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CBJ-MS}}}'''[br]''Carl Bertil Johansson - Modular Syste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bj-ms-3.jpg|width=100%]]}}}|| || '''종류''' ||[[기관단총]] || || '''원산지'''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3]] [[스웨덴]]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00년대]]~불명 || || '''개발''' ||CBJ 테크 || || '''개발년도''' ||[[2000년대]] || || '''생산''' ||[[사브|사브-보포스 다이내믹스]] || ||<-2> {{{#White '''기종'''}}} || || '''원형''' ||바이킹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6.5 mm#s-2.1|6.5×25mm CBJ-MS]][br][[9×19mm 파라벨럼]] || || '''급탄''' ||20/30발들이 박스탄창[br]100발들이 드럼 탄창 || || '''작동방식''' ||[[오픈 볼트]][br]블로우백 || || '''총열길이''' ||200mm || || '''전장''' ||363mm || || '''전고''' ||189mm || || '''전폭''' ||44mm || || '''중량''' ||2.8kg || || '''발사속도''' ||700RPM || || '''탄속''' ||830m/s || || '''유효사거리''' ||150m || || '''최대사거리''' ||4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CBJ-MS([[칼 구스타프|Carl]] Bertil Johansson - Modular System)는 [[스웨덴]]의 --[[네일건]]--[[기관단총]]이다. == 상세 == === 역사 === [[파일:CBJ-MS-Soldiers-19.jpg|width=600]] 이는 CBJ 테크(CBJ Tech AB) 사의 설립자인 베르틸 요한슨(Bertil Johansson)이 [[미국]]에 거주 중이던 시기인 1983년에 개발한 바이킹(Viking)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이후 [[스웨덴]]의 [[사브|사브(Saab-Bofors Dynamics)]] 사의 협력을 받아 제조된 초기형이 2000년 8월에 처음 공개되었다. [[스웨덴군]]은 물론, 새로운 [[PDW|개인방어화기(PDW)]] 도입을 추진 중이던 [[영국군]]에서 관심을 보이기도 했으나 현대의 군사용 [[기관단총]] 자체의 지위가 [[카빈|단축형]] [[돌격소총]]에 밀리게 됨에 따라 채택되는 일 없이 성능 시험과 같은 시범 운용에 그치고 말았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rip606.jpg|width=100%]]}}} || || [[노리쇠]] 뭉치를 분해 중인 모습 || [[파일:CBJ-MS-Soldiers-20.jpg|width=600]] [[개인방어화기]]의 역할 외에도 100발 드럼형 탄창과 양각대를 부착하여 지원화기 용도를 겸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고, 그외에는 [[피카티니 레일]], 반자동 및 전자동 사격을 위한 점진 방아쇠,[* Progressive Trigger, 별도 조정간 없이 방아쇠 압 조절만으로 발사 모드가 변경되는 방식. AUG, F2000, P-90등에도 사용되었다.] 길이조절 [[개머리판]], 여분 [[탄창]]을 보관할 수 있는 전방 손잡이를 갖추고 있다. 일체형 총몸부터 [[클로즈드 볼트|폐쇄식 노리쇠 뭉치]] 등을 철저히 분리시킨 [[모듈|모듈식]] 설계 덕분에 단순히 [[총열]]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관통력 향상 목적의 [[텅스텐]] 분리형 2차 탄자(Saboted Sub-projectile)를 갖춘 군용 [[6.5 mm#s-2.1|6.5×25mm CBJ]] 탄약과 그외의 일반적인 [[9×19mm 파라벨럼]] 탄약의 사용이 가능하다. 단순 외형만 보자면 [[UZI]]과 상당히 유사하다. == 등장매체 == === [[게임]] === [youtube(jwqQAS2pmEg)] * [[007 레전드]] * [[고스트 리콘 팬텀]] 기관단총중 가장 짤막하게 생긴 총기류 중 하나지만 성능은 분대지원화기급. 기본적으로 대미지가 49인데 이는 기관단총류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거기에 탄창 용량이 최대 100발이나 되는지라 재장전 하다 죽을 염려는 덜은 셈. * [[배틀필드 4]] 50+1발의 장탄 수와 700RPM이라는 나쁘지 않은 연사력을 가지고 있고 하단 부착물 장착이 불가능하다. PDW라는 점을 감안하면 그래도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여러모로 근거리도 애매하고 중,장거리는 더 애매한 PDW. 다만 확실히 중,장거리 사격 시엔 다른 PDW들보다 잘 맞기는 한다. PDW 중 2위의 낮은 탄퍼짐 수치와 고용량 탄창을 쓰는 PDW 중 가장 낮은 상단반동, 동일한 좌우반동 수치로 정확한 사격을 컨셉으로 잡은 총이다. 게다가 PDW 중 독보적인 '''520m/s'''의 탄속을 가지고 있다. 그 다음 최고치와 50m/s나 차이가 난다. 즉, '''PDW중 몇 안 되는 거리를 좁히면 죽고 거리를 벌리면 사는 총.''' * [[소녀전선]] [[C-MS(소녀전선)]]참조. 왜 C-MS로 표기되는지는[* 정작 옷에는 CBJ-MS라는 글자가 새겨져있다.] 글로벌서버 진출을 대비한 상표권문제 회피 목적인지 불명. * [[UNKILLED]] 처음 게임을 시작하면 주어지는 무기다.[* 업데이트로 처음 주어지는 무기는 다른 무기로 바뀌고 무기고에서 구매가능하게 바뀌었다.] 역시나 초반 무기답게 기동성이 낮거나 명중률이 개판인 등 성능이 좋지 않다. * [[콜 오브 듀티: 고스트]] 미친듯한 연사속도를 자랑하며 '''관통탄을 기본 옵션으로 가지고 있다.''' 조준사격시 반동이 위로만 안정적으로 튀는 편. [[분류:기관단총]][[분류:사브]][[분류:PD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