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Bee Swarm Simulator)] [목차] == 개요 == 2022년 12월 26일, 비스마스 업데이트와 함께 출시된 벌 시뮬레이터의 새로운 챌린지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정리한 문서. == 상세 == 로보 패스[* 30지역에 들어가서 왼쪽에 디스펜서가 있다.] 를 가지고 로보 베어[* 장미 필드 근처에 있다.] 에게 말을 걸면 각각의 Drive를 모아오라는 퀘스트를 주는데, 이것을 깨면 로보 챌린지를 플레이할 수 있다. 시작하면 플레이어의 스탯을 약화시키는 효과를 주는데, 라운드가 진행될수록 감소되는 수치가 줄어든다.[* 특이하게도 중첩될 수록 줄어든다.] 디지털 비와 디지털 비를 강화시킬 수 있는 드라이브를 얻을 수 있는 챌린지다 보니 난이도도 굉장히 어렵다. 개미챌린지와는 비교도 안 되며 스틱버그 챌린지정도의 난이도를 가졌다. 스탯이 부실하면 메크스퀴토도 제대로 못 잡고 5라운드도 못 가는 경우가 많고 40마리 정도 있어도 브론즈 아뮬렛 겨우 얻을 난이도. 대신 보상도 짭잘하다. == 수리 방법 == 로보 베어에게 처음 말을 걸 때 각각의 Drive를 모아오라는 퀘스트를 클리어하는 방법에 대해 적은 문단이다. 1. 로보 베어에게 가서 퀘스트를 받는다. 2. 30지역 로보 패스 디스펜서 뒤에 있는 깨진 드라이브 토큰을 획득한다. 3. 과학곰에게 퀘스트를 받는다.[*클리어시 화이트 드라이브를 준다.] 4. 과학곰의 퀘스트를 클리어 한 후, 대퍼 베어와 판다곰한테 가서 퀘스트를 받는다.[*클리어시2 대퍼 베어는 블루 드라이브, 판다곰은 레드 드라이브를 준다.] 5. 대퍼 베어와 판다곰의 퀘스트를 '''둘 다''' 클리어 했을때 과학곰한테 다시 가서 퀘스트를 받는다.[*클리어시3 글리치 드라이브를 준다.] 6. 이제 로보 베어에게 가서 로보베어를 수리한다.[* 얼굴이 생긴다 --귀엽다--] 이 과정을 끝내면 로보 챌린지를 도전할 수 있게 된다. == 게임 방식 == 우선 로보 챌린지의 라운드가 시작하면 2개의 퀘스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한번에 한하여 다시 뽑기가 가능하다. Reboot 등의 특정 업그레이드는 다시 뽑기 찬스를 한번 더 준다.] 이후 자신의 벌집에 있는 벌 중 3개가 랜덤으로 나오며 이 중 하나를 골라 챌린지에 활성화시킬 수 있고 첫 라운드엔 3번, 다음부턴 2번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챌린지 동안 사용할 업그레이드를 고를 수 있는데 업그레이드의 성능에 따라 필요한 톱니의 양이 다르다[* 브론즈 업그레이드는 5개,실버는 8개 골드는 11개, 다이아는 15개 이런식으로]. 이런 식으로 준비 라운드를 가진 후 고른 퀘스트를 5분 내에 클리어하면 된다. 퀘스트, 벌 선택, 업그레이드 선택할땐 리롤이 가능하다. 대신 톱니를 사용하고 한 라운드당 한번의 제한이 있다. 퀘스트는 특별히 톱니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한번의 챌린지에 딱 한번만 리롤이 가능하다. 특정 업그레이드를 구매 시 기회가 한번 더 생긴다. 다만 일회용이라는게 흠 == 아뮬렛 == 기본적으로 다른 아뮬렛처럼 브론즈 ~ 슈프림의 5단계 아뮬렛을 따른다. >0~4라운드 : X >5~9라운드 : 브론즈 코그 아뮬렛 >10~14라운드 : 실버 코그 아뮬렛 >15~19라운드 : 골드 코그 아뮬렛 >20~24라운드 : 다이아 코그 아뮬렛 >25라운드 : 슈프림 코그 아뮬렛 == 업그레이드 == || 업그레이드 이름 || 등급 || 최대 레벨 || 효과 || || Botnet || 일반 || 1 || {{{#lime +25% 벌에게 얻는 꽃가루}}} || || Credit || 일반 || 3 || {{{#lime +2 ~ +6 라운드 당 코그}}} || || Defragment || 일반 || 10 || {{{#lime x1.5 ~ x?? 용량}}}, {{{#red x0.9 ~ x?? 크리티컬 파워}}} || || Homepage || 일반 || 10 || {{{#lime x1.25 ~ x 3.5 시작 지역 필드}}} || || Iterate || 일반 || 100 || {{{#lime x1.05 ~ x5 꽃가루}}} || || Overfit: Blue || 일반 || 10 || {{{#lime x1.25 ~ x?? 파란 꽃가루}}}, {{{#red x0.95 ~ x?? 플레이어 이동속도, -5% ~ -?? 벌 이동속도}}} || || Overfit: Red || 일반 || 10 || {{{#lime x1.25 ~ x?? 빨간 꽃가루}}}, {{{#red x0.95 ~ x?? 용량}}} || || Overfit: White || 일반 || 10 || {{{#lime x1.25 ~ x?? 하얀 꽃가루}}}, {{{#red x0.9 ~ x?? 전환율}}} || || Sharpen || 일반 || 10 || {{{#lime x1.2 ~ x3 벌 공격력}}}, {{{#red x0.9 ~ x?? 용량}}} || || APM || 레어 || 1 || {{{#lime 포커스 토큰을 먹었을 때, 20초 동안 x1.03 도구(Tools)에서 얻는 꽃가루, 도구 수집 스피드(10배까지 중첩)}}} || || Blue Screen || 레어 || 1 || {{{#lime 블루 부스트 토큰을 먹었을 때, 15초동안 x1.03 벌 공격력, x1.03 파란 벌 공격력(10배까지 중첩) }}} || || Crypto || 레어 || 3 || {{{#lime +3 ~ +?? 라운드 당 코그}}}, {{{#red x0.85 ~ x?? 꽃가루, x0.85 ~ x?? 용량}}} || || Commit || 레어 || 2 || {{{#lime +5% ~ +10% 크리티컬 확률}}}, {{{#red -10% ~ -20% 즉시 전환, -10% ~ -20% 빨간 꽃가루즉시 전환, -10% ~ -20% 하얀 꽃가루즉시 전환 }}} || || Equalize || 레어 || 1 || {{{#lime +1 벌 공격력, x1.25 기프티드가 아닌 벌 공격력}}} || || Expansion || 레어 || 100 || {{{#lime x1.25 ~ x?? 용량}}} || || GPU || 레어 || 3 || {{{#lime x1.25 ~ x1.75 꽃가}}}, {{{#red 꽃가루, -4 ~ -12 라운드 당 코그}}} || || Nullify || 레어 || 2 || {{{#lime x1.5 ~ x?? 크리티컬 파워}}}, {{{#red x0.85 ~ x?? 꽃가루}}} || || Outsource || 레어 || 3 || {{{#lime x1.5 ~ x?? 벌에게 얻는 꽃가루}}}, {{{#red x0.85 ~ x?? 도구에서 얻는 꽃가루}}} || || Router || 레어 || 10 || {{{#lime x1.25 ~ x3.5 5지역 필드 꽃가루}}} || || Saturate || 레어 || 3 || {{{#lime x1.15 ~ x?? 파란 벌 공격, x1.15 ~ x?? 무색 벌 공격력}}}, {{{#red x0.8 ~ x?? 빨간 벌 공격력}}} || || SSD: Blue || 레어 || 3 || {{{#lime x2 ~ x4 파란 필드 용량, x1.5 ~ x2.5 파란 벌 전환율 }}}, {{{#red x?? ~ x?? ???}}} || || SSD: Red || 레어 || 3 || {{{#lime x2 ~ x4 빨간 필드 용량, x1.5 ~ x2.5 빨간 벌 전환율 }}}, {{{#red x0.75 ~ x0.5 폭탄에서 얻는 꽃가루}}} || || SSD: White || 레어 || 3 || {{{#lime x2 ~ x4 하얀 필드 용량, x1.5 ~ x2.5 무색 벌 전환율 }}}, {{{#red x0.8 ~ x0.6 벌 공격력}}} || || Subscribe || 레어 || 1 || {{{#lime +1 라운드 당 코, x1.1 이벤트 벌 꽃가루}}} || || Virus || 레어 || 3 || {{{#lime +1 ~ +?? 벌 공격력, +1% ~ +?? 크리티컬 확률}}}, {{{#red x0.9 ~ x?? 꽃가루}}} || || VPN || 레어 || 3 || {{{#lime +10% ~ +30% 회피(Dodge) 확률}}} || || Bandwidth || 에픽 || 1 || {{{#lime x1.25 벌집에서 전환율, x1.1% 마크(Mark) 꽃가루, x3 크림슨, 코발트 비 능력 꽃가루}}} || || Base-15 || 에픽 || 10 || {{{#lime x1.25 ~ x3.5 15지역 필드 꽃가루}}} || || Beebay || 에픽 || 1 || {{{#lime +1 벌 선택 옵션 }}} || || Client-Side || 에픽 || 1 || {{{#lime x1.25 플레이어 이동속도, x1.25 도구에서 얻는 꽃가루 }}}, {{{#red x0.75 전환율}}} || || Demarcate || 에픽 || 1 || {{{#lime 마크 토큰을 먹었을 때, 15초 동안 x1.03 크리티컬 파워(10배까지 중첩)}}} || || F5 || 에픽 || 1 || {{{#lime +1 퀘스트 리롤 }}}, {{{#red -3 라운드 당 코그}}} || || Fission || 에픽 || 1 || {{{#lime x4 폭탄에서 얻는 꽃가루, +1 라운드 당 코그, +1 벌 공격력 }}}, {{{#red x0.75 폴른}}} || || FOV || 에픽 || 1 || {{{#lime +1 업그레이드 옵션 }}}, {{{#red -2% 크리티컬 확률}}} || || Furnace || 에픽 || 1 || {{{#lime x1.5 불꽃 꽃가루, x1.5 불꽃 지속 시간, x1.5 불꽃 공격력 }}}, {{{#red -4 라운드 당 코그}}} || || HDD || 에픽 || 1 || {{{#lime x3 용량, x4 벌집에서 전환율 }}}, {{{#red x0.5 전환율, x0 즉시 전환, x0.5 구(Goo) 전환율}}} || || Inject || 에픽 || 1 || {{{#lime x1.25 Impale 공격, +2 파란 벌 공격력. +1 무색 벌 공격력 }}} || || Invert || 에픽 || 1 || {{{#lime x4 버블에서 모으는 빨간 꽃가루, x3 불꽃에서 모으는 파란 꽃가루}}} || || Malware || 에픽 || 1 || {{{#lime +3 벌 공격 }}}, {{{#red x0.75 전환율, x0.75 용량}}} || || NFT || 에픽 || 1 || {{{#lime +4 라운드 당 코그 }}}, {{{#red -3 벌 공격력}}} || || Normalize || 에픽 || 1 || {{{#lime x2 꽃가루, x2 벌 공격력 }}}, {{{#red x0 크리티컬 확률}}} || || Pop-Up || 에픽 || 1 || {{{#lime x2 버블 꽃가루, x1.5 버블 지속 시간, +2 파란 벌 공격력 }}}, {{{#red -4 라운드 당 코그}}} || || Proxy || 에픽 || 1 || {{{#lime 신속 토큰을 먹었을 때, 20초 동안 +2% 무적 확률(10배까지 중첩) }}}|| || Refractor || 에픽 || 10 || {{{#lime x1.1 ~ x?? 벌 능력 꽃가루 }}}, {{{#red x0.9 ~ x?? 전환율}}} || || Respec: Blue || 에픽 || 2 || {{{#lime x1.25 ~ x?? 빨간 꽃가루, x1.25 ~ x?? 하얀 꽃가루 }}}, {{{#red x0.6 ~ x?? 파란 꽃가루}}} || || Respec: Red || 에픽 || 2 || {{{#lime x1.25 ~ x?? 파란 꽃가루, x1.25 ~ x?? 하얀 꽃가루 }}}, {{{#red x0.6 ~ x?? 빨간 꽃가루}}} || || Respec: White || 에픽 || 2 || {{{#lime x1.25 ~ x?? 빨간 꽃가루, x1.25 ~ x?? 파란 꽃가루 }}}, {{{#red x0.6 ~ x?? 하얀 꽃가루}}} || || Synchronize || 에픽 || 1 || {{{#lime x1.2 폭탄 위력, 'Red Bomb Sync' 능력이 크림슨 비가 활성화 되어 있다면 항상 활성화, 'Blue Bomb Sync' 능력이 코발트 비가 활성화 되어 있다면 항상 활성화}}} || || Torrent || 에픽 || 1 || {{{#lime +10% 즉시 전환, x1.5 'Tornado'에서 얻는 꽃가루, x1.5 'Beamstorm'에서 얻는 꽃가루}}} || || White Noise || 에픽 || 1 || {{{#lime x1.1 하얀 꽃가루, x1.25 'Buzz Bomb'에서 얻는 꽃가루 }}}, {{{#red -1 라운드 당 코그}}} || || Virtual Pet || 에픽 || 1 || {{{#lime +10% 벌 이동속, x1.5 'Scratch'에서 얻는 꽃가루, x3 'Fetch'에서 얻는 꽃가루 }}} || || Bluetooth || 전설 || 1 || {{{#lime x1.25 파란 꽃가루, x2 파란 벌 공격력 }}} || || Bruteforce|| 전설 || ? || {{{#lime x1.25 빨간 꽃가, +6% 슈퍼 크리티컬 확률 }}} || || Codec || 전설 || 1 || {{{#lime +20% 즉시 전환 }}}, {{{#red x0.8 벌 공격력}}} || || Corrupt || 전설 || 1 || {{{#lime +1% Ability Duplication Chance, x2 Duped Ability Pollen }}} || || Fluid Simulation || 전설 || 1 || {{{#lime x1.25 끈적이, x1.25 하얀 꽃가루 }}} || || Optimize || 전설 || 25 || {{{#lime x1.1 ~ x2.5 꽃가루, x1.1 ~ x2.5 전환, x1.1 ~ x2.5 용량 }}} || || Overclock || 전설 || 1 || {{{#lime +10% 벌 이동속도, +10% Bee Ability Rate }}}, {{{#red x0.75 용량}}} || || Pseudo-RNG || 전설 || 1 || {{{#lime +3% 크리티컬 확률, x1.25 슈퍼 크리티컬 파워, x2 클로버 필드 폴른 }}} || || Reboot || 전설 || 1 || {{{#lime +1 퀘스트 리롤}}} || || Stack Overflow || 전설 || 1 || {{{#lime +10 라운드 당 코그 }}}, {{{#red x0.75 이동 속도, -25% 벌 이동속도}}} || || The Cloud || 전설 || 3 || {{{#lime x2.5 ~ x?? 용량}}} || || Wifi || 전설 || 10 || {{{#lime x1.25 ~ x3.5 그루터기, 산정상, 코코넛, 고추 밭 꽃가루}}} || * 초록색으로 표기된 글자는 버프, 빨간색은 디버프이다. * 업그레이드라고 해서 버프만 주는 것이 아니라 디버프도 같이 주기 때문에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 몹 == 라운드를 진행하다 보면 기존의 몹 외에 로보챌만의 몹이 생성되며, 각각 Mechsquito, Cogmower, Cogturret, Mega Mechsquito, 그리고 특별한 몹인 Golden Cogmower가 있다. === Mechsquito === [[파일:Mechsquito.png]] 챌린지를 시작하고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몹이다. 이름의 어원은 Mech + Mosquito. 플레이어가 꽃을 캐고 있으면 멀리서 날아와 탄환을 발사하여 공격한다.[* 공격방식은 2번 탄환을 쏘고 위치를 바꾸는걸 반복한다] 가까이 가면 도망간다. Mechsquito의 한방 데미지 자체는 간지러운 수준이나, 갈수록 이 몹이 너무 많이 나오고 맞을 때마다 슬로우/꽃가루 감소 디버프를 주기 때문에 까다롭다. 심지어 중첩되기 때문에 계속 맞으면 더욱 악화된다![* 최대 10배까지 중첩가능] 후술할 Cogmower가 튼튼해서 안 그래도 초반에 조금 부족한 벌의 딜이 분산되는 점도 한 몫 한다. === Cogmower === [[파일:Cogmower.png]] Mechquito 다음으로 볼 수 있는 몹이다. 플레이어가 있는 필드에서 쑥 하고 올라와 필드를 돌아다니며 꽃을 헤집고, 닿으면 큰 대미지를 준다. 디버프 같은 건 없지만 대신 매우 단단하고 계속 돌아다니므로 딜의 집중을 어렵게 한다. === Cogturret === [[파일:Cogturret.png]] 11 라운드부터 출현하는 몹이며, 필드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플레이어와 정렬하려 움직인다[* 가로 또는 세로로 플레이어랑 똑같이 움직인다고 생각하면 쉽다.] 그리고 빨간 톱니를 발사해서 그 경로의 꽃을 고갈시킨 뒤 땅속으로 들어가 타겟팅 불가 상태가 된다. 꽃을 고갈시키기 때문에 스프링클러가 좋지 않다면 캐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또 숨는 판정이 있기 때문에 코그터렛 잡는 퀘스트를 깰 때 거슬릴 수 있다. === Mega Mechsquito === 15라운드부터 등장. 일반적으로 마지막에 보는 몹이다. 메키스 퀴토보다 크다. 한 번에 6발을 발사하는 대신 발사속도는 느리다. === Golden Cogmower === 특별 몹. 3,4,6 라운드 중 한번, 12,13,14,16 라운드 중 한번, 21,22,23,24 라운드 중 한번 등장한다. 라운드 시작 시 클로버 밭, 파인애플 밭, 호박 밭 또는 산꼭대기 밭에서 등장한다. 원본과 다르게 플레이어가 다른 필드로 가도 쫓아가진 않는다. 잡을 시 톱니를 많이 준다. == 팁 == * 상술했듯, 난이도가 '''매우''' 어려우므로 극 후반 정도가 아닌 이상 디지털 비는 물론, 골드 아뮬렛도 정말 힘드니 주의하자.[* 특히 5, 10, 15, 20라운드는 몹을 잡는 퀘스트가 있어서 어려운 편이다.] * 웬만하면 빨강 벌이나 공격력이 좋은 벌을 주로 선택하자. * 과즙(nectar) 버프는 매우 중요하다. 과즙을 미리 모아놓고 하면 최대 두배정도의 꽃을 모을수 있다. * 난이도가 높은 퀘스트를 할 예정이라면 바람 신사에서 버프를 받고 시작하자. 시작한 후 작업할 필드에서 로디드 다이스를 쓴다음 퍼플 포션이나 슈퍼 스무디를 쓰면 훨씬 좋다. (슈퍼 스무디가 훨씬 좋지만 재료가 부담스러우면 퍼플 포션을 써도 무난하다.) * 로디드 다이스를 여러개 쟁여놓고 필요할 때마다 쓰자. [[분류:Bee Swarm Simulator]] * 슈프림 코그 아뮬렛은 그 난이도로 벌집 평균 레벨이 20은 되는 썩은물들이나 가능할까 말까 하는 수준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mmIqA7inD2g]][* 영상의 유저도 몇 초를 남기고 클리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