]||2014년||[[Altale]]|| ||[[LeaF]]||2016년||[[Aleph-0]]|| ||<|2>BOFXVI||<|4>'''ウオウオ'''||saaa||2022년||[[New York Back Raise]]|| ||kei_iwata||2022년||[[New York Back Raise]]|| ||<|2>BOFXVII||stuv||2022년||[[New York Back Raise]]|| ||わかどり||2020년||[[NightTheater]]|| 미달팀 기준 1곡 최다 점수 ||팀명||멤버||투고곡||총점|| ||'''カラフル・サウンズ・ポート'''(BOFU2015)||[[カラフル・サウンズ・ポート]]||[[Granblaze]]||100232.5|| 동일 대회에서 20만점 이상 기록한 곡을 2곡 이상 배출 ||번호||작곡가||당시 대회||곡명||총점|| ||<|2>1||<|2>'''[[litmus*]]'''||<|2>G2R2018||Flashdance||290726|| ||Good Life||204697|| BOF 출품곡 중 최초로 상업 리듬게임에 수록된 곡 ||1||'''[[Messier 333]]'''||BOF2009||[[sun3]]||[[EZ2DJ BERA]]로 이식|| 상업 리듬게임 출신곡이 BOF에 참가한 사례 ||1||'''[[進め!イッスン軍団 -Rebellion of the Dwarfs-]]'''||BOFU2017||dawn-system||[[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의 수록곡[* 2017년 3월 28일에 삭제됐다.]|| ## ---------------------- 주석의 내용 추가시 2016년 이후 내용 갱신 바랍니다. ## 이 아래에는 주석입니다. 시간이 안 나서 다 하지 못했네요... 정보도 부족하고. // 2019년 갱신하였습니다. ## 중앙값을 두 번 석권한 작곡가는 [[Cranky]](2009,2011)가 유일하다. 평균값을 두 번 석권한 아티스트는 해체된 [[Grand Thaw]](2011,2012)가 현재까지는 유일하다. 다른 년도의 대회에서 중앙값과 총점을 모두 석권해 본 아티스트는 [[Nankumo]](2005,2009)[* T-EDIT는 당시 평점 1위.]와 [[Cranky]](2009,2011)가 있다. ## 제출곡 수를 모두 채우지 못한 팀 중 최고 총점을 달성한 팀은 BOF2012에 출전한 すうどん로, 2곡으로 20만점을 돌파한 유이한 팀이다.[* 그 다음으로 높은 점수를 달성한 팀은 BOFU 2015에 참가한 Melodic Frontier로, 이 팀이 2곡으로 20만점을 돌파한 2번째 팀이다. 이 팀의 멤버는 Ryo Nakamura와 NIKITA다.][* 2곡으로 20만점을 돌파한 또 다른 팀인 2012년의 F.O.E.팀의 경우는 제출곡은 3곡이지만, 한 곡이 실격 처리 당한 경우라 제외했다. 참고로 이 팀도 포함하면 이 팀이 출품곡이 3곡 미만인 팀들 중 최고 점수를 달성한 팀이 된다.] 팀의 멤버는 Ras와 S-don이었다. 참고로 1곡만 출품한 팀 중 최고 성적을 기록한 팀이자 1곡으로 팀 총점 10만점을 돌파한 유일한 팀은 BOFU2015에서 [[Granblaze]] 한 곡만 출품한 カラフル・サウンズ・ポート로, 팀의 멤버는 カラフル・サウンズ・ポート 1명이다. ## 현재 20만점을 돌파한 작품의 갯수는 25개인데 15년도에 3곡, 11, 12년도에 2곡, 그리고 14, 10년도에 1곡씩 분포해있다. 동년도 대회에서 제출한 곡 중 2곡 이상이 한꺼번에 20만점을 기록한 작곡가는 LeaF 1명뿐이다. BGA 부문에선 Photonskyto가 BOFU2015에서 [[DataErr0r]]와 [[METATRON]]으로 한 대회에서 제작한 2곡 이상이 20만점을 넘긴 최초의 BGA 제작자가 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BMS OF FIGHTERS/대회 일람#s-13,version=492)][[분류:BMS OF FIGHTERS]][[분류:기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