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소련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TR-50_1.jpg|width=100%]]}}} || || '''БТР-50 (Объект 750)''' || [목차] == 개요 == [youtube(IvN8i06X-6s)] [[PT-76]] 경전차에 기반해서 1952년부터 1954년까지 개발되어 1954년부터 생산된 후 1970년대 후반까지 소련에서 쓴 수륙양용 기능있는 [[병력수송장갑차]]이다. == 제원 == ||<-2> '''{{{+1 {{{#ffffff BTR-50}}} }}} [br] {{{#ffffff БТР-50 / [[소련 기갑병기 설계안|{{{#fff Объект 750}}}]] }}}''' || || {{{#ffffff '''제조사'''}}} ||[[첼랴빈스크 트랙터 공장]]|| || {{{#ffffff '''중량'''}}} ||14.5t|| || {{{#ffffff '''전장'''}}} ||7.08m|| || {{{#ffffff '''전폭'''}}} ||3.14m|| || {{{#ffffff '''전고'''}}} ||2.03m|| || {{{#ffffff '''엔진'''}}} ||직렬 4행정 V형 6기통 [[V-2 엔진|V-6]] 수랭식 디젤 엔진|| || {{{#ffffff '''변속기'''}}} ||수동변속기. PT-76에 쓰는것과 동일.|| || {{{#ffffff '''현가장치'''}}} ||[[토션 바]]|| || {{{#ffffff '''최대출력'''}}} ||240마력|| || {{{#ffffff '''최고속도'''}}} ||44km/h (도로) [br] 20km/h (야지) [br] 11km/h (수상)|| || {{{#ffffff '''톤당 마력'''}}} ||16.6hp/t|| || {{{#ffffff '''항속거리'''}}} ||400km (연료 400ℓ 적재)|| || {{{#ffffff '''도섭 가능 심도'''}}} ||수륙 양용|| || {{{#ffffff '''주무장'''}}} ||7.62mm 기관총부터 14.5mm KPV 까지 다양함. || || {{{#ffffff '''탑승인원'''}}} ||승무원[* 단차장, 조종수]2명 + 보병 최대 20명|| ||<|2> {{{#ffffff '''장갑'''}}} ||주조 압연 장갑|| ||차체 전면 13mm [br] 측면 10mm [br] 상부 10mm [br] 후부 7mm|| == 상세 == BTR-50은 수륙양용 경전차인 [[PT-76]]와 마찬가지로 부력을 잘 받는 보트와 비슷한 형상의 차체 설계를 지니고 있다. 다만 수송용 장갑차이다 보니 더 많은 인원을 --구겨넣기--탑승시키기 위해서 파도막이 후부에 사각형 상부구조물이 있다. 수상 주행시에는 차체 후방 양측의 소형 워터제트 추진기로 추진력을 얻는다. 또한 토션 바 현가장치와 연결된 고무로 감싸진 [[보기륜]]들은 부력을 위해서 채택되었는데, 약 30% 정도를 증가시켜준다고 한다. BTR-50은 첫 배치 당시 [[소련군]]과 [[동독]] [[국가 인민군]] 기갑사단 예하의 차량화 소총병 연대에 주로 배치되었지만, 장궤식이었던 터라 제조 및 정비 유지에 소요되는 운영 비용이 비싸게 먹혔던 편이라 BTR-50으로 모든 소총병 연대의 기계화 부대 재편은 재정적으로 불가능했기 때문에, 후계기인 BTR-60은 장륜식으로 결정되었다. 소련의 장궤식의 병력 수송 차량은 차륜형인 BTR-152, 40, 60 초기형등이 많이 굴려졌고 70년대 이후부턴 152,40은 전량 다 퇴역하고 60, 70 계열로 채워졌다. PT-76의 구조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기 때문에, 장갑이 매우 앏고, 엔진이 차체 후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보병들은 상부 해치에서만 승하차 할 수 밖에 없고, 도하시 속력이 느린 등 조약군의 교리인 [[기동전]]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나중에 가서는 [[BMP-1]]과 BTR-60,70 장갑차로 교환되는 형태로 일선에서 사라졌고, 대신 잉여가 된 BTR-50들은 군부대 야외 전시물, 박물관, 기갑학교의 조종 교육용, [[예비군]] 부대에서 쓰이거나 다른 나라에 수출 내지 공여되었다. 상기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공여된 국가들의 입장에서 보기엔 빠르고 중장갑은 아니어도 차체 구조는 확장성이 괜찮고, 어느정도의 수륙 양용 능력은 보유했기에 공여하는 각 나라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특히 지휘통제 사양은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에서도 널리 사용되었으며, [[핀란드 방위군]]은 디지털 전장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조하여 탑재했다. 동구권 베스트셀러 [[BMP-1]]의 출현 이후에도 생산은 1970년대까지 계속 되어 각 파생형들을 합친 총 생산 수는 6,500대에 이르고 있다. 또한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에서는 BTR-50의 발전형으로 OT-62 / TOPAS를 개발하여 대전차 미사일이나 무반동총을 다는 등 여러가지로 개량하여 썼고, 일부 모델은 2010년대 되어서야 퇴역하였다. 베트남전에서 북베트남이, 그리고 이집트와 시리아가 [[제3차 중동전쟁]]과 [[욤 키푸르 전쟁]]에서 BTR-50을 실전에 투입하였는데, [[베트남 전쟁]]에선 미군 철수 이전까진 북베트남 기갑 세력이 기를 못폈던 터라 딱히 기록이 없고, 욤 키푸르 전쟁에서는 이집트군이 초반에 수에즈 운하에 투입해 성공을 거두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집트군이 이스라엘군의 반격에 패주하면서 노획당하였고 이후 이스라엘 국방군도 노획한 BTR-50을 운용하고 있었지만, 이스라엘이 보유하고 있던 차량은 후일 [[레바논 내전]] 당시 남부 레바논등에 군사 원조의 일환으로 공여되었다고 한다. 여담으로 생산된 지 30~40년이 넘은 장갑차인데 2011년 기준으로 시베리아의 오지에서는 [[MT-LB]]나 포탑이 제거된 [[BMP-1]]과 같이 민간회사에 의해 화물 수송 및 버스로 굴러 다닌다고 한다. 2017년 인도네시아 해병대가 운용중인 BTR-50PK가 노후화되어 [[BT-3F]]로 교체한다고 한다. == 파생형 == 엄청 많은 파생형이 존재한다. === 소련 === === 체코슬로바키아 === ==== 장비 추가 파생형 ==== ===== [[OT-62 TOPA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80px-PL_MWP_TOPAS.jpg|width=100%]]}}} || || '''OT-62 TOPA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OT-62 TOPAS)] ==== 비무장 파생형 ==== ===== ~~OT-62 놀이터~~ ===== [[파일:Kids_playground_based_on_OT-62.jpg]] --체코에서는 아이들이 장갑차를 타고놉니다-- == 실전 == ===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대치 === === [[제3차 중동전쟁]] === === [[베트남 전쟁]] === === [[소모전(중동)|중동 소모전]] === === [[제4차 중동전쟁]] === ===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침공 === === [[앙골라 내전]] === === [[레바논 내전]] === === [[오가덴 전쟁]] ===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 [[이란-이라크 전쟁]] === === [[소말리아 내전]] === === [[유고슬라비아 전쟁]] === === 2003-2004년 인도네시아 아체 공세 === === [[시리아 내전]]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3년 2월 23일,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점령지역에서 이 장비를 운용하는것이 확인됐다.[[https://twitter.com/GloOouD/status/1628695296552144896?t=3iGqjXCoCF9QZmwPuRFKkw&s=19|#]] 이후 10월 14일에 첫 손실이 확인되었다.[[https://twitter.com/UAWeapons/status/1713192932906320385|#]] == 사용국가 == ==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 * [[워게임: 레드 드래곤]] - 레드포의 주력 APC로 등장. 성능은 별거 없지만 예비군들도 탈 수 있고 해서 가끔 보이기도 한다. BTR-50과 별개로 체코슬로바키아의 파생형인 OT-62는 특이한 무장들을 달고 나오는데, 82mm 무반동총이나 오버헤드식 30mm 기관포탑 등을 달아서 장갑을 제외한다면 화력은 [[BMP-2]]와 동급이라 공병용 [[IFV]]로도 쓰인다. == 관련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BTR-50|(영어 위키백과)BTR-50]] == 둘러보기 == [include(틀:VgTZ의 차량)] [include(틀:냉전/동독 기갑차량)] [include(틀:냉전/유고슬라비아 기갑차량)] [include(틀:냉전/이라크 기갑차량)] [include(틀:베트남전/월맹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핀란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루마니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크로아티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세르비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베트남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인도네시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시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란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쿠바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집트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알제리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콩고민주공화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콩고 공화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북한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 관련 문서 == * [[BTR]] * [[병력수송장갑차]] [[분류:병력수송장갑차]][[분류:수륙양용차]][[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소련군/장비]][[분류:우크라이나군/기갑차량]][[분류:루마니아군/장비]][[분류:폴란드군/기갑차량]][[분류:핀란드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