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agical Mystery Tour)] ||<#FFD92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D928 0%, #FF793B 50%, #FFD928 100%)" '''{{{#D70D70 Baby,}}} {{{#E83821 You're}}} {{{#FFEE0C a}}} {{{#069931 Rich}}} {{{#0997D5 Man}}}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항목=비틀즈 100대 명곡, 순위=68)]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7417)]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D928 0%, #FF793B 50%, #FFD928 100%)" '''{{{+1 {{{#D70D70 Baby,}}} {{{#E83821 You're}}} {{{#FFEE0C a}}} {{{#069931 Rich}}} {{{#0997D5 M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5m-sgtwFck, width=100%, height=25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D928 0%, #FFD928)" '''앨범 발매일'''}}}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1967년]] [[12월 8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1967년]] [[11월 27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D928 0%, #FFC91B)" '''싱글 발매일'''}}}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1967년]] [[7월 7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1967년]] [[7월 17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D928 0%, #FFC91B)" '''싱글 A면'''}}} ||[[All You Need Is Lov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C91B 0%, #FFA93B)"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D928 0%, #FF793B 50%, #FFD928 100%); font-size: .9em" [[Magical Mystery Tour|'''{{{#D70D70 Mag}}}{{{#E83821 ical}}} {{{#FFEE0C Myst}}}{{{#069931 ery T}}}{{{#0997D5 ou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A93B 0%, #FF993B)" '''녹음실'''}}} ||올림픽 사운드 스튜디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993B 0%, #FF793B)" '''녹음일'''}}} ||[[1967년]] [[5월 11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993B 0%, #FF793B)" '''장르'''}}} ||[[사이키델릭 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793B 0%, #FF993B)" '''재생 시간'''}}} ||3:0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993B 0%, #FFA93B)" '''작사/작곡'''}}} ||[[레논-매카트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A93B 0%, #FFC91B)" '''프로듀서'''}}} ||[[조지 마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C91B 0%, #FFD928)" '''레이블'''}}} ||[[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width=28]]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br][[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width=35]]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파일:ymex936cc1e31.jpg|width=10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비틀즈의 앨범 [[Magical Mystery Tour]]에 수록된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의 싱글 곡이다. 비틀즈 중후반기 음악중에서는 드물게도 [[폴 매카트니]]와 [[존 레논]]의 멜로디를 합친 합작 곡이다. 존 레논이 후렴구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폴 매카트니가 후렴 부분을 지었다. 원래는 자신들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애니메이션 영화 [[Yellow Submarine(영화)]]를 위해 녹음된 첫 곡이며, 이 곡이 지어진 계기는 1967년 4월 29일에 있었던 한 행사에 존 레논이 관람한 뒤 느낀 느낌을 표현하려 지은 곡이다. 여담으로 이 행사는 당시 신인이었던 [[핑크 플로이드]]가 헤드라이너로 출연하였다고 한다. 비틀즈의 풍성한 악기 사용이 드러나는 사이키델릭의 정수를 보여주는 곡이지만 [[All You Need Is Love|사이드 A의 곡]]이 워낙 명곡인지라 상대적으로 묻혔다. 이 때문에 [[Magical Mystery Tour]] 사이드 B면에 수록된 비틀즈의 싱글 곡 중 항목이 제일 늦게 작성되었다. 가사의 내용은 비틀즈의 매니저이자 친구, 혹은 부자 관계와도 같은 사이였던 [[브라이언 엡스타인]]을 가리킨다는 것이 거의 확실하다. 실제로, 존 레논이 스튜디오에서 "Baby you're a vous fag Jew", 즉 넌 살 찐 유대인이라는 가사로 불렀다는 주장이 있고, 그 살 찐 유대인이 바로 브라이언 엡스타인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브라이언 엡스타인]]은 이 곡이 발매된지 불과 1달만에 약물 과다 복용으로 급사하게 되었다. 이후 비틀즈의 분열이 가속화된다. 이 곡의 녹음은 1967년 5월 11일 오후 9시에서 새벽 3시 사이에 런던 반스의 올림픽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열렸다고 한다.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완전히 떨어져서 녹음되고 믹싱된 비틀즈의 첫 번째 노래였다고 하며, 1967년은 비틀즈가 많은 음악적 실험들로 예전처럼 빠른 속도로 일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시간들이 많았지만, 이 곡을 녹음할 때는 예외였다고 한다. 여기서 존 레논이 오보에처럼 사용하기 위해 쓴 악기 중 하나인 클라바이올린([[신디사이저]]의 전신 중 하나)은 이 곡에서 사용된 이후 40년 동안 쓰이지 않다가 [[화이트 스트라입스]]의 Icky Thump에서야 재발굴되었다. 또한 그 때 비틀즈와 절친이었던 [[롤링 스톤즈]]의 [[믹 재거]]가 백 보컬로 참여했는데, 후렴을 잘 들어보면 정말 믹 재거의 목소리가 들린다. 그 답례로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가 후에 롤링 스톤즈의 'Love You' 라는 곡에 참여했다. --비록 존 레논은 그 곡에 대해 우리 곡 따라했다고 엄청 깠지만..-- Capitol사 버전은 모노에서 만든 가짜 스테레오 버전이 수록되었다. 그 이유는 이 곡의 스테레오 버전은 1971년에 가서야 만들어지기 때문. 또한 1999년에는 [[Yellow Submarine Songtrack]] 발매와 함께 디지털 리믹스화 되었는데, 동 앨범의 Only A Northern Song 만큼은 아니더라도 이 곡 또한 꽤 퀄리티가 좋아졌다. [[마크 저커버그]]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 [[소셜 네트워크]]의 말미를 장식하는 곡으로도 사용되었다. 비틀즈의 원곡이 영화 내에 들어간 몇 안되는 사례로, 비틀즈의 곡들은 너무 비싸서 대체로 원곡을 넣지 못한다.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 등 수많은 영화들이 비틀즈의 원곡을 넣지 못해 아예 비슷한 느낌의 새 곡까지 써버리는 일까지 있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상당히 돈이 많이 깨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담으로 [[비틀즈]] 원곡들의 저작권 문제가 해결이 안되어 비틀즈 유튜브 공식 계정에 비틀즈 원곡들이 올라오지 않았던 때에는 이 영화의 클립 장면만이 유튜브 내에서 이 곡을 들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다행히 2018년 중순부터 비틀즈 곡들이 공식 계정에 올라오면서 최근에는 원곡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 가사 == ||<-2><#FFD928> ---- '''{{{+2 {{{#D70D70 Baby,}}} {{{#E83821 You're}}} {{{#FFEE0C a}}} {{{#069931 Rich}}} {{{#0997D5 Man}}}}}}'''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D928 0%, #FF793B 50%, #FFD928 100%)" {{{ How does it feel to be one of the beautiful people?[* 이는 당시 비틀즈 멤버들이 푹 빠져있던 [[히피]] 운동에서 자주 쓰이던 구호였다. 보통 히피들이 자신들을 가리킬 때 쓰던 말이다.] [[히피|아름다운 사람들]] 중 하나가 된다면 기분이 어떨 것 같아? Now that you know who you are. 이제 넌 네가 어떤 상황인지 알 거야 What do you want to be? 넌 무엇이 되고 싶니? And have you travelled very far? 그리고 넌 멀리 여행을 떠나 본 적이 있니? Far as the eyes can see 보이는 한 멀리 말이야 How does it feel to be one of the beautiful people? 아름다운 사람들 중 하나가 된다면 기분이 어떨 것 같아? How often have you been there? 얼마나 자주 거기에 있어 봤어? Often enough to know 알 만큼은 있어 봤지 What did you see when you were there? 거기서 넌 뭘 봤니? Nothing that doesn't show 안 보이는 것 빼고는 다 봤지 Baby you're a rich man 너는 돈 많은 남자야 Baby you're a rich man 너는 돈 많은 남자야 Baby you're a rich man too 너도 돈 많은 남자야 You keep all your money in a big brown bag inside a zoo 넌 모든 돈을 동물원에 있는 큰 갈색 가방에 담지 What a thing to do 얼마나 멋진 일이야 Baby you're a rich man 너는 돈 많은 남자야 Baby you're a rich man 너는 돈 많은 남자야 Baby you're a rich man too 너도 돈 많은 남자야 How does it feel to be one of the beautiful people? [[히피|아름다운 사람들]] 중 하나가 된다면 기분이 어떨 것 같아? Tuned to a natural E 기본 튜닝으로 맞춰 Happy to be that way 행복해지는 방법이야 Now that you've found another key 또다른 실마리를 발견했네 What are you going to play? 무슨 곡을 연주할 생각이야? Baby you're a rich man 너는 돈 많은 남자야 Baby you're a rich man 너는 돈 많은 남자야 Baby you're a rich man too 너도 돈 많은 남자야 You keep all your money in a big brown bag inside a zoo 넌 모든 돈을 동물원에 있는 큰 갈색 가방에 담지 What a thing to do 얼마나 멋진 일이야 Baby you're a rich man 너는 돈 많은 남자야 Baby you're a rich man 너는 돈 많은 남자야 Baby you're a rich man too 너도 돈 많은 남자야}}} ---- [[파일:비틀즈 로고.svg|width=100]] || [[분류:Magical Mystery Tour]][[분류:비틀즈 노래]][[분류:1967년 노래]][[분류:사이키델릭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