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ome Girls 트랙리스트)] ||<#FFFFFF><:>[[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width=70]]]]||<:><#FFFFFF>[[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000000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br]{{{+5 '''435위'''}}}||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노래, 순위=1264)] ||<-2><#5B8C45> '''{{{#000 {{{+1 Beast of Burde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lV-ZFyVH3c, width=100%, height=200)]}}} || || '''싱글 발매일''' ||1978년 8월 28일 (US) || || '''싱글 B면''' ||When the Whip Comes Down || || '''앨범 발매일''' ||[[1978년]] [[6월 9일]] || || '''녹음 기간''' ||[[1977년]] [[10월 10일]] - [[1977년]] [[12월 21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8C45;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5B8C45, #5B8C45); font-size: .9em" [[Some Girls.|'''{{{#F2E63D Some Girls}}}''']]}}} || || '''장르''' ||[[소울]], [[블루스 록]]|| || '''작사/작곡''' ||[[재거-리처즈]] || || '''프로듀서''' ||글리머 트윈스 [* 재거-리처즈 본인들의 프로듀서 예명] || || '''러닝 타임''' ||4:24(앨범), 3:28(싱글) || || '''스튜디오''' ||Pathé Marconi|| || '''레이블''' ||롤링 스톤즈 레코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5B8C45>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RdBsnX4N4,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j8lRssjN48, height=200)]}}} || || '''러닝타임 3:28의 싱글 버전''' || '''1978년 라이브''' || [[1978년]] 발매된 [[롤링 스톤스]]의 싱글이자 [[Some Girls]]의 수록곡. == 상세 ==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한 [[Some Girls]]중에서 Miss You다음으로 인기가 많은 곡이다. [[빌보드 핫 100]] 8위까지 올라갔다. 'I'll never be your beast of burden'이라는 가사가 [[몬더그린]]으로 'I'll never leave your pizza burning'이라는 드립이 미국에서 인기가 많다. [* start me up도 그렇고 [[믹 재거]]가 워낙 발음을 굴리다 보니까 이런 [[몬더그린]]드립이 많다..] 가사는 여자를 꼬시고 싶어하지만 잘 되지않는 화자의 이야기다. 난 너의 'Beast of Burden(짐꾼)이 되고싶지 않아'라는 구절을 보면 [[어장관리]]를 당하고 있는 모양이다. == 가사 == ||<:> '''{{{+4 Beast of Burden}}}''' I'll never be your beast of burden 난 절대 너의 짐꾼이 되지않을거야 My back is broad, but it's a-hurting 내 등은 넓지만, 상처가 났어 All I want, for you to make love to me 내가 원하는건, 너와 사랑을 나누는거야 I'll never be your beast of burden 난 절대 너의 짐꾼이 되지않을거야 I've walked for miles, my feet are hurting 난 몇 마일을 걸어왔고 내 발은 상처가 났어 All I want is for you to make love to me 내가 원하는건 너와 사랑을 나누는거야 Am I hard enough? 나 충분히 남자답지않아? Am I rough enough? 나 충분히 거칠지않아? Am I rich enough? 나 충분히 돈 많지 않아? I'm not too blind to see 나는 눈이 멀지 않았어 I'll never be your beast of burden 난 절대 너의 짐꾼이 되지않을거야 So let's go home and draw the curtains 그러니까 우리 집에 가서 커튼을 치자 Music on the radio 라디오에선 음악이 흐르고 Come on, baby, make sweet love to me 이리 와봐, 자기야, 달콤한 사랑을 나누자 Am I hard enough? 나 충분히 남자답지않아? Am I rough enough? 나 충분히 거칠지않아? Am I rich enough? 나 충분히 돈많지않아? I'm not too blind to see 나는 눈이 멀지 않았어 Oh, little sister 오, 자기야 Pretty, pretty, pretty, pretty girls 아름다운, 아름다운, 아름다운, 아름다운 아가씨 You're a pretty, pretty, pretty, pretty, pretty, pretty girls 넌 정말 아름다운, 아름다운, 아름다운, 아름다운, 아름다운, 아름다운 아가씨야 Pretty, pretty, such a pretty, pretty, pretty girl 아름다운, 아름다운, 정말 아름다운, 아름다운, 아름다운 아가씨 Come on, baby, please, please, please 이리와봐, 자기야, 제발, 제발, 제발 I'll tell you, you can put me out on the street 이렇게 말할거야, 넌 나를 내쫓아도 돼 Put me out with no shoes on my feet 신발도 없이 나를 내쫓아도 돼 But put me out, put me out 하지만 꺼내줘, 꺼내줘 Put me out of misery, yeah 이 비참함속에서 나를 꺼내줘, 그래 All your sickness, I can suck it up 너의 모든 결점들, 나는 견딜 수 있어 Throw it all at me, I can shrug it off 너의 결점들을 내게 던져봐,난 떨쳐낼 수 있어 There's one thing, baby, I don't understand 자기야, 내가 이해할수 없는 한가지 You keep on telling me I ain't your kind of man 너는 왜 나같은 남자를 좋아하지 않는지 Ain't I rough enough? Ooh, honey 오 자기야, 나 충분히 거칠지않아? Ain't I tough enough? 나 충분히 터프하지않아? Ain't I rich enough? In love enough? 나 충분히 돈많지않아? 충분히 사랑에 빠진거같지 않아? Ooh, please 오 제발 I'll never be your beast of burden 난 절대 너의 짐꾼이 되지않을거야 I'll never be your beast of burden 난 절대 너의 짐꾼이 되지않을거야 Never, never, never, never, never, never, never be 절대, 절대, 절대, 절대, 절대, 절대, 절대 I'll never be your beast of burden 난 절대 너의 짐꾼이 되지않을거야 I've walked for miles, my feet are hurting 난 몇 마일을 걸어왔고 내 발은 상처가 났어 All I want is you to make love to me, yeah 내가 원하는건 너와 사랑을 나누는거야, 그래 I don't need no beast of burden 난 짐꾼이 필요하지 않아 I need no fussing, I need no nursing 치료도, 야단도 필요하지 않아 Never, never, never, never, never, never, never be 절대, 절대, 절대, 절대, 절대, 절대 ,절대 ---- [[파일:롤링 스톤스 심볼.svg|width=50]] || == 참여 == * [[믹 재거]] - 보컬, 백 보컬 * [[키스 리처즈]] – 일렉 기타, 백 보컬 * [[로니 우드]] - 일렉 기타, 통기타 * [[찰리 와츠]] - 드럼 * [[빌 와이먼]] - 베이스 [[분류:1978년 노래]][[분류:1978년 싱글]][[분류:롤링 스톤스 노래]][[분류:블루스 록]][[분류:소울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