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목차] == Baleful Strix == || '''영어판 명칭''' || '''Baleful Strix''' ||<|6>[[파일:external/www.cardkingdom.com/187277_1.jpg|width=230px]]|| || '''한글판 명칭''' || '''-''' || || '''마나비용''' || {U}{B} || || '''[[매직 더 개더링/유형|유형]]''' || 마법물체 생물 — 조류 || ||||비행, 치명타 Baleful Strix가 전장에 들어올 때, 카드 한 장을 뽑는다. ''Its beak rends flesh and bone, exposing the tender marrow of dream.''|| || '''공격력/방어력''' || 1/1 || ||||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 Planechase 2012 Edition || 언커먼 || |||| Commander 2013 Edition || 언커먼 || |||| Eternal Masters || 레어 || 가성비가 좋은 생물 중 하나. 비행이 붙어서 막기도 쉽지 않고 치명타가 붙었기 때문에 상대 생물이랑 붙어도 1:1교환은 시킬 수 있으며(상대 생물한테 선제공격이나 이단공격이 있지 않은 한) 게다가 들어오면서 카드를 한 장 뽑는 캔트립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핸드우위도 쉽게 차지할 수 있다. 이 카드는 기본판이나 확장판에는 없고 Planechase 2012 Edition의 닌자 덱 'Night of the Ninja'에 한장 들어있었다. 이걸로 달린 뒤에 닌자들의 인술(Ninjutsu) 능력으로 바꿔먹기를 하라는 듯 했지만... '''레가시에서 많이 쓰이면서''' 카드 가격이 폭등했다. '유색 마법물체 생물', 그것도 '다색'이 등장할 수 있는 블록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기본판이나 확장판에서 재판되기는 쉽지 않을 듯 하다. 기본판이나 확장판에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모던 보더이지만 모던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점을 유의하자. 본래 [[Shardless Agent]]도 마찬가지였으나 그쪽은 나중에 모던 호라이즌 2에 나왔다. 닌자 덱에 들어있었기 때문에 '닌자 새'라고 불린다. Commander 2013의 그릭시스덱에서 다시 나왔는데, 덕분에 그릭시스덱은 광속 품절. 아니, 이것도 있지만 [[True-Name Nemesis]]라는 놈도 있어서... 참고로 baleful은 영어로 '''해롭다'''는 뜻이고 strix는 불어로 부엉이란 뜻이다. 즉 이 카드는 말 그대로 '''[[저 새는 해로운 새다|해로운 새다]]'''. == 얼음송곳니 코아틀 == || '''영어판 명칭''' || '''Ice-Fang Coalti''' ||<|6>|| || '''한글판 명칭''' || '''얼음송곳니 코아틀''' || || '''마나비용''' || {G}{U} || || '''[[매직 더 개더링/유형|유형]]''' || 눈 생물 — 뱀 || ||||섬광, 비행 얼음송곳니 코아틀이 전장에 들어올 때, 카드 한 장을 뽑는다. 얼음송곳니 코아틀은 당신이 다른 눈 지속물을 세 개 이상 조종하는 동안 치명타를 얻는다.|| || '''공격력/방어력''' || 1/1 || ||||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 [[모던 호라이즌]] || 레어 || 뜬금없이 [[모던 호라이즌]]에서 변형판이 등장. ~~해로운 뱀~~ 디미르 컬러였던 원본과 달리 시믹 컬러가 된 데다, 카드 유형도 마법물체 대신 상위 유형인 눈이 추가되었으며, 치명타가 눈 지속물 3개를 요구하게 된 대신 섬광이 달렸다. 모던 호라이즌에서 기본 눈 대지가 재판되면서 이런 카드를 넣어준 듯하다. 처음에는 그리 주목받지 않았지만 무지개빛 풍경, [[아르쿰의 천문의]], 눈 대지를 쓰는 다색덱이면 '''섬광달린 늰좌새'''마냥 활약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이 꾸준히 오르고 있다. 거기다가 레가시에서도 [[왕관 도둑, 오코|오코]]가 활약하기 시작하자 오코와 컬러파이가 동일한 닌자뱀이 닌자새의 위치까지 빼앗아버린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