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F95> '''Big Willie Style 관련 둘러보기 틀'''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연도=2000, 순위=438)]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154)]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 음반명=Big Willie Style)] ---- [include(틀:RIAA 플래티넘, pt=9)] }}} || ||<-2> '''{{{+1 {{{#fff Big Willie Styl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ig_willie_style.jpg|width=100%]]}}} || || '''발매''' ||[[1997년]] [[11월 25일]]|| || '''녹음''' ||1996년 ~ 1997년|| || '''장르''' ||[[동부 힙합|이스트 코스트 힙합]], [[팝 랩]]|| || '''길이''' ||54:12|| || '''곡 수''' ||16곡 + 1곡|| || '''프로듀서''' ||포크 & 톤[* 미국의 프로듀서 듀오, 트랙마스터스(Trackmasters).] (exec.), L.E.S., [[윌 스미스]], DJ 재지 제프, 키스 펠저, 라이언 토비, 안드레아오 허드, 발빈 로아, 소스|| || '''레이블''' ||[[컬럼비아 레코드]]|| [목차] [clearfix] == 개요 == [[1997년]] [[11월 25일]]에 발매된 [[윌 스미스]]의 솔로 데뷔 앨범. == 상세 == 윌 스미스는 1987년부터 1993년까지 프레시 프린스(Fresh Prince)라는 예명으로 DJ 재지 제프와 듀오를 맺으며 5장의 앨범을 발매한 베테랑 래퍼였다. 그러나 윌을 세계적인 스타로 만들어 준 곳은 무대 위가 아니라 스크린 화면 속이었는데, 《[[더 프레시 프린스 오브 벨 에어]]》를 시작으로 《[[나쁜 녀석들(영화)|나쁜 녀석들]]》, 《[[인디펜던스 데이]]》 등에 출연한 그는 배우로서 최고의 인기를 누리게 된다. 하지만 활발한 배우 활동으로 인해 그의 음악 활동은 1993년 DJ 재지 제프와 함께 발매한 앨범인 Code Red를 끝으로 한동안 정체되어 있었고, 이 때문에 사람들 사이에선 윌이 음악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린 것이 아니냐는 말도 돌기 시작했다. 그러나 윌에게는 여전히 래퍼로서의 열정이 남아있었고, 결국 [[1996년]], 윌은 다시 스튜디오로 돌아와 자신의 이름을 내건 솔로 앨범 작업에 착수하게 되었다. Big Wille Style의 대부분의 곡은 1990년대를 대표하는 프로듀서 듀오, 트랙마스터스(Trackmasters)와 [[Nas|나스]]와의 작업으로 유명한 [[동부 힙합]]의 명망있는 프로듀서, L.E.S.의 손을 거쳐 만들어졌다. 이외에도 윌과 오랫동안 협력해온 DJ 재지 제프나 [[컨템퍼러리 R&B|R&B]] 그룹 시티 하이(City High)의 라이안 토비, 배드 보이 레코드의 프로듀서 그룹 히트맨(The Hitmen)의 멤버였던 안드레아오 허드 등이 참여하며 앨범이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 == 음악 == "[[Gettin' Jiggy wit It]]", "[[Miami(윌 스미스)|Miami]]" 등 프레시 프린스 시절부터 윌을 대표하는 신나는 파티 음악과 "Just the Two of Us", "Chasing Forever" 같은 서정적인 발라드 트랙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가사에 비속어를 일절 넣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 윌 스미스 답게 순하면서도 재치있는 가사가 함께 어우러지며 직전까지 유행하던 [[갱스터 랩]]과는 달리, 남녀노소 모두에게 어필할 수 있는 부드러운 앨범이 되었다. 앨범의 사운드는 70-80년대 당시 큰 인기를 끌던 [[소울 음악|소울]], [[디스코]], [[펑크(음악)|펑크(Funk)]] 음악을 힙합과 접목하며 만들어졌는데, [[스티비 원더]]의 "Ribbon in the Sky"를 샘플링한 "Chasing Forever"와 그로버 워싱턴 주니어와 [[빌 위더스]]의 [[Just the Two of Us|동명의 곡]]을 샘플링한 "Just the Two of Us"가 대표적이다. 덕분에 Big Willie Style은 대중들에게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었고, 세계적인 톱스타였던 윌의 유명세와 맞물려 여러 나라의 앨범 차트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게 되었다. == 평가 == [include(틀:올뮤직, 링크=https://www.allmusic.com/album/big-willie-style-mw0000029659, 점수=★★★★)] ||<-2><#415F95> '''[[Big Willie Style|{{{#fff Big Willie Style}}}]]의 전문가 평점''' || ||<#415F95> '''{{{#fff 매체}}}''' ||<#415F95> '''{{{#fff 평점}}}''' || || Entertainment Weekly || '''{{{+2 C-}}}''' || || [[롤링 스톤|Rolling Stone]] || '''{{{+2 3.5}}}/5''' || || Music Week || '''{{{+2 4}}}/5''' || || [[NME]] || '''{{{+2 3}}}/10''' || 발매 당시엔 전반적으로 평론가들에게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AllMusic]]은 윌의 세련되고 유머러스한 [[팝 랩]] 스타일에 큰 호평을 보냈고, [[롤링 스톤]] 역시 "[[Gettin' Jiggy wit It]]", "Yes Yes Y'All"을 예로 들며 앨범의 '멋진 파티 음악'을 높이 평가하였으며, 앨범의 서정적인 주제에도 호평을 하였다. 반면, 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진부한 팝 랩 클리셰'로 가득찼다고 말하며 Big Willie Style에 큰 혹평을 가했고, [[NME]]에선 윌 스미스를 '랩의 [[클리프 리처드]]'라고 칭하며 '확실히 형편없다'라는 소감을 남겼다. 평단의 호불호와는 별개로 Big Willie Style로 윌 스미스는 자신의 세 번째와 네 번째 [[그래미 어워드|그래미]]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윌은 앨범의 수록곡 "Men in Black"으로 1998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베스트 랩 솔로 퍼포먼스 부문을 수상하였으며, 그 다음 해에는 "[[Gettin' Jiggy wit It]]"으로 같은 부문에서 다시 한 번 상을 거머쥐었다. 또한, 1998년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선 "Just the Two of Us"와 "[[Gettin' Jiggy wit It]]"으로 각각 남자 솔로 부문과 랩 부문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후 앨범 발매로부터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에는 여러 평론지에서 선정한 명반 리스트에서 이름을 올리기도 하는 등, 현재에 이르러서는 수작 이상급 앨범으로 평가받고 있다. == 트랙 리스트 == ||||<-5> {{{#fff '''트랙리스트'''}}} || || '''#''' || '''제목''' || '''송라이터''' || '''프로듀서''' || '''길이''' || || 1 || Intro || || {{{-3 Poke & Tone, [[윌 스미스|Will Smith]]}}} || 1:51 || || 2 || Y'all Know || {{{-3 [[윌 스미스|Will Smith]], Andreao Heard}}} || {{{-3 Andreao Heard}}} || 3:57 || || 3 || [[Gettin' Jiggy wit It]] || {{{-3 [[윌 스미스|Will Smith]], Samuel Barnes, [[Chic|Bernard Edwards]], [[나일 로저스|Nile Rodgers]], Joe Robinson, David Porter}}} ||<|3> {{{-3 Poke & Tone, L.E.S.}}} || 3:47 || || 4 || Candy[br]{{{-2 (Ft. Larry Blackmon & Cameo)}}} || {{{-3 [[윌 스미스|Will Smith]], Ryan Toby, [[카메오(밴드)|Larry Blackmon, Tomi Jenkins]]}}} || 3:56 || || 5 || Chasing Forever || {{{-3 [[윌 스미스|Will Smith]], [[Nas]], Kenny Greene, [[스티비 원더|Stevie Wonder]]}}} || 4:15 || || 6 || Keith B-Real I (Interlude) || || {{{-3 Poke & Tone, [[윌 스미스|Will Smith]]}}} || 1:07 || || 7 || Don't Say Nothin' || {{{-3 [[윌 스미스|Will Smith]], Keith Pelzer, Ryan Toby}}} || {{{-3 DJ Jazzy Jeff, [[윌 스미스|Will Smith]], Ryan Toby}}} || 4:22 || || 8 || [[Miami(윌 스미스)|Miami]] || {{{-3 [[윌 스미스|Will Smith]], Ryan Toby, Poke & Tone, William Shelby, Stephen Shockley, Leon Sylvers III}}} ||<|2> {{{-3 L.E.S., Poke & Tone}}} || 3:17 || || 9 || Yes Yes Y'all[br]{{{-2 (Ft. Camp Lo)}}} || {{{-3 [[윌 스미스|Will Smith]], [[Nas]], [[아이즐리 브라더스|Ernie Isley, Marvin Isley, O’Kelly Isley, Ronald Isley, Rudolph Isley, Chris Jasper]], [[더 갭 밴드|Oliver Scott]], [[더 갭 밴드|Ronnie Wilson]], Joey Robinson Jr.}}} || 4:23 || || 10 || I Loved You || {{{-3 Will Smith, Ryan Toby, Valvin Roane, Keith Pelzer & Joe Farrell}}} || {{{-3 DJ Jazzy Jeff, Keith Pelzer, Ryan Toby, Valvin Roane}}} || 4:12 || || 11 || Keith B-Real II (Interlude) || || {{{-3 Tone & Poke, [[윌 스미스|Will Smith]]}}} || 0:30 || || 12 || It's All Good || {{{-3 [[윌 스미스|Will Smith]], DJ Jazzy Jeff, Carvin Haggins, Bernard Edwards, [[나일 로저스|Nile Rodgers]]}}} || {{{-3 DJ Jazzy Jeff}}} || 4:04 || || 13 || Just the Two of Us || {{{-3 [[윌 스미스|Will Smith]], Grover Washington Jr., [[Bill Withers]], William Salter, Ralph MacDonald}}} || {{{-3 Curtis ‘Sauce’ Wilson}}} || 5:15 || || 14 || Keith B-Real III (Interlude) || || {{{-3 Poke & Tone, [[윌 스미스|Will Smith]]}}} || 1:54 || || 15 || Big Willie Style[br]{{{-2 (Ft. [[레프트 아이|Left Eye]])}}} || {{{-3 [[윌 스미스|Will Smith]], Timothy “Tyme” Riley, Maurice White, Wayne Vaughn, Wanda Hutchinson}}} || {{{-3 Poke & Tone, L.E.S.}}} || 3:35 || || 16 || Men In Black || {{{-3 [[윌 스미스|Will Smith]], Terri McFaddin, Freddie Washington, Patrice Rushen}}} || {{{-3 Poke & Tone}}} || 3:47 || ||||<:><-5>'''{{{#fff 유럽 보너스 트랙}}}'''|||| || 17 || Just Cruisin (Remix) || {{{-3 [[윌 스미스|Will Smith]], [[Nas]], Poke & Tone}}} || {{{-3 Poke & Tone}}} || 4:42 || === Intro === [include(틀:영상 정렬,url=qwLXHkyOlmM)] === Y'All Know === [include(틀:영상 정렬,url=m_9IXV7-9CM)] 콘 펑크 션의 "ConFunkShunIzeYa"를 샘플링하였다. === [[Gettin' Jiggy wit I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ettin' Jiggy wit It)]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5VPm2yckO3k,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3JcmQONgXJM,height=200)]}}} || || '''음원''' || '''뮤직 비디오''' || 시스터 슬레지의 "[[He's the Greatest Dancer]]"와 바 케이스의 "Sang and Dance", 스푸니 지와 더 트레처러스 쓰리의 "Love Rap"을 샘플링하였다. 앨범의 세 번째 싱글로 [[빌보드 핫 100]] 3주 연속 1위와 [[빌보드 R&B/힙합 차트]] 6위를 기록하였다. 1998년 [[빌보드 연말 차트]]에선 14위를 차지하였다. 1999년 [[그래미 어워드]] 베스트 랩 솔로 퍼포먼스 부문 수상곡이다. 경쾌한 [[팝 랩]] 스타일 댄스곡으로 [[미국]]은 물론, 세계 각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 윌 스미스와 90년대 말을 대표하는 곡으로 자리매김한 곡이기도 하다. === Candy === [include(틀:영상 정렬,url=QfgUVFmfCj4)] [[펑크(음악)|펑크(Funk)]] 밴드 [[카메오(밴드)|카메오]]의 [[Candy(싱글)|동명의 곡]]을 샘플링한 곡으로 카메오와 카메오의 프론트맨, 래리 블랙몬이 피쳐링으로 참여하였다. === Chasing Forever === [include(틀:영상 정렬,url=tI0CVWmdG7U)] [[스티비 원더]]의 "Ribborn in the Sky"를 샘플링하였다. === Keith B-Real I (Interlude) === [include(틀:영상 정렬,url=b5y3C8Ns2q0)] === Don't Say Nothin' === [include(틀:영상 정렬,url=tAh-BNaue8U)] 에릭 B & [[라킴]]의 "I Know You Got Soul"을 샘플링하였다. === [[Miami(윌 스미스)|Miami]]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ami(윌 스미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qjtqeSjPbPA,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IwBS6QGsH_4,height=200)]}}} || || '''음원''' || '''뮤직 비디오''' || 더 위스퍼스의 "[[And the Beat Goes On]]"을 샘플링하였다. 앨범의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싱글로, 빌보드 핫 100 17위와 빌보드 R&B/힙합 차트 73위를 기록하였다. [[1999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53위를 차지하였다. 디스코 랩 스타일 댄스곡으로 파티의 도시, [[마이애미]]에게 헌정하는 곡이다. === Yes Yes Y'All === [include(틀:영상 정렬,url=Js-PUOPRE6A)] [[아이즐리 브라더스]]의 "Here We Go Again"과 리사 스탠스필드의 "[[All Around the World]]", [[더 갭 밴드]]의 "Yearning for Your Love", 스푸니 지와 더 트레처러스 쓰리의 "Love Rap"을 샘플링하였다. 미국의 힙합 듀오 캠프 로가 피쳐링으로 참여하였다. === I Loved You === [include(틀:영상 정렬,url=VYywDTHFSDw)] 조 패럴의 "Upon This Rock"을 샘플링하였다. === Keith B-Real II (Interlude) === [include(틀:영상 정렬,url=1UYF3pi0OfU)] === It's All Good === [include(틀:영상 정렬,url=AaYaBkSjTLw)] [[Chic]]의 "[[Good Times]]"와 [[Kool & the Gang|쿨 앤 더 갱]]의 "[[Celebration]]"을 샘플링하였다. === Just the Two of U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XeJBJ7Sje0,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_WamkRSDeD8,height=200)]}}} || || '''음원''' || '''뮤직 비디오''' || 그로버 워싱턴 주니어와 [[빌 위더스]]의 [[Just the Two of Us|동명의 곡]]을 샘플링하였다. 앨범의 네 번째 싱글로 빌보드 핫 100에서 20위, 빌보드 R&B/힙합 차트 17위를 기록하였다. 남녀간의 사랑을 노래하던 원곡을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로 변형한 윌의 재치가 돋보이는 곡이다. 윌의 가족 사랑을 알 수 있는 곡. 참고로 곡의 인트로와 아웃트로, 그리고 뮤직 비디오에 나오는 아이는 [[트레이 스미스]]다. 윌의 또 다른 아들인 [[제이든|제이든 스미스]]은 당시 [[제이다 핀켓 스미스]]가 임신 중인 상태였으며, 이는 뮤직 비디오에 출연한 제이다의 모습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 Keith B-Real III (Interlude) === [include(틀:영상 정렬,url=TP_vMnEHooU)] === Big Willie Style === [include(틀:영상 정렬,url=5F0IQQrIn6M)] 앨범의 타이틀 곡. [[Earth, Wind & Fire|어스 윈드 앤 파이어]]의 "Something Special"을 샘플링하였으며, [[TLC]]의 [[레프트 아이]]가 피쳐링으로 참여했다. === Men In Black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JnjaDx3BwGM,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fiBLgEx6svA,height=200)]}}} || || '''음원''' || '''뮤직 비디오''' || 패트리스 러셴의 "Forget Me Nots"를 샘플링한 곡이며, [[SWV]]의 코코가 피쳐링으로 참여했다. 앨범의 첫 번째 싱글이지만 빌보드 핫 100에 오르진 못했는데, 이는 당시 빌보드 핫 100 시스템으로 인해 미국에서 발매되지 않은 싱글은 차트에 오를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빌보드 라디오 차트 1위를 비롯해 오를 수 있는 웬만한 차트에서 모두 상위권을 차지하는 굉장한 저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Official Charts|영국]], [[프랑스]], [[호주]], [[뉴질랜드]] 등 여러 나라의 싱글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며 세계적으로도 큰 인기를 끌었다. 영화 [[맨 인 블랙(영화)|맨 인 블랙]]의 주제곡으로 1998년 그래미 어워드 베스트 랩 솔로 퍼포먼스 부문 수상곡이다. === Just Crusin (Remix) === [include(틀:영상 정렬,url=mzpj2961t8E)] 맨 인 블랙 사운드트랙 앨범에 실린 수록곡 "Just Crusin"을 리믹스한 곡이다. 유럽 발매 버전 추가곡으로 1997년 11월 25일 발매된 싱글에 원곡과 리믹스 버전이 함께 실렸다. 싱글 또한 유럽에서만 발매되었으며, [[영국 오피셜 차트]]에서 최고 23위를 기록하였다. == 성과 == [[빌보드 200]]에서 최고 8위, [[빌보드 R&B/힙합 차트|빌보드 R&B/힙합 앨범 차트]]에서 최고 9위를 기록하였다. 1998년 [[빌보드 연말 차트]]에서 28위, 1998년 빌보드 R&B/힙합 앨범 연말 차트에선 20위를 차지했다. 1999년 빌보드 연말 차트에서 20위를 기록하였고, 1999년 빌보드 R&B/힙합 앨범 연말 차트에선 60위를 기록했다. [[분류:윌 스미스]][[분류:1997년 데뷔 음반]][[분류:미국 힙합 음반]][[분류:동부 힙합]][[분류:팝 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