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uu57e3L4tY)]}}}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Black Square]]}}} {{{-3 (2008)}}} || || {{{-1 '''장르'''}}} ||{{{-1 [[유로비트|Eurobeat]]}}} || || {{{-1 '''BPM'''}}} ||{{{-1 155}}} || || {{{-1 '''작곡'''}}} ||{{{-1 [[Makou]]}}} || || {{{-1 '''BGA'''}}} ||{{{-1 [[KIMYS]] / [[Z_B]]}}} || == 개요 == > * '''작곡가 코멘트''' [[https://www.makou.com/my-music-information/|#]] > * 장르: [[유로비트|Euro]] > * 곡명: 생각난 대로 지었음. > * 경위: [[이니셜D]] 같은 걸 달라고 해서 배설한 노래. 개인적으론 좋아하지 않는다. [[DJMAX 시리즈]]에 꾸준히 작품을 투고하는 일본 작곡가 [[Makou]]의 유로비트 곡. [[DJMAX Portable Black Square]]에 최초 수록되었다. BGA는 전형적인 KIMYS와 Z_B의 스타일로 그려졌다. [[HEXAD]]와 [[Play the Future]]의 복붙이지만 특유의 속도감 덕분에 곡과 BGA의 매칭은 괜찮은 편. 사실 HEXAD가 오히려 Beat U Down의 복붙이다. 해당 항목 참고. DJMAX 시리즈에선 희귀하다고 할만한 유로비트 장르로써 인기가 좋다. 특히 높은 BPM과 몰아치는 신스음 덕분에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데, 4, 5, 6버튼의 MX 패턴은 모두 난이도가 14 이상이며, 특히 6B MX 패턴은 Black Square의 신곡 패턴들 중 최종 보스에 해당하는 난해한 패턴이다. 참고로 제목을 빗유다운이 아닌 '''비추다운'''이라 읽는 사람들이 더 많다. 때문에 커뮤니티에서는 이 곡과 관련된 글이 올라오면 비추천을 주는 밈이 있다. --하지만 1삑은 여지없이 개추업[* Get U Up]이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jmaxrespect&no=268060|#]]-- == [[DJMAX Portable Black Square]] == ||<-5> [[DJMAX Portable Black Square|{{{#000 '''DJMAX Portable Black Square'''}}}]] || || 모드 || '''NM''' || '''HD''' || '''MX''' || RD || || 4B || 11 || - || 14 || - || || 5B || 10 || - || 14 || - || || 6B || 10 || - || '''15''' || - || || 4BFX || 11 || - || - || - || || 6BFX || 11 || - || - || - || == DJMAX TECHNIKA 시리즈 == [youtube(lQtvFCAJYrQ)] Pop Mixing 노말 [youtube(04GTD2_FsO8)] Pop Mixing 하드 === [[DJMAX TECHNIKA 2]] === ||<-6> [[DJMAX TECHNIKA 2|'''{{{#black DJMAX}}} {{{#f0f T}}}{{{#f00 E}}}{{{#f80 C}}}{{{#fe0 H}}}{{{#cf0 N}}}{{{#0f0 I}}}{{{#0af K}}}{{{#00f A}}} {{{#aaa 2}}}''']]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 STAR || D || 2000MAX || 5 || || || || NORMAL || B || 3000MAX || 6 || || || || HARD || A || 7700MAX || 7 |||| [[Black & White Set]]의 상위 보스곡 || DJMAX Technika 2가 출시되면서 수록되었다. 정박 위주인 Star 패턴을 제외하고는 엇박 도배로 매우 변칙적이지만, Black Square의 패턴에 비해선 포스가 딸린다. [[Black & White Set]]의 상위 보스곡이지만 묻혀버린 세트라서 존재감이 없다. === [[DJMAX TECHNIKA 3]] === ||<-6> [[DJMAX TECHNIKA 3|'''{{{#096df9 DJMAX TECHNIKA 3}}}''']]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 STAR || || || 5 || || || || NORMAL || || 150 Max || 6 || || || || HARD || || 200 Max || 7 || [[Black & White Set]]의 상위 보스곡 || || 전작 그대로 수록되었다. === [[DJMAX TECHNIKA Q]] === ||<-4>
[[DJMAX TECHNIKA Q|{{{#7df12a '''DJMAX TECHNIKA Q'''}}}]] || || '''라인/난이도''' || '''NM''' || '''HD''' || '''EX''' || || '''2 LINE''' || 4 || 6 || '''9''' || || '''3 LINE''' || 4 || 6 || '''9''' || 2017년 12월 7일 업데이트로 수록되었다. 표기 난이도는 9레벨이지만 9레벨 치고는 꽤 어려운 편에 속한다. == [[TAPSONIC TOP]] ==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BS)]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at U Down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c1b49, #7a1023)" '''{{{#black BLACK SQUARE}}}'''}}} || ||<-4>'''{{{+5 Beat U Down}}}'''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1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70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851}}}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005}}}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1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9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951}}}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152}}}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58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81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1.15 패치에서 15 → 14로 하향.] [br] {{{-5 1025}}}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070}}}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1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1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011}}}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3'''}}} [br] {{{-5 1226}}} || ||<-5> 특수 패턴 || || XB SP ||<-4> [[DJMAX RESPECT/미션/DLC#s-6.2.5|End of Metro Project]]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91010, #621524, #BD234B)"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DJMAX RESPECT]]에 BLACK SQUARE DLC 1.14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6B에만 SC 패턴이 존재했으나, 시즌 10 업데이트에서 나머지 버튼들에도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CEk3p9hNY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WnX80TQpRY)]}}}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T4uT0bQgH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x1t_teTyTU)]}}} || 4B SC는 겹연타가 많이 쓰였다. 그중에서도 (영상 기준) 0:56초에 등장하는 4버튼 겹계단 형태의 겹연타와, 곧이어 등장하는 3연타-2연타 형태의 연타 패턴이 킬링 파트로, 해당 구간에서 꽤나 높은 연타 지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주의해줄 필요가 있다. 비슷하게 겹연타가 자주 등장하고 같은 12레벨 SC 패턴인 [[SQUEEZE(DJMAX)|SQUEEZE]]와 비슷한 패턴 양상을 가지고 있으나, 연타 구성이 조금 더 복잡하고 makou의 곡 아니랄까봐 엇박의 비중도 더 높기에 SQUEEZE의 상위호환 정도로 평가받는 까다로운 패턴이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QsLk8Bfne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rR3T0gx11w)]}}}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jnTB_yGN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QBy1LhjlEk)]}}}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RykxIMCqy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SLBMyuCw7U)]}}}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iIILDV9jv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BZrRoVVltY)]}}} || 6B MX는 처음 난이도가 15로 책정되었으나 [[SON OF SUN]]때와 마찬가지로 15레벨 최약체로 취급받았고 1.15 업데이트에서 14로 하향되었다. 이로써 TECHNIKA DLC의 [[SON OF SUN]] MX에 이어 두번째로 15→14로 하향된 곡이 되고 말았다. 6B SC 패턴은 16비트 겹계단만 조심한다면 크게 어렵지 않은, 15레벨 중하위~하위권에 속한다. 무리배치 없이 노래에 맞게 적당히 알맞게 짠 패턴으로 노트 수도 MX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치는 맛 자체는 좋으나 BS 당시의 아성에 비해 난이도가 조금은 낮아진 편에 속해 공방에서 자주 플레이되는 곡은 아니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8Ua06QxG3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429LqlYhCg)]}}}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j7HYOpn3pA)]}}}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HrLzKpR4C0)]}}} || 8B SC는 [[Warrior(GROOVE COASTER)|Warrior]]를 연상케 하는 한쪽 트리거-한쪽 일반 노트가 교차하며 손의 위치를 바꿔줘야 하는 패턴이 까다롭다. 해당 파트를 제외하면 13레벨 치고는 일반 노트의 구성도 그닥 어렵지는 않고 트리거 활용 또한 적당히 재미있는 수준으로 편하게 짜여져 있기 때문에 해당 구간을 얼마나 잘 처리할 수 있느냐에 따라 체감 난이도가 갈리는 패턴이다.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