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BMW 1시리즈)] [목차] == 개요 == [[BMW 1시리즈]]의 1세대 모델. 차체 형식별로 코드명이 다르다. 3도어 해치백은 '''E81''', 2도어 쿠페는 '''E82''', 5도어 해치백은 '''E87''', 2도어 컨버터블은 '''E88'''이다. == 상세 == === 해치백 (E81/E87, 2004~2011) === || [[파일:TumP8DQ.jpg|width=100%]] || [[파일:bWoOgc4.jpg|width=100%]] || || {{{#ffffff '''전면'''}}} || {{{#ffffff '''후면'''}}} || 2004년에 [[BMW]] 엔트리 레벨 해치백으로써 처음 선보여졌다. 종전까지는 [[BMW 3시리즈|3시리즈]] 컴팩트라는 3도어 해치백이 막내를 담당했으나, E90 3시리즈부터 컴팩트 해치백 라인을 이어나가지 않기로 하면서 1시리즈가 새로운 엔트리 해치백이 되었다. 소형차는 내부공간 활용과 연료소비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전륜구동으로 만드는 것이 정석처럼 여겨졌고, 실제로 유럽 C세그먼트 해치백 시장의 강자 [[폭스바겐 골프]], [[포드 포커스]]등이 모두 전륜구동이다. 하지만 후륜구동과 50:50 무게배분을 생명처럼 여기던 BMW는 후륜구동 컴팩트 해치백으로 도전장을 던졌다. 역시 좁은 뒷자리 공간이 단점으로 지적되었으나, 짧은 앞 오버행이 만드는 개성 넘치는 스타일, 50:50 무게배분에 의한 날카롭고 스포티한 주행감각으로 마니아들을 끌어모았다. 우려와 달리 2008년 BMW 판매량의 1/5를 1시리즈가 담당할 정도로 꾸준한 인기를 끌었다. || [[파일:XAbr9dg.jpg|width=100%]] || [[파일:kKU2jpf.jpg|width=100%]] || || {{{#ffffff '''전면'''}}} || {{{#ffffff '''후면'''}}} || 2007년에 페이스리프트를 하며 앞뒤 범퍼 및 램프류를 리디자인하고, 실내와 파워트레인도 개선하였다. === 쿠페/컨버터블 (E82/E88, 2007~2013) === [[파일:r9XvRia.jpg]] 한편 1시리즈 해치백의 승승장구로 자신감을 얻은 BMW는 2007년에 1시리즈 쿠페, 2008년에 1시리즈 컨버터블을 출시했다. [[북미]] 시장에서는 해치백의 판매 전망을 비관하였는지 128i[* 1시리즈 해치백에는 존재하지 않는 파워트레인이다.], 135i 2도어 쿠페 및 컨버터블로만 판매하였다. 1세대의 해치백이 [[일본]]에서 더러 보이는 것과 달리 해치백의 인기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대한민국]] 시장에는 177마력 2.0L 커먼레일 디젤 엔진이 장착된 120d 쿠페 사양만 수입되었다. [[파일:J40hiJ0.jpg]] 2011년에 2도어 모델이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1시리즈 해치백이 2011년에 세대교체된 것과 달리 E82 쿠페 및 E83 컨버터블은 2013년 말 [[BMW 2시리즈|2시리즈 쿠페]]로 대체되기 전까지 쭉 판매되었다.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자동차과 건물에 실습용 차량으로 북미 생산된 오렌지 색상의 카브리올레 모델 1대가 주차되어 있다 BMW와 업무 계약으로 받은거라고 한다. ==== 1시리즈 M 쿠페 ==== [[파일:bcO7faI.jpg|width=80%]] 2010년 11월에 발표된 1시리즈 최상위 고성능 모델이다. 이름이 길다보니 1M 쿠페[* [[BMW M1]]은 1970년대 말에 한정판매된 BMW 역사상 거의 유일한 공도용 수퍼카인 코드네임 E26에 이미 쓰였기 때문에 이와 구분하기 위해 1M이라고 지었다.]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E90 335is에 들어가는 N54 트윈터보 6기통 엔진을 340마력 상당으로 개량해 얹고, LSD와 6단 수동변속기를 조합한, 어떻게 보면 평범한 스펙이다. 사실 이렇게 "평범한" 스펙인 것은 1M이 공식적으로 임원진의 지원 하에 개발된 것이 아닌, 몇몇 직원이 본업 외 시간에 짬짬이 개발을 해 완성한 차량이었기 때문으로, 최대한의 개발비 감가를 위해 E92 [[BMW M3]]에서 LSD 등 최대한의 부품을 가져와 끼웠다. 게다가 본 차종이 개발되던 시점은 [[대침체|2008년 세계 금융 위기]]가 한창 진행중이던 때였다는 것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BMW M 차량 중에서는 최초로 터보차저를 장착한 차종이기도 하다. 그래서 처음 공개됐을 땐 터보 엔진이 올라갔다는 이유로 팬들에게서 비난을 받았다고 한다. 물론 1시리즈의 엔진룸 크기를 생각하면 자연흡기로는 이 정도의 출력이 나오긴 어려웠을 것이라는 부분은 생각해봐야 한다. 하지만 그 이후로 세계 각국의 배출가스 규제가 훨씬 강화되면서 BMW M 차종은 모두 [[엔진 다운사이징]]을 위해 조금씩 터보차저 엔진으로 바뀌게 된다. [[파일:tKvs7sA.jpg]] 그러나 컴팩트한 몸집의 초대 M3의 향수를 간직하고 있던 이들은 지나치게 비대하고 전자장비가 많아진 E92 M3보다도 오히려 1M을 호평했다. 와이드 바디파츠로 한껏 몸집이 부풀었으나 순정 1시리즈 쿠페 대비 35kg 가벼웠으며, 초대 M3의 크기제원에 가까운 컴팩트한 바디는 오히려 날이 갈수록 커져만 가는 최신 신차들과 다른 매력이 있었다. 때문에 내로라하는 세계적인 자동차 미디어들도 1M에 칭찬을 아끼지 않았고, 전세계적으로 이 차의 주문 문의가 쇄도하였다. 때문에 BMW는 1년간 2,700대 한정생산하기로 한 원 계획을 취소하고 6,309대를 생산해 판매하였다. 이는 후에 M2가 등장했을 때 BMW팬들이 M2를 향해 가장 M스러운 차다라는 평을 했는데 1M과 마찬가지로 BMW팬들이 C세그먼트의 M3를 얼마나 그리워했는지 잘 보여준다. [[수동변속기]]의 무덤인 [[한국]] 시장에도 50대 한정판매하기로 하고 들여왔으나, 예상과 다르게 주문이 폭주하여 계획했던 물량의 두 배 이상이 수입되어 완판되었다. 여담으로 前 탑기어 MC이자 현재 더 그랜드 투어 MC인 [[제레미 클락슨]]이 특유의 독설하나 날리지 않고 훌륭하고 완벽한 차이며, 현대의 골프 GTI[* 당시 골프 GTI도 초대 모델에 비해 덩치가 커져서 초심을 잃었다는 비판이 만연하던 때였다.]라며 극찬을 한 차이기도 하다. 단점으로는 운전석에서 네비게이션이 흐릿해서 잘 보이지 않는다고 했으며 [[탑기어(잡지)]]에서는 인터쿨러의 위치가 낮은 것(손상)과 3시리즈 대비 무게가 지적 당했다. 1시리즈는 콤팩트한 외관과 달리 3시리즈와 무게차가 크게 나는편은 아니다. 이 차는 의외로 前 [[탑기어 코리아]] 시즌 7의 MC였던 [[홍종현]]과 연관성이 깊은 차종이다. [[우리 결혼했어요|우결]] 촬영 이후 잠잠하던 그의 이름을 알린 것이 이 차 덕분이라고 한다. 연예인 드리프터 홍종현으로서 다시 한번 세상에 이름을 날리게 해준 차가 BMW 1M 이며, 실제로 홍종현은 자신의 첫차이자 애마인 1M을 D모 튜닝샵에서 튜닝을 거쳐 1M을 드리프트 머신으로 재탄생시킨데 이어 드리프트 입문 48시간만에 인제 서킷내에서 드리프트를 성공하게 된다. 탑기어의 현 호스트인 크리스 해리스는 개인적으로 한 대를 소유하고 있으며, 유튜브에서 M2를 리뷰할 때 직접 끌고 등장했다. 자신의 차는 배기구 등의 몇 가지 튜닝을 거친 차량이라 최고 출력이 400마력 정도라고 한다. 그래서 순정 대 순정 비교는 어렵다고 하면서도, M2보다 더 선호한다고 말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xkv4PiD0To|영상#]] [[https://www.topgear.com/car-news/chris-harris/chris-harris-bmw-1m|해리스가 탑기어 사이트에 쓴 칼럼]] ==== 135is 쿠페 및 카브리올레 ==== [[파일:6cWckoi.jpg]] 1시리즈 M 쿠페의 단종 이후 2012년에 출시된 고성능 모델이다. 기존 135i의 N55 6기통 트윈스크롤 터보 엔진을 튜닝하여 320마력까지 향상시켰으며, 냉각계통을 강화하였다. 1시리즈 M 쿠페에 비하면 단촐한 외모와 스펙이지만, 7단 듀얼클러치 변속기를 탑재하여 편의성을 살렸으며, 1M을 놓친 사람들에겐 그런대로 쓸만한 대안이었다. 북미 시장에서만 소량 판매되었다. ==== 액티브 E ==== [[파일:Kg7UAJp.jpg]] 1시리즈 쿠페 기반의 [[전기자동차]]. 차세대 전기차 구상을 위한 테스트 베드 목적으로 만들어졌기에 총 1,100대만이 리스 계약 형식으로 판매되었으며, 소비자들로부터 피드백을 주고 받았다. [[GM EV1|계약 기간이 끝난 차들은 한 대의 예외 없이 모두 BMW 본사로 회수되었고, 연구 보안상의 이유로 전량 폐차되었다.]] 이 차를 기반으로 연구하여 출시된 대량 생산 전기차가 바로 [[BMW i3|i3]]이다. == 제원 == ||<-2> {{{#ffffff {{{+1 '''1 SERIES'''}}}/1세대}}} || || {{{#ffffff '''생산지'''}}}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 [[작센]]주 [[라이프치히]] || || {{{#ffffff '''생산기간'''}}} || 2004년~2011년 || || {{{#ffffff '''차량형태'''}}} || 3도어 [[준중형차|준중형]] [[해치백]][br]5도어 [[준중형차|준중형]] [[해치백]][br]2도어 [[준중형차|준중형]] [[쿠페]][br]2도어 [[준중형차|준중형]] [[컨버터블]] || || {{{#ffffff '''승차인원'''}}} || 5명 || || {{{#ffffff '''섀시코드'''}}} || E81/E82/E87/E88 || || {{{#ffffff '''구동방식'''}}} || [[FR(자동차)|후륜구동]] || || {{{#ffffff '''전장'''}}} || 4,227 ~ 4,380mm || || {{{#ffffff '''전폭'''}}} || 1,748 ~ 1,803mm || || {{{#ffffff '''전고'''}}} || 1,420 ~ 1,430mm || || {{{#ffffff '''축거'''}}} || 2,660mm || || {{{#ffffff '''전륜 서스펜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 {{{#ffffff '''후륜 서스펜션'''}}} || [[멀티링크 서스펜션]] || || {{{#ffffff '''전륜 제동장치'''}}} || [[디스크 브레이크]] || || {{{#ffffff '''후륜 제동장치'''}}} || [[디스크 브레이크]] || ||<-7> {{{#ffffff '''가솔린 모델'''}}} || || {{{#ffffff '''모델'''}}} || {{{#ffffff '''엔진'''}}} || {{{#ffffff '''엔진 형식'''}}} || {{{#ffffff '''최고출력'''}}} || {{{#ffffff '''최대토크'''}}} || {{{#ffffff '''생산 기간'''}}} || {{{#ffffff '''제로백'''}}} || ||<|2> 116i || 1.6L N45B16A ||<|7> 직렬 4기통 || 114마력 || 15.4kgf·m || 2004년~2007년 || 10.8초 || || 1.6L N43B16 || 121마력 || 16.3kgf·m || 2007년~2009년 || 10.2초 || ||<|3> 118i || 2.0L N46B20 || 127마력 || 18.4kgf·m || 2005년~2007년 || 9.4초 || || 2.0L N43B20 || 141마력 || 19.4kgf·m || 2007년~2009년 || 8.8초 || || 2.0L N43B20 || 121마력 || 18.8kgf·m || 2009년~2011년 || 8.8초 || ||<|2> 120i || 2.0L N46B20 || 148마력 || 20.5kgf·m || 2004년~2007년 || 8.7초 || || 2.0L N43B20 || 168마력 || 21.4kgf·m || 2007년~2011년 || 7.8초 || || 125i || 3.0L N52B30 ||<|8> 직렬 6기통 || 215마력 || 27.5kgf·m || 2007년~2010년 || 6.4초 || || 128i || 3.0L N52B30 || 228마력 || 27.7kgf·m || 2008년~2011년 || 6.4초 || ||<|2> 130i ||<|2> 3.0L N52B30 || 261마력 || 32.1kgf·m || 2005년~2009년 || 6.1초 || || 255마력 || 31.7kgf·m || 2009년~2012년 || 6.1초 || ||<|2> 135i || 3.0L N54B30 터보 ||<|2> 302마력 ||<|2> 40.8kgf·m || 2007년~2010년 || 5.3초 || || 3.0L N55B30M0 터보 || 2010년~2013년 || 5.3초 || || 135is || 3.0L N55B30M0 터보 || 322마력 || 43.8kgf·m || 2013년 || 5.2초 || || 1M 쿠페 || 3.0L N54B30TO 터보 || 335마력 || 45.9kgf·m || 2011년~2012년 || 4.9초 || ||<-7> {{{#ffffff '''디젤 모델'''}}} || || {{{#ffffff '''모델'''}}} || {{{#ffffff '''엔진'''}}} || {{{#ffffff '''엔진 형식'''}}} || {{{#ffffff '''최고출력'''}}} || {{{#ffffff '''최대토크'''}}} || {{{#ffffff '''생산 기간'''}}} || {{{#ffffff '''제로백'''}}} || || 116d || 2.0L N47D20 터보 ||<|7> 직렬 4기통 || 114마력 || 26.6kgf·m || 2009년~2011년 || 10.3초 || ||<|3> 118d || 2.0L M47TU2D20 터보 || 121마력 || 28.6kgf·m || 2004년~2007년 || 10.0초 || || 2.0L N47D20 터보 || 141마력 || 30.6kgf·m || 2007년~2013년 || 9.0초 || || 2.0L B47D20 터보 || 148마력 || 32.6kgf·m || 2015년~2019년 || 8.3초 || ||<|2> 120d || 2.0L M47TU2D20 터보 || 163마력 || 34.7kgf·m || 2004년~2007년 || 7.9초 || || 2.0L N47D20 터보 || 174마력 || 35.7kgf·m || 2007년~2013년 || 7.6초 || || 123d || 2.0L N47D20 터보 || 201마력 || 40.8kgf·m || 2007년~2013년 || 7.0초 || == 둘러보기 == [include(틀:BMW의 차량)]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BMW 1시리즈, version=297)] [[분류:BMW/생산차량]][[분류:2004년 출시]][[분류:2013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