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테마]][[분류:유희왕/러시 듀얼/사이킥족]][[분류:유희왕/러시 듀얼/일반 몬스터]][[분류:유희왕/러시 듀얼/퓨전 소환]][[분류:유희왕/러시 듀얼/일반 마법]] [include(틀:유희왕/러시 듀얼/테마)]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5CFFFF, #FFD0CD, transparent 50%), linear-gradient(315deg, #5CFFFF, #FFD0CD, transparent 50%)"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83D3, 0px 1px #FF83D3, -1px 0px #FF83D3, 0px -1px #FF83D3, 1px 1px #FF83D3, 1px -1px #FF83D3, -1px -1px #FF83D3, -1px 1px #FF83D3;color:#ffffff;font-size:15pt" '''CAN:D'''}}}}}} || ||<-6><:><#fff,#191919>{{{#!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N-Re:D 일러스트.png|width=100%]][br],,[[CAN-Re:D|{{{#FFA906 CAN-Re:D}}}]],,}}}|| || '''{{{#!html한국판 명칭}}}''' ||<-5><#fff,#191919> '''CAN:D''' || || '''{{{#!html일본판 명칭}}}''' ||<-5><#fff,#191919> '''[ruby(CAN:D), ruby=キャンディー)]''' || || '''{{{#!html영어판 명칭}}}''' ||<-5><#fff,#191919> '''CAN: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1><#fff,#191919> [[유희왕 러시 듀얼/속성|다양]] ||<-2><^|1><#fff,#191919> [[사이킥족(유희왕 러시 듀얼)|사이킥족]] ||<-2><^|1><#fff,#191919> 일반, 효과, 퓨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희왕 러시 듀얼]]의 시리즈 카드. == 설명 == [[유희왕 SEVENS]]의 [[키리시마 로민]]이 CAN:D를 시작으로 바리에이션과 서포트 카드를 사용하면서 시리즈화 되었다. 소속 카드들은 일부를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발동에 CAN:D를 요구하거나, CAN:D를 사용했다면 추가로 발휘되는 효과를 지닌 것이 특징. CAN:D 자체도 하급 몬스터라 부담이 없기 때문에 관련 카드를 1장이라도 채용하는 경우 높은 확률로 3장 풀투입되고는 한다. JAM:P 세트의 높은 범용성이나 CAN-Melo:D가 [[화뢰신 썬더볼드]] 덱에서 무한 루프 파츠로 활용되는 등 단일 덱보다는 용병으로서의 활약이 돋보였으며, 사이킥덱의 대표적인 범용 카드군이었다. 그러나 CAN-I:D가 '자신 묘지의 몬스터가 오메가사이킥족 / 사이킥족 뿐일 경우'라는 조건을 들고 나오며 본격적으로 CAN:D 중심 덱 구축이 가능해질 것을 암시하였고, 이후 등장한 CAN-St:D가 똑같은 조건에 강력한 에이스급 성능을 지닌 것이 들어나 주목받고 있다. >CAN:D... 네가 나를 구해줬어. >'''가능성은 무한대'''... 그러니까 러시 듀얼은 재밌어! >---- >[[유희왕 SEVENS]] 40화, [[키리시마 로민]] 메인덱 효과 몬스터들은 공통적으로 CAN:D가 성장한 가지각색의 모습을 다루고 있으며, CAN:D의 플레이버 텍스트와 애니메이션에서 언급된 '가능성'이라는 주제에 걸맞게, [[초월의 트랜잠]]을 기준으로 물 속성을 제외한 모든 속성의 CAN:D 바리에이션이 등장하였다. == 카드 목록 == === 일반 몬스터 === ==== CAN:D ==== ||<:>[[파일:CAN:D.jpg|width=100%]]||<:>[[파일:CAN:D(BD04).jpg|width=100%]]|| || 일반 || [[유희왕 SEVENS]] Blu-ray&DVD DUEL-4 특전 일러스트 || ||<:>[[파일:CAN:D(ECG1).jpg|width=100%]]||<:>[[파일:CAND-RDDK01-JP-OP.png|width=100%]]|| || 카드게임 껌 || 듀얼리스트 킹덤 이벤트 팩 수록판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CAN():D(), 일어판명칭=CAN(キャン):D(ディー), 영어판명칭=CAN: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1, 공격력=100, 수비력=100, 종족=사이킥족, 효과외=무한한 가능성을 간직한 채\, 미소와 함께 눈부시게 빛나는 꿈을 향해 나아간다.,)] [[로맨스 픽]]을 잇는 사이킥덱의 메인 엔진 2호. 이 카드 자체는 레벨 1의 일반 몬스터지만 같이 나온 JAM:P 시리즈가 CAN:D를 코스트 등으로 사용하면 강력한 추가 효과를 부여하면서 사이킥덱을 강화하는 형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 사이킥덱은 이 카드를 풀로 투입하고 취향에따라서 다양한 JAM:P 시리즈를 덱에 투입하면서 싸운다. 각각의 JAM:P 시리즈는 아래에 후술. [[유희왕 SEVENS]]에서는 [[키리시마 로민]]이 사용. 40화에서 로민이 덱을 떨어뜨렸을 무렵 [[프린세스 G|프리사키 기브미]]에 의해 은근슬쩍 투입되었으며, 이후 [[오도 유가]]와의 2차전 듀얼 중 드로우하게 되었다. 낯선 카드의 등장에 로민 본인도 언제 넣었는지 의문을 품었으나[* 3화에서 프리마기타나의 소환을 보고 유가가 당황했던 것(이때는 유가의 예비 덱으로 듀얼하면서 프리마기타나 한장을 끼워넣었다)과 대치된다.], 결과적으로 로민을 유가와의 듀얼에서 승리로 이끌어준 카드가 되었다. 프리마기타나가 로민의 꿈 or 동경하는 대상(프린세스 G)이라면, CAN:D는 이제 막 자신의 갈 길을 찾은 로민 그 자체를 상징한다. 로민이 이 카드를 처음 얻을 당시에는 꿈과 듀얼 사이에서 방황하던 때였지만, 이 카드를 받고 프린세스 G가 한 조언의 의미를 깨달으면서 성장했고, 이후 나온 CAN:D 관련 카드 일러스트들은 어린아이(小女)에서 소녀(少女)로 성장한 모습들이 많으며 로민의 듀얼 스타일도 바뀌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LicWQlVUAIGuVm.jpg|width=100%]]}}} || || 설정화 || 이름은 딱 봐도 알겠지만 사탕의 말장난이며 [[아이:피 마스카레나]]처럼 : D 나 : P 를 사용한 카드 이름이 특징이다. 이는 JAM:P 카드도 마찬가지. ||<-5>수록 시리즈 || ||<(> 2021-04-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05-JP002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デッキ改造パック 躍動のエターナルライブ!!]]'''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1-08-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BD04-JP001 | [[유희왕 SEVENS|遊☆戯☆王SEVENS Blu-Ray & DVD DUEL-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UR)] || ||<(> 2022-06-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MRP1-JP043 | [[메가로드 팩|メガロード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3-10-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ECG1-JP013 | 遊戯王ラッシュデュエル カードゲームガム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4-04-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DK01-JP002 | [[유희왕 러시 듀얼/기타 카드|決闘者の王国-スターチップを獲得せ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1-08-1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KP05-KR002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덱 개조 팩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MRP1-KR043 | [[메가로드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효과 몬스터 === ==== 빛 속성 ==== ===== CAN-Re:D ===== [[파일:CAN-Re:D(S222).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CAN()Re:D(레이디), 일어판명칭=CAN(キャン)Re:D(レディー), 영어판명칭=CAN-Re: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1500, 종족=사이킥족,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공격력 500 이하) 1장을 고르고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이 턴에\, 이 카드가 앞면 표시인 동안\, 자신은 몬스터(수비력 1500 이상)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수 없다.)] >'''"눈을 떠줘, 아이 러브 유! 아 유 레디? 아임 레디! 유 캔 두 잇! CAN-Re:D!"''' >---- >[[키리시마 로민]], [[유희왕 SEVENS]] 中 [[약동의 이터널라이브!!]]의 커버 카드로 등장한 최상급 효과 몬스터. 조건은 따로 없고, 공격력 500 이하의 자신 필드 몬스터 1장을 패로 돌리는 대신 수비력 1500 이상의 어드밴스 소환을 막아버리는 디메리트 효과만 가지고 있다. 당연히 자기 자신도 수비력이 1500이라 이 효과를 쓰는 순간 2장째를 뽑을 수 없다. 재밌게도 [[키리시마 로민|로민]]의 에이스를 주축으로 하는 사이킥족 어태커들은 대부분 수비력이 0이라 이 카드의 디메리트를 피해갈 수 있다. 얼핏 보기엔 쓸모 없어 보여도 철저하게 계산되어 만들어진 카드인 셈. 참고로 이 디메리트는 효과를 사용한 CAN-Re:D가 필드에 남아있을 동안에만 유지되므로 릴리스등으로 치워버리면 디메리트가 사라진다. 러시 듀얼의 시스템상 몬스터의 효과는 자신 턴에 필드에서 한 번씩만 발동할 수 있는데, 레디의 효과를 쓰면 몬스터가 필드 밖으로 나가기 때문에 그 몬스터를 다시 일반 소환해 다시 효과를 쓸 수 있다. 즉 OCG로 비유하면 에라타 전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같은 루프 콤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당장 사이킥 덱에서 핵심과 같은 역할을 하는 [[로맨스 픽]]이 이 카드의 효과 범위에 들어간다. 이 카드덕에 사이킥덱의 효과 몬스터는 공격력이 500이하인지 아닌지가 굉장히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발매 후에는 사이킥족 덱에서 높은 빈도로 투입되고 있다. 효과를 쓰고 그대로 방치되어 있는 로맨스 픽등을 패로 돌려 다시 효과를 사용하거나 다음 턴을 준비할 수도있는 유연성이 높은 카드로 평가받고 있다.[* 드로우 수는 줄어들지만, 사이킥족 덱에서 로맨스 픽 1장은 웬만한 드로우 1장보다 훨씬 강하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사이킥 자체의 카드 풀이 늘어나고 퓨전 사이킥 등이 연구되면서는 입지가 조금 줄어들었다. 디자인 때문인지, 네이버 쇼핑에서 이 카드의 [[러시 레어]]판 가격은 최소 25000원 이상으로 레전드를 제외한 다른 러시 레어 카드들보다 2배 이상으로 꽤 비싼 가격에 팔리고 있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키리시마 로민]]이 사용. 49화의 [[키리시마 로아]]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자신의 효과로 [[로맨스 픽]]을 패로 되돌려 효과를 재활용하게 해준 뒤 [[로얄데먼즈 데스둠]]을 전투로 파괴했으나, 다음 턴 [[로얄데먼즈 커맨드]]에 강화된 데스둠의 공격으로 파괴되었다. 공격명은 '모노크롬 멜로디어스(モノクロームメロディアス)', 효과명은 '올 리셋 리프레인(オールリセットリフレイン)'.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LidvkrVEAE6NNp.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LidwdBVQAIGPai.jpg|width=100%]]}}} || ||<-2> 설정화 || [[CAN:D]]의 성장한 듯한 모습이 특징으로, 카드명은 'Lady'와 'Ready'의 일본어 발음이 같음을 이용한 말장난이다.[* 소녀가 성장했으니 숙녀(Lady)가 된 것이고, 이터널라이브 공식 홈페이지에는 Are you Ready!?(アーユー・レディ!?)라는 홍보 문구가 기재되어 있다.] ||<-5>수록 시리즈 || ||<(> 2021-04-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05-JP019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デッキ改造パック 躍動のエターナルライブ!!]]'''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R)] || ||<(> 2022-06-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MRP1-JP028 | [[메가로드 팩|メガロード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2-07-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222-JP005 | [[시크릿 에이스 팩|シークレットエースパック2022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1-08-1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KP05-KR019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덱 개조 팩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R)] || ||<(> 2022-07-2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SR01-KR007 | 시크릿 레코드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MRP1-KR028 | [[메가로드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어둠 속성 ==== ===== CAN-Melo:D ===== [[파일:CAN-Melo:D(HC01).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CAN()Melo:D(멜로디), 일어판명칭=CAN(キャン)Melo:D(メロディー), 영어판명칭=CAN-Melo: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400, 수비력=1800, 종족=사이킥족, 조건=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 1장을 주인의 패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뒷면 표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주인의 덱으로 되돌린다. 자신의 LP가 상대보다 적을 경우\, 추가로 자신 묘지의 일반 몬스터(레벨 1 / 사이킥족)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CAN:D]]의 세 번째 바리에이션. 자신의 레벨 5 이상 몬스터를 패로 돌리는 대신 상대 필드의 뒷면 표시 카드를 덱 바운스하고, 추가로 묘지에서 레벨 1 사이킥족 일반 몬스터를 샐비지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얼핏 보기엔 조건에 비해 효과가 다소 애매하다. 하지만 [[화뢰신 썬더볼드]]와 조합하면 상대의 뒷면 표시 카드를 모조리 덱으로 되돌리는 [[유희왕/무한 루프|무한 루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러시 듀얼 최초의 무한 루프 사례로, 진행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화뢰신을 어드밴스 소환한다. 1. 화뢰신의 효과를 발동해 묘지의 CAN-Melo:D를 특수 소환한다. 1. CAN-Melo:D의 효과로 화뢰신을 패로 되돌리고, 상대 카드를 덱 바운스 한 뒤 묘지의 레벨 1 사이킥족 일반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1. 가져온 일반 몬스터를 소환, 그 후 CAN-Melo:D와 그 몬스터를 릴리스해 재차 화뢰신을 소환한다. 1. 다시 묘지에 CAN-Melo:D가 생겼으므로 또 화뢰신의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2번부터 반복한다. 이 루프를 실행하기 위해선 묘지에 이 카드를 포함한 레벨 7 몬스터가 4종 이상 있고, 덱이 화뢰신의 효과를 발동할 횟수만큼 남아 있으며, 자신의 LP가 상대보다 적고, 묘지에 레벨 1 사이킥족 일반 몬스터가 있다는 상황이 전제되어야 한다. 까다로워 보일 수 있으나 [[칠보선]]의 등장 이후 기틀이 잡힌 화뢰신 덱에게 묘지를 쌓는 건 그리 어렵지 않고, 레벨 1 사이킥족 일반 몬스터에는 [[JAM:P 세트!]]와의 연계로 널리 용병 채용되는 CAN:D와 범용 하급 벽으로 쓸 수 있는 [[하울링버드]]가 존재한다. [[소풍의 아자레스]]를 채용할 정도로 마함 견제가 절실하던 화뢰신 덱에게 있어 어드밴티지 소모 없이 상대의 마함을 모조리 밀어버릴 수 있는 이 콤보는 가뭄의 단비와 같다고 평가받았고, 결국 이 카드의 등장 이후 화뢰신은 티어권으로 올라갔다. [[창조의 마스터로드!!]] 발매 즈음에는 '굳이 무한 루프로 하지 않고 적당히 패를 쓰며 2~3번만 반복해도 강하다'는 식으로 전략이 정립되며 루프 자체의 비중은 줄어들었다. 물론 썬볼 덱에서 채용률 자체는 여전히 높다. 결국 이 무한 루프를 막기 위해서 [[성탑의 위기]]가 발매할 정도로 악명을 떨처버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MLSf0PUcAIv0jo.jpg|width=100%]]}}} || || [[https://twitter.com/YuGiOh_RUSHDUEL/status/1496426356346961921|설정화]] || ||수록 시리즈 || ||<(> 2021-12-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GRP1-JP010 | '''[[골드 러시 팩|ゴールドラッシュ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R)] || ||<(> 2023-12-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HC01-JP017 | [[하이그레이드 컬렉션|ハイグレードコレクショ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2-05-2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GRP1-KR010 | '''[[그랜드 러시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바람 속성 ==== ===== CAN-Sp:D ===== [[파일:CAN-Sp:D.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CAN()Sp:D(스피디), 일어판명칭=CAN(キャン)Sp:D(スピーディー), 영어판명칭=CAN-Sp: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바람, 레벨=7, 공격력=2400, 수비력=1600, 종족=사이킥족, 조건=자신 필드에 이 카드 이외의 앞면 표시 몬스터(오메가사이킥족 또는 사이킥족)가 있을 경우\, 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른다. 이 턴에\,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200 올리고\, 그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상대는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가벼운 조건으로 강력한 내성을 얻을 수 있는 사이킥족의 어태커. 다른 사이킥족이나 오메가사이킥족 몬스터가 옆에 있는 것만으로 효과를 발동할 수 있으므로 사이킥 덱에서는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직전에 나온 [[CAN-Melo:D]]가 종족 제한이 없는 조건으로 사이킥보다는 썬더볼드 덱에 용병으로 불려가는 게 일상이 되어버린 것을 감안하여 이런 제약을 건 것으로 보인다. 강화 수치 자체는 200밖에 안 되지만, 자신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해도 비레전드 메인 덱 최상급 몬스터의 한계치를 [[화뢰신 썬더볼드|정확히 100 차이로 상회할 정도는 된다.]] 공격 시 함정 카드 발동도 아예 봉쇄해버리니 일단 배틀 페이즈에 들어갔다면 적어도 한 번은 확실하게 때릴 수 있다. 타점을 크게 올리거나 낮추는 효과가 많은 [[오메가사이킥족]] 몬스터라면 그 효과도 가세해서 안전하게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자체적으로 내성을 얻고 마함도 부술 수 있는 [[채광초 오메가기타나]]와는 표시 형식 변경이나 바운스, 공격 무효 계열 함정을 우려하는 게 아닌 이상 조합이 애매하긴 하다.]. 특히 [[CAN:D LIVE]]는 이 카드를 소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도 상성이 좋다. ||<-5>수록 시리즈 || ||<(> 2022-06-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MRP1-JP029 | '''[[메가로드 팩|メガロード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R)] || ||<(> 202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MRP1-KR029 | '''[[메가로드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R)] || ==== 화염 속성 ==== ===== CAN-I:D ===== || [[파일:CAN-I:D(ORP1).jpg|width=100%]] || [[파일:CAN-I:D.jpg|width=100%]] || || [[슈퍼 레어]] || [[러시 레어#오버 러시 레어|오버 러시 레어]]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CAN()I:D(아이디), 일어판명칭=CAN(キャン)I:D(アイディー), 영어판명칭=CAN-I: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화염, 레벨=7, 공격력=2400, 수비력=1600, 종족=사이킥족, 조건=자신 묘지의 몬스터가 오메가사이킥족 / 사이킥족 뿐일 경우\, 패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패의 몬스터(레벨 7 / 사이킥족) 1장을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자신 묘지에 "CAN(캔):D(디)"가 있을 경우\, 추가로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700 올린다.)] [[오버 러시 팩]]에서 출시된 [[CAN:D]]의 여섯 번째 바리에이션. 이번엔 화염속성이다. 패 코스트 1장으로 패의 최상급 사이킥족[* 정확하게는 레벨 7 한정이긴 하지만 현 러시듀얼에서 메인 덱에 투입 가능한 사이킥족 몬스터의 최대 상한은 7이기에 똑같은 의미라고 할 수 있다.]을 특수 소환하고, 묘지에 [[CAN:D]]가 존재하면 추가로 자신의 공격력을 700 올리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론 소재가 2장 갈려나가는 최상급을 패 1장으로 뽑을 수 있으니 손해는 없지만, 이 카드도 레벨 7이기에 이 카드를 소환하고 효과까지 발휘하려면 패 5장을 몽땅 써야 한다는게 큰 단점이다. 거기다 묘지에 사이킥 또는 오메가 사이킥족 몬스터만이 존재해야 하기에 범용 몬스터의 사용 또한 금지된다. ||<-5>수록 시리즈 || ||<(> 2022-11-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ORP1-JP053 | '''[[오버러시 팩|オーバーラッシュ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ORR)] || ||<(> 2023-02-2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ORP1-KR053 | '''[[오버러시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ORR)] || ==== 땅 속성 ==== ===== CAN-St:D ===== [[파일:CANStD-RDKP16-JP-OP.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CAN()St:D(스터디)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CAN(キャン)St:D(スタディー), 영어판명칭=CAN-St: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땅, 레벨=7, 공격력=2400, 수비력=1600, 종족=사이킥족, 조건=자신 묘지의 몬스터가 오메가사이킥족 / 사이킥족 뿐일 경우\, 패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자신 묘지에 "CAN(캔):D(디)"가 있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700 LP 회복한다.)] [[초월의 트랜잠]]에서 출시된 [[CAN:D]]의 일곱 번째 바리에이션. 이번엔 땅 속성이다. 조건은 CAN I:D와 똑같은 패 코스트 1장이지만 무려 레벨 제한 없이 상대의 몬스터를 바운스 시키는 강력한 돌파 효과를 가지고 있다. 추가로 자신 묘지에 CAN:D가 있을 경우 700 LP까지 회복하여 여분의 라이프를 남길 수 있다. 이 카드의 등장으로 범용 카드인 [[레전드 매지션]]이나 [[바람 제왕 라이저]]같은 범용 레전드 몬스터들을 쓸 수 없다는 단점 때문에 쓰이지 않았던 CAN I:D의 가치가 단숨에 오르며 순수 사이킥의 가치 또한 오르게 되었다. 러시 듀얼 초창기에 범용으로 쓰였어도 맥시멈은 되돌리지 못했던 JAM:P 세트를 넘어서 조건만 갖쳐줬다면 패 1장으로 상대의 맥시멈까지 바운스가 가능하기 때문. 여담으로 오버 러시 팩 이후로 1년 3개월이란 상당히 오랜 시간이 지나 오랜만에 나타난 CAN:D 지원이자 바리에이션이다. 그 이전의 사이킥은 CAN:D 지원보다는 [[메가로드 팩 2]] 이후로 [[채광의 프리마기타나|프리마기타나]] & [[쇄광의 에스파레이드|에스파레이드]], [[밴드그룹]], [[스타즈핸드]] 지원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수록 시리즈 || ||<(> 2024-02-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6-JP025 | '''[[초월의 트랜잠|超越のトランザム]]'''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ORR)] || === 퓨전 몬스터 === ==== [[CAN:D LIVE]] ==== ==== CAN:D ALL ==== [[파일:CAN:D ALL.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효과=, 한글판명칭=CAN():D() AL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CAN(キャン):D(ディー) ALL(オール), 영어판명칭=CAN:D AL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4, 공격력=2000, 수비력=1500, 종족=사이킥족, 소재="CAN(캔):D(디)" + "AI(에이아이) 쿠마캔",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6 이하 / 사이킥족)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최초의 레벨 4 퓨전 몬스터. [[CAN:D]]와 [[AI 쿠마캔]]을 소재로 하고 있는데, 둘 다 하급이고 쿠마캔이 캔디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소환 자체는 매우 쉽다. 그래도 아무리 못해도 꺼내는 데 퓨전을 포함하여 아드가 2장은 들고, 스테이터스도 별로 좋지 못하므로 전투용으로 막 부르기보다는 소생 효과를 확실하게 써먹을 수 있을 때 꺼내는 것이 좋다. 가장 단순한 사용법은 역시 [[로맨스 픽]]과의 연계다. 로맨스 픽을 소생시킨 뒤 [[쇄광의 에스파레이드]]처럼 초반에 써먹지 못한 몬스터를 회수해도 되고, [[스타 리스타트]]가 있다면 소재가 되는 몬스터를 회수해 두 번째 퓨전 소환으로 이어나가도 된다. 다른 CAN:D 파생형들과 달리 이름만 보고 정확한 유래를 유추하기가 힘들다. 일단 CAN:D와 ALL을 붙이면 일본어로 キャンドル로 읽을 수 있는데, 이는 일러스트의 의상 꼬리에 달린 양초(candle)와 발음이 같다. ||<-5>수록 시리즈 || ||<(> 2022-06-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MRP1-JP027 | '''[[메가로드 팩|メガロード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MRP1-KR027 | '''[[메가로드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마법 카드: JAM:P === CAN:D를 사용하면 추가 효과를 얻는 마법 카드들.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JAM:P라고 쓰고 점프(ジャンプ)라고 읽는다.]] ==== JAM:P 업! ==== [[파일:JAM:Pアップ!.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JAM():P() 업!, 일어판명칭=JAM:P(ジャンプ)アップ!, 영어판명칭=JAM:P Up!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사이킥족)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패의 몬스터(레벨 7 / 사이킥족) 1장을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조건으로 "CAN(캔):D(디)"를 묘지로 보냈을 경우\,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1500 올린다.,)] CAN:D를 코스트로 날리면 추가 효과를 받는 마법 카드 1호. CAN-Re:D나 [[쇄광의 에스파레이드]]를 이 방법으로 소환하면 [[천 제왕용수 위그드라고|공격력 4000]]을 찍는다.[* [[채광의 프리마기타나]]도 나오면 기본적으로 효과를 쓰기 때문에 4000 이상을 찍을 수 있다.] 상승 폭이 굉장히 높기 때문에 사이킥족의 전투력을 비약적으로 상승시켜준 카드라는 평을 받는다. ||<-5>수록 시리즈 || ||<(> 2021-04-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05-JP039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デッキ改造パック 躍動のエターナルライブ!!]]'''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2-10-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B223-JP004 | [[배틀 팩|バトルパック2022 Vol.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1-08-1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KP05-KR039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덱 개조 팩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JAM:P 스타트! ==== [[파일:JAM:Pスタート!.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JAM():P() 스타트!, 일어판명칭=JAM:P(ジャンプ)スタート!, 영어판명칭=JAM:P Star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묘지의 몬스터(사이킥족) 2장을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 아래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일반 몬스터(사이킥족)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이 효과로 "CAN(캔):D(디)"를 패에 넣었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1000 LP 회복한다.,)] CAN:D를 효과로 패에 넣으면 추가 효과를 받는 마법 카드 2호. 조건이 묘지의 사이킥족 몬스터 카드 2장을 좋아하는 순서로 덱 맨 아래에 넣는데 어차피 덱 맨 아래로 보내는데 굳이 순서를 만들어야 하는가 의아한 부분이다. 추가 효과는 라이프 회복인데, 이 부분은 단순히 덤에 가깝다. 기본적으로는 효과 그대로 CAN:D를 회수하여 JAM:P 업!의 탄환을 재장전하는 용도. 다만 회수 범위가 상당히 좁은 감이 있고, 굳이 이 카드를 안 써도 사이킥에게는 [[로맨스 픽]]이라는 걸출한 샐비지 요원이 있기 때문에 레시피에 따라선 채용하지 않기도 한다. 회복되는 라이프로 인해 가끔씩 자신의 라이프가 상대 라이프보다 높아져 충돌을 일으킨다는 점도 골칫거리. ||<-5>수록 시리즈 || ||<(> 2021-04-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05-JP040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デッキ改造パック 躍動のエターナルライブ!!]]'''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2-10-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B223-JP005 | [[배틀 팩|バトルパック2022 Vol.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1-08-1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KP05-KR040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덱 개조 팩 - 약동의 이터널라이브!!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JAM:P 세트! ==== [[파일:JAM:Pセット!.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JAM():P() 세트!, 일어판명칭=JAM:P(ジャンプ)セット!, 영어판명칭=JAM:P Se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묘지의 일반 몬스터(레벨 2 이하/사이킥족) 1장을 덱 위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하) 1장을 고르고 주인의 덱 위로 되돌린다. 이 효과의 조건으로 "CAN(캔):D(디)"를 덱 위로 되돌렸을 경우\, 추가로 상대 묘지의 몬스터를 2장까지 고르고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맥시멈 몬스터에겐 통하지 않지만 꽤 강한 바운스 효과를 가지고 있다. 바운스 효과는 캔디 없이도 쓸 수 있다는 점 또한 주목할 부분. 그리고 CAN:D를 코스트로 덱 위에 두었을 경우에는 추가로 [[속닥속닥 요정]] 효과도 발동하여 묘지 견제까지 해낼 수 있다. 추가 효과가 발동하면 상대가 덱을 셔플하기 때문에 완전한 덱 바운스가 된다. 다음 턴 드로우가 일반 몬스터로 강제되는 것이 단점이긴 하나, [[로맨스 픽]]의 효과를 확정 발동시키는 용도로도 쓸 수 있고 CAN:D를 되돌렸을 경우에는 JAM:P 업!의 코스트로도 쓸 수 있어 마냥 손해를 보지는 않는다. 상대 필드, 묘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서 비단 사이킥 덱이 아니더라도 이 카드와 CAN:D만 용병 세트로 자주 채용이 되었다. ||수록 시리즈 || ||<(> 2021-07-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06-JP041 | '''[[격투의 썬더스톰!!|デッキ改造パック 激闘のサンダーストーム!!]]'''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2-06-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MRP1-JP046 | [[메가로드 팩|メガロード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1-11-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KP06-KR041 | '''[[격투의 썬더스톰!!|덱 개조 팩 -격투의 썬더스톰!!-]]'''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2-09-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MRP1-KR046 | [[메가로드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b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JAM:P 체크! ==== [[파일:JAM:Pチェック!.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JAM():P() 체크!, 일어판명칭=JAM:P(ジャンプ)チェック!, 영어판명칭=JAM:P Check!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일반 몬스터를 포함하는 앞면 표시 몬스터(사이킥족) 2장 이상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뒷면 표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2장까지 골라 확인하고\, 그 중에서 1장을 골라 파괴한다.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의 "CAN(캔):D(디)"가 있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1000 LP 회복할 수 있다.,)] [[사이킥 다이버전스]]에 이은 사이킥족 마법/함정 견제 카드. 덱 바운스가 아니라 파괴, 다른 한 장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고, CAN:D가 있으면 LP를 회복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대신 발동 조건이 일반 몬스터를 포함한 2장 이상이라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말림패가 될 여지가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2-10-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1-JP054 | '''[[선풍의 포르티시모!!|デッキ改造パック 旋風のフォルテシモ!!]]'''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3-01-1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KP11-KR054 | '''[[선풍의 포르티시모!!|덱 개조 팩 -선풍의 포르티시모!!-]]'''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관련 카드 == === [[AI 쿠마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