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중국 [[비야디 자동차]](BYD)에서 생산하는 [[전기버스]]이며, 본 문서에서는 [[GS글로벌]]에서 수입하는 한국 판매 모델들만 설명한다. eBus-7만 2계단 [[고상버스]]이며 eBus-12, eBus-9(예정)은 [[저상버스]]이다. == 모델별 설명 == === eBus-7 === ||<-2> [br][[BYD|[[파일:비야디 자동차 BI.svg|width=25%]]]][br][br] || ||<-2> [[파일:은수교통비야디5525호.jpg|width=100%]] || ||<-2> 서울 은수교통 [[서울 버스 종로12|종로12번]] 운행차량 || || 전장 || 7,110mm || || 전폭 || 2,060mm || || 전고 || 3,020mm || || 휠베이스 || 3,985mm || || 모터 출력 || 150kW(약 204마력) || || 배터리 || 141kWh 리튬인산철 || || 최대주행거리 || 252km ||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이지웰, 현 [[GS글로벌]]을 통해 eBus-7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한다. 해당 차종의 원형 모델은 [[BYD C6|C6]]이다. 한국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우도사랑협동조합에서 2018년에 전국 최초로 도입돼 [[우도(제주특별자치도)|우도]] 투어버스로 사용하고 있다.[* 우도에는 [[승용차]] 및 [[전세버스]]의 진입이 금지되어 있으며, 투어버스가 유일한 교통수단이다. 비슷한 사례로는 서울 [[남산(서울)|남산]] 역시 우도와 마찬가지로 승용차 및 전세버스의 진입이 금지되어 있어서 [[서울 버스 01|01번]] 버스가 유일한 이동수단이다.] 아산시설관리공단에서 2019년 11월에 [[마중버스]]로 투입한다. 2019년 12월 [[용인시]]에 위치한 [[승진여객]]에서 출고해 [[용인 버스 810-2|810-2번]]에 투입한다. 2022년 6월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업체인 은수교통에서 1대를 출고해[* 서울 최초다.] [[서울 버스 종로12|종로12번]]에 투입되었으며 2대를 추가로 투입한다고 밝혔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BYD C6, version=49)] === eBus9 (예정) === ||<-2> [br][[BYD|[[파일:비야디 자동차 BI.svg|width=25%]]]][br][br] || ||<-2> [[파일:BYD eBus9.png|width=100%]] || ||<-2> 시제차량 || || 배터리 || 289kWh 리튬인산철 || || 최대주행거리 || 474km || 2023년 8월 초에 환경부 배출가스, 소음 인증을 취득했으며 조만간 판매가 시작될 예정이다. 1회 충전 주행거리가 474km로 동급 전기버스 중에서 최장거리이다. 다른 국내 수입 BYD 차량들과 달리, 차량 코드가 K가 아닌 B로 시작하는 것을 보아 BYD B시리즈에 기반을 둔 것으로 추정되며 경쟁 업체들과 달리 대형버스(eBus-12)와 패밀리룩을 이루지 않는다. === eBus-12 === ||<-2> [br][[BYD|[[파일:비야디 자동차 BI.svg|width=25%]]]][br][br] || ||<-2> [[파일:GM_1_1165.jpg|width=100%]] || ||<-2> 광명 [[화영운수]] 운행차량 || ||<-2> [[파일:5616_9920.png|width=100%]] || ||<-2> 서울 [[한남여객운수]] 운행차량 || || 전장 || 10,980mm || || 전폭 || 2,500mm || || 전고 || 3,400mm || || 휠베이스 || 5,400mm || || 모터 출력 || 350kW(약 460마력) || || 배터리 || 383kWh 리튬인산철 || || 최대주행거리 || 503km || 원본 모델은 [[BYD K9|K9]]로, [[대한민국]] 런칭 초기에는 [[루보 사태|썬코어]]를 통해 수입돼 eBus-12라는 이름으로 판매됐는데, 얼마 안 가 수입사가 이지웰페어로, 다시 GS글로벌로 바뀌었다. 국내에 원래 이름 그대로 들여오지 않고 이름을 바꾼 이유는 상표권 때문인데, 이미 [[기아 K9|K9이라는 이름을 쓰는 승용차]]가 한국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에 들어오는 모델은 도로 사정에 맞춰 전장을 1m 줄인 모델이다. 12m 차량에서 그대로 휠베이스만 줄여서 저상면 좌석간격이 좁은 편이며, 앞문 넓이가 뒷문과 같다. 또한 뒷문은 플러그인 도어이며, 닫힐 때에만 부저음(4회)이 울린다. 또한 운전석 바로 뒤에는 좌석이 없다. 대한민국에서 판매하는 eBus-12는 업체별로 평가가 갈리는 편이다. 양산 [[푸른교통]]이 한번 출고한 이후로 평가가 좋지 않은지 그 뒤로는 [[부울경]]에서 출고 소식이 잘 없다. 하지만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서는 여러 회사에서 출고해 운행하는 등 인식이 나쁘지만은 않다.[* 특히 [[7권역(서울)|수도권 7권역]] 업체들이 많이 뽑는다. 가장 먼저 뽑은 [[서부운수]], [[현대교통(서울)|현대교통]], [[백마운수]]에서 평가가 좋은 덕분에 입소문이 금방 퍼졌기 때문이다.] 2020년 하반기 서울 [[전기버스]] 입찰 모델로 제시되어 12월 시내버스로 [[서부운수]], [[한남여객운수]], [[현대교통(서울)|현대교통]]에서, 2021년 1월 마을버스로 [[연일교통]]에서 출고했다. 이외에는 [[대운교통(창원)|대운교통]], [[백마운수]], [[성민버스]], [[수원여객]], [[푸른교통]], [[명성(버스회사)|명성]], [[광교운수]], [[대일교통]], [[김포교통]], [[서울버스]], [[남양여객]] 등에서도 출고했다. [[김포국제공항 순환버스]]나 [[제주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의 지상 조업사 [[에이티에스|ATS]]가 eBus-12를 리모트 버스로 사용하는 등, 공항 셔틀버스 용도로도 쓰인다. 2021년 하반기에 선보인 모델은 기존 내장재가 허접했다는 비판을 수용했는지 내장재 마감을 꽤 신경썼으며,[* 플라스틱 마감재를 덧붙이는 등의 개선이 있었다.] 1회 충전 시 최대 주행거리를 무려 '''502.9km'''로 끌어올렸다. 이는 '''동급 전기버스 중 최장 거리다.''' 동시에 배터리 용량 또한 '''383kWh'''로 국내 판매 전기차 중 가장 크다. 2023년 5월 말 [[동건운수]]에서 [[대전광역시|대전]] 최초로 중국산 전기버스를 4대 출고했다. 이 출고분을 포함해 조금 더 일찍 나온 분당 마을버스 출고분부터 봉색깔, 손잡이 색깔이 회색으로 바뀌며 하차벨이 [[CHTC 에픽시티|에픽시티]]와 동일한 것으로 변경됐다.[* 그러나 색이 회색이다.] 다만 2023년식임에도 불구하고 BYD 엠블럼은 폰트가 교체된 현행 엠블럼이 아닌 이전 세대의 것이 붙어 있다. 2023년 9월 말 [[경남여객]] 출고분부터 앞 뒤 출입문이 변경됨과 동시에 뒷문이 앞문과 같은 글라이딩 도어로 변경됐다. 기존 유럽산 뒷문의 개폐 지연 문제로 인해 변경된 것으로 추정되며, 중국 내수용 BYD 차량의 뒷문과 같은 것으로 교체됐다. == 둘러보기 == [include(틀:BYD의 차량)] [include(틀:국내 시판 전기버스 목록)] [[분류:BYD/생산차량]][[분류:중국의 전기버스]][[분류:저상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