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89bb 10%, #2f5a7a, #bc283e)" '''{{{+1 {{{#white ''BYLAW''}}}}}}''' }}}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YLAW.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89bb 10%, #2f5a7a, #bc283e)" '''{{{#fff ''2018.10.28''}}}'''}}} || ||<|2> '''{{{#fff 아티스트}}}''' || '''[[마틴 개릭스|{{{#bc283e,#1489bb Martin Garrix}}}]]''' || || {{{-1 Blinders, Dyro, Pierce Fulton, Brad Delson}}} || || '''{{{#fff 유형}}}''' || '''[[익스텐디드 플레이|EP]]''' || || '''{{{#fff 길이}}}''' || 17:14 || || '''{{{#fff 곡 수}}}''' || 5곡 || || '''{{{#fff 장르}}}''' ||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일렉트로 하우스]] || || '''{{{#fff 레이블}}}''' || [[STMPD RCRDS]], [[Sony Music]][br]Epic Records || [목차] [clearfix] == 개요 == [[Martin Garrix]]의 [[Seven(EP)|Seven]]에 이어 발매된 네 번째 '''정규 앨범'''. [[가상현실]]을 주제로 만든 앨범이다. 암스테르담 댄스 이벤트(ADE) 공연와 함께 2018년 10월 15일부터 19일까지 곡이 하나씩 발매되고 19일에 드디어 정식으로 앨범이 발매되었다. === 발매 과정 === 마틴이 자신의 로고 중 x가 5개로 나눠진 비디오를 공개하면서 5개 수록곡이 있는 EP가 아닌가라는 추측이 나왔지만 10월 19일, 추측이 현실로 되었다. * 2018년 10월 13일, 마틴은 '''Bylaw'''라는 새로운 EP를 발표했다.[* 이 EP를 통해 총 5개의 곡이 발표될 것이고. 그중엔 많은 사람이 원하던 '''Waiting for Tomorrow'''도 포함되어있다.][* 발매 전 Plus EP 라고 알려졌었다.] 2018년 10월 15일부터 19일까지 하루에 한곡씩 발표한다고 밝혔다. * 2018년 10월 15일, '''Blinders'''와 함께 작업한 '''Breach'''를 발표했다. Bylaw EP의 첫번째 곡. * 2018년 10월 16일, 마틴은 '''Yottabyte'''를 발표했다. * 2018년 10월 17일, '''Dyro'''와 함께 작업한 '''Latency'''를 발표했다. * 2018년 10월 18일, 마틴은 '''Access'''를 발표했다. * 2018년 10월 19일, '''Pierce Fulton'''과 작업하고 Linkin Park의 메인보컬인 '''[[마이크 시노다]]'''가 피처링한 '''Waiting for Tomorrow'''를 발표했다. Bylaw EP의 마지막 곡. == 수록곡 == ||<-5>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89bb 10%, #2f5a7a, #bc283e)" ''{{{#fff {{{+1 '''BYLAW'''}}} }}}'' }}} || || '''{{{#fff {{{-1 트랙}}}}}}''' || '''{{{#fff {{{-1 컨셉 사진}}}}}}''' || '''{{{#fff {{{-1 곡명}}}}}}''' || '''{{{#fff {{{-1 참여 아티스트 및 프로듀서}}}}}}''' || '''{{{#fff {{{-1 길이}}}}}}''' || || 1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reach.jpg|width=10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666d8c; font-size: .8em" {{{#fff '''Breach (Walk Alone)'''}}}}}} || {{{-1 [[Martin Garrix]], Blinders}}}[br]{{{-2 Mateusz Owsiak, Ilsey Juber, Dewaine Whitmore}}} || 2:58 || || 2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yottabyte.jpg|width=10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a60d29; font-size: .8em" {{{#fff '''Yottabyte'''}}}}}} || {{{-1 [[Martin Garrix]]}}}[br]{{{-2 Frank van Essen}}} || 3:30 || || 3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atency.jpg|width=10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631e2b; font-size: .8em" {{{#fff '''Latency'''}}}}}} || {{{-1 [[Martin Garrix]], Dyro}}} || 3:24 || || 4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ccess.jpg|width=10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e525c; font-size: .8em" {{{#fff '''Access'''}}}}}} || {{{-1 [[Martin Garrix]] }}} || 3:15 || || 5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waitingfortomorrow.jpg|width=10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a83a1; font-size: .8em" {{{#fff '''Waiting For Tomorrow'''}}}}}}[br]{{{-3 ft.Mike Shinoda}}} || {{{-1 [[Martin Garrix]], Pierce Fulton}}}[br]{{{-2 Mike Shinoda, Brad Delson}}} || 4:07 || === Breach (Walk Alone) === ||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89bb 10%, #2f5a7a, #bc283e)" '''{{{#fff ''Breach''}}}''' '''{{{#fff ''(with Blinders)''}}}'''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9-ySW9qGUHw)]}}} || || {{{#!folding 【 가사 】 These days nothing ever feels like home You say you're driving down a one way road If you see the day only for the night Do you see the darkness in the middle of the light? Feel your heart break You're not the only one, you know When you find yourself, all on your own You'll never walk alone In the dead of the night, out in the cold You'll never walk alone You'll never walk alone You'll never walk alone }}} || ---- Blinders와의 협업곡으로 Epic Amsterdam의 독점적으로 라이선스된 [[STMPD RCRDS]]를 통해 발매된 첫번째 수록곡이다. Tomorrowland 2018 페스티벌 마틴의 세트에 처음으로 재생된 트랙이다. 공식 뮤직비디오는 마틴 본인과 Blinders가 까메오로 출연한다. 둔탁한 Blinders의 사운드가 특징. 특이점으로는 뮤직비디오에서 마약과 관련된 나이트클럽에 대한 경험이 있는 장면들과 함께 마틴이 나오는 [[스캐너 다클리]] 식의 영상으로 유명하다. === Yottabyte === ||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89bb 10%, #2f5a7a, #bc283e)" '''{{{#fff ''Yottabyte''}}}'''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TrFa9H_lpk)]}}} || ---- Breach에 이어서 나온 두번째 수록곡이다. 곡 초반에는 차임벨 사운드와 예전곡 'Pizza' 처럼 오케스트라와 함께 진행되면서 전형적인 마틴의 하우스 스타일의 시그니처 사운드로 유명하다. [[일렉트로 하우스]] 곡으로, 사운드적인 면에서는 [[Seven(EP)#Spotless|Spotless]]와 같은 과거의 곡들의 요소들이 많이 들어가 있다. Tomorrowland 2018에서는 인트로로 사용된 현악기 편곡으로 결합한 가장 마틴의 특징이 잘 들어가있는 곡이다. 대체로 Pizza랑 Byte느낌이 들어가있다는 평이 많다. === Latency === ||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89bb 10%, #2f5a7a, #bc283e)" '''{{{#fff ''Latency''}}}''' ''{{{#fff '''(with Dyro)'''}}}''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J9jUb28ZdY)]}}} || ---- Dyro와 협업한 곡으로 Yottabyte에 이어 세번째 수록곡이다. Dyro 특유의 사운드와 더불어 싱글 [[Tremor(음반)|Tremor]]와 더불어 강한 베이스 드랍이 특징이다. 뮤직비디오는 실제 무용수가 나와서 찍었다. === Access === ||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89bb 10%, #2f5a7a, #bc283e)" '''{{{#fff ''Access''}}}'''}}}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GJ3Jhb7i88)] }}} || ---- Latency에 이은 네번째 수록곡. 밝은 신스 멜로디로 그전 싱글인 [[Forbidden Voices]], Oops랑 자주 언급된다. 2017년 2월 9일날 자신의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처음 재생하면서 Tomorrowland 2017에서도 여러차례 연주된 곡이다. 팬들은 이 곡이 ID일때는 Chinatown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뮤직비디오의 내용은 사람이 자신의 뇌속으로 들어가서 나오는 이야기를 담았다. === Waiting for Tomorrow === ||<-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89bb 10%, #2f5a7a, #bc283e)" '''{{{#fff ''Waiting for Tomorrow''}}}''' ''{{{#fff '''(with Pierce Fulton)'''}}}'' '''{{{#fff {{{-2 ''ft. Mike shinoda''}}} }}}'''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TaOXDmD3qk)]}}} || ||<-2> {{{#!folding 【 가사 】 Remember we were staring up to those peaks on the horizon? You told me if I faced my fear, there was no doubt I could climb them There's nothing I have wanted more The only one I've been waiting for So hold your breath and close your eyes The night is cold, but the sun will rise Counting down to the light, through the night Just waiting for tomorrow Almost there, almost time All my life, just waiting It's only one more day It's only one more day It's only one more day It's only one more... Waiting for tomorrow Waiting for tomorrow Fear is creeping up behind as this road is finally ending I can't find order in my mind with this noise inside so deafening There's nothing I have wanted more The only one I've been waiting for So hold your breath and close your eyes The night is cold, but the sun will rise Counting down to the light, through the night Just waiting for tomorrow Almost there, almost time All my life, just waiting It's only one more day It's only one more day It's only one more day It's only one more... Waiting for tomorrow Just waiting It's only one more day It's only one more day It's only one more day It's only one more day It's only one more day It's only one more day It's only one more day It's only one more... Waiting for tomorrow Waiting for tomorrow Waiting for tomorrow Waiting for tomorrow }}} || ---- Pierce Fulton과 협업과 [[마이크 시노다]]가 피처링한 곡이자, BYLAW의 '''마지막 수록곡'''이다. 마이크 시노다가 마틴이랑 런던에서 찍은 사진과 함께 2016 Ultra Music Festival에서 처음 재생되었으며, 발매되지 않은 정규앨범에 포함될 것이라고 추측했다. 피처링한 [[마이크 시노다]]가 소속된 밴드 [[린킨 파크]]의 전 멤버 [[체스터 베닝턴]]과 함께 이 음반이 특집으로 보도되었다. 피처링한 시노다가 다큐멘터리 질의응답에서 체스터도 이 곡에 참여하고 있었지만 베닝턴의 사망으로 발표가 힘들었다고 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마틴 개릭스, version=741)] [[분류:마틴 개릭스/음반]][[분류:2018년 음반]][[분류:일렉트로니카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