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BT 전차)] [목차] == 개요 == [[BT 전차]]의 실전 기록을 정리한 문서. == [[전간기]] == === [[스페인 내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anish_BT-5.jpg|width=100%]]}}} || || '''스페인 내전 시기 스페인 제2공화국군 소속 BT-5''' || [[스페인 내전]]에서는 산악지대에서 좁은 길로만 통행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미숙한 보병들이 제대로 엄호하지 않은 결과 독일제 37mm [[PaK 36]] 대전차포에 줄줄이 격파되는 참상을 기록했고, 이 결과에 실망하여 소련은 전차군단을 해체한 뒤 단위부대를 2~4개의 전차대대로 편성한 전차여단을 개편, 임무를 보병엄호로 바꾸었는데, 장갑방어력이 약한 BT 전차에게 보병엄호임무를 수행하라는 것은 앞서 스페인 내전시에서 참혹하게 겪은 것처럼 그야말로 나가서 죽으라는 이야기였다. === [[소련-일본 국경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halkhin_Gol_Soviet_tanks_1939.jpg|width=100%]]}}} || || '''할힌골 전투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BT-7''' || 일단 장갑이 빈약한 문제점이 있지만, 그 당시 다른 전차들도 장갑이 빈약하기는 매한가지라서 원래 목적인 쾌속진격용으로 사용하면 큰 문제 없이 위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여기에 더해서 소련은 어느 열강보다 앞선 1932년에 전차군단(2~3개의 전차여단, 기계화 보병여단, 포병여단이 근간)을 창설했으며, 이런 것들이 상승효과를 불러왔고, [[치로]]같이 대전차전을 생각하지 않은 전차를 생산하던 일본에게 치명타였다.[* 사실 일본이 패한 이유는 양측 전차의 성능차 문제도 있겠으나 일본의 전술적인 삽질문제도 어느정도 있었다.] 1938년에 일어난 [[하산 호 전투|장고봉 전투]]에서는 각 1개씩의 전차여단과 기계화여단을, 다음해인 1939년에 일어난 [[할힌골 전투]]에서는 5개 전차여단을 투입하여 일본군에게 일격을 가했다. 허나 물량에서 일본군 전체 전차수를 능가했음에도 일본군 전차포 및 대전차포 사격에 상당한 수가 파괴되긴 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 === [[폴란드 침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tzb3pfzh1111.jpg|width=100%]]}}} || || '''폴란드 침공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BT-7''' || === [[겨울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viet_BT-5_tank_at_winter_war.jpg|width=100%]]}}} || || '''겨울전쟁 당시 핀란드군에 의해 격파된 소련 육군 소속 BT-5''' || 소련군 전차부대의 주력으로 T-26과 함께 동원되었으나, [[몰로토프 칵테일]]과 [[빅커스 Mk. E|T-26E]]를 위시한 핀란드군의 반격으로 대거 격파되었다. 와중에는 당대 소련 경전차가 으레 그렇듯이 [[무선전차]], 즉 현장에서 근접 원격조종 하는 식의 극초창기 [[UGV]] 개량형도 있었다. === [[계속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fOJeEs.jpg|width=100%]]}}} || || '''계속전쟁 당시의 핀란드군 소속 BT-5''' || === [[중일전쟁]] === === [[독소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akepath 20200229_011950.jpg|width=100%]]}}} || || '''독소전쟁 당시 대전차포에 의해 격파된 BT-5''' || 독소전 개전 직전의 소련이 보유한 전차의 실질적인 주력이었다. 독일측 자료에 의하면 독소전이 시작될 때 소련군은 [[T-26]] 전차 11,000대, BT 전차 8,000대를 주축으로 한 75개 여단과 2개 사단으로 편성되어 있었다고 할 정도니 그 엄청난 숫자를 짐작하기 어려울 지경이다.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기습당했다는 불리함, 소련의 잘못된 지휘체계 및 무전기조차 없는 차체의 자잘한 문제 등으로 초전에 대부분 박살나버리자 소련군은 남은 BT를 죄다 극동으로 보내버렸다. 이후 방어력을 향상하고 화력을 강화한 BT-9([[A-20 경전차|A-20]]) 등의 발전형이 만들어졌지만, 형태가 [[T-34 전차|T-34]]와 유사해지고 T-34를 생산하는 것이 더 값싸고 빠르며 성능도 동일할 것으로 판단되자 더 이상의 개발 계획이 중단되었고, 생산도 1940년에 중단하였다. 물론 [[T-60]] 따위나 만들어야 할 수준으로 전황이 심각했기 때문에 생산은 중지되었어도 전선에선 계속 사용되었다. === [[노르망디 상륙작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T-7_at_france.jpg|width=100%]]}}} || || '''독일군의 훈련용 BT-7''' || 연합군이 노르망디에 상륙한 후 훈련용으로 쓰이던 독일군의 BT-7이 연합군에게 노획되기도 했다. === [[만주 작전]] === 1945년에는 일본 [[관동군]]을 소탕하는 작전인 [[만주 작전]]에서 BT 전차로 편성된 1개 부대가 수훈을 거둬 훈장을 받았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BT 전차, version=580)] [[분류:BT 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