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엘튼 존)] ||||<#fff,#191919><-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 || ''[[Hooked on a Feeling]]'' {{{-2 {{{#8086a0 Blue Swede}}}}}}[br]{{{-2 (1주)}}} || {{{+1 →}}} || '''Bennie And The Jets''' '''{{{-2 {{{#8086a0 Elton John}}}}}}'''[br]{{{-2 (1주)}}} || {{{+1 →}}} || ''[[TSOP (The Sound of Philadelphia)]]'' {{{-2 {{{#8086a0 MFSB}}}}}}[br]{{{-2 (2주 연속)}}}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lton_John_-_Bennie_and_the_Jets.jpg|width=100%]] || ||'''수록 앨범'''||[[Goodbye Yellow Brick Road]]|| ||'''앨범 발매일'''||[[1973년]] [[10월 5일]]|| ||'''녹음 기간'''||[[1973년]] [[5월]]|| ||'''녹음 장소'''||[[프랑스]] 샤토 에루빌|| ||'''싱글 발매일'''||[[1974년]] [[2월 4일]] ^^(US)^^[br][[1976년]] [[9월]] ^^(UK)^^|| ||'''싱글 A면'''||[[Candle In The Wind]] ^^(UK)^^|| ||'''싱글 B면'''||[[Harmony]] ^^(US)^^|| ||'''장르'''||[[글램 록]]|| ||'''재생시간'''||5:23|| ||'''작곡가'''||[[엘튼 존]]|| ||'''작사가'''||[[버니 토핀]]|| ||'''프로듀서'''||거스 더전|| ||'''발매사'''||DJM (UK), MCA (US)||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V5zFpctrgjs)]|| || 2014년 리마스터 버전 || ||[youtube(wo1OwRTRKRk)]|| || 공식 뮤직비디오 || [[엘튼 존]]의 1973년 정규 7집 [[Goodbye Yellow Brick Road]]의 3번 트랙이며, 7집의 세 번째 싱글이다. == 상세 == 경쾌한 리듬을 가진 글램 록, R&B 풍의 곡이다. 라이브 음원을 듣는 듯한 관중 효과, 피아노, 일렉트릭 기타, 파피사 오르간 등 각종 악기들로 어우러져 역동적이면서도 현란한 분위기를 이어간다. 가사에서 말하는 "베니 앤 더 제츠"(Bennie And The Jets)는 가상의 록 밴드로, "베니"와 그녀의 미래지향적인 글램 록 밴드에 대해 묘사했다. "베니"는 밴드의 리더이자 일렉트릭 부츠를 신고 모헤어 슈트를 입었다고 묘사한 록 가수이며, "제츠"는 밴드의 나머지 일원에 대한 것이다. "베니"를 포함한 밴드의 모든 일원은 전부 여성이다. 코러스에서 'B B B Bennie and the Jets' 거리는 건 로봇 같은 발음을 표현한 것이다. 버니 토핀은 자신이 즐겨 보았던 만화책, 영화 등 SF 관련 매체들과 독일의 사진가 헬무트 뉴튼[* 1920-2004]의 사진 작품들에 영감을 얻으며 쓴 가사라고 밝혔다.[* [[https://www.youtube.com/watch?v=ZcOteog3GUU|Bennie And The Jets를 설명하는 엘튼 존과 버니 토핀]]] 라이브 실황의 효과를 넣고서 녹음한 건 프로듀서 거스 더전의 아이디어였다. 믹싱 작업하고 있던 거스 더전은 엘튼 존이 레코딩 스튜디오에 있는 피아노로 갑자기 인트로의 스타카토 선율을 한마디 누른 걸 보고 의아하여 음향 기술자 데이비드 헨첼에게 '방금 엘튼이 뭘 한 거지?'라고 물어보자, 헨첼은 엘튼이 무대에서 곡을 부르기 전에 관중에게 호응을 끌어보자 하며 하는 일종의 맛보기라고 했다. 그러면서 거스 더전은 이걸 라이브에서 연주되는 느낌을 녹음하자고 결정했다.[* 거스 더전 인터뷰, 1993년] 거스 더전과 데이비드 헨첼은 여러 음반들을 뒤져 1972년 2월 5일 엘튼 존의 런던 로열 페스티벌 홀 공연과 [[지미 헨드릭스]]의 1971년 라이브 앨범 《Isle of Wight》에서 들리는 관중 함성을 효과음을 가져오면서 그대로 사용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Jq15FFKIyM|엘튼 존 - 영국 런던 로열 페스티벌 홀 공연 (1972년 2월 5일)]]] 하지만 거스 더전은 영국 청중들은 항상 약박이 아니라 강박에 맞춰 박수를 치는데, 자신은 박수 효과를 잘못된 박에 맞춘 상태로 녹음했다면서 유독 마음에 걸린다고 밝혔다.[* Elton John: The Biography, 167 페이지] 노래 아웃트로에서 들리는 신시사이저 같은 소리는 [[엘튼 존 밴드]]의 기타리스트 데이비 존스턴이 기타를, 엘튼 존이 파피사 오르간으로 느리게 연주한 다음, 편집할 때 빠르게 재생한 것이다.[* 2014년 3월 엘튼 존 공식 웹사이트에 게시된 데이비 존스턴 인터뷰] 버니 토핀은 영국의 록 가수 [[Robert Palmer|로버트 팔머]]의 1986년 히트곡 "Addicted To Love"[* [[빌보드 핫 100]] 1위, 1986년 [[빌보드 연말 차트]] 10위권에 진입한 대히트곡이자 로버트 팔머를 대표하는 곡이다.]의 뮤직비디오에 등장한 어두운 톤으로 차려입은 여성 모델들의 이미지가 "Bennie And The Jets"의 "베니 앤 더 제츠"를 연상시킨다고 밝혔다.[* [[https://www.rollingstone.com/music/music-news/elton-john-and-bernie-taupin-look-back-at-goodbye-yellow-brick-road-205112/|버니 토핀 - 롤링 스톤 인터뷰 (2014년)]]][* [[https://www.youtube.com/watch?v=XcATvu5f9vE|로버트 팔머 - Addicted To Love (1986)]]] 2016년 12월, 엘튼 존과 버니 토핀 협업 50주년 기념으로 열린 뮤직비디오 이벤트에 [[Rocket Man]], "Bennie And The Jets", [[Tiny Dancer]]가 뮤직비디오 대상 곡이었다. 최종적으로 선발된 "Bennie And The Jets" 뮤직비디오는 미래지향적인 패션쇼로 묘사한 무용물이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q8vGyzrR1q6lNBSaY_BHbz5cZ_uEjwPs|Elton John: The Cut]]] "Solid Wall of Sound" 구절을 1995년 곡 "Believe"의 아웃트로, 1974년 [[더 후]] 커버곡 "Pinball Wizard", 1973년 곡 [[Dirty Little Girl]]의 간주 선율과 함께 리믹스되어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한 엘튼 존의 마지막 세계 투어 〈Farewell Yellow Brick Road〉의 오프닝 음악으로 사용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W5JazHTesw|Farewell Yellow Brick Road 투어 오프닝 (2018년 9월 15일 뉴욕 라이브)]]] == 발매 == 엘튼 존과 그의 팀원들은 앨범 녹음을 마치고 난 뒤에도 "Bennie And The Jets"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기엔 어렵다고 생각해 그 누구도 이 곡을 싱글로 보지 않았고, 엘튼 존은 이 곡보다 [[Candle In The Wind]]를 싱글로 발매하고 싶어 했다. 1974년 당시 엘튼 존의 미국 음반사였던 MCA의 홍보부서장 팻 피폴로는 "Bennie And The Jets"를 듣고서, "Candle In The Wind"보다 히트성이 대단하면서도 엘튼 존이 빌보드 R&B 차트에서 통할 수 있다고 직감하여 그에게 싱글을 발매하도록 권유했는데 싱글 발매에 그렇게 반대하던 엘튼 존은 MCA 측과 2주 동안 서로 전화하며 의견 다툼으로 싸웠다고 한다. MCA는 만약 "Bennie And The Jets"가 빌보드 R&B 차트, 즉 흑인 음악 분야에서 큰 인기를 끌면 어떻겠냐는 제안을 하자 엘튼 존은 그 말에 곧바로 동의하면서 "Bennie And The Jets"를 싱글로 발매하게 되었고, B면에는 [[Harmony]]를 수록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mxeJn6i90I&list=PLEiFa-TFQIkSVApaGzT071zXfZiJgK3xa&index=9&t=0s|The Nation's Favourite Song]]] 다만 영국에서는 "Candle In The Wind"를 싱글로 발매했고 이 곡은 B면에 수록했다. 미국에서 싱글로 발매되는데 디트로이트의 라디오 방송국 WJLB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는 것도 한몫했다고 한다. WJLB는 아직 싱글로 발매된 상태가 아니었던 "Bennie And The Jets"를 앨범 수록곡 중 하나를 고른다는 식으로 꾸준히 재생했는데 이게 라디오 청취자들로부터 큰 반응을 모았다. 당시 MCA에게 걸려오던 전화들 중에서 80%가 "Bennie And The Jets"를 싱글로 발매하라는 지속적인 요청이었다고 한다.[* 2014년 3월 엘튼 존 웹사이트에 게시된 Bennie And The Jets [[https://www.eltonjohn.com/stories/gybr-song-by-song-bennie-and-the-jets|배경 게시글]]] 미국 1위, 캐나다 1위, 호주 5위 등 세계 각지에서 10~20위권 진입했으며, 1972년 히트곡 [[Crocodile Rock]]에 이어 빌보드 핫 100 차트에 1위를 기록한 두 번째 엘튼 존 곡이 되었다. 영국에서는 1976년 9월 싱글로 뒤늦게 발매되며 37위를 기록하는데 그쳤다. 빌보드 R&B 차트에서 15위를 기록하며 R&B 차트 40위권 진입에 성공한 첫 엘튼 존 곡이 되었다. 싱글 발매 1년 뒤, 1975년 5월 17일 소울 음악 전문 프로그램 [[Soul Train|소울 트레인]]에 출연하여 이 곡, 1975년 2월 싱글로 발매되어 빌보드 핫 100 1위를 기록한 히트곡 [[Philadelphia Freedom]]을 같이 불렀다. 엘튼 존은 〈소울 트레인〉에 출연한 첫 백인 뮤지션이기도 한데, 엘튼 존도 이에 크게 감격스러워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mxeJn6i90I&list=PLEiFa-TFQIkSVApaGzT071zXfZiJgK3xa&index=9&t=0s|The Nation's Favourite Song]]] == 참여자 == * 보컬, 작곡, 피아노, 파피사 오르간 - 엘튼 존 * 작사 - 버니 토핀 * 어쿠스틱, 일렉트릭 기타 - 데이비 존스턴 * 베이스 - 디 머리 * 드럼 - 나이절 올슨 * 프로듀싱 - 거스 더전 == 매체에서 == * 코러스의 'She′s got electric boots a mohair suit, You know I read it in a magazine, B B B Bennie and the Jets' 구절이 'She′s got electric "[[슴가|Boobs]]", a "Mohawk" Too, You know I "[[플레이보이|Rabbit in a Magazine]]"'로 [[몬더그린]]으로 들린다는 농담이 있다. * [[액슬 로즈]]는 엘튼 존이 1994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될 때 헌사를 맡으며, 이 곡을 듣고서 뮤지션이 되는 걸 결심했다고 밝혔다.[* [[https://www.youtube.com/watch?v=QsXrsmNjmYc|액슬 로즈 - 엘튼 존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사 영상]]] * 1999년 8월 17일 발매된 [[메리 제이 블라이즈]]의 정규 4집 《Mary》의 수록곡 "Deep Inside"가 이 곡의 리듬을 빌렸다. 이 곡에서 엘튼 존이 피아노 연주를 맡았고, 버니 토핀이 작사에 참여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rk4uJHW-Ec|메리 제이 블라이즈 - Deep Inside (1999)]]] * [[벤 폴즈]]의 2008년 곡 "Hiroshima (B B B Benny Hit His Head)" 제목은 이 곡에 대한 오마주다.[* [[https://www.youtube.com/watch?v=K_dm4oT61fQ|벤 폴즈 - Hiroshima (B B B Benny Hit His Head) (2008)]]] * 2013년 11월 28일 방영된 [[더 머펫 쇼]] 크리스마스 특집에서 [[레이디 가가]]의 "Artpop"과 메들리로 연결하며 같이 듀엣으로 불렀다.[* [[https://www.youtube.com/watch?v=Mfui4q9XTdk|엘튼 존/레이디 가가 - Artpop/Bennie And The Jets (2013)]]] * [[미겔(가수)|미겔]]과 왈레가 커버한 곡이 [[Goodbye Yellow Brick Road]]의 2014년 40주년 디럭스반의 디스크 2에 수록되었다. * [[핑크(가수)|핑크]]와 [[로직(래퍼)|로직]]이 커버하며 원곡을 힙합으로 편곡한 곡이 2018년 발매된 엘튼 존/버니 토핀 헌정 앨범 [[Revamp: Reimagining The Songs Of Elton John & Bernie Taupin]]에 수록되었다. 핑크가 메인 보컬, 로직이 랩을 맡았다. *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2016년 11집 《The Getaway》의 수록곡 "Sick Love"는 이 곡에서 영감받은 곡이며,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이 작사/작곡으로 참여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2XfVml6o24|레드 핫 칠리페퍼 - Sick Love (2016)]]] *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의 2016년 정규 6집 [[We got it from Here... Thank You 4 Your service]]의 수록곡 "Solid Wall Of Sound"가 이 곡의 구절에서 따오며 샘플링한 곡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L400S6Flz2I|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 - Solid Wall Of Sound (2016)]]] == 가사 == >Hey kids, shake it loose together >이봐 친구들, 다 함께 흔들어 떨궈버려 >The spotlight's hitting something >조명에 뭔가가 걸렸어 >That's been known to change the weather >저게 날씨까지 바꾼다던데 >We'll kill the fatted calf tonight >오늘 밤 우린 살찐 송아지를 잡을 거야 >So stick around >그러니 꼼짝 말고 있어 >You're gonna hear electric music >너는 일렉트릭 음악을 듣게 될 거야 >Solid walls of sound[* [[필 스펙터]]가 주도한 녹음 방식이며, 1960년대 영미권 팝 음악에서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견고한 월 오브 사운드로 > >Say, Candy and Ronnie, have you seen them yet >이봐, 캔디와 로니, 저 밴드 본 적 있어? >But they're so spaced out, Bennie and the Jets >저 친구들 완전히 넋들이 나갔는데, 베니 앤 더 제츠 말이야 >Oh but they're weird and they're wonderful >저 밴드는 아주 희한하면서도 멋져 >Oh Bennie she's really keen >베니 저 여자는 아주 강렬하지 >She's got electric boots a mohair suit >그녀는 전자 부츠에 모헤어 슈트까지 있어 >You know I read it in a magazine >잡지에 그렇게 나와 있더라고 >Bennie and the Jets >베니 앤 더 제츠 > >Hey kids, plug into the faithless >이봐 친구들, 불신에 플러그를 꽂아 >Maybe they're blinded >아마 눈들이 멀 거야 >But Bennie makes them ageless >하지만 베니가 늙지 않게 해줄 걸 >We shall survive, let us take ourselves along >우린 끝까지 살아남을 거야, 우리도 함께 가게 해줘 >Where we fight our parents out in the streets >우리의 부모들과 싸우던 거리에서 >To find who's right and who's wrong >누가 옳고 누가 그른지를 가리기 위해 == 라이브 == 라이브에서는 1973년부터 꾸준히 불렀다. 1979년부터 즉흥 피아노 연주를 덧붙여 짧게는 7분, 길게는 10분 이상 연주했으며, 솔로 공연에서는 주로 [[글렌 밀러]]의 1939년 곡 "In The Mood" 선율을 덧붙이며 현란한 [[부기우기]] 연주를 선보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Bennie+and+the+Jets|Bennie And The Jets 라이브 기록]]] * [[https://www.youtube.com/watch?v=_vPbp7SYhKs|1973년 12월 22일 영국 런던 해머스미스 오데온 극장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TmyrTOdmros|1974년 12월 24일 영국 런던 해머스미스 오데온 극장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WOm0CdyYXIc|1975년 5월 17일 소울 트레인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BkCdeyn9K08|1976년 9월 17일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i3XhlVE8zaE|1977년 11월 3일 웸블리 아레나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C8rE-vAbkH8|1979년 5월 28일 러시아 모스코 "엘튼 존/레이 쿠퍼"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EiRZYqGHn6Q|1980년 9월 13일 뉴욕 센트럴 파크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bBMWwU3Yy1s|1982년 12월 24일 영국 런던 해머스미스 오데온 극장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jKbpvina0gw|1984년 6월 30일 웸블리 스타디움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SzMaWLbLnG8|1985년 7월 13일 라이브 에이드]] * [[https://www.youtube.com/watch?v=MkRC_J2sHf8|1986년 12월 14일 호주 시드니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gpnNkNUitzY|1990년 5월 17일 MTV 언플러그드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x7dd_TJ3p8c|1994년 9월 22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엘튼 존/레이 쿠퍼"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jh3G_-_QY9s|1995년 11월 25일 브라질 리오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qcbdyBx7lpY|1997년 9월 14일 오프라 윈프리 쇼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brlU792zGLU|1999년 10월 16일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4hX5fRbsmE8|2000년 10월 20일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1EtCrHBq7Ds|2005년 4월 9일 라스베이거스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XGiuor-7DRE|2009년 6월 21일 스웨덴 보로스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HBHxjaImeLc|2014년 6월 15일 부날루 페스티벌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dkSVfGCFoi8|2016년 9월 11일 런던 하이드 파크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hWJA0XdpZC4|2018년 9월 12일 미국 필라델피아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cJfFIqScjCk|2019년 1월 25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0pAVMjskSfc|2020년 2월 4일 뉴질랜드 더니든 라이브]] [[분류:엘튼 존 노래]][[분류:1973년 노래]][[분류:1974년 싱글]][[분류:빌보드 1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