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MW|[[파일:BMW 로고 그레이.svg|width=10%]]]] [[BMW M|[[파일:BMW M 로고.svg|width=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ewgenm4.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66b1 50%, #003d78 75%, #e22718 100%)" {{{#fff '''M4'''}}}}}} || [목차] '''BMW M4''' == 개요 == [[BMW]]의 [[BMW 4시리즈|4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중형차|중형]] [[쿠페]] 및 [[컨버터블]]. == 역사 == === 1세대 (F82/83, 2014~2020) === || [[파일:3JJpeDA.jpg|width=100%]] || [[파일:external/a914e9666d997ee79387d4bd67b8bbed1f94a8185e6aef4993914c7a447f623b.jpg|width=100%]] || || F82 M4 쿠페 || F83 M4 컨버터블 || 원래 [[BMW 3시리즈|3시리즈]]는 컴팩트 [[세단]]과 [[쿠페]] 두 가지를 발매했다. [[BMW M]]에서도 [[BMW M3|M3]]라는 형식명 아래에 쿠페, 세단, 컨버터블을 생산했었다. 하지만 BMW에서 쿠페를 4시리즈로 독립시키면서 기존의 M3도 세단인 M3와 쿠페인 M4로 분리되었다. 이전까지의 쿠페/컨버터블/세단 라인업의 M3가 M3 세단 / M4 쿠페, 컨버터블로 분화 되었다. 과거 M3는 세단과 쿠페로 구별되어 나왔지만 굳이 따지자면 항상 쿠페 쪽이 메인이었다.[* E46 M3는 아예 세단형을 발매 하지 않았다.][* E90 / E92, F80 / F82 글로벌 판매 비율은 쿠페와 세단이 6:4정도 판매량을 보인다고 한다. 쿠페가 글로벌 기준으로 더욱 많은 판매량을 보임으로 M3쿠페가 메인임이 증명 되었다. 다만 한국에서는 E90이 수입 되지 않아 F80과 F82의 판매량 으로 추이를 짐작 할 수 있는데 글로벌과 다르게 세단의 판매량이 높았고 G80과 G82 또한 2021년 판매량에서 G80(G80 190대/G82 139대)의 비율이 높다. 하지만 2022년 7월 기준 M4가 훨씬 높은(G82 227대 G80 98(M3가 입항지연이 있다고 하지만) 판매량을 보이고 있으니 한국시장과 글로벌 시장이 비슷한 성향을 보일지 향후 지켜볼 부분)] [[BMW 4시리즈|4시리즈]] 출시 이후에 F36 4도어 그란쿠페가 출시되면서 자연스레 M4 그란쿠페도 출시되지 않느냐는 예상이 있었으나, BMW 측에서는 그란쿠페의 생산공장이 다르기 때문에 비효율성을 이유로 M4 그란쿠페는 생산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더군다나 M4 그란쿠페가 나온다면 M3와 별 차이가 없는 애매한 위치에 놓이기 때문이다. 가격은 1억 1,500만원으로 M3와 가격이 같다. 이전 모델과 다르게 자연흡기가 아닌 트윈터보 엔진이기 때문에 우려하는 시선이 많았으나 기존의 V8과는 다른 감성이지만 최대한 터보랙을 줄였고 오히려 터보엔진의 특징을 잘 발휘하여 E92와 비슷한 오히려 더욱 오버스티어 성형을 보이며 다이내믹한 주행감성을 유지 하였고 E92 부터 시작된 올라운드 성향이 더욱 두드러 졌다. 다만 최초의 EPS를 도입한 스티어링 시스템은 이전의 BMW M 쿠페스럽지 않았으며 이는 세대가 마감될 때까지 명성을 되찾지 못하였고(오히려 M2가 변화핸들링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래저래 F30/32와 함께 3시리즈 더 나아가 M3의 역사에서 향후 어떻게 평가될지 여지와 귀추가 동시에 남은 모델이다. [[파일:1B5BA581-36B6-4DD5-9343-586A44EAECDA.jpg|width=60%]] 2017년에 4시리즈, M3와 함께 페이스리프트를 했다.(M4 LCI)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전,후면 라이트 교체로, 레이저 라이트가 적용된 점이 눈에 띈다. [[파일:BMW-M4-CS-Front-Three-Quarters-2.jpg|width=60%]] 2017년 초에는 M4의 성능 강화판인 M4 CS가 출시되었다. 최고 속도는 280km/h이며 최고 출력은 460마력이다. ==== M4 GTS ==== || [[파일:external/file1.bobaedream.co.kr/Bhx5614c295912e4.jpg|width=100%]] || || F82 BMW M4 GTS || 2016년 초반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쿠페·카브리올레|C 63 AMG 블랙 시리즈]]와 [[포르쉐 911 GT3 RS]]를 겨냥한 M4 GTS가 한정판으로 전 세계 700대만 판매된다. 두 경쟁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M4 GTS의 컨셉은 데일리 카를 트랙 카 성능에 맞게 튜닝시킨다는 것이다. 0→100km/h 가속이 무려 3.8초로 BMW가 만들었던 M3 쿠페의 역대 모델들보다도 뛰어난 속력을 자랑한다. 차체는 기존 M4보다 약간 더 낮고, 거대한 리어윙이 장착된다. 거기에 엔진 실린더에 물을 분사하는 워터 인젝션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이 워터 인젝션 시스템은 알코올과 물을 섞어 분사하는 기능이다. 정확하게는 실린더 내부가 아니라 터보를 거쳐 엔진으로 들어가기 직전에 분사한다. 이를 통해 흡기 온도를 많이 낮출 수 있다. 터보차저는 장시간 가동할 경우, 엔진열 때문에 흡기온도가 많이 상승한다. 이때 흡기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가혹한 주행에도 일정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워터 인젝션 기술의 도입으로 인해 최고 출력이 일반 M4랑 비교해서 69마력이나 오른 500마력으로 증가했다. 또한 OLED로 구성된 테일렘프가 적용된다. 가격은 독일 기준으로 14만 2,600유로(약 1억 7,400만원)에 판매된다. [[더 그랜드 투어]]에서 엄청난 혹평을 받았다. [[제레미 클락슨]]이 평소 엄청나게 싫어하는 포르쉐 911을 생각하며 같이 리뷰한 911 GT3 RS가 M4 GTS보다 더 낫다고 말하며 자신이 타본 최악의 BMW라고 비판했다. 워터 인젝션 가동을 위해 매번 정차해서 물을 부어줘야하고 GT3 RS와 달리 자동 지상고 설정 시스템이 없어 방지턱을 넘을 때마다 엔지니어들을 부르고 나서 몇시간씩이나 시간을 허비한 다음에야 길을 지나갈 수 있다고 비판했다.[* M4 GTS와 같이 대량의 에어로파츠를 장착한 차량에게는 필수적인 기능이다.] 하지만 팬들의 박한 평가와 다르게 [[https://www.caranddriver.com/features/g22036108/bmw-m-series-models/ |Car and Driver]]에서 All time M division ranking에 선발된 모델이며 [[https://www.google.com/amp/s/www.evo.co.uk/bmw/m4-gts%3Famp|EVO]]에서 5스타 등급을 기록 하고 있으며 [[https://www.google.com/amp/s/www.autoexpress.co.uk/bmw/4-series/95194/bmw-m4-gts-2016-review%3Famp |Auto express]]에선 CS모델 조차 이루지 못한 핸들링을 공급한 유일한 F바디 모델이자 다시 돌아온 궁극의 차라고 평가했으며 [[https://www.motortrend.com/reviews/2016-bmw-m4-gts-first-drive-review/amp/|모터트렌드]] 또한 궁극의 귀환이라 평가 하였다.[[https://www.autobild.de/artikel/bmw-m4-gts-2016-test-m3-biturbo-reihensechser-preis-21522179.html|Autobild]]에선 역사상 가장 극단적인 M 모델이라 평가했다. ==== 제원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81C4FF, #16588E, #E7222E)" {{{#FFFFFF {{{+1 '''M4'''}}}/1세대}}}}}} || || {{{#ffffff '''생산지'''}}} ||<-3>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 [[바이에른]]주 [[오버바이에른]]현 [[뮌헨]] || || {{{#ffffff '''생산 기간'''}}} ||<-3> 2014 ~ 2020 || || {{{#ffffff '''차량 형태'''}}} ||<-3> 2도어 [[중형차|중형]] [[쿠페]] || || {{{#ffffff '''승차 인원'''}}} ||<-3> 2~4명 || || {{{#ffffff '''섀시 코드'''}}} ||<-3> F82 || || {{{#ffffff '''차량 가격'''}}} ||<-3> 1억 1,140만 ~ 1억 4,890만원 || || {{{#ffffff '''모델 구분'''}}} || '''M4''' || '''M4 CS''' || '''M4 GTS''' || || {{{#ffffff '''엔진 형식'''}}} ||<-3> 3.0L 직렬 6기통 || || {{{#ffffff '''연료'''}}} ||<-3> 가솔린 RON 95 || || {{{#ffffff '''배기량'''}}} ||<-3> 2,979cc || || {{{#ffffff '''최고출력'''}}} || 431hp || 460hp || 500hp || || {{{#ffffff '''최고토크'''}}} || 56.1kg.m ||<-2> 61.2kg.m || || {{{#ffffff '''최고속도'''}}} || 250km/h || 250 ~ 280km/h || 305km/h || || {{{#ffffff '''과급 방식'''}}} ||<-3> [[과급기|트윈터보]] || || {{{#ffffff '''복합연비'''}}} || 9.6km/L || 9.3 ~ 9.7km/L || 8.5km/L || || {{{#ffffff '''탄소 배출량'''}}} || 185 ~ 252g/km || 180 ~ 184g/km || 194g/km || || {{{#ffffff '''구동방식'''}}} ||<-3> [[FR(자동차)|FR]] || || {{{#ffffff '''변속기'''}}} ||<-3> 7단 듀얼 클러치(M-DCT) || || {{{#ffffff '''0 ~ 100km/h'''}}} || 4.1초 || 3.9 ~ 4초 || 3.8초 || || {{{#ffffff '''전장'''}}} || 4,671mm || 4,672mm || 4,689mm || || {{{#ffffff '''전폭'''}}} ||<-3> 1,870mm || || {{{#ffffff '''전고'''}}} || 1,383mm || 1,392mm || 1,379mm || || {{{#ffffff '''축거'''}}} ||<-3> 2,812mm || || {{{#ffffff '''윤거(전)'''}}} ||<-3> 1,579mm || || {{{#ffffff '''윤거(후)'''}}} ||<-3> 1,603mm || || {{{#ffffff '''공차중량'''}}} || 1,540kg || 1,625 ~ 1,650kg || 1,510 kg || || {{{#ffffff '''전륜 타이어'''}}} || 255/40R18 ||<-2> 265/35R19 || || {{{#ffffff '''후륜 타이어'''}}} || 275/40R18 ||<-2> 285/30R20 || || {{{#ffffff '''전륜 서스펜션'''}}} ||<-3>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 {{{#ffffff '''후륜 서스펜션'''}}} ||<-3> [[멀티링크 서스펜션]] || || {{{#ffffff '''전륜 브레이크'''}}} ||<-3>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 {{{#ffffff '''후륜 브레이크'''}}} ||<-3>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 2세대 (G82, 2021~) === ||[[파일:2021 BMW M4_(1).jpg|width=100%]]||[[파일:2021 BMW M4_(2).jpg|width=100%]]|| ||[[파일:2021 BMW M4_(3).jpg|width=100%]]||[[파일:2021 BMW M4_(4).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66b1 50%, #003d78 75%, #e22718 100%)" {{{#white '''M4'''}}}}}} || 2020년 9월 23일 형제차 [[BMW M3/6세대|M3]]와 함께 공개되었다. 예상대로 4시리즈 스타일의 그릴이 적용되었다. 일반 모델과 컴페티션 모델은 각각 479마력과 510마력을 발휘하고, 제로백은 3.8초. 출시 전 부터 위장막으로 가려진 모델에서 드러난 그릴이 전체적인 디자인과 매우 나쁜 부조화를 이루는 탓에 팬들에게 엄청나게 욕을 먹었다. [[뉴트리아]]나 [[비버]]의 앞니 내지는 [[맨드릴]]이나 [[하마]]의 코를 닮았다는 것이 주된 평. 전세대인 F82 M4가 워낙에 훌륭하고 미려한 디자인으로 출시되어 더욱 부각되었다.[* 베이스 모델인 [[BMW 4시리즈|4시리즈]]와 다르게 M4의 그릴 패턴은 단순하고 검은색이라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에 [[다시 보니 선녀 같다|4시리즈보단 낫다는 평가도 있다]].] 한국 시장에도 출시할 예정이며 이미 [[BMW M3/6세대|M3]]와 같이 환경부 인증을 받았다.[[http://www.top-rider.com/news/articleView.html?idxno=60486|BMW 신형 M3·M4 국내 인증, 파격적인 전면부가 압권]] ||[[파일:2022 BMW M4 컴페티션 컨버터블 M xDrive_(1).jpg|width=100%]]||[[파일:2022 BMW M4 컴페티션 컨버터블 M xDrive_(2).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66b1 50%, #003d78 75%, #e22718 100%)" {{{#white '''M4 컨버터블'''}}}}}} || 2022년 1월 22일, 컨버터블 모델이 공개되었다. 여담으로 3시리즈와 4시리즈, M3와 M4의 모델 분리가 무색하게 M4 그란쿠페가 출시 된다는 루머가 돌았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BMW i4|i4]]가 그란 쿠페 전기차로 출시되었으며 전기차 최초로 M 퍼포먼스 모델인 M50 트림[* M50 트림은 M 퍼포먼스 트림으로 보통 M모델의 한 등급 아래로 분류된다. ]이 출시되었기에 루머였던 M4 그란쿠페는 i4 M50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었나 하는 추측이 도는중이다. [[https://www.motor1.com/news/499769/no-bmw-m4-gran-coupe/|#]] 2022년 현재 국내 출시가는 1억 2,270~1억 4,380만원이다. ==== M4 CSL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TriteJadedDangerousToothbrush, 합의사항1=G82 M4의 비판 요인을 "무거운 차량무게와 M DCT의 제거 및 세팅의 변화로 줄어든 변속충격과 루즈해진 주행감 등으로 인한 호불호 및 기존 M 마니아들의 반발을 이끌어낸 점."으로 서술할 것)]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shrYQmCPsA)]}}}||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 BMW M4 CSL f ex.jpg|width=100%]]}}} || ||<#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2 BMW M4 CSL r ex.jpg|width=100%]] [[파일:2022 BMW M4 CSL exterior.jpg|width=100%]] [[파일:2022 BMW M4 CSL rear lamp.jpg|width=100%]] [[파일:2022 BMW M4 CSL in.jpg|width=100%]] [[파일:파일:2022 BMW M4 CSL seat.jpg|width=100%]] [[파일:2022 BMW M4 CSL interior.jpg|width=100%]]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66b1 50%, #003d78 75%, #e22718 100%)" {{{#white '''M4 CSL'''}}}}}} || 현지 시각 기준 2022년 5월 20일, 하드코어 모델인 M4 CSL이 공개되었다. CSL은 [[BMW]] 스포츠카 역사에 한 획을 그은 [[BMW 3.0 CSL|3.0 CSL]] 모델에서 따온 명칭이며, '''C'''ompetition '''S'''port '''L'''ightweight의 약자다. 원본 차량과 그 후속 모델을 제외하면 현재까지 [[BMW M3 #s-2.3.1|E46 M3 CSL]] 이외엔 붙여진적이 없으며 약 18년 만에 돌아온, BMW의 초고성능 경량화 모델을 상징하는 명칭이다. 이런 상징성있는 명칭을 붙인 데다 M4가 현재 BMW 모터스포츠의 메인 레이스 카로 활약[* [[BMW M8|M8 GTE]]는 2021년을 끝으로 은퇴했으며 현재까지도 커스터머 팀들에게 애용받는 [[BMW M6|M6 GT3]]는 이미 몇 년전에 원본 차량이 단종되었다. ]하고 있는 만큼, 출시 전부터 일반 M4 모델로는 충족시키지 못했던 점[* 무거운 차량무게, [[듀얼 클러치 변속기|M DCT]]의 제거 및 세팅의 변화로 줄어든 변속충격, 루즈해진 주행감 등으로 인한 호불호 및 기존 M 마니아들의 반발을 이끌어낸 점.]들을 만족시켜줄 초고성능 모델로 나올 것이라 기대받았다. 경량화에 초점을 둔 모델인만큼 풀 카본 버킷 시트를 장착하여 약 24kg, 뒷좌석의 제거와 그에 따른 빈 공간의 수정으로 인해 21kg, 세라믹 브레이크의 장착과 특수 경량 합금 휠, 섀시의 변경으로 총 21kg, 방음재의 일부 제거와 경량 방음재로의 교체로 인해 15kg,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의 적극적인 사용과 그 외 각종 경량 소재로 약 11kg, 후면 티타늄 머플러로 4kg, 리어 라이트와 그릴을 더불어 플로어 매트, 자동 실내 온도 조절 장치, 에어컨 모듈의 소형화로 4kg 총합 '''108kg'''의 감량으로 1,625kg의 공차중량을 달성, 2.95kg/hp이라는 마력 대 중량비를 이룰 수 있었다. 엔진은 기존 M4 컴페티션의 엔진을 토대로 터보차저의 부스트압 증가[* 1.7bar => 2.1bar. ] 등 세부적인 개선을 통해 550마력, 66.3kgf·m의 힘을 내며, 제로백은 3.7초, 제로이백 10.7초, 최고속도는 307km/h이다. 또한 [[M5 CS]]와 같이 노란색 레이저 헤드램프가 적용되었으며[* 옵션 사양.] 테일램프에 BMW 레이저 라이트가 기본 장착되었다. '22년 7월부터 [[독일]] 딩골핑 공장에서 1,000대만 한정 생산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M-CpzWA1qU)]}}}||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66b1 50%, #003d78 75%, #e22718 100%)" {{{#white '''뉘르부르크링 노르트슐라이페 주행영상'''}}}}}} || [[뉘르부르크링]] 노르트슐라이페 20.832km 구간에서 '''7분 20초 207'''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BMW의 양산차량들 중 가장 빠른 기록'''이며, 이전 세대의 M4 GTS보다 약 13초 빠른 기록이다. [[렉서스 LFA]] 뉘르부르크링 패키지, [[쉐보레 콜벳|콜벳]] C7 Z06의 기록과 1초 내외의 차이만 있음을 고려하면 그 성능을 짐작할 수 있다. [[carwow]]에서 경쟁자인 [[911 GT3|992 GT3]]와의 [[드래그 레이스]]를 진행했는데, 아쉽게도 런치컨트롤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 911에게 쿼터마일, 1회차 롤링 하프마일을 패배한것은 물론, 브레이크 테스트에서도 매우 큰 격차를 보이며 패배하고 말았다. 하지만 양쪽 모두 '''30번의 쿼터마일을 버티면서''' 쿼터마일 11초대에 드는데 성공했으며, 적은 에어로파츠를 살려 2회차 롤링 하프마일에서 승리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zIyoYF5JB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66b1 50%, #003d78 75%, #e22718 100%)" {{{#white '''뉘르부르크링 노르트슐라이페 2차 주행'''}}}}}} || 2022년에 세웠던 기록을 동일 드라이버가 새롭게 경신했다. 랩타임은 20.832km 구간에서 '''7:18.137'''을 기록했다. ==== 제원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81C4FF, #16588E, #E7222E)" {{{#FFFFFF {{{+1 '''M4'''}}}/2세대}}}}}} || || {{{#ffffff '''생산지'''}}} ||<-4>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 [[바이에른]]주 [[오버바이에른]]현 [[뮌헨]] || || {{{#ffffff '''생산 기간'''}}} ||<-4> 2021- || || {{{#ffffff '''모델 구분'''}}} || '''M4''' || '''M4 Competition''' || '''M4 CSL''' || '''M4 Convertible''' || || {{{#ffffff '''차량 형태'''}}} ||<-3> 2도어 [[쿠페]] || 2도어 [[컨버터블]] || || {{{#ffffff '''승차 인원'''}}} ||<-4> 2+2명 || || {{{#ffffff '''섀시 코드'''}}} ||<-4> G82 || || {{{#ffffff '''차량 가격'''}}} || $79,095 || 1억 3,640만원[* M4 컴페티션 xDrive 국내 기준.] || $140,895 || 1억 4,070만원 || || {{{#ffffff '''엔진'''}}} || [[BMW S58 엔진|S58B30O0]] ||<-3> [[BMW S58 엔진|S58B30T0]] || || {{{#ffffff '''엔진 형식'''}}} ||<-4> 직렬 6기통 || || {{{#ffffff '''과급 방식'''}}} ||<-4> [[과급기|트윈터보]] || || {{{#ffffff '''연료'''}}} ||<-4> 가솔린(RON 98) || || {{{#ffffff '''배기량'''}}} ||<-4> 2,993cc || || {{{#ffffff '''압축비'''}}} ||<-4> 9.3:1 || || {{{#ffffff '''최고출력'''}}} || 480hp || 510hp || 550hp || 510hp || || {{{#ffffff '''최고토크'''}}} || 56.1kg.m ||<-3> 66.3kg.m || || {{{#ffffff '''구동방식'''}}} || [[FR(자동차)|FR]] || [[FR(자동차)|FR]][br][[AWD]][*xDrive] || [[FR(자동차)|FR]] || [[AWD]] || || {{{#ffffff '''변속기'''}}} || 6단 [[수동변속기]] ||<-3> 8단 [[자동변속기]] || || {{{#ffffff '''최고속도'''}}} ||<-2> 290km/h || 307km/h || 280km/h || || {{{#ffffff '''0 - 100km/h'''}}} || 4.2초 || 3.9초[br]3.5초[*xDrive] || 3.7초 || 3.7초 || || {{{#ffffff '''복합연비'''}}} || 10.3ℓ/100km[*WLTP] || 8.3km/ℓ || 9.9ℓ/100km[*WLTP] || 8.3km/ℓ || || {{{#ffffff '''탄소 배출량'''}}} || 235g/km[*WLTP] || 206g/km || 227g/km[*WLTP] || 208g/km || || {{{#ffffff '''전장'''}}} ||<-4> 4,794mm || || {{{#ffffff '''전폭'''}}} ||<-2> 1,887mm || 1,921mm || 1,887mm || || {{{#ffffff '''전고'''}}} ||<-2> 1,393mm || 1,386mm || 1,395mm || || {{{#ffffff '''축거'''}}} ||<-4> 2,857mm || || {{{#ffffff '''윤거(전)'''}}} ||<-2> 1,617mm || 1,623mm || 1,617mm || || {{{#ffffff '''윤거(후)'''}}} ||<-2> 1,605mm || 1,609mm || 1,605mm || || {{{#ffffff '''공차중량'''}}} || 1,700kg[*DIN] || 1,745kg[* 국내, 후륜][br]1,795kg[* 국내, xDrive] || 1,625kg[*DIN] || 1,950kg || || {{{#ffffff '''타이어(전륜)'''}}} ||<-2> 275/40ZR 18[br]275/35ZR 19 ||<-2> 275/35ZR 19 || || {{{#ffffff '''타이어(후륜)'''}}} ||<-2> 285/35ZR 19[br]285/30ZR 20 ||<-2> 285/30ZR 20 || || {{{#ffffff '''전륜 서스펜션'''}}} ||<-4>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 {{{#ffffff '''후륜 서스펜션'''}}} ||<-4> [[멀티링크 서스펜션]] || || {{{#ffffff '''전륜 브레이크'''}}} ||<-4>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 {{{#ffffff '''후륜 브레이크'''}}} ||<-4>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 M4 GT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 M4 GT3 F.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66b1 50%, #003d78 75%, #e22718 100%)" {{{#white '''M4 GT3'''}}}}}} || 2021년 공개된 FIA GT3 클래스 레이스카. Z4 GT3와 M6 GT3에 이은 BMW의 3세대 GT3 레이스카이다. 2022년에 데뷔하여 현재 [[BMW]]의 GT 레이싱에서 주역으로 활약중이다.[[https://hankookilbo.com/News/Read/A2021061012120002415|#]] == 경쟁 차종 == * [[렉서스]] - [[렉서스 RC|RC-F]] * [[아우디]] - [[아우디 A5|RS5]] == 미디어 == === 게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 [[아스팔트 시리즈|{{{#ffffff 아스팔트 시리즈 출연작 }}}]]}}}'''}}} || || '''{{{#111111 -}}}''' || '''[[아스팔트 9: 레전드|{{{#111111,#e5e5e5 Asphalt 9: Legend}}}]]''' || '''[[아스팔트 9: 레전드/차량|{{{#111111,#e5e5e5 BMW M4 GTS}}}]]''' || || '''{{{#111111 -}}}''' || '''[[아스팔트 9: 레전드|{{{#111111,#e5e5e5 Asphalt 9: Legend}}}]]''' || '''[[아스팔트 9: 레전드/차량|{{{#111111,#e5e5e5 BMW M4 GT3}}}]]'''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 [[니드 포 스피드 시리즈|{{{#ffffff 니드 포 스피드 시리즈 출연작 }}}]]}}}'''}}} || || '''{{{#111111 -}}}''' || '''[[니드 포 스피드|{{{#111111,#e5e5e5 Need For Speed (2015)}}}]]''' || '''[[니드 포 스피드|{{{#111111,#e5e5e5 BMW M4}}}]]''' || || '''{{{#111111 -}}}''' || '''[[니드 포 스피드: 페이백|{{{#111111,#e5e5e5 Need For Speed: Payback}}}]]''' || '''[[니드 포 스피드: 페이백|{{{#111111,#e5e5e5 BMW M4 GTS}}}]]''' || || '''{{{#111111 -}}}''' || '''[[니드 포 스피드: 히트|{{{#111111,#e5e5e5 Need For Speed: Heat}}}]]''' || '''[[니드 포 스피드: 히트|{{{#111111,#e5e5e5 BMW M4}}}]]''' || || '''{{{#111111 -}}}''' || '''[[니드 포 스피드: 노 리미트|{{{#111111,#e5e5e5 Need For Speed: No Limits}}}]]''' || '''[[니드 포 스피드: 노 리미트|{{{#111111,#e5e5e5 BMW M4}}}]]''' || [* 이전에는 M4(F82)로 표기했다.] [[Real Racing 3]]에서 G82 모델이 나온다. [[완간 미드나이트 MAXIMUM TUNE|맥시멈 튠 6RR]]에 G82 컴페티션 모델이 기간 한정 차량으로 추가되었다. === 그외 === * [[미드나잇 체이서]]에서 1세대 M4(F82)가 라이벌 체이서인 강호태의 차량으로 나온다 == 둘러보기 == [include(틀:BMW M의 차량)] [[분류:BMW M/생산차량]][[분류:BMW 4시리즈]][[분류:2016년 출시]][[분류:중형 쿠페]][[분류:스포츠 쿠페]][[분류:중형 컨버터블]][[분류:디지털 키/탑재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