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BYD K9 / eBUS-12''' == 개요 == 중국 [[비야디 자동차]](BYD)에서 생산한 순수 전기버스다. == 상세 == === K9 (2010~현재) === ||[[파일:BYD K9A.png|width=100%]]||[[파일:BYD K9B.png|width=100%]]|| || BYD K9A 버스 || BYD K9B 버스 || 2010년 9월 30일 중국 [[창사]] 지역 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BYD가 개발한 리튬 인산철 배터리[* 화학식으로는 LiFePO4라고 한다.]를 사용한다. 리튬이온배터리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낮아 부피가 크고 무거운 것이 단점이지만, 폭발이나 화재위험이 거의 없어 중국 배터리 제조사들이 주력으로 밀고 있다. 1회 충전 시 250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BYD에서 BYD F3DM, [[BYD F6DM]], [[BYD e6]] 이후 생산된 전기차이다. 길이는 약 12m며, 중량은 18t이라고 한다. 가격은 옵션에 따라 200만 위안[* 원화가치 약 3억 6천만원]에서 300만 위안[* 원화가치 약 5억 5천만원] 사이라고 한다. 중국 이외에도 홍콩, 미국, 독일, 영국, 네덜란드, 폴란드, 칠레, 콜롬비아, 태국, 일본, 대만, 대한민국 등에서 시험 주행하였으며 생산은 중국 창사, 다롄, 난징, 톈진에서, 대만 먀오리에서, 미국 랭커스터 지역에서 담당하고 있다. BYD에서 공개한 공식 성능을 보면, 최고 속도는 96km/h이며, 충전 시간은 정상충전 시 6시간, 급속충전 시 3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밤새 충전할 경우 100kW 배터리 중 60kW를 충전할 수 있으며, 총 5시간이 소요된다고 한다. 최대 주행거리는 155~186마일(약 249~299km)이고, 좌석 수는 31석(운전석 1석 포함)이다. K9 외에도 K9A, K9B 등의 변형 차량이 있다. 도어가 2개인 버스는 중국 [[선전시]], [[창사]], [[시안시]], [[청더]], [[샤오관]], [[홍콩]] 등에서 운행되고 있으며 대만에서는 [[신주시]], [[타이중시]], [[먀오리]], [[윈린]], [[자이시|자이]], [[가오슝시]], [[타이난시]] 등에서, 일본에서는 [[교토시]], [[나하시]], [[고후시]], [[모리오카시]], [[치바시]]에서, 한국에서는 [[서울특별시]], [[수원시]], [[고양시]], [[성남시]], [[양산시]], [[창원시]], [[인천광역시]] 등에서, 인도네시아에서는 [[자카르타]]에서 운행 중이다. 3도어 차량은 중국 [[선전시]]와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운행 중이라고 한다. 2020년 7월 [[싱가포르]]에서 5대의 BYD K9이 데뷔했다. 현재 11월 4일 기준으로 총 15대가 있으며 10대는 연말에 운행 예정이라고 한다. 영국, 일본, 홍콩, 인도네시아 등 좌측통행 국가에 수출하기 위한 우핸들 모델도 있다. 안전 장비는 [[ABS]]+ASR,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휠체어 보호 장치 등이 구비되었다. ==== 파워트레인 ==== 위에서 언급한 BYD 자사의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최대 출력은 90kWx2, 최대 토크는 550Nmx2라고 한다. 차량 일부에는 태양 전지도 설치되어 있다고 한다. === 국내 운용 (eBUS-12) === ||<-2> [[비야디 자동차|[[파일:비야디 자동차 로고.svg|width=25%]]]] || ||<-2> [[파일:고양661217.jpg|width=100%]] || ||<-2> 고양 [[명성(버스회사)|명성]] 운행차량 || ||<-2> [[파일:Seoul7713-BYD.png|width=100%]] || ||<-2> 서울 [[현대교통(서울)|현대교통]] 운행차량 || || 전장 || 10,980mm || || 전폭 || 2,500mm || || 전고 || 3,400mm || || 휠베이스 || 5,400mm || || 모터 출력 || 350kW(약 460마력) || || 배터리 || 383kWh 리튬인산철 || || 최대주행거리 || 503km (1611) || 초창기 국내에 이지웰을 통해 수입되어 eBUS-12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는데, 중간에 수입사가 [[GS글로벌]]로 바뀌었다. 국내에 들어오는 모델은 도로사정에 맞춰 1m 줄인 모델이다. 12m 차량에서 그대로 휠베이스만 줄였기 때문에 저상면 좌석간격이 좁은 편이며, 앞문 넓이가 중문과 같다. 대한민국에서 판매하는 K9의 경우 업체별로 평가가 갈리는 편이다. 양산 [[푸른교통]]이 한번 출고한 이후로 평가가 좋지 않은지 그 뒤로는 부울경에서 출고 소식이 잘 없다. 하지만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서는 여러 회사에서 출고해 운행하는 등 인식이 나쁘지만은 않다.[* 특히 [[7권역(서울)|수도권 7권역]] 업체들이 많이 뽑는다. 가장 먼저 뽑은 [[서부운수]], [[현대교통(서울)|현대교통]], [[백마운수]]에서 평가가 좋은 덕분에 입소문이 금방 퍼졌기 때문이다.] 2020년 하반기 서울 [[전기버스]] 입찰모델로 제시되어 12월 시내버스로 [[서부운수]], [[한남여객운수]], [[현대교통(서울)|현대교통]]에서, 2021년 1월 마을버스로 [[서울 버스 서대문03|연일교통]]에서 출고했다. 이외에는 [[대운교통(창원)|대운교통]], [[백마운수]], [[성민버스]], [[수원여객]], [[푸른교통]], [[명성(버스회사)|명성]], [[광교운수]], [[대일교통]], [[김포교통]]등에서도 출고했다. [[김포국제공항 순환버스]]나 [[제주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의 지상조업사 [[에이티에스|ATS]]가 K9 버스를 리모트 버스로 사용하는 등 공항 셔틀버스 용도로도 쓰인다. 2021년 하반기에 선보인 모델은 기존 내장재가 허접했다는 비판을 수용했는지 내장재 마감을 꽤 신경썼으며[* 플라스틱 마감재를 덧붙이는 등의 개선이 있었다.] 1회 충전 시 최대 주행거리가 무려 '''502.9km'''로 끌어올렸으며 이는 '''동급의 전기버스 중 최장거리다.''' 동시에, 배터리 용량 또한 '''383kWh'''로 국내 판매 전기차 중 가장 크다. 2022년 2월 [[한남여객운수]]에서 1대를 출고해 [[서울 버스 N75|N75번]]에 투입되었다. 2022년 6월 창원 [[대운교통(창원)|대운교통]]에서 1대, 고양 [[대덕운수]]에서 7대를 출고하였다. 2022년 7월 화성마을버스 업체인 [[명승교통]]에서 4대를 출고하였다. 투입 노선은 [[화성 버스 11-2|11-2번]]이다. 18일에는 은평구에서 무료 셔틀버스 차량으로 투입되었다. 2022년 11월 서울 [[유성운수]], [[서부운수]], [[서울버스]]에서 출고했으며 고양 [[명성(버스회사)|명성]], 광명 [[화영운수]]에서도 출고했다. 2022년 12월 서울 [[관악교통]]에서 3대를 출고하였다. [[분당마을버스]]에서도 9대를 출고해 [[성남 마을버스 82|82번]][* 구 812번, [[성남시내버스]]에서 이관받음]과 [[성남 버스 73|73번]]에 투입되었다. 2023년 1월에 [[서울교통네트웍]]과 [[한성여객]], [[흥안운수]]에서 각각 1대씩 출고했다. 2023년 1월 창원 [[제일교통]]에서 2대, [[대운교통(창원)|대운교통]]에서 8대를 출고하였다. 2023년 2월 서울 [[한성여객]]에서 지선버스 도색으로 1대 출고하였다. 투입 노선은 [[서울 버스 1154|1154번]]이다. == 여담 == 뉴욕 메트로폴리탄 교통국에서는 K9 차량을 2개월 간 시험 주행을 해 보고 2014년 1월 29일에 이 차량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했는데, 차량의 평가는 우수한 편이었다고 한다. * BYD의 K9 차량은 총 1,481마일을 주행했다. 1마일이 약 1.6km라는 점을 감안하면 약 2,383km를 주행한 것이 된다. * 최대 전력 상태에서 측정된 평균 주행 거리는 약 140마일(약 225km)이었으며, 최대 작동시간은 30시간이다. 당시 자사 및 경쟁 업체의 전기 버스는 2~3시간 정도의 작동 시간을 가졌던 것을 감안한다면... * 가스 및 디젤 버스가 1마일 당 약 1.3달러(약 1,460원)의 비용이 드는데, K9 버스는 0.2~0.3달러(약 220~340원)가 들었다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BYD의 차량)] [include(틀:국내 시판 전기버스 목록)] [[분류:BYD/생산차량]][[분류:중국의 전기버스]][[분류:2010년 출시]][[분류:버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