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Calamity Mod)] [include(틀:관련 문서, top1=Calamity Mod/무기)] [include(틀:칼라미티 모드)][include(틀:칼라미티 모드/무기)][목차] == 개요 == [[Calamity Mod]]의 근접 무기에 대해 정리한 문서. 모드의 버전 업에 따라 일부 누락된 정보, 구정보, 오정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나무위키는 참고로 하고 제대로 된 정보는 [[https://calamitymod.wiki.gg/wiki/Calamity_Mod_Wiki|공식 위키]]를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워리어는 상당수의 로그 무기를 워리어 버전으로 제작해 사용할 수 있었지만, 1.5.0.001 패치로 무기별로 공격 유형이 완전히 분리되었다. == 분류 == 바닐라를 포함한 모든 검, 단검, 창류 근접 무기들은 근접(Melee), 근접 무속도 (Melee No Speed), 순수 근접(True Melee), 순수 근접 무속도(True Melee No Speed)로 총 4가지로 분류된다. 근접과 근접 무속도의 차이점은 근접 무속도가 근접 스윙 속도 스탯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는 동일하다. 대부분의 부메랑, 철퇴, 요요 및 몇 가지 근접 무기들은 근접 무속도 유형에 포함된다. 순수 근접은 좌클릭 시 발사체를 방출하지 않는 분류이다. 순수 근접 무속도는 근접 스윙 속도 스탯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순수 근접과 동일하다. 주의할 것은, [[#혜성 쇄도|혜성 쇄도]]나 [[#신성 가속기|신성 가속기]]처럼 적을 타격/처치 시에만 발사체를 방출하는 무기들이나, [[#이지스 블레이드|이지스 블레이드]]나 [[#염분성 남작|염분성 남작]]처럼 우클릭 시에만 발사체를 방출하는 무기 역시 순수 근접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이 분류는 칼라미티 모드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갑옷#선혈불 갑옷|선혈불 갑옷]] (선혈불 마스크 세트) 착용 후 순수 근접 무기로 적 타격 시 회복 가능 * 순수 근접 공격을 15회 가했을 시 5초간 근접 공격력 +25%, 근접 치명타율 +25%, 접촉 피해량 -50% (30초 쿨다운) * [[../전투 장신구#카운터 스카프|카운터 스카프]]는 순수 근접 무기에 +10% 공격력 효과 제공 * '''{{{#c00 리벤전스 모드}}}'''에서 적 타격 시 분노 미터 충전 가능 * [[../전투 장신구#진균 공생자|진균 공생자]]는 순수 근접 무기에 +15% 공격력 효과, 사용 시 1/4의 공격력을 가진 3-5개의 버섯 방출 효과 제공 * [[../전투 장신구#아스트럼 데우스의 외피|아스트럼 데우스의 외피]]는 순수 근접 무기에, 피격 시 최대 15초 동안 +200% 공격력 효과 제공 == 목록 == || {{{#white {{{+1 '''근접 무기'''}}}}}} || || '''[[#검|검]]''' ||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gree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이전'''}}}}}}}}} [[#타자|타자]] • [[#바닷빛 검|바닷빛 검]] • [[#눈물방울 클리버|눈물방울 클리버]] • [[#부패한 칼날|부패한 칼날]] • [[#번트 시에나|번트 시에나]] • [[#완전한 어둠|완전한 어둠]] • [[#정맥 분쇄기|정맥 분쇄기]] • [[#바람의 칼날|바람의 칼날]] • [[#가우스 단검|가우스 단검 {{{-3 {{{#C46210 (드레이돈)}}}}}}]] • [[#점액질 검|점액질 검]]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maroo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카니지|카니지]] • [[#악마 분쇄기|악마 분쇄기]] • [[#부식성 칼날|부식성 칼날]] • [[#고대의 파쇄기|고대의 파쇄기]] • [[#록스칼리버|록스칼리버]] • [[#부영양화 언월도|부영양화 언월도]] • [[#천상의 클레이모어|천상의 클레이모어]] • [[#스톰 세이버|스톰 세이버]] • [[#여진|여진]] • [[#버림받은 세이버|버림받은 세이버]] • [[#장엄한 수호|장엄한 수호]] • [[#금지된 맹검|금지된 맹검]] • [[#아발란체|아발란체]] • [[#어둠빛 대검|어둠빛 대검]] • [[#화염서리 칼날|화염서리 칼날]] • [[#유황검|유황검]] • [[#대재앙의 클레이모어|대재앙의 클레이모어]] • [[#유황 채찍|유황 채찍]] • [[#야생가시 클레이모어|야생가시 클레이모어]] • [[#냉혈한|냉혈한]] • [[#심연의 검|심연의 검]] • [[#만조|만조]] • [[#바스러진 클리버|바스러진 클리버]] • [[#고귀한 맹검|고귀한 맹검]] • [[#고대의 방주|고대의 방주]] • [[#혜성 쇄도|혜성 쇄도]] • [[#무질서의 칼날|무질서의 칼날]] • [[#녹조|녹조]] • [[#아스트랄 낫|아스트랄 낫]] • [[#거인의 팔|거인의 팔]] • [[#이지스 블레이드|이지스 블레이드]] • [[#절대 영도|절대 영도]] • [[#지옥불 플랑베르주|지옥불 플랑베르주]] • [[#영혼 수확기|영혼 수확기]] • [[#독종|독종]] • [[#얼티머스 클리버|얼티머스 클리버]] • [[#염분성 남작|염분성 남작]] • [[#엔트로픽 클레이모어|엔트로픽 클레이모어]] • [[#스톰 룰러|스톰 룰러]] • [[#악의의 수확자|악의의 수확자]] • [[#아스트랄 블레이드|아스트랄 블레이드]] • [[#그랜드 가디언|그랜드 가디언]]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teal;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달의 군주 이후'''}}}}}}}}} [[#심판의 대검|심판의 대검]] • [[#스텔라 스트라이커|스텔라 스트라이커]] • [[#역병 파수꾼|역병 파수꾼]] • [[#유린|유린]] • [[#솔스티스 클레이모어|솔스티스 클레이모어]] • [[#소드플로전|소드플로전]] • [[#신성 가속기|신성 가속기]] • [[#갤럭투스 블레이드|갤럭투스 블레이드]] • [[#영혼사냥 낫|영혼사냥 낫]] • [[#더럽혀진 대검|더럽혀진 대검]] • [[#테라토미어|테라토미어]] • [[#뮤틸레이터|뮤틸레이터]] • [[#거울의 칼날|거울의 칼날]] • [[#공포의 칼날|공포의 칼날]] • [[#라이온 하트|라이온 하트]] • [[#소울 엣지|소울 엣지]] • [[#최후의 비탄|최후의 비탄]] • [[#넵튠의 하사품|넵튠의 하사품]] • [[#고귀했던 존재|고귀했던 존재]] • [[#집행자|집행자]] • [[#정수 약탈꾼|정수 약탈꾼]] • [[#악마의 유린|악마의 유린]] • [[#질서인도자|질서인도자]] • [[#선명한 파괴자|선명한 파괴자]] • [[#아타락시아|아타락시아]] • [[#엑소블레이드|엑소블레이드 {{{-3 {{{#427 (엑소급)}}}}}}]] • [[#게일의 대검|게일의 대검 {{{-3 {{{#hotpink (개발자)}}}}}}]] • [[#붉은 태양|붉은 태양 {{{-3 {{{#hotpink (개발자)}}}}}}]] • [[#대지|대지 {{{-3 {{{#hotpink (개발자)}}}}}}]] • [[#가혹한 파괴|가혹한 파괴 {{{-3 {{{#hotpink (개발자)}}}}}}]] • [[#무지갯빛 엑스칼리버|무지갯빛 엑스칼리버]]|| || '''[[#단검|단검]]''' ||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gree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이전'''}}}}}}}}} [[#바다의 방출기|바다의 방출기]]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maroo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잠수정 분쇄기|잠수정 분쇄기]] • [[#루크레시아|루크레시아]]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teal;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달의 군주 이후'''}}}}}}}}} [[#원소의 날붙이|원소의 날붙이]] • [[#갈릴레오 글라디우스|갈릴레오 글라디우스]] • [[#전우주적 단검|전우주적 단검]]|| || '''[[#발톱|발톱]]''' ||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gree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이전'''}}}}}}}}} [[#균사체 발톱|균사체 발톱]]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maroo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갯가재 발톱|갯가재 발톱]]|| || '''[[#요요|요요]]''' ||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gree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이전'''}}}}}}}}} [[#연기나는 혜성|연기나는 혜성]] • [[#립타이드|립타이드]] • [[#대동맥|대동맥]] • [[#에어 스피너|에어 스피너]] • [[#신의 한 수|신의 한 수]]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maroo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인요|인요]] • [[#희미한 스파크|희미한 스파크]] • [[#황산성 약탈자|황산성 약탈자]] • [[#망각|망각]] • [[#수렁|수렁]] • [[#단층선|단층선]] • [[#광역 유행병|광역 유행병]] • [[#극초단파|극초단파]]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teal;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달의 군주 이후'''}}}}}}}}} [[#솔라 플레어|솔라 플레어]] • [[#래서레이터|래서레이터]] • [[#말소자|말소자]] • [[#오라클|오라클]] • [[#아자토스|아자토스 {{{-3 {{{#hotpink (개발자)}}}}}}]]|| || '''[[#창|창]]''' ||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gree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이전'''}}}}}}}}} [[#대리화강암 창|대리화강암 창]] • [[#적조 창|적조 창]] • [[#아미디아스의 삼지창|아미디아스의 삼지창]] • [[#소시지 메이커|소시지 메이커]] • [[#금빛깃털 창|금빛깃털 창]]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maroo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토기 파이크|토기 파이크]] • [[#별밤 장창|별밤 장창]] • [[#유황창|유황창]] • [[#말썽쟁이 꽃창|말썽쟁이 꽃창]] • [[#테라 랜스|테라 랜스]] • [[#경질 장창|경질 장창]] • [[#감염된 파이크|감염된 파이크]] • [[#아연도금 창|아연도금 창 {{{-3 {{{#C46210 (드레이돈)}}}}}}]] • [[#어둠의 조류|어둠의 조류]] • [[#아스트랄 파이크|아스트랄 파이크]]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teal;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달의 군주 이후'''}}}}}}}}} [[#원소의 장창|원소의 장창]] • [[#황금부리|황금부리]] • [[#밴시의 갈고리|밴시의 갈고리]] • [[#퍼져나가는 임페일러|퍼져나가는 임페일러]] • [[#흐름결|흐름결]] • [[#나디르|나디르]]|| || '''[[#철퇴|철퇴]]''' ||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gree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이전'''}}}}}}}}} [[#성게 메이스|성게 메이스]] • [[#성게 철퇴|성게 철퇴]] • [[#야테베오의 꽃|야테베오의 꽃]] • [[#복어의 철퇴|복어의 철퇴]]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maroo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조개 분쇄기|조개 분쇄기]] • [[#회전초|회전초]] • [[#성운 채찍|성운 채찍]]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teal;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달의 군주 이후'''}}}}}}}}} [[#렘의 복수|렘의 복수]] • [[#펄스 드래곤|펄스 드래곤 {{{-3 {{{#C46210 (드레이돈)}}}}}}]] • [[#모닝스타|모닝스타]] • [[#초승달|초승달]] • [[#전우주의 방출기|전우주의 방출기]] • [[#드래곤 파우|드래곤 파우]] • [[#타나토스의 척추|타나토스의 척추]]|| || '''[[#부메랑|부메랑]]''' ||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maroo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달의 군주 이후'''}}}}}}}}} [[#추적 스코처|추적 스코처]] • [[#트리엑티스의 진정한 수호자의 마법망치|트리액티스의 진정한 수호자의 마법 망치 {{{-3 {{{#hotpink (개발자)}}}}}}]]|| || '''[[#근접 기타|기타]]''' ||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gree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이전'''}}}}}}}}} [[#울프럼 스크루드라이버|울프럼 스크루드라이버]] • [[#괴물같은 단검|괴물같은 단검]] • [[#칼날문장 맹검|칼날문장 맹검]] • [[#오래된 군주의 맹검|오래된 군주의 맹검]] •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 [[#파편화된 방주|파편화된 방주]]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maroon;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하드모드'''}}}}}}}}} [[#본브레이커|본브레이커]] • [[#완전한 승리의 망치|완전한 승리의 망치]] • [[#바이옴 블레이드|바이옴 블레이드]] • [[#태풍의 탐욕|태풍의 탐욕]] • [[#고대의 방주|고대의 방주]] • [[#스티기안의 방패|스티기안의 방패]] • [[#몰락한 팔라딘의 망치|몰락한 팔라딘의 망치]] •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 • [[#옴니블레이드|옴니블레이드]] {{{#!wiki style="width: 90px; border-radius: 4px; padding: 0 2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teal;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 {{{-2 {{{#FFF '''달의 군주 이후'''}}}}}}}}} [[#스텔라 컨템프트|스텔라 컨템프트]] • [[#원소의 방주|원소의 방주]] • [[#악마의 일출|악마의 일출]] • [[#인광성 건틀릿|인광성 건틀릿]] • [[#죽음의 승천|죽음의 승천]] • [[#은하 분쇄기|은하 분쇄기]] • [[#페이즈슬레이어|페이즈슬레이어 {{{-3 {{{#C46210 (드레이돈)}}}}}}]] • [[#전우주의 채찍|전우주의 채찍]] • [[#최고천의 단검|최고천의 단검]] • [[#갤럭시아|갤럭시아]] • [[#불타는 창공|불타는 창공]] • [[#용의 격노|용의 격노]] • [[#우주의 방주|우주의 방주]] • [[#무라사마|무라사마]] • [[#잔혹|잔혹]] • [[#명검|명검 {{{-3 {{{#hotpink (개발자)}}}}}}]]|| === 최고 수식어가 Legendary === 공통, 일반, 근접 수식어가 붙을 수 있는 근접 무기로, 대부분의 경우 최고 수식어는 Legendary이다. ====# [anchor(검)]검 #==== ||<-2> '''{{{-2 이름}}}''' || '''{{{-2 순수[br]근접}}}''' || '''{{{-2 공격력}}}''' || '''{{{-2 사용[br]시간}}}''' || '''{{{-2 넉백}}}''' || '''{{{-2 치명[br]타율}}}''' || '''{{{-2 자동[br]공격}}}''' || '''{{{-2 등급}}}''' || || [[파일:Calamity/Basher.png]] || {{{-2 [[#타자|타자]]}}}[br]{{{-3 (Basher)}}} || '''o''' || {{{-2 30}}} || {{{-2 25}}}[br]{{{-3 (빠름)}}} || {{{-2 7}}}[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 bg=blue)] || || [[파일:Calamity/SeashineSword.png]] || {{{-2 [[#바닷빛 검|바닷빛 검]]}}}[br]{{{-3 (Seashine Sword)}}} || '''{{{#red x}}}''' || {{{-2 26}}} || {{{-2 19}}}[br]{{{-3 (매우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Calamity/TeardropCleaver.png]] || {{{-2 [[#눈물방울 클리버|눈물방울 클리버]]}}}[br]{{{-3 (Teardrop Cleaver)}}} || '''o''' || {{{-2 45}}} || {{{-2 23}}}[br]{{{-3 (빠름)}}} || {{{-2 5.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Calamity/Caustic_Edge.png]] || {{{-2 [[#부패한 칼날|부패한 칼날]]}}}[br]{{{-3 (Tainted Blade)}}} || '''o''' || {{{-2 70}}} || {{{-2 26}}}[br]{{{-3 (보통)}}} || {{{-2 5}}}[br]{{{-3 (보통)}}} || {{{-2 4%}}}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Calamity/BurntSienna.png]] || {{{-2 [[#번트 시에나|번트 시에나]]}}}[br]{{{-3 (Burnt Sienna)}}} || '''o''' || {{{-2 28}}} || {{{-2 20}}}[br]{{{-3 (빠름)}}} || {{{-2 5.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Calamity/PerfectDark.png]] || {{{-2 [[#완전한 어둠|완전한 어둠]]}}}[br]{{{-3 (Perfect Dark)}}} || '''{{{#red x}}}''' || {{{-2 48}}} || {{{-2 24}}}[br]{{{-3 (빠름)}}} || {{{-2 4.2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Calamity/VeinBurster.png]] || {{{-2 [[#정맥 분쇄기|정맥 분쇄기]]}}}[br]{{{-3 (Vein Burster)}}} || '''{{{#red x}}}''' || {{{-2 71}}} || {{{-2 36}}}[br]{{{-3 (매우 느림)}}} || {{{-2 4.2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Calamity/WindBlade.png]] || {{{-2 [[#바람의 칼날|바람의 칼날]]}}}[br]{{{-3 (Wind Blade)}}} || '''{{{#red x}}}''' || {{{-2 41}}} || {{{-2 19}}}[br]{{{-3 (매우 빠름)}}} || {{{-2 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Calamity/GaussDagger.png]] || {{{-2 [[#가우스 단검|가우스 단검]]}}}[br]{{{-3 (Gauss Dagger)}}} || '''o''' || {{{-2 25}}} || {{{-2 23}}}[br]{{{-3 (매우 빠름)}}} || {{{-2 7}}}[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D, bg=#C46210)] || || [[파일:Calamity/GeliticBlade.png]] || {{{-2 [[#점액질 검|점액질 검]]}}}[br]{{{-3 (Gelitic Blade)}}} || '''{{{#red x}}}''' || {{{-2 38}}} || {{{-2 29}}}[br]{{{-3 (보통)}}} || {{{-2 5.2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Calamity/Carnage.png]] || {{{-2 [[#카니지|카니지]]}}}[br]{{{-3 (Carnage)}}} || '''o''' || {{{-2 70}}} || {{{-2 20}}}[br]{{{-3 (매우 빠름)}}} || {{{-2 5.2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Calamity/Evil_Smasher.png]] || {{{-2 [[#악마 분쇄기|악마 분쇄기]]}}}[br]{{{-3 (Evil Smasher)}}} || '''o''' || {{{-2 125}}} || {{{-2 37}}}[br]{{{-3 (매우 느림)}}} || {{{-2 6}}}[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Calamity/True_Caustic_Edge.png]] || {{{-2 [[#부식성 칼날|부식성 칼날]]}}}[br]{{{-3 (Caustic Edge)}}} || '''{{{#red x}}}''' || {{{-2 120}}} || {{{-2 27}}}[br]{{{-3 (보통)}}} || {{{-2 5.7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AncientCrusher.png]] || {{{-2 [[#고대의 파쇄기|고대의 파쇄기]]}}}[br]{{{-3 (Ancient Crusher)}}} || '''o''' || {{{-2 55}}} || {{{-2 29}}}[br]{{{-3 (보통)}}}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roxcalibur.png]] || {{{-2 [[#록스칼리버|록스칼리버]]}}}[br]{{{-3 (Roxcalibur)}}} || '''{{{#red x}}}''' || {{{-2 150}}} || {{{-2 64}}}[br]{{{-3 (굼벵이)}}} || {{{-2 13}}}[br]{{{-3 (상식을 벗어남)}}} || {{{-2 12%}}} || '''o'''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Calamity/EutrophicScimitar.png]] || {{{-2 [[#부영양화 언월도|부영양화 언월도]]}}}[br]{{{-3 (Eutrophic Scimitar)}}} || '''{{{#red x}}}''' || {{{-2 130}}} || {{{-2 37}}}[br]{{{-3 (매우 느림)}}} || {{{-2 2}}}[br]{{{-3 (매우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CelestialClaymore.png]] || {{{-2 [[#천상의 클레이모어|천상의 클레이모어]]}}}[br]{{{-3 (Celestial Claymore)}}} || '''{{{#red x}}}''' || {{{-2 70}}} || {{{-2 22}}}[br]{{{-3 (빠름)}}} || {{{-2 5.2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Storm_Saber.png]] || {{{-2 [[#스톰 세이버|스톰 세이버]]}}}[br]{{{-3 (Storm Saber)}}} || '''{{{#red x}}}''' || {{{-2 68}}} || {{{-2 22}}}[br]{{{-3 (빠름)}}} || {{{-2 6}}}[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Aftershock.png]] || {{{-2 [[#여진|여진]]}}}[br]{{{-3 (Aftershock)}}} || '''o''' || {{{-2 65}}} || {{{-2 27}}}[br]{{{-3 (보통)}}} || {{{-2 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ForsakenSaber.png]] || {{{-2 [[#버림받은 세이버|버림받은 세이버]]}}}[br]{{{-3 (Forsaken Saber)}}} || '''{{{#red x}}}''' || {{{-2 65}}} || {{{-2 17}}}[br]{{{-3 (빠름)}}} || {{{-2 6}}}[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Majestic_Guard.png]] || {{{-2 [[#장엄한 수호|장엄한 수호]]}}}[br]{{{-3 (Majestic Guard)}}} || '''o''' || {{{-2 70}}} || {{{-2 21}}}[br]{{{-3 (빠름)}}} || {{{-2 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ForbiddenOathblade.png]] || {{{-2 [[#금지된 맹검|금지된 맹검]]}}}[br]{{{-3 (Forbidden Oathblade)}}} || '''{{{#red x}}}''' || {{{-2 64}}} || {{{-2 24}}}[br]{{{-3 (빠름)}}} || {{{-2 6.5}}}[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Avalanche.png]] || {{{-2 [[#아발란체|아발란체]]}}}[br]{{{-3 (Avalanche)}}} || '''o''' || {{{-2 100}}} || {{{-2 34}}}[br]{{{-3 (보통)}}} || {{{-2 7.2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Darklight_Greatsword.png]] || {{{-2 [[#어둠빛 대검|어둠빛 대검]]}}}[br]{{{-3 (Darklight Greatsword)}}} || '''{{{#red x}}}''' || {{{-2 96}}} || {{{-2 35}}}[br]{{{-3 (매우 느림)}}} || {{{-2 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FlarefrostBlade.png]] || {{{-2 [[#화염서리 칼날|화염서리 칼날]]}}}[br]{{{-3 (Flarefrost Blade)}}} || '''{{{#red x}}}''' || {{{-2 65}}} || {{{-2 23}}}[br]{{{-3 (빠름)}}} || {{{-2 6.25}}}[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BrimstoneSword.png]] || {{{-2 [[#유황검|유황검]]}}}[br]{{{-3 (Brimstone Sword)}}} || '''o''' || {{{-2 70}}} || {{{-2 28}}}[br]{{{-3 (느림)}}} || {{{-2 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CatastropheClaymore.png]] || {{{-2 [[#대재앙의 클레이모어|대재앙의 클레이모어]]}}}[br]{{{-3 (Catastrophe Claymore)}}} || '''{{{#red x}}}''' || {{{-2 85}}} || {{{-2 22}}}[br]{{{-3 (보통)}}} || {{{-2 6.25}}}[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6, bg=mediumpurple)] || || [[파일:Calamity/Brimlash.png]] || {{{-2 [[#유황 채찍|유황 채찍]]}}}[br]{{{-3 (Brimlash)}}} || '''{{{#red x}}}''' || {{{-2 64}}} || {{{-2 24}}}[br]{{{-3 (빠름)}}} || {{{-2 6}}}[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FeralthornClaymore.png]] || {{{-2 [[#야생가시 클레이모어|야생가시 클레이모어]]}}}[br]{{{-3 (Feralthorn Claymore)}}} || '''o''' || {{{-2 80}}} || {{{-2 12}}}[br]{{{-3 (매우 빠름)}}} || {{{-2 7.2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Hellkite.png]] || {{{-2 [[#냉혈한|냉혈한]]}}}[br]{{{-3 (Hellkite)}}} || '''o''' || {{{-2 180}}} || {{{-2 29}}}[br]{{{-3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AbyssBlade.png]] || {{{-2 [[#심연의 검|심연의 검]]}}}[br]{{{-3 (Abyss Blade)}}} || '''{{{#red x}}}''' || {{{-2 90}}} || {{{-2 25}}}[br]{{{-3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Floodtide.png]] || {{{-2 [[#만조|만조]]}}}[br]{{{-3 (Floodtide)}}} || '''{{{#red x}}}''' || {{{-2 89}}} || {{{-2 22}}}[br]{{{-3 (빠름)}}} || {{{-2 6}}}[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TrueBloodyEdge.png]] || {{{-2 [[#진정한 피투성이 칼날|진정한 피투성이 칼날]]}}}[br]{{{-3 (True Bloody Edge)}}} || '''{{{#red x}}}''' || {{{-2 70}}} || {{{-2 23}}}[br]{{{-3 (빠름)}}} || {{{-2 6}}}[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Tyrant_Yharim's_Ultisword.png]] || {{{-2 [[#바스러진 클리버|바스러진 클리버]]}}}[br]{{{-3 (Blighted Cleaver)}}} || '''{{{#red x}}}''' || {{{-2 64}}} || {{{-2 25}}}[br]{{{-3 (보통)}}} || {{{-2 5.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CometQuasher.png]] || {{{-2 [[#혜성 쇄도|혜성 쇄도]]}}}[br]{{{-3 (Comet Quasher)}}} || '''o''' || {{{-2 90}}} || {{{-2 21}}}[br]{{{-3 (빠름)}}} || {{{-2 7.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AnarchyBlade.png]] || {{{-2 [[#무질서의 칼날|무질서의 칼날]]}}}[br]{{{-3 (Anarchy Blade)}}} || '''o''' || {{{-2 150}}} || {{{-2 18}}}[br]{{{-3 (매우 빠름)}}} || {{{-2 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Greentide.png]] || {{{-2 [[#녹조|녹조]]}}}[br]{{{-3 (Greentide)}}} || '''o''' || {{{-2 95}}} || {{{-2 23}}}[br]{{{-3 (빠름)}}} || {{{-2 7}}}[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AstralScythe.png]] || {{{-2 [[#아스트랄 낫|아스트랄 낫]]}}}[br]{{{-3 (Astral Scythe)}}} || '''{{{#red x}}}''' || {{{-2 120}}} || {{{-2 19}}}[br]{{{-3 (매우 빠름)}}} || {{{-2 6}}}[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TitanArm.png]] || {{{-2 [[#거인의 팔|거인의 팔]]}}}[br]{{{-3 (Titan Arm)}}} || '''o''' || {{{-2 69}}} || {{{-2 11}}}[br]{{{-3 (매우 빠름)}}} || {{{-2 80}}}[br]{{{-3 (상식을 벗어남)}}} || {{{-2 100%}}}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Aegis_Blade.png]] || {{{-2 [[#이지스 블레이드|이지스 블레이드]]}}}[br]{{{-3 (Aegis Blade)}}} || '''o''' || {{{-2 108}}} || {{{-2 14}}}[br]{{{-3 (매우 빠름)}}} || {{{-2 4.2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Absolute_Zero.png]] || {{{-2 [[#절대 영도|절대 영도]]}}}[br]{{{-3 (Absolute Zero)}}} || '''{{{#red x}}}''' || {{{-2 120}}} || {{{-2 19}}}[br]{{{-3 (매우 빠름)}}} || {{{-2 4}}}[br]{{{-3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HellfireFlamberge.png]] || {{{-2 [[#지옥불 플랑베르주|지옥불 플랑베르주]]}}}[br]{{{-3 (Hellfire Flamberge)}}} || '''{{{#red x}}}''' || {{{-2 90}}} || {{{-2 19}}}[br]{{{-3 (매우 빠름)}}} || {{{-2 7.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SoulHarvester.png]] || {{{-2 [[#영혼 수확기|영혼 수확기]]}}}[br]{{{-3 (Soul Harvester)}}} || '''{{{#red x}}}''' || {{{-2 85}}} || {{{-2 24}}}[br]{{{-3 (느림)}}} || {{{-2 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Virulence.png]] || {{{-2 [[#독종|독종]]}}}[br]{{{-3 (Virulence)}}} || '''{{{#red x}}}''' || {{{-2 96}}} || {{{-2 14}}}[br]{{{-3 (매우 빠름)}}} || {{{-2 5.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TrueForbiddenOathblade.png]] || {{{-2 [[#고귀한 맹검|고귀한 맹검]]}}}[br]{{{-3 (True Forbidden Oathblade)}}} || '''{{{#red x}}}''' || {{{-2 150}}} || {{{-2 22}}}[br]{{{-3 (빠름)}}} || {{{-2 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UltimusCleaver.png]] || {{{-2 [[#얼티머스 클리버|얼티머스 클리버]]}}}[br]{{{-3 (Ultimus Cleaver)}}} || '''{{{#red x}}}''' || {{{-2 130}}} || {{{-2 19}}}[br]{{{-3 (매우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BrinyBaron.png]] || {{{-2 [[#염분성 남작|염분성 남작]]}}}[br]{{{-3 (Briny Baron)}}} || '''o''' || {{{-2 124}}} || {{{-2 14}}}[br]{{{-3 (매우 빠름)}}} || {{{-2 4}}}[br]{{{-3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EntropicClaymore.png]] || {{{-2 [[#엔트로픽 클레이모어|엔트로픽 클레이모어]]}}}[br]{{{-3 (Entropic Claymore)}}} || '''{{{#red x}}}''' || {{{-2 90}}} || {{{-2 25}}}[br]{{{-3 (빠름)}}} || {{{-2 5.2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9, bg=cyan)] || || [[파일:Calamity/Storm_Ruler.png]] || {{{-2 [[#스톰 룰러|스톰 룰러]]}}}[br]{{{-3 (Storm Ruler)}}} || '''{{{#red x}}}''' || {{{-2 80}}} || {{{-2 24}}}[br]{{{-3 (빠름)}}} || {{{-2 6.25}}}[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0, bg=red)] || || [[파일:Calamity/BalefulHarvester.png]] || {{{-2 [[#악의의 수확자|악의의 수확자]]}}}[br]{{{-3 (Baleful Harvester)}}} || '''{{{#red x}}}''' || {{{-2 90}}} || {{{-2 21}}}[br]{{{-3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0, bg=red)] || || [[파일:Calamity/AstralBlade.png]] || {{{-2 [[#아스트랄 블레이드|아스트랄 블레이드]]}}}[br]{{{-3 (Astral Blade)}}} || '''o''' || {{{-2 85}}} || {{{-2 8}}}[br]{{{-3 (미친 듯이 빠름)}}} || {{{-2 4}}}[br]{{{-3 (약함)}}} || {{{-2 29%}}} || '''o''' || [include(틀:t등급, n=9, bg=cyan)] || || [[파일:Calamity/Grand_Guardian.png]] || {{{-2 [[#그랜드 가디언|그랜드 가디언]]}}}[br]{{{-3 (Grand Guardian)}}} || '''o''' || {{{-2 150}}} || {{{-2 21}}}[br]{{{-3 (빠름)}}} || {{{-2 8.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0, bg=red)] || || [[파일:Calamity/GreatswordofJudgement.png]] || {{{-2 [[#심판의 대검|심판의 대검]]}}}[br]{{{-3 (Greatsword of Judgement)}}} || '''{{{#red x}}}''' || {{{-2 48}}} || {{{-2 17}}}[br]{{{-3 (매우 빠름)}}} || {{{-2 7}}}[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0, bg=red)] || || [[파일:Calamity/StellarStriker.png]] || {{{-2 [[#스텔라 스트라이커|스텔라 스트라이커]]}}}[br]{{{-3 (Stellar Striker)}}} || '''o''' || {{{-2 480}}} || {{{-2 24}}}[br]{{{-3 (빠름)}}} || {{{-2 7.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0, bg=red)] || || [[파일:Calamity/PlagueKeeper.png]] || {{{-2 [[#역병 파수꾼|역병 파수꾼]]}}}[br]{{{-3 (Plague Keeper)}}} || '''{{{#red x}}}''' || {{{-2 80}}} || {{{-2 19}}}[br]{{{-3 (매우 빠름)}}} || {{{-2 6}}}[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0, bg=red)] || || [[파일:Calamity/Devastation.png]] || {{{-2 [[#유린|유린]]}}}[br]{{{-3 (Devastation)}}} || '''{{{#red x}}}''' || {{{-2 132}}} || {{{-2 23}}}[br]{{{-3 (빠름)}}} || {{{-2 4.2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0, bg=red)] || || [[파일:Calamity/SolsticeClaymore.png]] || {{{-2 [[#솔스티스 클레이모어|솔스티스 클레이모어]]}}}[br]{{{-3 (Solstice Claymore)}}} || '''{{{#red x}}}''' || {{{-2 300}}} || {{{-2 15}}}[br]{{{-3 (매우 빠름)}}} || {{{-2 6.5}}}[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1, bg=purple)] || || [[파일:Calamity/Swordsplosion(1).png]] || {{{-2 [[#소드플로전|소드플로전]]}}}[br]{{{-3 (Swordsplosion)}}} || '''{{{#red x}}}''' || {{{-2 60}}} || {{{-2 29}}}[br]{{{-3 (보통)}}} || {{{-2 7}}}[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1, bg=purple)] || || [[파일:Calamity/HolyCollider.png]] || {{{-2 [[#신성 가속기|신성 가속기]]}}}[br]{{{-3 (Holy Collider)}}} || '''o''' || {{{-2 270}}} || {{{-2 21}}}[br]{{{-3 (빠름)}}} || {{{-2 7.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2, bg=turquoise)] || || [[파일:Calamity/GalactusBlade.png]] || {{{-2 [[#갤럭투스 블레이드|갤럭투스 블레이드]]}}}[br]{{{-3 (Galactus Blade)}}} || '''{{{#red x}}}''' || {{{-2 84}}} || {{{-2 16}}}[br]{{{-3 (매우 빠름)}}} || {{{-2 6}}}[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2, bg=turquoise)] || || [[파일:Calamity/LifehuntScythe.png]] || {{{-2 [[#영혼사냥 낫|영혼사냥 낫]]}}}[br]{{{-3 (Lifehunt Scythe)}}} || '''{{{#red x}}}''' || {{{-2 156}}} || {{{-2 17}}}[br]{{{-3 (매우 빠름)}}} || {{{-2 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2, bg=turquoise)] || || [[파일:Calamity/True_Tyrant's_Ultisword.png]] || {{{-2 [[#더럽혀진 대검|더럽혀진 대검]]}}}[br]{{{-3 (Defiled Greatsword)}}} || '''{{{#red x}}}''' || {{{-2 112}}} || {{{-2 17}}}[br]{{{-3 (매우 빠름)}}} || {{{-2 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2, bg=turquoise)] || || [[파일:Calamity/Terratomere(1).png]] || {{{-2 [[#테라토미어|테라토미어]]}}}[br]{{{-3 (Terratomere)}}} || '''{{{#red x}}}''' || {{{-2 303}}} || {{{-2 20}}}[br]{{{-3 (매우 빠름)}}} || {{{-2 7}}}[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2, bg=turquoise)] || || [[파일:Calamity/TheMutilator.png]] || {{{-2 [[#뮤틸레이터|뮤틸레이터]]}}}[br]{{{-3 (The Mutilator)}}} || '''o''' || {{{-2 483}}} || {{{-2 17}}}[br]{{{-3 (매우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2, bg=turquoise)] || || [[파일:Calamity/MirrorBlade.png]] || {{{-2 [[#거울의 칼날|거울의 칼날]]}}}[br]{{{-3 (Mirror Blade)}}} || '''{{{#red x}}}''' || {{{-2 180}}} || {{{-2 11}}}[br]{{{-3 (매우 빠름)}}} || {{{-2 7}}}[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2, bg=turquoise)] || || [[파일:Calamity/TerrorBlade.png]] || {{{-2 [[#공포의 칼날|공포의 칼날]]}}}[br]{{{-3 (Terror Blade)}}} || '''{{{#red x}}}''' || {{{-2 500}}} || {{{-2 17}}}[br]{{{-3 (매우 빠름)}}} || {{{-2 8.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3, bg=limegreen)] || || [[파일:Calamity/LionHeart.png]] || {{{-2 [[#라이온 하트|라이온 하트]]}}}[br]{{{-3 (Lion Heart)}}} || '''o''' || {{{-2 323}}} || {{{-2 14}}}[br]{{{-3 (매우 빠름)}}} || {{{-2 5.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3, bg=limegreen)] || || [[파일:Calamity/SoulEdge.png]] || {{{-2 [[#소울 엣지|소울 엣지]]}}}[br]{{{-3 (Soul Edge)}}} || '''{{{#red x}}}''' || {{{-2 174}}} || {{{-2 22}}}[br]{{{-3 (매우 빠름)}}} || {{{-2 5.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3, bg=limegreen)] || || [[파일:Calamity/TheLastMourning.png]] || {{{-2 [[#최후의 비탄|최후의 비탄]]}}}[br]{{{-3 (The Last Mourning)}}} || '''o''' || {{{-2 360}}} || {{{-2 19}}}[br]{{{-3 (빠름)}}} || {{{-2 8.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3, bg=limegreen)] || || [[파일:Calamity/Neptune'sBounty.png]] || {{{-2 [[#넵튠의 하사품|넵튠의 하사품]]}}}[br]{{{-3 (Neptune's Bounty)}}} || '''{{{#red x}}}''' || {{{-2 251}}} || {{{-2 21}}}[br]{{{-3 (빠름)}}} || {{{-2 9}}}[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3, bg=limegreen)] || || [[파일:Calamity/Excelsus.png]] || {{{-2 [[#고귀했던 존재|고귀했던 존재]]}}}[br]{{{-3 (Excelsus)}}} || '''{{{#red x}}}''' || {{{-2 281}}} || {{{-2 14}}}[br]{{{-3 (매우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4, bg=darkblue)] || || [[파일:Calamity/TheEnforcer.png]] || {{{-2 [[#집행자|집행자]]}}}[br]{{{-3 (The Enforcer)}}} || '''{{{#red x}}}''' || {{{-2 890}}} || {{{-2 16}}}[br]{{{-3 (매우 빠름)}}} || {{{-2 9}}}[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4, bg=darkblue)] || || [[파일:Calamity/EssenceFlayer.png]] || {{{-2 [[#정수 약탈꾼|정수 약탈꾼]]}}}[br]{{{-3 (Essence Flayer)}}} || '''{{{#red x}}}''' || {{{-2 180}}} || {{{-2 18}}}[br]{{{-3 (매우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4, bg=darkblue)] || || [[파일:Calamity/Devil'sDevastation.png]] || {{{-2 [[#악마의 유린|악마의 유린]]}}}[br]{{{-3 (Devil's Devastation)}}} || '''{{{#red x}}}''' || {{{-2 166}}} || {{{-2 19}}}[br]{{{-3 (매우 빠름)}}} || {{{-2 6.75}}}[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4, bg=darkblue)] || || [[파일:Calamity/GreatswordofBlah.png]] || {{{-2 [[#질서인도자|질서인도자]]}}}[br]{{{-3 (Orderbringer)}}} || '''{{{#red x}}}''' || {{{-2 138}}} || {{{-2 17}}}[br]{{{-3 (매우 빠름)}}} || {{{-2 7}}}[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4, bg=darkblue)] || || [[파일:Calamity/PrismaticBreaker.png]] || {{{-2 [[#선명한 파괴자|선명한 파괴자]]}}}[br]{{{-3 (Prismatic Breaker)}}} || '''{{{#red x}}}''' || {{{-2 699}}} || {{{-2 13}}}[br]{{{-3 (매우 빠름)}}} || {{{-2 7}}}[br]{{{-3 (강함)}}} || {{{-2 12%}}} || '''o''' || [include(틀:t등급, n=14, bg=darkblue)] || || [[파일:Calamity/Ataraxia.png]] || {{{-2 [[#아타락시아|아타락시아]]}}}[br]{{{-3 (Ataraxia)}}} || '''{{{#red x}}}''' || {{{-2 432}}} || {{{-2 18}}}[br]{{{-3 (매우 빠름)}}} || {{{-2 2.5}}}[br]{{{-3 (매우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5, bg=violet)] || || [[파일:Calamity/Exoblade.png]] || {{{-2 [[#엑소블레이드|{{{#!html 엑소블레이드}}}]]}}}[br]{{{-3 (Exoblade)}}} || '''{{{#red x}}}''' || {{{-2 915}}} || {{{-2 49}}}[br]{{{-3 (굼벵이)}}} || {{{-2 9}}}[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5, bg=violet)] || || [[파일:Calamity/Gaels_Greatsword.png]] || {{{-2 [[#게일의 대검|{{{#!html 게일의 대검}}}]]}}}[br]{{{-3 (Gael's Greatsword)}}} || '''{{{#red x}}}''' || {{{-2 780}}} || {{{-2 11}}}[br]{{{-3 (매우 빠름)}}} || {{{-2 9}}}[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5, bg=violet)] || || [[파일:Calamity/RedSun.png]] || {{{-2 [[#붉은 태양|{{{#!html 붉은 태양}}}]]}}}[br]{{{-3 (Red Sun)}}} || '''{{{#red x}}}''' || {{{-2 500}}} || {{{-2 29}}}[br]{{{-3 (보통)}}} || {{{-2 4}}}[br]{{{-3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6, bg=hotpink)] || || [[파일:Calamity/Earth.png]] || {{{-2 [[#대지|{{{#!html 대지}}}]]}}}[br]{{{-3 (Earth)}}} || '''o''' || {{{-2 170}}} || {{{-2 15}}}[br]{{{-3 (매우 빠름)}}} || {{{-2 9.5}}}[br]{{{-3 (극도로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6, bg=hotpink)] || || [[파일:Calamity/DraconicDestruction(1).png]] || {{{-2 [[#가혹한 파괴|{{{#!html 가혹한 파괴}}}]]}}}[br]{{{-3 (Draconic Destruction)}}} || '''{{{#red x}}}''' || {{{-2 250}}} || {{{-2 23}}}[br]{{{-3 (빠름)}}} || {{{-2 7.2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6, bg=hotpink)] || || [[파일:Calamity/Elemental_Excalibur.png]] || {{{-2 [[#무지갯빛 엑스칼리버|{{{#!html 무지갯빛 엑스칼리버}}}]]}}}[br]{{{-3 (Iridescent Excalibur)}}} || '''o''' || {{{-2 2,000}}} || {{{-2 13}}}[br]{{{-3 (매우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 bg=linear-gradient(135deg\,#FCC\,#FC9\,#FFC\,#9F9\,#9CF\,#FCF))] || ||<-9> {{{#!wiki style="width: 670px; height: 1px; " }}} || ===== 하드모드 이전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타자)][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Basher, 한=타자, 사진=Basher.png, 희소=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0, 시=25, 속=빠름, 넉=7,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SulphuricScale.png, 이름=황산성 비늘,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c캡션, 사진=Acidwood.png, 이름=산성목, 문서=재료, h=16px)] (30) +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6px)]}}} 적을 타격하면 반드시 [[../시스템#피폭|[[파일:Calamity/Irradiated2.png|width=16px]]피폭]] 디버프를 5초간 가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바닷빛 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eashine Sword, 한=바닷빛 검, 사진=SeashineSword.png, 희소=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6, 시=19,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SeaPrism.png, 이름=바다 프리즘, 문서=재료, h=24px)] (7) + [include(틀:c캡션, 사진=Navystone.png, 이름=짙푸른 돌, 문서=건축,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공격 시 푸른빛의 빔을 발사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눈물방울 클리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eardrop Cleaver, 한=눈물방울 클리버, 사진=TeardropCleaver.png, 희소=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45, 시=23, 속=빠름, 넉=5.5, 강=보통,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크툴루의 눈, 문서=보스, 파생=축소)] (10%)}}} 피격당한 적은 1초간 [[../시스템#현세의 슬픔|[[파일:Calamity/TemporalSadness.png|width=16px]]현세의 슬픔]] 디버프에 걸려 공격력이 15 감소하고 이동 속도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패치로 공격력이 45로 늘고 검의 크기가 커졌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부패한 칼날)][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ainted Blade, 한=부패한 칼날, 사진=Caustic_Edge.png, 희소=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70, 시=26, 속=보통, 넉=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이름=산성목, 사진=Acidwood.png, 문서=재료, h=24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사망초, 문서=재료)] (2)[br][include(틀:t캡션, 이름=그림자 비늘, 문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조직 샘플, 문서=재료)] (8) @ [include(틀:t캡션, 이름=제단, 문서=가구, h=16px)]}}} 피격당한 적은 8초간 [[테라리아/시스템#독|[[파일:Terraria/Poisoned.png|width=16px]]독]], 4초간 [[테라리아/시스템#맹독|[[파일:Terraria/Venom.png|width=16px]]맹독]] 디버프에 100% 확률로 걸린다. 하드모드에서 [[#부식성 칼날|부식성 칼날]]의 재료로 쓰인다. 1.4.4 포팅 이후 야림계열의 대검들의 이름이 전원 변경되었다. ||
'''{{{#fff {{{-2 변경전}}}}}}''' || '''{{{#fff {{{-2 변경후}}}}}}''' || || 부식성 칼날(Caustic Edge) || 부패한 칼날(Tainted Blade) || || 진정한 부식성 칼날(Caustic Edge) || 부식성 칼날(Caustic Edge) || || 폭군 야림의 극검(Tyrant Yharim's Ultisword) || 바스러진 클리버(Blighted Cleaver) || || 진정한 폭군의 극검(True Tyrant's Ultisword) || 더럽혀진 대검(Defiled Greatsword)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번트 시에나)][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Burnt Sienna, 한=번트 시에나, 사진=BurntSienna.png,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8, 시=20, 속=매우 빠름, 넉=5.5, 강=보통,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툼 크롤러, 문서=몬스터, 파생=머리, h=24px)] (4% / {{{#E80 6.67%}}})}}} 적을 죽일 시 적이 죽은 그 자리에서 노란색 오브들이 포물선을 그리며 위로 3개 나오며 이에 접촉 시 각각 체력을 3 회복한다. 적을 죽여야만 나오는 것도 그렇고, 체력 회복량도 매우 미미해서 보스전 때 쓸 만한 무기는 아니다. 번트 시에나란 명칭은 짙은 적갈색을 띄는 색상을 가리키며, 색상 코드는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623034 , 글자색=#FFF, 내용=#623034)]이다. ||<^|1>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완전한 어둠)][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Perfect Dark, 한=완전한 어둠, 사진=PerfectDark.png,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48, 시=24, 속=빠름, 넉=4.25, 강=보통,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TheHiveMind(R).png, 이름=하이브 마인드, 문서=보스)] (25% / {{{#E80 33.33%}}})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썩은 덩어리,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데모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Rotten_Matter.png, 이름=썩은 물질, 문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제단, 문서=가구, h=16px)]}}} ||<^|1>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정맥 분쇄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Vein Burster, 한=정맥 분쇄기, 사진=VeinBurster.png,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71, 시=36, 속=매우 느림, 넉=4.25, 강=보통,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ThePerforators(R).png, 이름=퍼포레이터즈, 문서=보스)] (25% / {{{#E80 33.33%}}})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척추뼈,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크림테인 주괴, 문서=재료, h=16px)] (5) + [br][include(틀:c캡션, 사진=Blood_Sample.png, 이름=혈액 샘플, 문서=재료)] (15) @ [include(틀:t캡션, 이름=제단, 문서=가구, h=16px)]}}} || 곡선을 그리며 떨어지는 공을 투사한다. 이 공은 스플래시 대미지가 있으며, 적에게 닿으면 바로 터지며 땅에 닿으면 그 자리에 붙고 약 4초 뒤에 터진다. 완전한 어둠(Perfect Dark)의 이름은 동명의 [[닌텐도 64]] 게임 [[퍼펙트 다크]]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바람의 칼날)][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Wind Blade, 한=바람의 칼날, 사진=WindBlade.png,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41, 시=19, 속=매우 빠름, 넉=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태양판 블록, 문서=블록)] (3) + [include(틀:c캡션, 사진=AerialiteBar.png, 이름=창공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9)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늘 방앗간, 문서=가구, h=24px)]}}} 휘두를 때마다 무기 자체의 공격력의 절반을 가진 태풍을 발사하며, 이 태풍은 근처의 일반 적들을 끌어들인다. 또한 빛나는 푸른색 입자 역시 방출하는데, 이 입자는 전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동굴이나 던전 탐사 등의 상황에서 시야 확보에 쓰일 수 있다. 하드모드에서 [[#스톰 룰러|스톰 룰러]]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가우스 단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Gauss Dagger, 한=가우스 단검, 사진=GaussDagger.png, 희소=#C46210,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5, 시=23, 속=매우 빠름, 넉=7,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DubiousPlating.png, 이름=수상한 도금판, 문서=재료, h=16px)] (7) + [include(틀:c캡션, 사진=MysteriousCircuitry.png, 이름=기이한 전기회로, 문서=재료, h=16px)] (5) +[br][include(틀:c캡션, 사진=AerialiteBar.png, 이름=창공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4) + [include(틀:t캡션, 이름=운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4)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br](설계도면([[../지형#침몰한 바다|침몰한 바다]]) 획득 이후)}}} 적을 무기로 세 번 타격했을 경우 좁은 범위에 3초간 지속되는 전기장을 형성한다. 최대 충전량은 50.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점액질 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Gelitic Blade, 한=점액질 검, 사진=GeliticBlade.png, 희소=lightcoral,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8, 시=29, 속=보통, 넉=5.2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PurifiedGel.png, 이름=정제된 젤, 문서=재료)] (18) @ [include(틀:c캡션, 사진=Static_Refiner.png, 이름=정적 정제소, 문서=건축, h=24px)]}}} 휘두르면 프로스트문의 얼음 여왕이 발사하는 투사체와 비슷한 발사체를 날린다. 이 발사체는 적을 1회 관통할 수 있으며 피격한 적에게 [[테라리아/시스템#슬라임|[[파일:Terraria/Slime(Debuff).png|width=16px]]슬라임]] 디버프를 5초 간 건다. ===== 하드모드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카니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Carnage, 한=카니지, 사진=Carnage.png, 과정=ⓗ, 색=red, 희소=lightcoral,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70, 시=20, 속=매우 빠름, 넉=5.25, 강=보통,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월 오브 플레시, 문서=보스, 파생=축소)] (10%)}}} 적을 죽이면 적이 폭발하며 무기 데미지의 30%의 유도성있는 핏방울을 주변에 흩날린다. 몰려오는 적을 처리하기 매우 좋은 무기. 깨알같은 피흡은 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악마 분쇄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Evil Smasher, 한=악마 분쇄기, 사진=Evil_Smasher.png, 과정=ⓗ, 색=red, 희소=lightcoral,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00, 시=37, 속=매우 느림, 넉=6, 강=보통,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제단, 문서=가구, h=16px)]을 부술 경우 1/3확률로 획득}}} 적을 죽일 시 무기의 공격력, 공격 속도, 넉백이 10% 증가한다. 최대 10번까지 중첩되며, 피격 시 1 중첩 효과가 사라진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부식성 칼날)][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Caustic Edge, 한=부식성 칼날, 사진=True_Caustic_Edge.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20, 시=27, 속=보통, 넉=5.7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Caustic_Edge.png, 이름=부식성 칼날,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사진=FlaskofPoison.png, 이름=독의 플라스크, 문서=소모품, h=16px)] (5) +[br]\[[include(틀:t캡션, 이름=저주받은 불꽃의 플라스크, 문서=소모품, h=16px)]/[include(틀:t캡션, 이름=이코르의 플라스크, 문서=소모품, h=16px)]] (5) +[br][include(틀:t캡션, 이름=사망초, 문서=재료, h=16px)] (4) @ [include(틀:t캡션, 이름=제단, 문서=가구, h=16px)]}}} [[#부패한 칼날|부패한 칼날]]의 업그레이드 버전. 휘두를 때마다 적을 2번 관통하거나 지형에 2번 튕길 수 있는 푸른색의 검기를 빠르게 발사하고, 피격당한 적은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와 [[테라리아/시스템#맹독|[[파일:Terraria/Venom.png|width=16px]]맹독]] 디버프에 동시에 걸린다. 투사체 빈도도 높은 주제에 대미지도 쌔고 거는 디버프까지 강력해 하드 초반에 아주 유용한 무기이다.다른 무기 안만들고 기계 보스들을 때려잡을수 있으며,기계 보스를 한명도 안잡아도 제작 가능하다는 접근성 덕에 여러모로 뛰어난 무기. [[#바스러진 클리버|바스러진 클리버]]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고대의 파쇄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ncient Crusher, 한=고대의 파쇄기, 사진=AncientCrusher.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55, 시=29, 속=보통,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EssenceofSunlight.png, 이름=햇빛의 정수, 문서=재료, h=16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호박, 문서=재료)] (8) + [include(틀:t캡션, 이름=튼튼한 화석, 문서=재료)] (35) [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적을 치면 적이 피격당한 곳에 약 5초 동안 가시를 생성해서 추가적인 피해를 입힌다. 가시는 공중이든 땅속이든 적이 죽은 자리에 고정되어 있어서 고정형 적이나 속도가 느린 적에게 효과적이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록스칼리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Roxcalibur, 한=록스칼리버, 사진=roxcalibur.png, 과정=ⓗ, 색=red, 희소=lightcoral,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50, 시=64, 속=굼벵이, 넉=13, 강=상식을 벗어남, 치=12)][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자수정, 문서=재료)] (2) + [include(틀:c캡션, 사진=EssenceofChaos.png, 이름=혼돈의 정수,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밤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10) + [br][include(틀:t캡션, 이름=지옥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25) + [include(틀:t캡션, 이름=흑요석, 문서=재료)] (10) +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블록)] (100) [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 [[파일:Calamity/Roxcalibur(object).png]] || 하드모드에서 조합을 통해 얻는 검이지만, 하드모드 이전에도 지하에서 오른쪽과 같이 생긴 월드당 1개씩만 생성되는 오브젝트를 부숴서 얻을 수 있다. 단, [[테라리아/보스#월 오브 플레시|월 오브 플레시]]를 격파하기 전에는 사용 자체가 불가능하다. 공격할 때마다 검의 기본 공격력의 40%를 가진 바위 파편 2개를 발사한다. 우클릭 시엔 검을 지형이나 적 위에 내리꽂아서 슬라임 안장과 비슷한 방식으로 높이 점프하며, 15초의 쿨타임을 가진 대미지 300의 쇼크웨이브도 생성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부영양화 언월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Eutrophic Scimitar, 한=부영양화 언월도, 사진=EutrophicScimitar.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30, 시=37, 속=매우 느림, 넉=2, 강=매우 약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BlindedAngler.png, 이름=장님 낚시꾼, 문서=몬스터, h=24px)] (25%)}}} 빔을 발사하며 맞은 적에게는 [[../시스템#부영양화|[[파일:Calamity/Eutrophication.png|width=16px]]부영양화]] 디버프를 0.5초 발생시킨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천상의 클레이모어)][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Celestial Claymore, 한=천상의 클레이모어, 사진=CelestialClaymore.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70, 시=22, 속=빠름, 넉=5.25, 강=보통,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오염된 미믹,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진홍색 미믹,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신성한 미믹,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정글 미믹, 사진=JungleMimic.png, 문서=몬스터, h=24px)] (14.29% / {{{#E80 25%}}})}}} 기존에 드롭하는 미믹의 고유 무기나 악세서리와는 별도로 드롭되며, 휘두를 때마다 플레이어 주변의 무작위 장소에 알록달록한 입자 3개를 깔아두고 몇 초 지나면 폭발한다. 빨간색 입자는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를 5초, 푸른 입자는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파일:Terraria/Frostburn.png|width=16px]]서릿불]] 디버프를 10초, 황색 입자는 [[테라리아/시스템#이코르|[[파일:Terraria/Ichor(Debuff).png|width=16px]]이코르]] 디버프를 2초동안 부여한다. 적에게 유도되거나 그런 건 없으니 주의. [[테라리아/보스#파괴자|파괴자]] 최초 격파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다만 투사체 특성상 좀 위험하다. 여담으로 에디터로 정글 미믹을 스폰해 잡아도 이 무기가 나온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스톰 세이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torm Saber, 한=스톰 세이버, 사진=Storm_Saber.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8, 시=22, 속=빠름, 넉=6, 강=보통,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CloudElemental.png, 이름=구름 정령, 문서=몬스터, h=24px)] (20%)}}} 휘두를 때마다 푸른색의 빛나는 검기를 발사한다. [[#스톰 룰러|스톰 룰러]]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여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ftershock, 한=여진, 사진=Aftershock.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65, 시=27, 속=보통, 넉=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EarthElemental(R).png, 이름=대지 정령, 문서=몬스터, h=24px)] (25%)}}} 적을 치면 하늘에서 마우스 커서가 있는 방향으로 바위를 떨어트린다. 이 바위는 지형에 튕기며 적을 5명 관통한다. 적을 여러 번 관통하므로 [[테라리아/보스#파괴자|파괴자]] 같은 다관절 적에게 유용하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버림받은 세이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Forsaken Saber, 한=버림받은 세이버, 사진=ForsakenSaber.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5, 시=17, 속=매우 빠름, 넉=6,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금지된 파편, 문서=재료, h=24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다만타이트/티타늄] 주괴, 문서=재료, h=16px)] (5) [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휘두를 때마다 표창처럼 생긴 회전하는 발사체를 방출한다. 이 발사체는 플레이어 근처에 약 1초 동안 제자리에서 체공하다가 커서가 클릭됐던 방향으로 날아간다. 극후반부에서 개발자 아이템인 [[#붉은 태양|붉은 태양]]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장엄한 수호)][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Majestic Guard, 한=장엄한 수호, 사진=Majestic_Guard.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70, 시=21, 속=빠름, 넉=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아다만타이트 검, 문서=무기, h=24px)]/[include(틀:t캡션, 이름=티타늄 검, 문서=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힘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15) [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2차 공격은 나가지 않지만, 범위가 매우 넓고 넉백이 매우 강한 것이 특징. 피격된 적은 일정 확률로 방어력이 1 감소한다. 적이나 보스의 방어력이 0이거나 음수인 상태라면 플레이어는 타격할 때마다 체력을 3 회복한다. [[#그랜드 가디언|그랜드 가디언]]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금지된 맹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Forbidden Oathblade, 한=금지된 맹검, 사진=ForbiddenOathblade.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4, 시=24, 속=빠름, 넉=6.5,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BladecrestOathsword.png, 이름=칼날문장 맹검,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OldLordOathsword.png, 이름=오래된 군주의 맹검, 문서=근접 무기, h=24px)] + [br][include(틀:t캡션, 이름=공포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휘두를 때마다 적을 최대 2회 관통할 수 있는 자줏빛 발사체 1개를 방출한다. 이 발사체는 기존의 [[테라리아/무기#악마의 낫|악마의 낫]]의 발사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나아간다. 피격된 적은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와 [[테라리아/시스템#그림자불꽃|[[파일:Terraria/Shadowflame.png|width=16px]]그림자불꽃]] 디버프에 동시에 걸린다. 부서진 영웅의 검을 써서 [[#진정한 금지된 맹검|진정한 금지된 맹검]]으로 강화가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아발란체)][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valanche, 한=아발란체, 사진=Avalanche.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00, 시=34, 속=느림, 넉=7.2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Cryogen(R).png, 이름=크라이오젠, 문서=보스)] (25% / {{{#E80 33.33%}}})}}} 적을 치면 플레이어 주변에 얼음 폭탄들을 생성한다. 이 얼음 폭탄들은 적에게 부딪히거나 3초가 지나면 터지며, 여러 파편들을 남긴다. 로그 무기 [[../로그 무기#켈빈 카탈리스트|켈빈 카탈리스트]]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어둠빛 대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Darklight Greatsword, 한=어둠빛 대검, 사진=Darklight_Greatsword.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96, 시=35, 속=매우 느림, 넉=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빛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밤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 [br][include(틀:c캡션, 사진=CryonicBar.png, 이름=냉동석 주괴, 문서=재료, h=24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휘두르면 발사체를 발사하며, 이 발사체는 적이나 지형에 부딪히면 3-4갈래로 나누어진다. 검이나 발사체는 적에게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파일:Terraria/Frostburn.png|width=16px]]서릿불]] 디버프를 건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화염서리 칼날)][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Flarefrost Blade, 한=화염서리 칼날, 사진=FlarefrostBlade.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5, 시=23, 속=빠름, 넉=6.25,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빛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지옥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c캡션, 사진=FrigidBar.png, 이름=냉동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8) [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휘두를 때마다 유도성이 있는 작은 발사체를 방출한다. 피격된 적은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와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파일:Terraria/Frostburn.png|width=16px]]서릿불]] 디버프에 동시에 걸린다. 유도력이 그리 크지 않고 발사체 속도가 느려서 적을 빗맞추기 쉽다. 극후반부에 만드는 엑소급 무기인 [[#엑소블레이드|엑소블레이드]]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유황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Brimstone Sword, 한=유황검, 사진=BrimstoneSword.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70, 시=28, 속=느림, 넉=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Unholy_Core.png, 이름=부정한 코어, 문서=재료, h=24px)] (6)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피격당한 적의 발밑에 유황 간헐천이 생성되어 [[../시스템#유황 불꽃|[[파일:Calamity/Brimstone_Flames.png|width=16px]]유황 불꽃]] 디버프를 건다. 우클릭 시 [[../로그 무기#이코르 창|이코르 창]]과 비슷한 방식으로 검을 던진다. 던져진 칼은 중력의 영향을 받기 전에 먼 거리를 이동하며 적을 무한히 관통하고 명중 시 작은 폭발을 일으킨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대재앙의 클레이모어)][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Catastrophe Claymore, 한=대재앙의 클레이모어, 사진=CatastropheClaymore.png, 과정=ⓗ, 색=red, 희소=medium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85, 시=22, 속=보통, 넉=6.25,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시야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힘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공포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밤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저주받은 불꽃, 문서=재료)]/[include(틀:t캡션, 이름=이코르, 문서=재료)]] (5) + [br][include(틀:t캡션, 이름=신성한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수정 파편, 문서=재료, h=16px)] (7)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공격 시 가루를 뿌리며 직선으로 나아가는 투명한 발사체를 방출하며, 색상에 따라 총 3가지가 있다. 분홍색은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 푸른색은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파일:Terraria/Frostburn.png|width=16px]]서릿불]] 디버프, 노란색은 [[테라리아/시스템#이코르|[[파일:Terraria/Ichor(Debuff).png|width=16px]]이코르]] 디버프를 적에게 건다. 달의 군주 격파 이후에 [[#유린|유린]]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유황 채찍)][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Brimlash, 한=유황 채찍, 사진=Brimlash.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64, 시=24, 속=빠름, 넉=6,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EssenceofChaos.png, 이름=혼돈의 정수, 문서=재료, h=16px)] (3) + [include(틀:c캡션, 사진=Unholy_Core.png, 이름=부정한 코어, 문서=재료, h=24px)] (4) + [br][include(틀:c캡션, 사진=AshesofCalamity.png, 이름=재앙의 잿더미, 문서=재료, h=24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적을 여러 번 관통 가능한 큰 불꽃을 방출한다. 이 불꽃은 5초간 [[../시스템#유황 불꽃|[[파일:Calamity/Brimstone_Flames.png|width=16px]]유황 불꽃]] 디버프를 입히고 땅에 닿거나 일정 거리 이상 나아가면 2개의 작은 유도성 불꽃으로 분해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야생가시 클레이모어)][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Feralthorn Claymore, 한=야생가시 클레이모어, 사진=FeralthornClaymore.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80, 시=12, 속=매우 빠름, 넉=7.2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PerennialBar.png, 이름=다년생 주괴,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적을 공격하면 아래에서 가시 기둥이 나와 아래에서 적을 공격하고 [[테라리아/시스템#맹독|[[파일:Terraria/Venom.png|width=16px]]맹독]] 디버프를 100% 확률로 5초간 건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냉혈한)][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Hellkite, 한=냉혈한, 사진=Hellkite.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80, 시=29, 속=보통,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불타는 대검, 문서=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PerennialBar.png, 이름=다년생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티타늄 검, 문서=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Nightmare_Fuel.gif, 이름=악몽 연료, 문서=재료, h=24px)] (12)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적 모루, 문서=건축, h=14px)][br](Get fixed boi 시드에서)}}} 공격 시 적에게 10초간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를 입히고 화명 간헐천을 소환하여 추가 피해를 준다. [[#테라토미어|테라토미어]]의 재료로 쓰인다. Get fixed boi 시드에서는 위와 같이 재료가 바뀐다. 즉, '''디오갓 이후로 티어가 바껴버린다'''.--덕분에 테라토미어 제작 시기가 늦춰진다-- 또한 무기 자체의 스펙도 크게 상승한다. * 공격력이 1669로 상승한다. * 넉백이 12로 증가한다. * 사용시간이 30에서 12로 빨라진다. * 무기 자체 사이즈가 150% 커진다. * 적 타격 시 울프럼 스크류드라이버의 소리가 난다. * 툴팁이 "My Beloved <3"으로 바뀐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심연의 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byss Blade, 한=심연의 검, 사진=AbyssBlade.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90, 시=25, 속=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DepthBlade.png, 이름=심해의 파쇄자, 문서=도구,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Voidstone.png, 이름=공허석, 문서=건축, h=24px)] (20) + [include(틀:c캡션, 사진=DepthCells.png, 이름=심연의 세포, 문서=재료, h=16px)] (20)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심해의 검|심해의 검]]의 강화 버전. 휘두를 때마다 푸른색 삼지창을 일직선으로 방출한다. 검이나 투사체에 피격당한 적은 100% 확률로 각각 5초, 3초간 [[../시스템#파괴심도|[[파일:Calamity/CrushDepth.png|width=16px]]파괴심도]] 디버프를 부여한다. 달의 군주 격파 이후 [[#넵튠의 하사품|넵튠의 하사품]]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만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Floodtide, 한=만조, 사진=Floodtide.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89, 시=22, 속=빠름, 넉=6,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상어 지느러미, 문서=재료)] (2) + [include(틀:c캡션, 사진=SeaRemains.png, 이름=바다 잔해, 문서=재료, h=16px)] (5) + [br][include(틀:c캡션, 사진=Depth_Cells.png, 이름=심연의 세포,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낚시)] 아무 데서나 ([[../보스#칼라미타스 클론|칼라미타스 클론]] 격파 이후) [br]([[테라리아/시스템#아가미|아가미 버프]]를 받은 상태에서)}}} 휘두를 때마다 [[테라리아/보스#피시론 공작|피시론 공작]]의 샤크네이도에서 나오는 상어가 날아간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바스러진 클리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Blighted Cleaver, 한=바스러진 클리버, 사진=Tyrant_Yharim's_Ultisword.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4, 시=25, 속=보통, 넉=5.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True_Caustic_Edge.png, 이름=진정한 부식성 칼날,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부서진 영웅의 검, 문서=재료,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맹독의 플라스크, 문서=소모품, h=24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녹조류 주괴, 문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제단, 문서=가구, h=16px)]}}} 휘두를 때마다 다른 무기에 비해 비교적 느리고 사거리가 짧은 반원형의 붉은 검기를 발사하지만, 대부분의 검기와는 달리 한자리에 비교적 오래 머물며 상당한 피해를 주는 게 특징. 검으로 적을 직접 타격 시 50%의 확률로 근접 공격력 30%, 근접 치명타 확률을 10% 상승시키는 [[../시스템#폭군의 격노|[[파일:Calamity/TyransFury.png|width=16px]]폭군의 격노]] 버프가 걸린다. 파격적인 효과만큼이나 지속 시간이 2초 정도로 매우 짧다. 또한 검 자체나 발사체는 적에게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테라리아/시스템#저주받은 불길|[[파일:Terraria/CursedInferno.png|width=16px]]저주받은 불길]], [[테라리아/시스템#맹독|[[파일:Terraria/Venom.png|width=16px]]맹독]] 디버프를 동시에 건다. 높은 단일 피해량과 유도 기능으로 인해 골렘전에서 가장 추천받는 무기. 달의 군주 격파 이후에 [[#더럽혀진 대검|더럽혀진 대검]]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혜성 쇄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Comet Quasher, 한=혜성 쇄도, 사진=CometQuasher.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90, 시=21, 속=빠름, 넉=7.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심령체, 문서=재료, h=24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운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25)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적이 죽은 자리에 기존의 운석 스태프 비슷하게 운석 3발이 떨어지며, 이 운석들은 각각 검의 공격력의 절반의 공격력을 가진다. 달의 군주 격파 이후 [[#스텔라 스트라이커|스텔라 스트라이커]]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무질서의 칼날)][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narchy Blade, 한=무질서의 칼날, 사진=AnarchyBlade.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50, 시=18, 속=매우 빠름, 넉=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부서진 영웅의 검, 문서=재료,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CoreofChaos.png, 이름=혼돈의 코어, 문서=재료, h=24px)] (3) + [br][include(틀:c캡션, 사진=Unholy_Core.png, 이름=부정한 코어, 문서=재료, h=24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적을 타격하면 붉은색의 입자가 남아 추가타를 1번 더 가하며, 피격된 적은 [[../시스템#유황 불꽃|[[파일:Calamity/Brimstone_Flames.png|width=16px]]유황 불꽃]] 디버프에 걸린다. 체력이 낮을수록 들어가는 피해량이 늘어나며, 체력이 50% 이하일 땐 20% 확률로 일반 적들을 즉사시킬 수도 있다. 스프라이트가 다시금 변경되었는데, 마치 아래의 더럽혀진 대검과 흡사하다. 칼날을 자세히 보면 야림의 심볼도 보인다. 극후반부에 만드는 엑소급 무기인 [[#엑소블레이드|엑소블레이드]]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녹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Greentide, 한=녹조, 사진=Greentide.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95, 시=23, 속=빠름, 넉=7, 강=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SirenandLeviathan(R).png, 이름=세이렌과 레비아탄, 문서=보스)] (25% / {{{#E80 33.33%}}})}}} 적을 타격할 때마다 하늘에서 이빨 여러 개가 마우스 커서가 가리키는 위치로 융단 폭격이 된다. 이빨은 적에게 [[테라리아/시스템#맹독|[[파일:Terraria/Venom.png|width=16px]]맹독]] 디버프를 유발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아스트랄 낫)][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stral Scythe, 한=아스트랄 낫, 사진=AstralScythe.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20, 시=19, 속=매우 빠름, 넉=6, 강=보통,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Mantis.png, 이름=맨티스, 문서=몬스터, h=24px)] (14.29%)[br]([[../보스#아스트럼 아우레우스|아스트럼 아우레우스]] 격파 이후)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c캡션, 사진=Astral_Crate.png, 이름=아스트랄 크레이트, 문서=소모품, h=24px)] (10%)[br]([[../보스#아스트럼 아우레우스|아스트럼 아우레우스]] 격파 이후)}}} 휘두를 때마다 반지 모양을 가진 회전형 발사체를 날린다. 발사체는 적을 최대 7회 관통할 수 있으며 적에게 8번째 부딪치거나 지형에 부딪치면 폭발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거인의 팔)][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itan Arm, 한=거인의 팔, 사진=TitanArm.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69, 시=11, 속=매우 빠름, 넉=80, 강=상식을 벗어남, 치=100)][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Atlas.png, 이름=아틀라스, 문서=몬스터, h=24px)] (14.29%)[br]([[../보스#아스트럼 아우레우스|아스트럼 아우레우스]] 격파 이후)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c캡션, 사진=Astral_Crate.png, 이름=아스트랄 크레이트, 문서=소모품, h=24px)] (10%)[br]([[../보스#아스트럼 아우레우스|아스트럼 아우레우스]] 격파 이후)}}} 기존의 [[테라리아/무기#귀싸대기 손|귀싸대기 손]]과 비슷한 기능을 가진 무기로, [[It's over 9000|9,001]]이라는 높은 넉백 수치와 100%라는 높은 치명타율을 가지고 있다. 저 괴랄한 넉백 수치는 서양권의 해당 밈을 패러디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패치로 80으로 줄어서 이러한 개그성은 사라졌다. 물론 수치만 저렇지 슈퍼아머나 넉백저항이 상당히 높은 적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적들은 맞으면 저 하늘로 날아가는 미친 넉백력은 여전하다. 과거에 존재했던 그랜드 대드[* [[#그랜드 가디언|그랜드 가디언]]의 챌린지 버전이었던 무기로, [[7 GRAND DAD]]의 오마쥬.]의 염가판이라 볼 수 있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이지스 블레이드)][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egis Blade, 한=이지스 블레이드, 사진=Aegis_Blade.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08, 시=14, 속=매우 빠름, 넉=4.25, 강=보통, 치=4, 마=4)][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골렘, 문서=보스, 파생=축소)] (10%)}}} 좌클릭으로 적을 적중시키면 피격당한 적에게 노란빛의 빛이 나면서 다단히트의 폭발 피해를 입힌다. 우클릭으로 휘두르면 화염구를 발사한다. 이 투사체는 벽이나 적에게 부딪히면 튕겨나면서 세 개의 파편으로 갈라진다.{{{-2 [[https://calamitymod.fandom.com/wiki/Aegis_Blade?so=search&file=Aegis_Blade_%2528demo%2529.gif|공격 사진]]}}}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절대 영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bsolute Zero, 한=절대 영도, 사진=Absolute_Zero.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20, 시=19, 속=매우 빠름, 넉=4, 강=약함, 치=4)][include(틀:t구입)] [include(틀:c캡션, 사진=Archmage.png, 이름=대마법사, 문서=NPC, h=24px)] (80 [[파일:Terraria/GoldCoin.png]])[br]([[테라리아/이벤트#프로스트 문|프로스트 문]]의 모든 미니보스 격파 이후)}}} 프로스트문 이벤트에서 미니보스를 모두 잡으면 대마법사가 판매한다. 휘두를 때마다 얼음 검기를 발사한다. 검기는 적이나 지형에 닿으면 폭발하며, 주변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검 자체는 적에게 [[테라리아/시스템#동상|[[파일:Terraria/Frostburn.png|width=16px]]동상]] 디버프와 [[../시스템#빙하 상태|[[파일:Calamity/Glacial_State.png|width=16px]]빙하 상태]] 디버프를 100% 확률로 각각 10초, 1.5초간, 검기는 100% 확률로 각각 8초, 1초간 건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지옥불 플랑베르주)][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Hellfire Flamberge, 한=지옥불 플랑베르주, 사진=HellfireFlamberge.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90, 시=19, 속=매우 빠름, 넉=7.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ScoriaBar.png, 이름=화산암 주괴, 문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휘두를 때마다 2개의 작은, 1개의 큰 발사체들을 날린다. 발사체는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천천히 멈추면서 사라진다. 검과 발사체 둘 다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를 입힌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영혼 수확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oul Harvester, 한=영혼 수확기, 사진=SoulHarvester.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85, 시=24, 속=느림, 넉=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죽음의 낫, 문서=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Plague_Cell_Canister.png, 이름=질병 세포 보관함, 문서=재료, h=24px)] (10) + [br][include(틀:t캡션, 이름=저주받은 불꽃, 문서=재료)] (20)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재료로 쓰인 [[테라리아/무기#죽음의 낫|죽음의 낫]]과 비슷하게, 짧은 거리를 회전하면서 나아가다가 멈춰서 체공하는 빛나는 화염 검기를 날리며, 지형과 여러 적을 관통할 수 있다. 피격당한 적에게 4초간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와 [[../시스템#역병|[[파일:Calamity/Plague2.png|width=16px]]역병]] 디버프를 건다. 또한, 체력이 낮은 적이 이 무기에 맞으면 그 자리에서 폭발하고 주위 적에게 역병 디버프를 전이시킨다. 무기 자체는 [[테라리아/시스템#저주받은 불길|[[파일:Terraria/CursedInferno.png|width=16px]]저주받은 불길]] 디버프를 2초동안 부여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독종)][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Virulence, 한=독종, 사진=Virulence.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96, 시=14, 속=매우 빠름, 넉=5.5, 강=보통,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ThePlaguebringerGoliath(R).png, 이름=질병전이체 골리앗, 문서=보스)] (25% / {{{#E80 33.33%}}})}}} 휘두를 시 검을 휘두르는 앞쪽에 넓은 녹색 구름을 짧게 분사한다. 이 구름은 지형, 적 관통이 가능하고 적에게 [[../시스템#역병|[[파일:Calamity/Plague2.png|width=16px]]역병]] 디버프를 4초간 건다. 달의 군주 이후엔 [[#역병 파수꾼|역병 파수꾼]]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고귀한 맹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Exalted Oathblade, 한=고귀한 맹검, 사진=TrueForbiddenOathblade.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50, 시=22, 속=빠름, 넉=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ForbiddenOathblade.png, 이름=금지된 맹검,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부서진 영웅의 검, 문서=재료, h=24px)] + [br][include(틀:c캡션, 사진=InfectedArmorPlating.png, 이름=감염된 갑옷 도금판, 문서=재료, h=24px)] (8) + [include(틀:c캡션, 사진=AshesofCalamity.png, 이름=재앙의 잿더미, 문서=재료, h=24px)] (8)[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금지된 맹검|금지된 맹검]]의 업그레이드 버전. 휘두를 때마다 적을 최대 2회 관통할 수 있는 자줏빛 발사체 3개를 방출한다. 이 발사체는 기존의 [[테라리아/무기#악마의 낫|악마의 낫]]의 발사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나아간다. 피격된 적은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와 [[테라리아/시스템#그림자불꽃|[[파일:Terraria/Shadowflame.png|width=16px]]그림자불꽃]] 디버프에 동시에 걸린다. 예전엔 칼라미타스 처치 이전에 획득할 수 있고 자리만 잘 잡으면 플랜테라를 42초안에 썰어버릴 수 있는 사기 무기였지만 패치로 너프되었다. 드레이돈 연구소가 추가 된 이후 또 다시 너프를 먹게되었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얼티머스 클리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Ultimus Cleaver, 한=얼티머스 클리버, 사진=UltimusCleaver.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30, 시=19, 속=매우 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Ravager(R).png, 이름=궤멸자, 문서=보스)] (25% / {{{#E80 33.33%}}})}}} 사용 시 중력의 영향을 받으며 유도성이 있는 투사체를 5갈래 발사한다. 직접 타격할 경우 폭발을 일으키며 적에게 {{{-2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를 10초간 가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염분성 남작)][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Briny Baron, 한=염분성 남작, 사진=BrinyBaron.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24, 시=14, 속=매우 빠름, 넉=4, 강=약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피시론 공작, 문서=보스, 파생=축소)] (10%)}}} || '''[[https://calamitymod.fandom.com/wiki/Briny_Baron?file=Briny_Baron_%2528demo%2529.gif|{{{-2 공격 모습 (사진)}}}]]''' || 좌클릭으로 휘둘러서 적을 적중시킬 시, [[테라리아/보스#피시론 공작|피시론 공작]]의 샤크네이도를 발생시켜 다단히트로 피해를 입힌다. 이 샤크네이도는 샤크론이 나오지 않으며, 피시론 공작의 샤크네이도보다 훨씬 빨리 사라진다. 우클릭으로 휘두를 시, 적을 최대 3회 타격할 수 있는 [[테라리아/무기#면도날 태풍|면도날 태풍]]의 투사체를 날린다. 이 투사체는 유도성이 있으며 살짝 느린 편이다. 두 투사체 모두 적의 무적 프레임을 자체적으로 리셋시키는 특징이 있어서 적에게 막대한 다단히트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대신 검 자체의 근접 공격 같은 관통 공격은 이런 다단히트 공격을 차단시킬 수 있으니 주의. 대미지는 동티어 무기랑 비교해 적당히 고만고만하나,우클릭의 유도 성능 덕에 쓰기도 편하고 실질 딜량도 높다.이제 남은 적이 여제,골리앗,궤멸자,그리고 데우스,문로드가 있는데 데우스와 문로드는 파편 무기 등등이 더 좋으니 잘 쓰이진 않는다만[* 다만 딜량이 그렇게 큰 차이도 아닌지라 그냥 호불호의 영역이다.] 나머지 적들에게는 아주 강력하다.여제와 골리앗은 정신없이 날아다니니 유도 성능이 빛을 발하고 궤멸자 전투에서는 2페이즈 공략 용으로 쓸만하다. 패치로 검의 크기가 매우 커졌다. 2.0.2.1 이후 상당히 너프를 먹었다. 검의 크기가 작아지고, 공격속도도 대폭 감소했으며, 우클릭 투사체의 공격력도 줄었다. 과거에는 공속도 나름 되는 편이고 검의 크기 자체도 매우 큰 데다 소용돌이 특유의 다단히트까지 있어서 아드키고 데우스의 몸통에 갈기면 데우스가 '''순살'''당할 정도였으나 현재는 크기도 작아져서 맞추기도 힘들고, 대 문로드 전에서 쓸만하던 우클릭 투사체도 많이 약해져 대 문로드 호밍무기의 위치는 엔트로픽에게 완전히 넘겨줘야 할 듯 하다.[* 패치 전에도 엔트로픽이 미세하게 더 강했지만 유도 성능이 엔트로픽과 비교해도 워낙 뛰어나 염분성 남작을 선호하는 경우도 제법 많았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엔트로픽 클레이모어)][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Entropic Claymore, 한=엔트로픽 클레이모어, 사진=EntropicClaymore.png, 과정=ⓗ, 색=red, 희소=cyan,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90, 시=25, 속=빠름, 넉=5.2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MeldConstruct.png, 이름=멜드 구조물, 문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휘두를 때마다 유도가 되는 플라즈마 공 4~5개를 방출한다. 이 불꽃은 적과 지형을 통과할 수 없다. 염분성 남작이 너프를 먹어 대 문로드 무장으로 쓰이는 무기 중 하나. [[#테라토미어|테라토미어]]의 재료로 쓰이는 검들 중 하나였으나 지금은 빠졌다. 이름이 제록 대검에서 위의 이름으로 바뀐건 덤. 크기도 엄청 커졌다. 오히려 현재는 [[#엑소블레이드|엑소블레이드]]의 재료로 들어가게 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스톰 룰러)][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torm Ruler, 한=스톰 룰러, 사진=Storm_Ruler.png, 과정=ⓗ, 색=red, 희소=red,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80, 시=24, 속=빠름, 넉=6.25,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Storm_Saber.png, 이름=스톰 세이버,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WindBlade.png, 이름=바람의 칼날,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소용돌이의 파편, 문서=재료, h=16px)] (6)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 '''폭풍만이 거목을 쓰러뜨릴 수 있다''' 휘두를 때마다 발사체를 날리는데, 이 발사체가 적이나 지형에 부딪히면 몇 초 뒤 그 자리에 지속적인 피해를 가하며 적을 빨아들이는 토네이도를 생성한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Storm_Ruler_(demo).gif|{{{-2 (공격 사진)}}}]] 무기명과 툴팁은 [[다크 소울 3]]의 레퍼런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악의의 수확자)][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Baleful Harvester, 한=악의의 수확자, 사진=BalefulHarvester.png, 과정=ⓗ, 색=red, 희소=red,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90, 시=21, 속=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기수의 검, 문서=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소성단의 파편, 문서=블록,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적 타격시 화면 너머에서 유도성이 있고 지형 관통이 되는 주황색의 불타는 두개골 또는 불타는 호박이 소환된다. 투사체의 데미지는 무기 공격력의 1.5배이며, 그중 두개골은 적과 닿으면 2개의 빠른 유도성 불꽃으로 분해되며, 방향과 속도가 제각기 다르다. 유도성 불꽃은 무기 데미지의 절반이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Baleful_Harvester_(demo).gif|{{{-2 공격 사진}}}]] 피격된 적은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에 걸린다. 달의 군주 이후에 [[#최후의 탄식|최후의 탄식]]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아스트랄 블레이드)][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stral Blade, 한=아스트랄 블레이드, 사진=AstralBlade.png, 과정=ⓗ, 색=red, 희소=cya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85, 시=8, 속=미친 듯이 빠름, 넉=4, 강=약함, 치=29)][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AstralBar.png, 이름=아스트랄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별다른 투사체는 나가지 않는다. 아스트랄 계열이니만큼 기본 치명타율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 피격된 적은 [[../시스템#아스트랄 전염|[[파일:Calamity/AstralInfection(Debuff).png|width=16px]]아스트랄 전염]] 디버프를 2초동안 부여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그랜드 가디언)][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Grand Guardian, 한=그랜드 가디언, 사진=Grand_Guardian.png, 과정=ⓗ, 색=red, 희소=red,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50, 시=21, 속=빠름, 넉=8.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Majestic_Guard.png, 이름=장엄한 수호,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성운의 파편, 문서=재료, h=24px)] (6) + [br][include(틀:c캡션, 사진=BurntSienna.png, 이름=번트 시에나,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장엄한 수호|장엄한 수호]]의 업그레이드 버전. 투사체는 없지만 공격 범위가 크고, 다음 효과가 있다. * 적을 직접 타격 시 광역 폭발을 일으킨다. 이 폭발은 [[테라리아/무기#인페로느 포크|인페로느 포크]]와 유사하다. * 적을 직접 타격 시 대상의 방어력을 1 감소시킨다. * 체력이 50% 이하인 적 타격 시 무지개 볼트를 방출한다. * 방어력이 0이거나 음수인 적을 공격하면 플레이어의 체력이 회복된다. * 적은 죽을 때 플레이어의 체력을 회복시켜 주는 구체를 남긴다. 개발자 무기인 [[#대지|대지]]의 재료로 쓰인다. ===== 달의 군주 이후 ===== || [[파일:T/PostMoonLord.png]] {{{#white {{{+1 '''달의 군주 이후'''}}}}}} [[파일:T/PostMoonLord.png]]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심판의 대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Greatsword of Judgement, 한=심판의 대검, 사진=GreatswordofJudgement.png, 과정=ⓟ, 색=purple, 희소=red,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48, 시=17, 속=매우 빠름, 넉=7,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7)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 '''기억에서 사라진 땅에서 온 창백하게 바랜 검.''' > '''검날에 귀를 기울이면 희미하지만 편안한 속삭임을 들을 수 있다.''' > ''''어디에 있건 간에 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닙니다. 저는 언제나 당신 곁에 있겠습니다, 나의 주군이시어.'''' 휘두를 때마다 작은 하얀색의 유도성 발사체를 발사한다. 이 발사체는 적이나 지형에 닿거나 발사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고 그 자리에서 수십 발의 유도성 관통 발사체가 우수수 쏟아져 나온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Greatsword_of_Judgement_(demo).gif|{{{-2 (공격 사진)}}}]] [[#블라의 대검|블라의 대검]]의 재료로 쓰인다. 이름은 [[다크 소울 3]]에 나오는 동명의 무기의 레퍼런스로 보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스텔라 스트라이커)][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tellar Striker, 한=스텔라 스트라이커, 사진=StellarStriker.png, 과정=ⓟ, 색=purple, 희소=red,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480, 시=24, 속=빠름, 넉=7.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CometQuasher.png, 이름=혜성 쇄도,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5) [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혜성 쇄도|혜성 쇄도]]의 업그레이드 버전. 당장 휘두를 땐 특별한 건 없어보이나, 적을 검으로 직접 타격 시 마우스 커서를 지정한 곳으로 [[테라리아/무기#루나 플레어|루나 플레어]]와 비슷한 투사체 2개가 하늘에서 쏟아진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Stellar_Striker_(demo).gif|{{{-2 (공격 사진)}}}]] DPS가 해당 시점의 다른 무기들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강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냐면, 칼라미티 문 로드 심장의 체력이 50% 이하로 떨어졌을 때 나오는 눈알 소환 패턴을, 해당 패턴이 발동되기도 전에 심장을 쳐부숴서(...) 무시해버릴 수도 있다!], 짧은 사정거리만 극복할 수 있다면 상당히 오래 쓸 수 있다. 당장 재료들도 문 로드를 한 번만 잡아도 바로 만들 수 있는 수준.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역병 파수꾼)][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Plague Keeper, 한=역병 파수꾼, 사진=PlagueKeeper.png, 과정=ⓟ, 색=purple, 희소=red,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80, 시=19, 속=매우 빠름, 넉=6,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양봉가,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Virulence.png, 이름=독종, 문서=근접 무기, h=24px)][br]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재료로 쓰인 독종과 양봉가의 성능을 모두 가진 무기. 휘두를 시 앞쪽으로 넓은 녹색 분진을 짧게 분사하고, 분진이 사라진 자리에 검의 공격력의 1/3의 공격력을 가진 20마리 이상의 벌로 이루어진 벌 떼가 소환되어 적에게 날아간다. 분진은 지형, 적 관통이 가능하고 적에게 [[../시스템#역병|[[파일:Calamity/Plague2.png|width=16px]]역병]] 디버프를 3초간 건다. 특성상 벌의 양이 너무 많아 극심한 렉을 유발할수 있으니 주의하자. 검 자체가 적에게 명중 시엔 더 많은 벌 떼가 소환되고, 대상 적은 [[../시스템#역병|[[파일:Calamity/Plague2.png|width=16px]]역병]] 디버프에 5초간 걸린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유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Devastation, 한=유린, 사진=Devastation.png, 과정=ⓟ, 색=purple, 희소=red,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32, 시=23, 속=빠름, 넉=4.2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CatastropheClaymore.png, 이름=대재앙의 클레이모어,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5) + [br][include(틀:c캡션, 사진=AstralBar.png, 이름=아스트랄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운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휘두를 때마다 점선 잔상을 남기면서 나아가는 빔을 하나 발사하고, 마우스 커서가 위치한 곳에 동일한 빔 여러 개가 융단 폭격이 된다. 빔 발사체는 총 3가지의 색상이 있으며, 분홍색은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파란색은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파일:Terraria/Frostburn.png|width=16px]]서릿불]], 노란색은 [[테라리아/시스템#이코르|[[파일:Terraria/Ichor(Debuff).png|width=16px]]이코르]] 디버프를 10초간 유발한다. 검 자체는 대상에게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파일:Terraria/Frostburn.png|width=16px]]서릿불]], [[테라리아/시스템#이코르|[[파일:Terraria/Ichor(Debuff).png|width=16px]]이코르]] 디버프를 각각 10초, 5초, 2초간 유발한다. [[#악마의 유린|악마의 유린]]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솔스티스 클레이모어)][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olstice Claymore, 한=솔스티스 클레이모어, 사진=SolsticeClaymore.png, 과정=ⓟ, 색=purple, 희소=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300, 시=15, 속=매우 빠름, 넉=6.5,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빔 소드,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Galactica_Singularity.gif, 이름=은하의 특이점,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AstralBar.png, 이름=아스트랄 주괴, 문서=재료, h=16px)] (20)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시간에 따라 다른 색상에 다른 디버프를 가진 검기를 휘두를 때마다 발사한다. 낮일 때는 적에게 [[테라리아/시스템#여명맞이|[[파일:Terraria/Daybroken.png|width=16px]]여명맞이]] 디버프를 가하고, 밤일 때에는 적에게 [[../시스템#나이트위더|[[파일:Calamity/Nightwither.png|width=16px]]나이트위더]] 디버프를 가하고 초당 100의 체력을 깎는다. 단일대상 딜량이 좋아 프로비던스 전에서 추천밭는 무기.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소드플로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wordsplosion, 한=소드플로전, 사진=Swordsplosion(1).png, 과정=ⓟ, 색=purple, 희소=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48, 시=29, 속=보통, 넉=7, 강=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Bumblebirb.png, 이름=어리석은 용, 문서=보스, h=24px)] (10%)}}} [[#원소의 방주|원소의 방주]]의 챌린저 무기. 원본의 것과 비슷한 검기 수십개를 하늘에서 떨어트린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신성 가속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Holy Collider, 한=신성 가속기, 사진=HolyCollider.png, 과정=ⓟ, 색=purple,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70, 시=21, 속=빠름, 넉=7.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Providence(R).png, 이름=프로비던스, 문서=보스)] (25% / {{{#E80 33.33%}}})}}} 적을 처치 시 처치한 부분을 기점으로 불꽃 8개가 원형으로 퍼져나가며, 이 불꽃은 적이나 지형 관통이 불가능하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갤럭투스 블레이드)][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Galactus Blade, 한=갤럭투스 블레이드, 사진=GalactusBlade.png, 과정=ⓟ, 색=purple,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84, 시=16, 속=매우 빠름, 넉=6,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빛의 조각, 문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어둠의 조각, 문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별의 진노, 문서=무기, h=24px)] + [br][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Galactica_Singularity.gif, 이름=은하의 특이점, 문서=재료, h=24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Divine_Geode.png, 이름=신의 정동, 문서=재료, h=24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별의 진노의 강화판으로, 휘두를 때마다 지형 관통은 되지만 적 관통은 되지 않고, 스플래시 대미지가 존재하는 무지개색 별똥별을 떨어뜨린다. 피격 대상은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와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파일:Terraria/Frostburn.png|width=16px]]서릿불]] 디버프에 동시에 걸린다. 본래 신의 정동 대신 심령체가 들어가 달의 군주 처치 직후에도 제작 가능했지만 패치 후 프로비던스 이후로 바뀌었다. 개발자 무기인 [[#대지|대지]]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영혼사냥 낫)][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Lifehunt Scythe, 한=영혼사냥 낫, 사진=LifehuntScythe.png, 과정=ⓟ, 색=purple,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56, 시=17, 속=매우 빠름, 넉=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UelibloomBar.png, 이름=유리블룸 주괴, 문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휘두를 때마다 매우 짧은 거리를 나아가는 발사체를 방출한다. 적을 공격할 때마다 체력을 5씩 회복한다. 다크 소울 시리즈에서 동명을 가진 무기가 있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더럽혀진 대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Defiled Greatsword, 한=더럽혀진 대검, 사진=True_Tyrant's_Ultisword.png, 과정=ⓟ, 색=purple,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12, 시=17, 속=매우 빠름, 넉=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Tyrant_Yharim's_Ultisword.png, 이름=바스러진 클리버,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CoreofCalamity.png, 이름=재앙의 코어, 문서=재료, h=24px)] + [br][include(틀:c캡션, 사진=UelibloomBar.png, 이름=유리블룸 주괴, 문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제단, 문서=가구, h=16px)]}}} [[#바스러진 클리버|바스러진 클리버]]의 업그레이드 버전. 휘두를 때마다 다음 세 가지 발사체 중 하나를 무작위로 발사한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True_Tyrant%27s_Ultisword_(demo).gif|{{{-2 (공격 사진)}}}]] ||
<-2> '''{{{#fff {{{-2 이름}}}}}}''' || '''{{{#fff {{{-2 효과}}}}}}''' || || [[파일:Calamity/BlazingPhantomBlade.png]] || {{{-2 블레이징 팬텀 블레이드}}}[br]{{{-3 (Blazing Phantom Blade)}}} ||{{{-2 약간의 유도력이 있고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테라리아/시스템#맹독|[[파일:Terraria/Venom.png|width=16px]]맹독]] 디버프를 2초간 부여한다.}}}|| || [[파일:Calamity/HyperBlade.png]] || {{{-2 하이퍼 블레이드}}}[br]{{{-3 (Hyper Blade)}}} ||{{{-2 유도력이 매우 강하고 피격된 적에게 [[테라리아/시스템#맹독|[[파일:Terraria/Venom.png|width=16px]]맹독]], [[테라리아/시스템#저주받은 불길|[[파일:Terraria/CursedInferno.png|width=16px]]저주받은 불길]] 디버프를 2초간 가하며 공격을 가하는 속도가 일반보다 빠르다.}}}|| || [[파일:Calamity/Sunlight_Blade.png]] || {{{-2 선라이트 블레이드}}}[br]{{{-3 (Sunlight Blade)}}} ||{{{-2 유도력은 없으며 피격된 적에게 [[../시스템#신성한 불꽃|[[파일:Calamity/Holy_Flames.png|width=16px]]신성한 불꽃]] 디버프를 5초간 가하며, 공격을 가하는 속도가 일반보다 더 빠르다.}}}|| 모든 발사체는 지형을 관통하고 적을 최대 5회 타격할 수 있으며, 관통 능력은 공격 속도에 따라 투사체마다 차이가 약간씩 있다. 유도성 발사체의 경우 지형으로 막힌 곳에 있는 적에겐 유도력이 없으며, 유도 대상이 없으면 [[테라리아/무기#죽음의 낫|죽음의 낫]]처럼 속도가 점점 느려지다가 정지한다. 검 자체로 적을 타격하면 50%의 확률로 근접 공격력 30%, 근접 치명타 확률을 10% 상승시키는 [[../시스템#폭군의 격노|[[파일:Calamity/TyransFury.png|width=16px]]폭군의 격노]] 버프가 걸린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테라토미어)][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erratomere, 한=테라토미어, 사진=Terratomere(1).png, 과정= ⓟ, 색=purple,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303, 시=20, 속=매우 빠름, 넉=7,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테라 블레이드, 문서=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Floodtide.png, 이름=만조,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Hellkite.png, 이름=냉혈한,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UelibloomBar.png, 이름=유리블룸 주괴, 문서=재료, h=16px)] (7)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바닐라에서 온갖 검과 재료를 들여 복잡한 제작법을 가진 [[테라리아/무기#테라 블레이드|테라 블레이드]]와 비슷하게 상당히 많은 재료를 요구한다. 그에 걸맞게 다음과 같은 상당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 달의 군주를 상대하기 매우 좋'았'다. 하지만 패치 이후로 아스트랄 주괴가 아니라 '''유리블룸 주괴'''로 바뀌어 버려서 티어가 무려 '''프로비던스 이후가 되어버렸다''' . 때문에 기존에 테라토미어로 문로드 잡던 유저들은 이제 비슷하지만 하위 아이템인 엔트로픽 클레이모어를 쓰거나 듀크 피시론을 잡아서 염분성 남작을 사용해야된다[[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Terratomere_(demo).gif|{{{-2 (공격 사진)}}}]] 2.0.2.1에 리워크되었는데, 투사체의 유도 성능이 사라지고, 부딪히면 화려한 이펙트의 폭발을 일으킨다. 아무리도 1.4.4버전에 리워크된 테라 블레이드를 의식한 느낌. 다만 성능에 대해서는 아쉽다는 의견이 많다. 극후반부에 만드는 엑소급 무기인 [[#엑소블레이드|엑소블레이드]]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뮤틸레이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he Mutilator, 한=뮤틸레이터, 사진=TheMutilator.png, 과정=ⓟ, 색=purple,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483, 시=17, 속=매우 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BloodstoneCore.png, 이름=혈석 코어, 문서=재료, h=24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별다른 투사체는 소환하지 않지만, 체력이 20% 미만인 적들을 타격하면 체력을 20씩 회복하는 하트가 나온다. 동 티어의 무기에 비해 상당히 높은 공격력을 가지고 있는데, 일반 기준으로 [[../보스#신들의 포식자|신들의 포식자]] 2페이즈를 말뚝딜로 깰 수 있을 정도였지만 패치되어 불가능해졌다. 그래도 잡몹 노가다할 때는 부가효과 덕에 체력 관리를 용이하게 해 주는 편.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거울의 칼날)][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Mirror Blade, 한=거울의 칼날, 사진=MirrorBlade.png, 희소=turquoise, 자동=↻, 과정=ⓟ, 색=purple, 유형=근접 무기, 공=180, 치=4, 시=11, 속=매우 빠름, 넉=7, 강=매우 강함, 마=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CeaselessVoid(R).png, 이름=끝없는 공허, 문서=보스)] (25% / {{{#E80 33.33%}}})}}} 공격 시 투사체 하나를 빠른 속도로 날린다. 또한, 기본 대미지는 낮지만 이 칼로 적을 '''직접 타격할 경우''' 그 적의 대미지를 칼의 대미지에 더한다. 이를테면 [[../보스#신들의 포식자|신들의 포식자]]를 이 칼로 때리면 DoG의 돌진 대미지인 500이 칼에 더해져 기본 공격력이 236 + 500 = 736이 된다. 최대 상승폭은 750. 부가 옵션은 괜찮지만 적을 한 번이라도 직접 타격해야 한다는 조건과, 마나를 쓴다는 무시할 수 없는 단점 때문에 자주 쓰이지는 않는 무기. 주력으로 쓰기엔 애매하지만 보조 무장 정도로 운용하면 [[../몬스터#방사선 슬라임|방사선 슬라임]]이나 [[../보스#신들의 포식자|신들의 포식자]]처럼 높은 접촉 대미지를 가진 적에게는 쓸 만하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공포의 칼날)][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error Blade, 한=공포의 칼날, 사진=TerrorBlade.png, 과정=ⓟ, 색=purple, 희소=lime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500, 시=17, 속=매우 빠름, 넉=8.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Polterghast(R).png, 이름=폴터가스트, 문서=보스)] (25% / {{{#E80 33.33%}}})}}} 휘두를 시 [[../보스#폴터가스트|폴터가스트]]가 투사하는 붉은색의 유령 탄막을 투척한다. 이 발사체는 최대 6회까지 적을 관통하거나 지형에 튕길 수 있으며, 7번째로 접촉 시 그 자리에서 폭발한다. 또한, 지형에 튕길 때마다 넓은 범위에 걸쳐 다단히트를 가하는 폭발을 일으킨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Terror_Blade_(demo).gif|{{{-2 (공격 사진)}}}]] 무기의 성능도 애매하지만, 폴터가스트 처치 이후라면 심연에서 대놓고 상위호환급의 무기인 [[#소울 엣지|소울 엣지]]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버려진다. 하지만 잘 맟출 수 있다면 특유의 관통성능과 높은 기본딜이 합쳐져 신들의 포식자에게 엄청난 딜을 넣을 수 있어 이 쪽을 더 선호하기도 한다. 심지어 똑같은 다관절 보스인 타나토스에게도 높은 기본딜과 관통 때문에 용의 격노나 드래곤 파우 정도를 제외한 오릭급 티어 무기를 뛰어넘는다. 현 시점에서는 오히려 소울 엣지보다 높이 평가받는다. 하지만 지나치게 날뛴 탓에 2.0.2.1 버전에서 떡너프를 먹었다. 공격력이 500으로 줄고, 관통력이 3체 관통이 되어버려 이전보다 훨씬 약해져버렸다. 그래도 여전히 디오갓에게 들어가는 데미지는 워리어 무기 중에서 상위권 수준.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라이온 하트)][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Lion Heart, 한=라이온 하트, 사진=LionHeart.png, 과정=ⓟ, 색=purple, 희소=lime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23, 시=14, 속=매우 빠름, 넉=5.5, 강=보통, 치=4)][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사이보그, 문서=NPC, h=24px)] (1[[파일:Terraria/PlatinumCoin.png]] 40 [[파일:Terraria/GoldCoin.png]]) ([[../보스#폴터가스트|폴터가스트]] 처치 이후)}}} 순수 근접 무기로, 시용 시 적에게 다단히트 피해를 입히는 폭발을 일으키며 반드시 [[테라리아/시스템#전격|[[파일:Terraria/Electrified.png|width=16px]]전격]] 디버프를 가하고, 우클릭 시 플레이어 주위에 모든 피해를 반으로 줄이는 전기장을 형성한다. 해당 전기장은 5초동안 지속되며, 45초의 쿨타임이 존재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소울 엣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oul Edge, 한=소울 엣지, 사진=SoulEdge.png, 과정=ⓟ, 색=purple, 희소=lime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74, 시=22, 속=빠름, 넉=5.5, 강=보통,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EidolonWyrm(Adult)(R).png, 이름=유령 고룡 (성체), 문서=보스)] (100%)[br][include(틀:c캡션, 사진=EidolonWyrm(Juvenile)(R).png, 이름=유령 고룡 (유체), 문서=몬스터)] (33.33%) ([[../보스#폴터가스트|폴터가스트]] 격파 이후)}}} > '''오래 전에 죽어버린 심연 거주자들의 창백한 영혼들을 투사합니다''' [[../지형#심연|심연]]에서 [[테라리아/도구#불화의 지팡이|불화의 지팡이]]를 사용 시 시기 상관없이 나타나거나 [[../보스#폴터가스트|폴터가스트]] 처치 이후 자연 스폰되기 시작하는 [[../몬스터#유령 고룡 (성체)|성체 유령 고룡]]이나 폴터가스트 처치 이후 심연의 3/4층에서 낮은 확률로 나타나는 [[../몬스터#유령 고룡 (유체)|어린 유령 고룡]]을 처치 시 드롭한다. 휘두를 때마다 적에게 유도되고 [[../시스템#파괴심도|[[파일:Calamity/CrushDepth.png|width=16px]]파괴심도]] 디버프를 가하는 [[../몬스터#환영 정령|환영 정령]] 2-3개체를 불러낸다[* 블러드플레어 레인저 아머의 세트효과로 나오는 영혼과 동일한 개채이다.]. 주위에 유도 대상이 없다면 [[#엑소블레이드|엑소블레이드]]처럼 유도 대상이 나타날 때까지 허공에서 머무른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Soul_Edge_(demo).gif|{{{-2 (공격 사진)}}}]] 지형 관통은 못하며, 날아가는 속도도 의외로 그리 빠르지는 않지만 해당 시점에서 이만큼 우수한 무기는 없기 때문에[* 무엇보다 투사체가 한동안 머무르다가 유도 대상한테 몰려든다는 점이 이 무기를 강하게 만든다. 잔류 투사체들이 폭딜을 넣어주기 때문.] 대 [[../보스#신들의 포식자|신들의 포식자]] 주 무장으로 사용되는 무기. 다만 현 시점에서는 공포의 칼날이나 죽음의 승천에게 다소 밀리는 감이 있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최후의 비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he Last Mourning, 한=최후의 비탄, 사진=TheLastMourning.png, 과정=ⓟ, 색=purple, 희소=lime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60, 시=19, 속=매우 빠름, 넉=8.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BalefulHarvester.png, 이름=악의의 수확자,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Ruinous_Soul.gif, 이름=파멸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3) + [include(틀:c캡션, 사진=ReaperTooth.png, 이름=사신 이빨, 문서=재료, h=24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밤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30)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적을 타격 시 해골 및 호박 발사체가 오프스크린 영역의 전방향에서 생성되어 적을 향해 유도된다. 해골 발사체는 적에게 명중 시 2개의 화염구로 분해된다. 세 발사체 모두 적에게 [[테라리아/시스템#여명맞이!|[[파일:Terraria/Daybroken.png|width=16px]]여명맞이]] 디버프를 10초간 유발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넵튠의 하사품)][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Neptune's Bounty, 한=넵튠의 하사품, 사진=Neptune'sBounty.png, 과정=ⓟ, 색=purple, 희소=lime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51, 시=21, 속=빠름, 넉=9,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AbyssBlade.png, 이름=심연의 검,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ReaperTooth.png, 이름=사신 이빨, 문서=재료, h=24px)] (6) + [include(틀:c캡션, 사진=Ruinous_Soul.gif, 이름=재앙의 영혼, 문서=재료, h=24px)] (5)[br]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심연의 검|심연의 검]]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심해의 검|심해의 검]]의 최종 단계. 휘두를 때마다 일직선을 그리며 나아가는 무한관통 삼지창을 발사하며, 이 삼지창은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으로 떨어지는 물방울을 내린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Neptune%27s_Bounty_(demo).gif|{{{-2 (공격 사진)}}}]] 적 타격 시 [[../시스템#파괴심도|[[파일:Calamity/CrushDepth.png|width=16px]]파괴심도]] 디버프를 근접은 10초간, 발사체는 5초간 건다. 본래 디오갓 이후의 티어 무기였지만 패치로 현재 티어로 바뀌었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고귀했던 존재)][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Excelsus, 한=고귀했던 존재, 사진=Excelsus.png, 과정=ⓟ, 색=purple, 희소=dark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281, 시=14, 속=매우 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TheDevourerofGods(R).png, 이름=신들의 포식자, 문서=보스)] (25% / {{{#E80 33.33%}}})}}} 휘두를 때마다 적을 2회 관통하는 2~3개의 검기를 발사하며, 검으로 적을 직접 타격 시 그 자리에 레이저 여러 개가 빗발친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Excelsus_(demo).gif|{{{-2 (공격 사진)}}}]] 마법 무기이자 개발자 무기인 [[../마법 무기#신격화|신격화]]의 재료로 쓰인다. 무기명은 [[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에 나오는 거대 로봇 보스 [[메탈기어 엑셀서스]]의 레퍼런스라고 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집행자)][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he Enforcer, 한=집행자, 사진=TheEnforcer.png, 과정=ⓟ, 색=purple, 희소=dark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890, 시=16, 속=매우 빠름, 넉=9,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liteBar.gif, 이름=코스밀라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휘두르면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블레이드 에센스(Blade Essence)라는 이름의 발사체를 방출한다. 적을 타격하면 플레이어 주위에 보라색의 불꽃이 생성되어 근처의 적에게 추가타를 가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정수 약탈꾼)][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Essence Flayer, 한=정수 약탈꾼, 사진=EssenceFlayer.png, 과정=ⓟ, 색=purple, 희소=dark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80, 시=18, 속=매우 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liteBar.gif, 이름=코스밀라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휘두르면 중간 정도의 사거리를 가졌으며 약한 유도성을 가진 낫 모양의 검기를 투사한다. 이 검기는 지형을 관통할 수 있고, 적과 접촉 시 다단히트 피해를 입힌다. 이 무기를 가지고 적 처치 시 체력을 8 회복시키는 치유 불꽃을 생성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악마의 유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Devil's Devastation, 한=악마의 유린, 사진=Devil'sDevastation.png, 과정=ⓟ, 색=purple, 희소=dark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66, 시=19, 속=매우 빠름, 넉=6.75,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Devastation.png, 이름=유린,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TrueForbiddenOathblade.png, 이름=진정한 금지된 맹검, 문서=근접 무기, h=24px)] [br]+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liteBar.gif, 이름=코스밀라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c캡션, 사진=Nightmare_Fuel.png, 이름=악몽 연료, 문서=재료, h=24px)] (20)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휘두를 때마다 보라색 반원 모양의 낫 발사체 3개를 퍼지는 꼴로 방출하고, 마우스 커서가 위치한 곳에 동일한 갈퀴 여러 개가 융단 폭격이 된다. 또한 적에게 여러 디버프를 가한다. * 검 자체는 대상에게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를 5초간, [[테라리아/시스템#그림자불꽃|[[파일:Terraria/Shadowflame.png|width=16px]]그림자불꽃]] 디버프를 2.5초간 유발한다. * 폭발은 대상에게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를 15초간, [[테라리아/시스템#그림자불꽃|[[파일:Terraria/Shadowflame.png|width=16px]]그림자불꽃]] 디버프를 7초간 유발한다. * 낫 발사체와 갈퀴 발사체는 대상에게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디버프를 3초간, [[테라리아/시스템#그림자불꽃|[[파일:Terraria/Shadowflame.png|width=16px]]그림자불꽃]] 디버프를 1.5초간 유발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질서인도자)][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Orderbringer, 한=질서인도자, 사진=GreatswordofBlah.png, 과정=ⓟ, 색=purple, 희소=dark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38, 시=17, 속=매우 빠름, 넉=7,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GreatswordofJudgement.png, 이름=심판의 대검, 문서=근접 무기, h=24px)]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liteBar.gif, 이름=코스밀라이트 주괴, 문서=재료, h=24px)] (8)[br] + [include(틀:c캡션, 사진=Endothermic_Energy.png, 이름=흡열성 에너지, 문서=재료, h=24px)] (20)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 '''기억에서 사라진 땅에서 온 창백하게 바랜 검.''' > '''검날에 귀를 기울이면 희미하지만 편안한 속삭임을 들을 수 있다.''' > ''''어디에 있건 간에 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닙니다. 저는 언제나 당신 곁에 있겠습니다, 나의 주군이시어.'''' [[#심판의 대검|심판의 대검]]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공격 방식은 심판의 대검과 거의 동일하다. 휘두를 때마다 유도성 무지개 검을 발사한다. 1/10초마다 2개의 무지개 구슬이 검의 양쪽에서 발사되어 적에게 맞거나 1초 뒤에 사라진다. 2초 뒤에 발사체가 적에게 맞거나 사라지면 20초동안 1/10초마다 수십 발의 유도성 무지개 관통 발사체가 25초 동안 우수수 쏟아져 나온다. 궤적 투사체 때문에 더미에다 대고 공격하면 딜이 거의 안 나오는데 반해 돌진형 보스인 야론을 공격할 때에는 딜량이 좋아서 대개 야론전에서 추천받는다. 포팅 이전의 이름인 블라의 대검(Greatsword of Blah)이라는 이름은 테라리아 초창기에 인기 있었던 모드인 아발론 모드의 제작자인 Blahblahbal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엔드게임 무기 중 하나인 [[#무지갯빛 엑스칼리버|무지갯빛 엑스칼리버]]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선명한 파괴자)][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Prismatic Breaker, 한=선명한 파괴자, 사진=PrismaticBreaker.png, 과정=ⓟ, 색=purple, 희소=darkblue, 자동=↻, 유형=근접/원거리 무기, 공=699, 시=13, 속=매우 빠름, 넉=7, 강=강함, 치=12)][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SolsticeClaymore.png, 이름=솔스티스 클레이모어,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 Rainbow.png, 이름=전우주의 무지개, 문서=마법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BarofLife.png, 이름=생명 합금괴, 문서=재료, h=16px)] (3)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liteBar.gif, 이름=코스밀라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br][include(틀:c캡션, 사진=Endothermic_Energy.png, 이름=흡열성 에너지, 문서=재료, h=24px)] (20)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Calamity의 무기 내에서도 손꼽을 정도로 특이한 공격방식을 지니는 무기인데, 무려 근접과 원거리의 스텟 상승 효과를 동시에 지니는 무기라는 점이다. 즉 워리어가 사용해도 되고 레인저가 사용해도 된다는 말. 2가지 공격방식이 존재하는데, 우선 좌클릭 공격은 검을 들고 있으면서 기를 모으다가 1.67초정도 충전 뒤 라스트 프리즘 또는 충전형 우주 대포와 비슷한 무한관통 레이저가 나간다. 블록을 통과하지 못하는 것도 라스트 프리즘과 비슷하다. 우클릭 공격은 검을 휘두르면서 적을 최대 2마리까지 관통하는 검기를 발사한다. 검으로 타격 시 아래의 디버프를 5초간, 이외의 방식으로 타격 시 2.5초간 가한다. * [[../시스템#나이트위더|[[파일:Calamity/Nightwither.png|width=16px]]나이트위더]] * [[테라리아/시스템#여명맞이|[[파일:Terraria/Daybroken.png|width=16px]]여명맞이]]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아타락시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taraxia, 한=아타락시아, 사진=Ataraxia.png, 과정=ⓟ, 색=purple,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432, 시=18, 속=매우 빠름, 넉=2.5, 강=매우 약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부서진 영웅의 검, 문서=재료,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liteBar.gif, 이름=코스밀라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c캡션, 사진=Nightmare_Fuel.png, 이름=악몽 연료, 문서=재료, h=24px)] (20) + [include(틀:c캡션, 사진=AscendantSpiritEssence.gif, 이름=고대인의 영혼의 정수, 문서=재료, h=24px)] (2) + [include(틀:c캡션, 사진=AuricBar.gif, 이름=오릭 주괴, 문서= 재료, h=24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사용 시 소형 로켓 2개와 대형 로켓 1개를 발사한다. 대형 로켓은 적이나 지형에 부딪칠 경우 폭발하며, 소형 로켓은 다단 히트 공격을 가하는 가시 여러 개로 갈라진다. 칼날 부분으로 적에게 공격을 가했을 경우 유도성 발사체 5개가 적 주변에 소환되어 꽃 모양을 그리면서 날아간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Ataxaria.gif|{{{-2 (공격 사진)}}}]] 공격 성공 시 검 자체는 [[테라리아/시스템#그림자불꽃|[[파일:Terraria/Shadowflame.png|width=16px]]그림자불꽃]] 디버프를 8초간, 발사체는 3초간 유발한다. ||
<-2> '''{{{#fff {{{-2 이름}}}}}}''' || '''{{{#fff {{{-2 대미지}}}}}}''' || '''{{{#fff {{{-2 효과}}}}}}''' || || [[파일:Calamity/AtaraxiaMain.gif]] || {{{-2 메인 로켓}}}[br]{{{-3 (Main Rocket)}}} || 100% ||{{{-2 적중 시 그림자불꽃 구름으로 폭파하여 두 배의 피해를 준다.}}}|| || [[파일:Calamity/AtaraxiaSide.gif]] || {{{-2 사이드 로켓}}}[br]{{{-3 (Side Rocket)}}} || 75% ||{{{-2 명중 시 모든 방향으로 6개의 니들 로켓으로 폭발한다.}}}|| || [[파일:Calamity/AtaraxiaHoming.gif]] || {{{-2 꽃 로켓}}}[br]{{{-3 (Flower Rocket)}}} || 10% ||{{{-2 5개의 로켓이 떼를 지어 꽃처럼 표적 주위를 날아다닌다.}}}|| || [[파일:Calamity/AtaraxiaSplit.png]] || {{{-2 니들 로켓}}}[br]{{{-3 (Needle Rocket)}}} || 3.75% ||{{{-2 짧은 거리를 이동하고 0.83초 후에 소멸되기 전에 멈춘다. 접촉하는 모든 대상을 매우 빠르게 공격한다.}}}|| 한 때는 딜링도 불타는 창공에게 밀리고, 편의성도 우주의 방주나 제니스에게 밀려서 애매한 무기 취급을 받았지만 불타는 창공의 너프 이후 엑소 메카 전에서 딜링용 무기로 이 쪽의 선택지도 고려해볼 만 하게 되었다. 다만 편의성을 추구한다면 제니스가 나은 편. 가능하면 제니스나 불타는 창공은 쌍둥이를 공격하는 데 쓰고, 아타락시아는 덩치가 커서 때리기 쉬운 아레스를 때려박기에 알맞다. 문제는 아레스 때려박기 용도로는 해당 분야의 탑급인 드래곤 파우가 있어서 검 온리 컨셉플이 아니면 역시 애매한 건 마찬가지.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엑소블레이드)][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Exoblade, 한=엑소블레이드, 사진=Exoblade.png, 과정=ⓟ, 색=purple,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915, 시=49, 속=굼벵이, 넉=9,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Terratomere(1).png, 이름=테라토미어,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AnarchyBlade.png, 이름=무질서의 칼날,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FlarefrostBlade.png, 이름=화염서리 칼날,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EntropicClaymore.png, 이름=엔트로픽 클레이모어,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MiracleMatter.png, 이름= 기적의 물질, 문서= 재료,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Draedon%27s_Forge.png, 이름=드레이돈의 용광로, 문서=건축, h=24px)]}}} 엑소급 칼. 가장 먼저 등장한 [[../무기#엑소급 무기|엑소급 무기]]이자, 엑소급 무기의 대표 무기이기도 하다. 기본 대미지가 무려 825를 자랑하는 검으로, 들어가는 재료 또한 방대하다. 다음과 같은 능력이 있다. * 휘두를 때마다 원거리 투사체를 3발 날리는데, 지형 관통에 유도 기능이 존재하게 되었다. 유도력은 상당한 편. [[https://calamitymod.wiki.gg/wiki/Exoblade|{{{-2 (공격 사진)}}}]] * 우클릭 공격 시 커서를 꾹 누르면 잠시 기를 모은 뒤 커서가 가리키는 곳에 빠른 속도로 돌진하며[* 방향조정이 되지만 워낙 돌진속도가 빠르고 돌진거리도 길지는 않아 딱히 신경 쓸 부분은 아니다.] 적을 맞출 경우 다단히트 피해를 입히며 잠시동안 엑소블레이드 검 자체의 공격력과 크기가 증가한다. 다만 돌진 자체에 무적 판정은 없어서 보스전에서 쓰기는 애매한 편. 검이나 발사체, 돌진으로 적 공격 시 초당 1250의 지속 피해를 주는 [[../시스템#미라클 블라이트|[[파일:Calamity/MiracleBlight.png|width=16px]]미라클 블라이트]] 디버프를 5초간 가한다. 여담으로 이 무기가 처음 등장했을 때는 [[../보스#야론|야론]] 이전에 사용할 수 있었지만, 바로 그 다음 패치로 야론 이후로 옮겨졌다. 이렇듯 강력한 무기임엔 틀림없으나, 우주의 방주가 더욱 폭넓게 사용되는 탓에 묘하게 아쉬운 무기. 2.0.1.1에 위와 같이 리워크되었는데, 유도기능이 존재하게 되는 등 이전보다 유틸성이 더욱 늘어났다. 다만 이전보다 화력이 줄어서 여전히 아쉬운 무기로 남을 듯. 하지만 우주의 방주도 데미지가 1300으로 너프를 먹어서 도긴개긴할 듯 하다. 그래도 드레이돈을 잡느냐 마냐라는 티어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라 아쉬움이 더욱 큰 편. 다음 패치에서 공격력이 640에서 825로 상향되어 기존에 제니스와 비슷하던 단일 Dps도 상승하면서 전보단 좀 나아졌다. 과거 단일 보스전에서 무지성 유도 담당이었던 우주의 방주 자리는 이제 엑소블레이드가 차지하게 된 셈이다. 1.4.4 포팅 이후 또다시 새로 리스프라이팅 되었다. 검의 크기가 커진건 덤. 동시기에 내장 광분해기,[* 내장 광분해기는 이미 컨셉아트가 떠서 리스프라이트가 예정되어 있다.] 생생한 선명도, 매그노멀리 대포를 제외한 나머지 3종류의 무기들도 동시기에 리스프라이팅 되었다. 참고로 해당 도트 중 먼저 만들어진 엑소블레이드, 그리고 내장 광분해기를 제외한[* 엑소블레이드와 내장 광분해기는 Heart Plus Up이라는 인물이 따로 제작했다.] 나머지 세 도트는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erraria&no=170079&exception_mode=recommend&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C.97.91.EC.86.8C&page=1|'''한국인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erraria&no=170082&exception_mode=recommend&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C.97.91.EC.86.8C&page=1|'''작업한''']] '''것들이다'''. 링크를 가 보면 다른 엑소 무기들의 컨셉아트도 있으니 참고.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게일의 대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Gael's Greatsword, 한=게일의 대검, 사진=Gaels_Greatsword.png, 과정=ⓟ, 색=purple,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780, 시=11, 속=매우 빠름, 넉=9,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SupremeCalamitasHooded.gif, 이름=칼라미타스, 문서=보스, h=24px)] ({{{#90B 100%}}})}}} >'''"자아, 내게 내놔라. 너의 어두운 영혼을."''' 모티브는 [[다크 소울 3]] DLC2의 최종 보스인 [[노예기사 게일]]을 처치하고 제작할 수 있는 게일의 대검이다. 좌클릭으로 휘두르면 다음과 같은 공격주기를 따른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Gael%27s_Greatsword_1_(demo).gif|{{{-2 (공격 사진)}}}]] * 첫번째 공격엔 아무 효과 없는 트루밀리로 공격한다. * 두번째 공격엔 빠르게 날아가고 유도되는 해골을 2개 발사한다. * 세번째 공격엔 느리고 유도는 안되지만 적을 3번 관통하는 거대한 해골을 1개 발사한다. 플레이어의 체력이 50% 미만이면, 트루밀리 공격에 폭발 이펙트가 추가되고 간헐적으로 9개의 번개가 1~3개 그룹으로 나뉘어 플레이어 주위로 내리친다. 리벤전스 이상의 모드에서는 분노 게이지가 매우 빠른 속도로 차오르고 [분노 모드] 버튼을 눌러 20개의 유도되는 해골을 원 모양으로 방출하고 분노 게이지를 0으로 줄인다.[[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Gael%27s_Greatsword_2_(demo).gif|{{{-2 (사용 모습)}}}]] 해골의 대미지는 차오른 분노 게이지에 비례해서 증가한다. 이 능력의 쿨타임은 10초이다. 원래는 야론 이후 스크라일러에게서 낮은 확률로 획득 가능했으나 1.5패치 이후 말리스 모드의 대마녀 칼라미타스를 처치해야 드롭되게끔 변경되어서 획득 난이도가 극도로 높아졌다. 2.0.1 패치에서 말리스 삭제로 인해 데스 모드 드롭으로 난이도가 낮아지긴 했지만 어려운 건 매한가지.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붉은 태양)][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Red Sun, 한=붉은 태양, 사진=Red_Sun.png, 과정=ⓟ, 색=purple, 희소=hot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500, 시=29, 속=보통, 넉=4, 강=약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아래턱 칼날, 문서=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ForsakenSaber.png, 이름=버림받은 세이버,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CoreofSunlight.png, 이름=햇빛의 코어, 문서=재료, h=24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ShadowspecBar.gif, 이름=섀도우스펙 주괴, 문서=재료, h=18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Draedon%27s_Forge.png, 이름=드레이돈의 용광로, 문서=건축, h=24px)]}}} > '''낙원에 드리워진''' [[../아이템#개발자 아이템|개발자 아이템]]. 휘두를 때마다 회면을 가득 메울 정도로 많은 양의 태양 불꽃이 하늘에서 떨어진다. 이 불꽃은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적에게 명중 시 여러 개의 유도성 지형 관통 파편으로 나뉘면서 폭발한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Red_Sun_(demo).gif|{{{-2 (공격 사진)}}}]] 근접 공격과 불꽃은 10초간, 파편은 2초간 [[../시스템#신성한 불꽃|[[파일:Calamity/Holy_Flames.png|width=16px]]신성한 불꽃]] 디버프를 입힌다. 무기명과 툴팁은 [[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에서 주인공의 적대 세력으로 나오는 [[데스페라도 엔포스먼트#s-2.3|선다우너]]의 테마곡 'Red Sun'의 가사 한 구절인 'Red Sun over Paradise'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대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Earth, 한=대지, 사진=Earth.png, 과정=ⓟ, 색=purple, 희소=hot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70, 시=15, 속=매우 빠름, 넉=9.5, 강=극도로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Grand_Guardian.png, 이름=그랜드 가디언, 문서=근접 무기, h=36px)] + [include(틀:c캡션, 사진=GalactusBlade.png, 이름=갤럭투스 블레이드, 문서=근접 무기, h=24px)] + [br][include(틀:c캡션, 사진=ShadowspecBar.gif, 이름=섀도우스펙 주괴, 문서=재료, h=18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Draedon%27s_Forge.png, 이름=드레이돈의 용광로, 문서=건축, h=24px)]}}} [[../아이템#개발자 아이템|개발자 아이템]]. 위력과 유틸성 양면으로 트루밀리 최강의 무기 중 하나라 부르기에 손색이 없다. 무기가 적에게 적중 시 일정 확률로 적의 방어력을 1 깎고 플레이어의 체력을 1~68 회복한다. 이때 하늘에서 적에게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테라리아/시스템#저주받은 불길|[[파일:Terraria/CursedInferno.png|width=16px]]저주받은 불길]],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파일:Terraria/Frostburn.png|width=16px]]서릿불]] 디버프를 가하는 운석들이 떨어지는데, 적에게 닿거나 플레이어의 아래에 추락하면 잠시 뒤 운석은 폭발하고 3가지 색상 중 하나를 가진 운석 여러 개가 원형으로 퍼진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Earth_(demo).gif|{{{-2 (공격 사진)}}}]] 이 무지막지한 피흡 덕분에 다른 개발자 스펙 직업군은 고전하는 성체 유령 고룡을 워리어는 넉백무시 탈것,장신구를 끼고 무려 '''맞딜로''' 잡을 수 있다. 게다가 보스 러시 전에서도 엑소 메카나 슈칼이나 프로비던스같은 특수 케이스를 제외하면 대다수의 보스들을 그냥 맞붙어서 잡아버린다. ||
<-2> '''{{{#fff {{{-2 이름}}}}}}''' || '''{{{#fff {{{-2 효과}}}}}}''' || || [[파일:Calamity/RedMeteor.png]] || {{{-2 적색 운석}}}[br]{{{-3 (Red Meteor)}}} ||{{{-2 충돌 시 폭발하고 [[../시스템#신성한 불꽃|[[파일:Calamity/Holy_Flames.png|width=16px]]신성한 불꽃]] 디버프를 10초간 부여한다.}}}|| || [[파일:Calamity/GreenMeteor.png]] || {{{-2 녹색 운석}}}[br]{{{-3 (Green Meteor)}}} ||{{{-2 적중 시 플레이어를 회복시키는 구체를 남긴다. 가한 피해의 7.5%가 회복된다.}}}|| || [[파일:Calamity/Blue_Meteor.png]] || {{{-2 청색 운석}}}[br]{{{-3 (Blue Meteor)}}} ||{{{-2 적중 시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파일:Terraria/Frostburn.png|width=16px]]서릿불]] 디버프를 6초간 가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용의 파괴)][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Draconic Destruction, 한=용의 파괴, 사진=DraconicDestruction(1).png, 과정=ⓟ, 색=purple, 희소=hot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50, 시=23, 속=빠름, 넉=7.2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CoreofSunlight.png, 이름=햇빛의 코어, 문서=재료, h=24px)] (3) + [include(틀:c캡션, 사진=CoreofEleum.png, 이름=겨울의 코어, 문서=재료, h=24px)] (3) + [br][include(틀:c캡션, 사진=ShadowspecBar.gif, 이름=섀도우스펙 주괴, 문서=재료, h=18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태양의 파편, 문서=재료, h=16px)] (10) [br]@ [include(틀:c캡션, 사진=Draedon%27s_Forge.png, 이름=드레이돈의 용광로, 문서=건축, h=24px)]}}} [[../아이템#개발자 아이템|개발자 아이템]]. 휘두르면 검과 똑같이 생긴 검기를 날리며 적에게 닿거나 지형에 닿으면 8개의 작은 검기로 나뉘어 지형과 적을 관통하면서 원형으로 퍼진다. 어느 정도 퍼진 뒤엔 상하로 왔다 갔다 하면서 적의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면서 공격한다. [[테라리아/시스템#여명맞이|[[파일:Terraria/Daybroken.png|width=16px]]여명맞이]] 디버프를 10초간 부여한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Draconic_Destruction_(demo).gif|{{{-2 (공격 사진)}}}]] 1.5 업데이트 이후 공격력이 너무 낮아서 개발자 무기 치곤 아쉬운 감이 있었지만 패치로 공격력이 상승, 대형 보스들에겐 최소 십수만 대 이상의 Dps를 뽑아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무지갯빛 엑스칼리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Iridescent Excalibur, 한=무지갯빛 엑스칼리버, 사진=Elemental_Excalibur.png, 과정=ⓟ, 색=purple, 희소=linear-gradient(135deg\,#FCC\,#FC9\,#FFC\,#9F9\,#9CF\,#FCF),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000, 시=13, 속=매우 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GreatswordofBlah.png, 이름=오더브링어, 문서=근접 무기, h=3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진정한 엑스칼리버, 문서=무기, h=24px)][br] + [include(틀:c캡션, 사진=ShadowspecBar.gif, 이름=섀도우스펙 주괴, 문서=재료, h=18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AscendantSpiritEssence.gif, 이름=고대인의 영혼의 정수,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Draedon%27s_Forge.png, 이름=드레이돈의 용광로, 문서=건축, h=24px)]}}} [[#심판의 대검|심판의 대검]]의 최종형태로, 휘두르면 아래에 설명된 검기들 중 하나의 검기를 발사한다. * 아무 효과 없는 붉은색 검기 * 플레이어에게 되돌아가는 주황색 검기 * 일정 거리를 날아간 후 3개의 붉은색 검기로 분열하는 노란색 검기 * 플레이어를 향해 유도되는 라임색 검기 * 적을 향해 유도되는 초록색 검기 * 가속하고 지형을 무시하는 청록색 검기 * 적이나 타일에 닿으면 3개의 청록색 검기로 분열하는 시안색 검기 * 맞춘 적을 감속시키는 옅은 하늘색 검기 * 적과 타일을 여러 번 틩기는 파란색 검기 * [[../보스#부정당한 수호자들|부정당한 수호자들]]의 탄막과 유사하게 날아가는 보라색 검기 * 처음엔 느리게 날아가지만 점점 가속하는 자홍색 검기 * 자홍색 검기를 소환하는 진한 분홍색 검기 무기로 직접 때릴 시 10~19의 체력을 회복한다. 우클릭 시 두 배의 대미지를 입히는 순수 근접 공격도 가능하다. 적중 시 적들에게 엑소급 무기들의 디버프인 [[../시스템#미라클 블라이트|[[파일:Calamity/MiracleBlight.png|width=16px]]미라클 블라이트]] 디버프를 10초 가한다. 검기의 위력이 뛰어나지만 다른 무기들과 비교해서 딱히 차별점이 없다보니 오히려 Tainted 인챈트를 부여하여 초강력 트루밀리로 쓰는 경향이 짙다. 여담이지만 섀도우스펙 주괴를 요구하는 무기 중에서는 유일하게 개발자 무기가 아니다. 포팅 이전의 이름인 원소의 엑스칼리버(Elemental Excalibur)의 모티브는 아발론 모드에 등장하는 동명의 검류인 Elemental Excalibur. 재료에 아발론 모드 제작자 이름이 모티브인 블라의 대검이 들어가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아발론 모드가 출시될 당시에는 테라리아가 한창 초창기였던 시절이라(시기상 하드모드가 막 등장한 때) 사실상 준 최종 장비 수준이었다. ====# [anchor(단검)]단검 #==== 바닐라에서는 듣보잡 신세를 받던 것과는 달리 칼라미티 모드에서는 여러 개의 단검이 추가된다. 툴팁에도 다시는 단검을 무시하지 마라라는 식의 뉘앙스로 쓰여 있다. 최근에는 엑소급 단검 또한 추가되었다. 원판에서는 금/백금 단검, 잘 쳐주면 역시 초반급 무기인 글라디우스가 끝이었던 걸 감안하면 격세지감. 하지만 2.0 이후로 엑소 글라디우스를 포함한 대부분의 단검들이 삭제되었다. 덕분에 현시점의 단검 Only는 원래도 오릭/엑소급 무기가 없었던 창 Only급으로 피똥 제대로 싸는 급의 난이도를 자랑한다. ||
<-2> '''{{{-2 이름}}}''' || '''{{{-2 순수[br]근접}}}''' || '''{{{-2 공격력}}}''' || '''{{{-2 사용[br]시간}}}''' || '''{{{-2 넉백}}}''' || '''{{{-2 치명[br]타율}}}''' || '''{{{-2 자동[br]공격}}}''' || '''{{{-2 등급}}}''' || || [[파일:Calamity/AquaticDischarge.png]] || {{{-2 [[#바다의 방출기|바다의 방출기]]}}}[br]{{{-3 (Aquatic Discharge)}}} || '''{{{#green o}}}''' || {{{-2 23}}} || {{{-2 12}}}[br]{{{-3 (매우 빠름)}}} || {{{-2 5.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Calamity/SubmarineShocker.png]] || {{{-2 [[#잠수정 분쇄기|잠수정 분쇄기]]}}}[br]{{{-3 (Submarine Shocker)}}} || '''o''' || {{{-2 60}}} || {{{-2 10}}}[br]{{{-3 (매우 빠름)}}} || {{{-2 7}}}[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Lucrecia.png]] || {{{-2 [[#루크레시아|루크레시아]]}}}[br]{{{-3 (Lucrecia)}}} || '''{{{#red x}}}''' || {{{-2 90}}} || {{{-2 30}}}[br]{{{-3 (느림)}}} || {{{-2 8.2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ElementalShiv.png]] || {{{-2 [[#원소의 날붙이|원소의 날붙이]]}}}[br]{{{-3 (Elemental Shiv)}}} || '''{{{#red x}}}''' || {{{-2 168}}} || {{{-2 10}}}[br]{{{-3 (매우 빠름)}}} || {{{-2 8.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1, bg=purple)] || || [[파일:Calamity/Galileo_Gladius.png]] || {{{-2 [[#갈릴레오 글라디우스|갈릴레오 글라디우스]]}}}[br]{{{-3 (Galileo Gladius)}}} || '''{{{#red x}}}''' || {{{-2 92}}} || {{{-2 10}}}[br]{{{-3 (매우 빠름)}}} || {{{-2 10}}}[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3, bg=limegreen)] || || [[파일:Calamity/CosmicShiv.png]] || {{{-2 [[#전우주적 단검|전우주적 단검]]}}}[br]{{{-3 (Cosmic Shiv)}}} || '''{{{#red x}}}''' || {{{-2 109}}} || {{{-2 18}}}[br]{{{-3 (매우 빠름)}}} || {{{-2 9}}}[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4, bg=darkblue)] || ||<-9> {{{#!wiki style="width: 610px; height: 1px; " }}} || ===== 하드모드 이전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바다의 방출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quatic Discharge, 한=바다의 방출기, 사진=AquaticDischarge.png, 희소=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3, 시=12, 속=매우 빠름, 넉=5.5, 강=보통,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DesertScourge(R).png, 이름=사막의 무법자, 문서=보스)] (25% / {{{#E80 33.33%}}})}}} 휘두르면 하늘색의 전기 파티클이 방출된다. 적을 타격 시 작고 푸른 스파크가 방출되어 지면에 잠시 동안 남는다.서브마린 쇼커처럼 공격할수만 있다면 엄청나게 강한 무기. ===== 하드모드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잠수정 분쇄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ubmarine Shocker, 한=잠수정 분쇄기, 사진=SubmarineShocker.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60, 시=10, 속=매우 빠름, 넉=7, 강=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AquaticScourge(R).png, 이름=바다의 무법자, 문서=보스)] (25% / {{{#E80 33.33%}}})}}} [[../보스#바다의 무법자|바다의 무법자]]를 처치하면 얻을 수 있는 단검. 별다른 투사체도 없고, 공격력도 하드 초반에서는 그럭저럭인 수준이라 별 볼 일 없는 무기같지만... '''실상은 이 모드 사기 무기 중 하나.''' 아드레날린/분노를 걸고 찌르면 특유의 빠른 공속과 맞물려 어떤 보스도 몇 초 안에 보내버리는 막강한 대미지를 자랑한다. 리벤전스 문 로드의 양손은 물론이고, 심장조차 몇 초 안에 소멸하는 수준. 여기에 적을 찌를 때마다 전기 불꽃 한두 개가 튀는데, 이 불꽃에도 대미지 버프가 들어간다. 단검이라 맞추기 힘들어보이지만, 반대로 말하자면 플레이어의 컨이 잘 따라준다면 [[#스텔라 스트라이커|스텔라 스트라이커]]와 비슷하게 보스들을 쉽게 죽일 수 있는 무기. 순수 근접 플레이중이라면 하드모드 초반에 악취의 바그나우로 바다의 무법자를 처치하고 이것으로 파과자나 쌍둥이를 잡는 루트가 좋은 루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루크레시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Lucrecia, 한=루크레시아, 사진=Lucrecia.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90, 시=30, 속=느림, 넉=8.2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CoreofCalamity.png, 이름=재앙의 코어, 문서=재료,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BarofLife.png, 이름=생명 합금괴,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빛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5) + [br][include(틀:t캡션, 이름=밤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사용 시 커서 위치로 지형 관통의 일자형 공격을 날린다. 검보다는 창의 공격 방식에 가까운 무기. 또한 적을 때릴 때마다 플레이어에게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무적 버프를 걸어준다. 적당한 공격력과 무적 버프 때문에 상당히 쓸 만하지만 그놈의 사정거리 하나 때문에... 그래도 이 시점 워리어 무기로는 이 이상 가는 게 없다. [[#엑소 글라디우스|엑소 글라디우스]]의 재료로 쓰인다. ===== 달의 군주 이후 ===== || [[파일:T/PostMoonLord.png]] {{{#white {{{+1 '''달의 군주 이후'''}}}}}} [[파일:T/PostMoonLord.png]]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원소의 날붙이)][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Elemental Shiv, 한=원소의 날붙이, 사진=ElementalShiv.png, 과정=ⓟ, 색=purple, 희소=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68, 시=13, 속=매우 빠름, 넉=8.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별빛,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Galactica_Singularity.gif, 이름=은하의 특이점, 문서=재료, h=24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5) +[br] [include(틀:c캡션, 사진=BarofLife, 이름=생명 합금괴, 문서=재료,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휘두를 때마다 유도 기능이 있는 발사체를 날린다. 피격당한 적에게는 양쪽에서 3개의 유도성 검이 날아와 추가적인 피해를 입힌다. 또한 2초간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파일:Terraria/Frostburn.png|width=16px]]서릿불]], [[../시스템#신성한 불꽃|[[파일:Calamity/HolyFlames.png|width=16px]]신성한 불꽃]], [[../시스템#유황 불꽃|[[파일:Calamity/BrimstoneFlames.png|width=16px]]유황 불꽃]] 디버프를 건다. 지형은 관통할 수 있지만 적을 관통하지는 못한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Elemental_Shiv_(demo).gif|{{{-2 (공격 사진)}}}]] [[#전우주적 단검|전우주적 단검]]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갈릴레오 글라디우스)][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Galileo Gladius, 한=갈릴레오 글라디우스, 사진=Galileo_Gladius.png, 과정=ⓟ, 색=purple, 희소=lime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92, 시=10, 속=매우 빠름, 넉=10,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글라디우스,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Lumenyl2.png, 이름=루메닐, 문서=재료, h=24px)] (8) + [include(틀:c캡션, 사진=Ruinous_Soul.gif, 이름=재앙의 영혼, 문서=재료, h=24px)] (5) +[br] [include(틀:c캡션, 사진=ExodiumCluster.png, 이름=익소듐 뭉치, 문서=재료, h=24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휘두르면 블록을 관통하고 유도기능이 있으며 무기 대미지의 60%의 대미지를 주는 초승달을 날린다. 순수 근접 공격 시 파란색 대형 행성이 적에게 비를 내리게 한다. 행성은 타일 또는 벽이랑 접촉하면 폭발한다. [[../시스템#나이트위더|[[파일:Calamity/Nightwither2.png|width=16px]]나이트위더]] 디버프를 단검 자체와 행성은 5초, 초승달은 3초동안 부여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전우주적 단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Cosmic Shiv, 한=전우주적 단검, 사진=CosmicShiv.png, 과정=ⓟ, 색=purple, 희소=dark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09, 시=18, 속=매우 빠름, 넉=9,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include(틀:c캡션, 사진=ElementalShiv.png, 이름=원소의 날붙이,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liteBar.gif, 이름=코스밀라이트 주괴, 문서=재료, h=24px)] (8)[br]@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사용 시 유도기능이 있는 투사체를 발사한다. 해당 투사체는 적을 맞출 시 주위에서 해당 무기모양의 검기가 사방에서 날아오고 위에서 혜성이 떨어져 공격한다. [[../시스템#신살자의 불길|[[파일:Calamity/GodSlayerInferno.png|width=16px]]신살자의 불길]] 디버프를 검 자체는 2초, 투사체는 1초동안 건다. ====# [anchor(발톱)]발톱 #==== 기존 테라리아의 칼날 장갑, 악취의 바그나우처럼 사거리가 엄청 짧고 공격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2> '''{{{-2 이름}}}''' || '''{{{-2 순수[br]근접}}}''' || '''{{{-2 공격력}}}''' || '''{{{-2 사용[br]시간}}}''' || '''{{{-2 넉백}}}''' || '''{{{-2 치명[br]타율}}}''' || '''{{{-2 자동[br]공격}}}''' || '''{{{-2 등급}}}''' || || [[파일:Calamity/MycelialClaws.png]] || {{{-2 [[#균사체 발톱|균사체 발톱]]}}}[br]{{{-3 (Mycelial Claws)}}} || '''o''' || {{{-2 21}}} || {{{-2 6}}}[br]{{{-3 (미친 듯이 빠름)}}} || {{{-2 3.75}}}[br]{{{-3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Calamity/MantisClaws.png]] || {{{-2 [[#갯가재 발톱|갯가재 발톱]]}}}[br]{{{-3 (Mantis Claws)}}} || '''o''' || {{{-2 88}}} || {{{-2 5}}}[br]{{{-3 (미친 듯이 빠름)}}} || {{{-2 7}}}[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9> {{{#!wiki style="width: 560px; height: 1px; " }}} || ===== 하드모드 이전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균사체 발톱)][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Mycelial Claws, 한=균사체 발톱, 사진=MycelialClaws.png, 희소=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1, 시=6, 속=미친 듯이 빠름, 넉=3.75, 강=약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Crabulon(R).png, 이름=크래뷸론, 문서=보스)] (25% / {{{#E80 33.33%}}})}}} 기존 테라리아의 [[테라리아/무기#칼날 장갑|칼날 장갑]]보다 스펙이 약간 높다. 이후 패치로 적을 타격하면 방어력 5, 체력 재생 1의 버프를 부여하게 된다. ===== 하드모드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갯가재 발톱)][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Mantis Claws, 한=갯가재 발톱, 사진=MantisClaws.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88, 시=5, 속=미친 듯이 빠름, 넉=7, 강=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MantisShrimp.png, 이름=갯가재, 문서=몬스터, h=24px)] (20%) ([[테라리아/보스#플랜테라|플랜테라]] 격파 이후)}}} 기존 테라리아의 [[테라리아/무기#악취의 바그나우|악취의 바그나우]]보다 공격력이 20 높고 사용 시간이 1 낮다. 작은 폭발을 일으키지만 이 폭발은 단순 시각적이다. 접촉 피해만 감수하면 시기를 뛰어넘는 막대한 대미지를 입힐 수 있고 아나히타와 레비아탄전에서 빛을 발한다. === 최고 수식어가 Godly === 공통 수식어만 붙을 수 있는 근접 무기로, 대부분의 경우 최고 수식어는 Godly이다. 이미 치명타 확률이 100%가 된 상태라면 방어력이 높은 적들을 대상으로 Ruthless가 더 선호될 수 있다. 부메랑이나 기타 워리어 무기 중 투사체를 "투척"하는 방식의 무기들에 대해선 [[Calamity Mod/로그 무기]]에 작성되어 있다. ====# [anchor(요요)]요요 #==== ||
<-2> '''{{{-2 이름}}}''' || '''{{{-2 순수[br]근접}}}''' || '''{{{-2 공격력}}}''' || '''{{{-2 사용[br]시간}}}''' || '''{{{-2 넉백}}}''' || '''{{{-2 치명[br]타율}}}''' || '''{{{-2 사거리}}}''' || '''{{{-2 체공[br]시간}}}''' || '''{{{-2 자동[br]공격}}}''' || '''{{{-2 등급}}}''' || || [[파일:Calamity/SmokingComet.png]] || {{{-2 [[#연기나는 헤성|연기나는 혜성]]}}}[br]{{{-3 (Riptide)}}} || '''{{{#red x}}}''' || {{{-2 14}}} || {{{-2 25}}}[br]{{{-3 (느림)}}} || {{{-2 1.5}}}[br]{{{-3 (극도로 약함)}}} || {{{-2 4%}}} || {{{-2 15타일}}} || {{{-2 15초}}}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Calamity/Riptide.png]] || {{{-2 [[#립타이드|립타이드]]}}}[br]{{{-3 (Riptide)}}} || '''{{{#red x}}}''' || {{{-2 16}}} || {{{-2 25}}}[br]{{{-3 (빠름)}}} || {{{-2 1}}}[br]{{{-3 (극도로 약함)}}} || {{{-2 4%}}} || {{{-2 18타일}}} || {{{-2 18초}}}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Calamity/Aorta.png]] || {{{-2 [[#대동맥|대동맥]]}}}[br]{{{-3 (Aorta)}}} || '''{{{#red x}}}''' || {{{-2 29}}} || {{{-2 22}}}[br]{{{-3 (빠름)}}} || {{{-2 4.25}}}[br]{{{-3 (보통)}}} || {{{-2 4%}}} || {{{-2 20타일}}} || {{{-2 24초}}}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Calamity/Air_Spinner.png]] || {{{-2 [[#에어 스피너|에어 스피너]]}}}[br]{{{-3 (Air Spinner)}}} || '''{{{#red x}}}''' || {{{-2 26}}} || {{{-2 22}}}[br]{{{-3 (빠름)}}} || {{{-2 4}}}[br]{{{-3 (약함)}}} || {{{-2 4%}}} || {{{-2 20타일}}} || {{{-2 30초}}} ||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Calamity/TheGod'sGambit.png]] || {{{-2 [[#신의 한 수|신의 한 수]]}}}[br]{{{-3 (The God's Gambit)}}} || '''{{{#red x}}}''' || {{{-2 44}}} || {{{-2 21}}}[br]{{{-3 (빠름)}}} || {{{-2 3.5}}}[br]{{{-3 (약함)}}} || {{{-2 4%}}} || {{{-2 25타일}}} || {{{-2 무제한}}} || '''o'''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Calamity/YinYo.png]] || {{{-2 [[#인요|인요]]}}}[br]{{{-3 (YinYo)}}} || '''{{{#red x}}}''' || {{{-2 34}}} || {{{-2 25}}}[br]{{{-3 (빠름)}}} || {{{-2 3.5}}}[br]{{{-3 (약함)}}} || {{{-2 4%}}} || {{{-2 25타일}}} || {{{-2 7초}}}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Shimmerspark.png]] || {{{-2 [[#희미한 스파크|희미한 스파크]]}}}[br]{{{-3 (Shimmerspark)}}} || '''{{{#red x}}}''' || {{{-2 36}}} || {{{-2 25}}}[br]{{{-3 (빠름)}}} || {{{-2 3.5}}}[br]{{{-3 (약함)}}} || {{{-2 4%}}} || {{{-2 28타일}}} || {{{-2 무제한}}}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SulphurousGrabber.png]] || {{{-2 [[#황산성 약탈자|황산성 약탈자]]}}}[br]{{{-3 (Sulphurous Grabber)}}} || '''{{{#red x}}}''' || {{{-2 55}}} || {{{-2 25}}}[br]{{{-3 (빠름)}}} || {{{-2 3.5}}}[br]{{{-3 (약함)}}} || {{{-2 4%}}} || {{{-2 25타일}}} || {{{-2 무제한}}} || '''{{{#red x}}}'''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Oblivion(1).png]] || {{{-2 [[#망각|망각]]}}}[br]{{{-3 (Oblivion)}}} || '''{{{#red x}}}''' || {{{-2 41}}} || {{{-2 22}}}[br]{{{-3 (빠름)}}} || {{{-2 4}}}[br]{{{-3 (약함)}}} || {{{-2 4%}}} || {{{-2 32타일}}} || {{{-2 무제한}}}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Quagmire.png]] || {{{-2 [[#수렁|수렁]]}}}[br]{{{-3 (Quagmire)}}} || '''{{{#red x}}}''' || {{{-2 52}}} || {{{-2 22}}}[br]{{{-3 (빠름)}}} || {{{-2 3.5}}}[br]{{{-3 (약함)}}} || {{{-2 4%}}} || {{{-2 30타일}}} || {{{-2 무제한}}}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FaultLine.png]] || {{{-2 [[#단층선|단층선]]}}}[br]{{{-3 (Fault Line)}}} || '''{{{#red x}}}''' || {{{-2 75}}} || {{{-2 22}}}[br]{{{-3 (빠름)}}} || {{{-2 4}}}[br]{{{-3 (약함)}}} || {{{-2 4%}}} || {{{-2 30타일}}} || {{{-2 무제한}}}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Pandemic.png]] || {{{-2 [[#광역 유행병|광역 유행병]]}}}[br]{{{-3 (Pandemic)}}} || '''{{{#red x}}}''' || {{{-2 100}}} || {{{-2 22}}}[br]{{{-3 (빠름)}}} || {{{-2 2.5}}}[br]{{{-3 (매우 약함)}}} || {{{-2 4%}}} || {{{-2 30타일}}} || {{{-2 무제한}}}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TheMicrowave.png]] || {{{-2 [[#극초단파|극초단파]]}}}[br]{{{-3 (The Microwave)}}} || '''{{{#red x}}}''' || {{{-2 65}}} || {{{-2 22}}}[br]{{{-3 (빠름)}}} || {{{-2 3}}}[br]{{{-3 (매우 약함)}}} || {{{-2 4%}}} || {{{-2 32타일}}} || {{{-2 무제한}}} || '''o''' || [include(틀:t등급, n=9, bg=cyan)] || || [[파일:Calamity/SolarFlare.png]] || {{{-2 [[#솔라 플레어|솔라 플레어]]}}}[br]{{{-3 (Solar Flare)}}} || '''{{{#red x}}}''' || {{{-2 120}}} || {{{-2 20}}}[br]{{{-3 (매우 빠름)}}} || {{{-2 7.5}}}[br]{{{-3 (매우 강함)}}} || {{{-2 4%}}} || {{{-2 35타일}}} || {{{-2 무제한}}} || '''o''' || [include(틀:t등급, n=12, bg=turquoise)] || || [[파일:Calamity/Lacerator.png]] || {{{-2 [[#래서레이터|래서레이터]]}}}[br]{{{-3 (Lacerator)}}} || '''{{{#red x}}}''' || {{{-2 130}}} || {{{-2 20}}}[br]{{{-3 (매우 빠름)}}} || {{{-2 7}}}[br]{{{-3 (강함)}}} || {{{-2 4%}}} || {{{-2 40타일}}} || {{{-2 무제한}}} || '''o''' || [include(틀:t등급, n=12, bg=turquoise)] || || [[파일:Calamity/TheObliterator.png]] || {{{-2 [[#말소자|말소자]]}}}[br]{{{-3 (The Obliterator)}}} || '''{{{#red x}}}''' || {{{-2 220}}} || {{{-2 20}}}[br]{{{-3 (매우 빠름)}}} || {{{-2 7.5}}}[br]{{{-3 (매우 강함)}}} || {{{-2 4%}}} || {{{-2 45타일}}} || {{{-2 무제한}}} || '''o''' || [include(틀:t등급, n=14, bg=darkblue)] || || [[파일:Calamity/The_Oracle.png]] || {{{-2 [[#오라클|오라클]]}}}[br]{{{-3 (The Oracle)}}} || '''{{{#red x}}}''' || {{{-2 170}}} || {{{-2 20}}}[br]{{{-3 (매우 빠름)}}} || {{{-2 4}}}[br]{{{-3 (약함)}}} || {{{-2 4%}}} || {{{-2 50타일}}} || {{{-2 무제한}}} || '''o''' || [include(틀:t등급, n=15, bg=violet)] || || [[파일:Calamity/Azathoth.png]] || {{{-2 [[#아자토스|{{{#!html 아자토스}}}]]}}}[br]{{{-3 (Azathoth)}}} || '''{{{#red x}}}''' || {{{-2 80}}} || {{{-2 20}}}[br]{{{-3 (매우 빠름)}}} || {{{-2 6}}}[br]{{{-3 (보통)}}} || {{{-2 4%}}} || {{{-2 55타일}}} || {{{-2 무제한}}} || '''o''' || [include(틀:t등급, n=16, bg=hotpink)] || ||<-12> {{{#!wiki style="width: 775px; height: 1px; " }}} || ===== 하드모드 이전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연기나는 혜성)][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Smoking Comet, 한=연기나는 혜성, 사진=SmokingComet.png, 희소=green, 자동=↻, 공=14, 시=25, 속=느림, 넉=1.5, 강=극도로 약함, 치=4, 사거리=15타일, 체공=15초)][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다이아몬드, 문서=재료, h=24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자수정, 문서=재료, h=24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분홍 젤, 문서=재료, h=24px)] (10)[br] + [include(틀:t캡션, 이름=별똥별, 문서=재료, h=24px)] (15) +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6px)]}}} 요요판 별의 격노. 사용 시 제법 큰 크기의 요요를 체공하며 주기적으로 별똥별을 떨어뜨린다. [[스티븐 유니버스]]의 스모키 쿼츠가 사용하는 요요가 모티브.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립타이드)][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Riptide, 한=립타이드, 사진=Riptide.png, 희소=green, 자동=↻, 공=16, 시=25, 속=빠름, 넉=1, 강=극도로 약함, 치=4, 사거리=18타일, 체공=18초)][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SeaPrism.png, 이름=바다 프리즘, 문서=재료, h=24px)] (7) + [include(틀:c캡션, 사진=Navystone.png, 이름=짙푸른 돌, 문서=건축)] (10)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6px)]}}} 적을 28회 공격 후 플레이어에게 되돌아온다. 요요가 체공 중일 때 무작위 방향으로 푸른색 물줄기가 나선형으로 발사되며, 요요 자체의 공격력의 22.22%의 공격력을 가진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대동맥)][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Aorta, 한=대동맥, 사진=Aorta.png, 희소=orange, 자동=↻, 공=29, 시=22, 속=빠름, 넉=4.25, 강=보통, 치=4, 사거리=20타일, 체공=24초)][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ThePerforators(R).png, 이름=퍼포레이터즈, 문서=보스)] (25% / {{{#E80 33.33%}}})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척추뼈, 문서=재료, h=16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크림테인 주괴, 문서=재료, h=16px)] (3) + [br][include(틀:c캡션, 사진=Blood_Sample.png, 이름=혈액 샘플, 문서=재료, h=16px)] (6) @ [include(틀:t캡션, 이름=제단, 문서=가구, h=16px)]}}} 적을 24초동안 공격 후 플레이어에게 되돌아온다. 또한 무기의 기본 비해의 25%를 입히는 유도성 피를 적에게 발사한다. 요요ㅏ자체는 적에게 [[../시스템#불타는 피|[[파일:Calamity/BurningBlood.png]]불타는 피]] 디버프를 2초간, 투사체는 1초간 가한다. 특이하게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 대체 무기가 없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에어 스피너)][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Air Spinner, 한=에어 스피너, 사진=Air_Spinner.png, 희소=orange, 자동=↻, 공=26, 시=22, 속=빠름, 넉=4, 강=약함, 치=4, 사거리=20타일, 체공=30초)][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AerialiteBar.png, 이름=창공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6)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늘 방앗간, 문서=가구, h=24px)]}}} 적을 30초동안 공격 후 플레이어에게 되돌아온다. 또한 주변의 적에게 깃털을 날려 공격한다. 다른 요요보다 요요 머리의 이동 속도가 꽤 빠른 편이라서 요요만으로도 적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 짧은 사용 시간과 횟수 제한이 흠이었지만 최근패치로 깃털을 날리게 되었고, 자포동물과 마찬가지로 깃털을 날릴때마다 체공시간과 공격횟수가 초기화 되어 무한 활공이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신의 한 수)][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The God's Gambit, 한=신의 한 수, 사진=TheGod'sGambit.png, 희소=lightcoral, 자동=↻, 공=29, 시=21, 속=빠름, 넉=3.5, 강=약함, 치=4, 사거리=25타일, 체공=무제한)][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PurifiedGel.png, 이름=정제된 젤, 문서=재료)] (30) @ [include(틀:c캡션, 사진=Static_Refiner.png, 이름=정적 정제소, 문서=건축, h=24px)]}}} 하드모드 이전 무한대로 활공이 가능한 유일한 요요. 요요가 체공 중일 땐 점액이 수시로 떨어지는데, 닿은 적은 [[테라리아/시스템#슬라임|[[파일:Terraria/Slime(Debuff).png|width=16px]]슬라임]] 디버프에 걸리고 피해를 입지 않는다. ===== 하드모드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인요)][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YinYo, 한=인요, 사진=YinYo.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공=44, 시=25, 속=빠름, 넉=3.5, 강=약함, 치=4, 사거리=25타일, 체공=무제한)][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빛의 조각, 문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어둠의 조각, 문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무한 체공이 된다. 요요를 휘두르고 있을 때 적이 근처에 있다면 요요에서 지속적으로 음의 조각을 오른쪽으로, 양의 조각을 왼쪽으로 투사한다. 발사된 조각은 지형을 관통하며 적을 공격한다. 당장 같은 재료를 2배쓰고 추가적으로 다른 재료를 더 요구하는 [[테라리아/무기#다오 오브 파우|다오 오브 파우]]와 비교하기엔 미안할 정도로 가성비가 좋은 편. 이름은 음양의 일본어 발음이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희미한 스파크)][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Shimmerspark, 한=희미한 스파크, 사진=Shimmerspark.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6, 시=25, 속=빠름, 넉=3.5, 강=약함, 치=4, 사거리=28타일, 체공=무제한)][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CryonicBar.png, 이름=냉동석 주괴, 문서=재료, h=24px)] (6)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적을 8회 공격 후 플레이어에게 되돌아온다. 요요를 휘두르고 있을 때 적이 근처에 있다면 요요의 머리 부분에서 느린 속도의 자주색 별똥별이 소환되어 적을 향해 발사된다. 이 별똥별은 적을 1회 관통할 수 있지만 지형 관통은 안 된다. 요요 자체는 적에게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파일:Terraria/Frostburn.png|width=16px]]서릿불]] 디버프를 2초동안 부여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황산성 약탈자)][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Sulphurous Grabber, 한=황산성 약탈자, 사진=SulphurousGrabber.png, 과정=ⓗ, 색=red, 희소=pink, 공=55, 시=25, 속=빠름, 넉=3.5, 강=약함, 치=4, 사거리=25타일, 체공=무제한)][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SulphurousSkater.png, 이름=황산성 스케이터, 문서=이벤트)] (5%)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c캡션, 사진=Abyssal_Crate.png, 이름=심연의 크레이트, 문서=소모품, h=24px)] (10%)[br](티어 2 [[../이벤트#산성비|산성비]] 이벤트 격파 이후)}}} 체공 시 녹색 또는 보라색의 대미지를 주는 3개의 방울을 방출한다. 요요가 녹색 방울에 닿을 경우 방울이 더 많이 추가된다. 요요 자체의 공격은 반드시 {{{-2 [[../시스템#피폭|[[파일:Calamity/Irradiated2.png|width=16px]]피폭]]}}} 디버프를 2초간 가한다. {{{-2 [[https://calamitymod.fandom.com/wiki/Sulphurous_Grabber?file=Sulphurous_Grabber_%2528demo%2529.gif|공격 사진]]}}}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망각)][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Oblivion, 한=망각, 사진=Oblivion(1).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공=41, 시=22, 속=빠름, 넉=4, 강=약함, 치=4, 사거리=25타일, 체공=무제한)][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Calamitas(R).png, 이름=칼라미타스 클론, 문서=보스)] (25% / {{{#E80 33.33%}}})}}} 근처의 적에게 유황 레이저를 속사한다. 이 레이저는 요요의 공격력의 절반의 공격력을 가지고 있으며, 적에게 [[../시스템#유황 불꽃|[[파일:Calamity/Brimstone_Flames.png|width=16px]]유황 불꽃]] 디버프를 요요는 5초간, 레이저는 1초간 가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수렁)][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Quagmire, 한=수렁, 사진=Quagmire.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52, 시=22, 속=빠름, 넉=3.5, 강=약함, 치=4, 사거리=30타일, 체공=무제한)][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PerennialBar.png, 이름=다년생 주괴, 문서=재료, h=16px)] (6)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사용 시 지속적으로 포자 구름을 방출한다. 요요 자체는 적에게 [[테라리아/시스템#맹독|[[파일:Terraria/Venom.png|width=16px]]맹독]] 디버프를 가한다. ||
<-2> '''{{{#fff {{{-2 이름}}}}}}''' || '''{{{#fff {{{-2 대미지}}}}}}''' || '''{{{#fff {{{-2 치명타 확률 (프레임당)}}}}}}''' || || [[파일:Terraria/SporeSac(Projectile3).png]] || {{{-2 포자 가스 1}}}[br]{{{-3 (Spore Gas 1)}}} || {{{-2 50%}}} || {{{-2 10%}}} || || [[파일:Terraria/SporeSac(Projectile4).png]] || {{{-2 포자 가스 2}}}[br]{{{-3 (Spore Gas 2)}}} || {{{-2 60%}}} || {{{-2 3.33%}}} || || [[파일:Terraria/SporeSac(Projectile5).png]] || {{{-2 포자 가스 3}}}[br]{{{-3 (Spore Gas 3)}}} || {{{-2 70%}}} || {{{-2 2%}}}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단층선)][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Fault Line, 한=단층선, 사진=FaultLine.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88, 시=22, 속=빠름, 넉=4, 강=약함, 치=4, 사거리=26.25타일, 체공=7초)][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ScoriaBar.png, 이름=화산암 주괴, 문서=재료, h=16px)] (6)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기존 혼돈을 대체하여 나온 요요. 역시나 적에게 닿을 시 작은 폭발을 일으킨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광역 유행병)][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Pandemic, 한=광역 유행병, 사진=Pandemic.png, 과정=ⓗ, 색=red, 자동=↻, 희소=yellow, 공=100, 시=22, 속=빠름, 넉=2.5, 강=매우 약함, 치=4, 사거리=30타일, 체공=무제한)][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ThePlaguebringerGoliath(R).png, 이름=질병전이체 골리앗, 문서=보스)] (25% / {{{#E80 33.33%}}})}}} 적을 10회 공격 후 플레이어에게 되돌아온다. 요요 근처에 적이 있을경우 역병 벌을 주기적으로 소환한다. 요요 자체로 적을 공격시 10초간, 역병 벌은 5초간 [[../시스템#역병|[[파일:Calamity/Plague2.png|width=16px]]역병]] 디버프를 가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극초단파)][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The Microwave, 한=극초단파, 사진=TheMicrowave.png, 과정=ⓗ, 색=red, 희소=cyan, 자동=↻, 공=65, 시=22, 속=빠름, 넉=3, 강=매우 약함, 치=4, 사거리=32타일, 체공=무제한)][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AstrumDeus(R).png, 이름=아스트럼 데우스, 문서=보스)] (25% / {{{#E80 33.33%}}})}}} 요요 체공 시 요요 주위에 다단히트 피해를 입히고 [[../시스템#아스트랄 전염|[[파일:Calamity/AstralInfection(Debuff).png|width=16px]]아스트랄 전염]] 디버프를 거는 아우라가 발생한다. 체공중 [[전자레인지]]가 돌아가는 소리가 들리며, 돌아올때 마찬가지로 작동이 끝나는 소리가 들린다. 아마 해당 밈에서 유래한듯. 1.5 이후에는 어째선지 작동정지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 달의 군주 이후 ===== || [[파일:T/PostMoonLord.png]] {{{#white {{{+1 '''달의 군주 이후'''}}}}}} [[파일:T/PostMoonLord.png]]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솔라 플레어)][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Solar Flare, 한=솔라 플레어, 사진=SolarFlare.png, 과정=ⓟ, 색=purple,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20, 시=20, 속=매우 빠름, 넉=7.5, 강=매우 강함, 치=4, 사거리=35타일, 체공=무제한)][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Providence(R).png, 이름=프로비던스, 문서=보스)] (25% / {{{#E80 33.33%}}})}}} 적을 공격할 때마다 적의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는 막대한 폭발을 입히며 [[../시스템#신성한 불꽃|[[파일:Calamity/Holy_Flames.png|width=16px]]신성한 불꽃]] 디버프를 10초간 건다. 넓은 폭발이 일어나지만 시각적 효과일 뿐 실제로 스플래시 피해를 입히지는 않는다. 다른 요요보다 요요 머리의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른 편이라서 적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 [[#오라클|오라클]]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래서레이터)][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Lacerator, 한=래서레이터, 사진=Lacerator.png, 과정=ⓟ, 색=purple,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07, 시=20, 속=매우 빠름, 넉=7, 강=강함, 치=4, 사거리=35타일, 체공=무제한)][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BloodstoneCore.png, 이름=혈석 코어, 문서=재료, h=24px)] (4)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요요로 타격 후 체력 재생 +2를 얻는다. 적에게 피격당하거나 60초가 지나면 체력 재생이 초기화된다. 다른 요요보다 요요 머리의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른 편이라서 적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 여담이지만 툴팁을 보면 누군가는 이 요요가 디오갓을 잘 잡는 요요라고 생각한다는 설명이 있는데, 실상 이걸로 디오갓 잡으려면 골병걸리기 십상이라 공포의 칼날이나 쓰고 만다. 그러나 Get fixed boi 시드에서 소환하는 디오갓이라면 얘기가 다른데, 무려 4000%의 증가뎀, 즉 '''40배'''에 달하는 극악의 추뎀을 입힌다. 물론 디오갓 자체가 빨라서 잡긴 힘들지만, 틱당 만 단위의 데미지가 들어가는 기묘한 현상을 볼 수 있다. 참고로 이 툴팁은 이전 개발자인 Terry N. Muse가 활동했던 시절에 "레서레이터는 디오갓에게 유효한 무기다" 라고 주장해서 넣어둔 것이다. 툴팁이 2017년에 추가됐으므로 무려 6년이나 지나고 나서야 정말로 유효하게 된 셈.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말소자)][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The Obliterator, 한=말소자, 사진=TheObliterator.png, 과정=ⓟ, 색=purple, 희소=dark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220, 시=20, 속=매우 빠름, 넉=7.5, 강=매우 강함, 치=4, 사거리=45타일, 체공=무제한)][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TheDevourerofGods(R).png, 이름=신들의 포식자, 문서=보스)] (25% / {{{#E80 33.33%}}})}}} 적을 공격할 때마다 적의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는 막대한 피해를 입히며, 휘두르는 도중 일정 범위 내 존재하는 적들에게 파란색이나 보라색의 지형 관통이 불가능한 자동 추적 레이저를 속사한다. 레이저는 요요의 기본 공격력보다 살짝 낮으며 속사 속도가 매우 빠른 편. 레이저는 적을 실질적으로 무한대로 관통이 가능하고 모든 공격은 [[../시스템#신살자의 불길|[[파일:Calamity/GodSlayerInferno.png|width=16px]]신살자의 불길]] 디버프를 3초간 가한다. 다른 요요보다 요요 머리의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른 편이라서 적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 [[#오라클|오라클]]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오라클)][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The Oracle, 한=오라클, 사진=The_Oracle.png, 과정=ⓟ, 색=purple, 희소=violet, 자동=↻, 공=170, 시=20, 속=매우 빠름, 넉=4, 강=약함, 치=4, 사거리=50타일, 체공=무제한)][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TheObliterator.png, 이름=말소자,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SolarFlare.png, 이름=솔라 플레어, 문서=근접 무기, h=20px)] +[include(틀:c캡션, 사진=AuricBar.gif, 이름= 오릭 주괴, 문서= 재료, h=24px)] (5)[br]@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적을 타격하면 요요 주변을 원형으로 둘러싸는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는 붉은색 번개를 방출한다. 해당 번개는 적을 타격하지 않을 경우 서서히 크기가 줄어들면서 사라잔다. 적을 6번 타격할때 마다 오릭 구체가 삼각형 패턴으로 형성되어 추가적으로 기본 대미지의 2배 대미지를 입한다.[[https://calamitymod.fandom.com/wiki/The_Oracle|{{{-2 (공격 사진)}}}]]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아자토스)][include(틀:c인포박스/요요, 영=Azathoth, 한=아자토스, 사진=Azathoth.png, 과정=ⓟ, 색=purple, 희소=hotpink, 자동=↻, 공=80, 시=20, 속=매우 빠름, 넉=6, 강=보통, 치=4, 사거리=55타일, 체공=무제한)][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테라리안, 문서=무기, h=16px)] + [include(틀:c캡션, 사진=CoreofCalamity.png, 이름=재앙의 코어, 문서=재료, h=24px)] (3) + [include(틀:c캡션, 사진=ShadowspecBar.gif, 이름=섀도우스펙 주괴, 문서=재료, h=18px)] (5) [br]@ [include(틀:c캡션, 사진=Draedon%27s_Forge.png, 이름=드레이돈의 용광로, 문서=건축, h=24px)]}}} > '''눈 깜짝할 새에 우주를 파괴해버린다''' [[../아이템#개발자 아이템|개발자 아이템]]. 휘두르는 도중엔 자주색 구체 여러 개가 방출된다. 각각의 구체에서는 히트스캔 레이저가 6개까지 나와 주변의 적을 공격한다. 적을 공격할 때마다 적의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는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 [[https://calamitymod.fandom.com/wiki/Azathoth?file=Azathoth_%2528demo%2529.gif|{{{-2 (공격 사진)}}}]] 다른 요요보다 요요 머리의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른 편이라서 적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 [[아자토스]]는 크툴루 신화에서 등장하는 신이다. ====# [anchor(창)]창 #==== ||
<-2> '''{{{-2 이름}}}''' || '''{{{-2 순수[br]근접}}}''' || '''{{{-2 공격력}}}''' || '''{{{-2 사용[br]시간}}}''' || '''{{{-2 넉백}}}''' || '''{{{-2 치명[br]타율}}}''' || '''{{{-2 자동[br]공격}}}''' || '''{{{-2 등급}}}''' || || [[파일:Calamity/Marnite_Spear.png]] || {{{-2 [[#대리화강암 창|대리화강암 창]]}}}[br]{{{-3 (Marnite Spear)}}} || '''o''' || {{{-2 26}}} || {{{-2 21}}}[br]{{{-3 (빠름)}}} || {{{-2 5.2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Calamity/RedtideSpear.png]] || {{{-2 [[#적조 창|적조 창]]}}}[br]{{{-3 (Redtide Spear)}}} || '''{{{#red x}}}''' || {{{-2 28}}} || {{{-2 25}}}[br]{{{-3 (빠름)}}} || {{{-2 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Calamity/Amidias'_Trident.png]] || {{{-2 [[#아미디아스의 삼지창|아미디아스의 삼지창]]}}}[br]{{{-3 (Amidias' Trident)}}} || '''{{{#red x}}}''' || {{{-2 12}}} || {{{-2 17}}}[br]{{{-3 (매우 빠름)}}} || {{{-2 4.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Calamity/SausageMaker.png]] || {{{-2 [[#소시지 메이커|소시지 메이커]]}}}[br]{{{-3 (Sausage Maker)}}} || '''o''' || {{{-2 36}}} || {{{-2 20}}}[br]{{{-3 (매우 빠름)}}} || {{{-2 6.25}}}[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Calamity/Goldplume_Spear.png]] || {{{-2 [[#금빛깃털 창|금빛깃털 창]]}}}[br]{{{-3 (Goldplume Spear)}}} || '''{{{#red x}}}''' || {{{-2 48}}} || {{{-2 23}}}[br]{{{-3 (빠름)}}} || {{{-2 5.7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Calamity/Earthen_Pike.png]] || {{{-2 [[#토기 파이크|토기 파이크]]}}}[br]{{{-3 (Earthen Pike)}}} || '''{{{#red x}}}''' || {{{-2 50}}} || {{{-2 25}}}[br]{{{-3 (빠름)}}} || {{{-2 7}}}[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Starnight_Lance.png]] || {{{-2 [[#별밤 장창|별밤 장창]]}}}[br]{{{-3 (Starnight Lance)}}} || '''{{{#red x}}}''' || {{{-2 95}}} || {{{-2 23}}}[br]{{{-3 (빠름)}}} || {{{-2 6}}}[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Brimlance.png]] || {{{-2 [[#유황창|유황창]]}}}[br]{{{-3 (Brimlance)}}} || '''o''' || {{{-2 58}}} || {{{-2 19}}}[br]{{{-3 (매우 빠름)}}} || {{{-2 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HellionFlowerSpear.png]] || {{{-2 [[#말썽쟁이 꽃창|말썽쟁이 꽃창]]}}}[br]{{{-3 (Hellion Flower Spear)}}} || '''{{{#red x}}}''' || {{{-2 135}}} || {{{-2 20}}}[br]{{{-3 (매우 빠름)}}} || {{{-2 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TerraLance.png]] || {{{-2 [[#테라 랜스|테라 랜스]]}}}[br]{{{-3 (Terra Lance)}}} || '''{{{#red x}}}''' || {{{-2 88}}} || {{{-2 17}}}[br]{{{-3 (매우 빠름)}}} || {{{-2 8.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VulcaniteLance.png]] || {{{-2 [[#경질 장창|경질 장창]]}}}[br]{{{-3 (Vulcanite Lance)}}} || '''o''' || {{{-2 90}}} || {{{-2 22}}}[br]{{{-3 (빠름)}}} || {{{-2 6.75}}}[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DiseasedPike.png]] || {{{-2 [[#감염된 파이크|감염된 파이크]]}}}[br]{{{-3 (Diseased Pike)}}} || '''o''' || {{{-2 65}}} || {{{-2 20}}}[br]{{{-3 (매우 빠름)}}} || {{{-2 8.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GalvanizingGlaive.png]] || {{{-2 [[#아연도금 창|아연도금 창]]}}}[br]{{{-3 (Galvanizing Glaive)}}} || '''{{{#red x}}}''' || {{{-2 100}}} || {{{-2 21}}}[br]{{{-3 (매우 빠름)}}} || {{{-2 9}}}[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D, bg=#C46210)] || || [[파일:Calamity/Tenebreus_Tides.png]] || {{{-2 [[#어둠의 조류|어둠의 조류]]}}}[br]{{{-3 (Tenebreus Tides)}}} || '''{{{#red x}}}''' || {{{-2 80}}} || {{{-2 14}}}[br]{{{-3 (매우 빠름)}}} || {{{-2 4.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9, bg=cyan)] || || [[파일:Calamity/AstralPike.png]] || {{{-2 [[#아스트랄 파이크|아스트랄 파이크]]}}}[br]{{{-3 (Astral Pike)}}} || '''o''' || {{{-2 90}}} || {{{-2 13}}}[br]{{{-3 (매우 빠름)}}} || {{{-2 8.5}}}[br]{{{-3 (매우 강함)}}} || {{{-2 29%}}} || '''o''' || [include(틀:t등급, n=9, bg=cyan)] || || [[파일:Calamity/ElementalLance.png]] || {{{-2 [[#원소의 장창|원소의 장창]]}}}[br]{{{-3 (Elemental Lance)}}} || '''{{{#red x}}}''' || {{{-2 160}}} || {{{-2 30}}}[br]{{{-3 (보통)}}} || {{{-2 9.5}}}[br]{{{-3 (극도로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1, bg=purple)] || || [[파일:Calamity/GildedProboscis.png]] || {{{-2 [[#황금부리|황금부리]]}}}[br]{{{-3 (Gilded Proboscis)}}} || '''o''' || {{{-2 315}}} || {{{-2 19}}}[br]{{{-3 (매우 빠름)}}} || {{{-2 8.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1, bg=purple)] || || [[파일:Calamity/BansheeHook.png]] || {{{-2 [[#밴시의 갈고리|밴시의 갈고리]]}}}[br]{{{-3 (Banshee Hook)}}} || '''{{{#red x}}}''' || {{{-2 238}}} || {{{-2 21}}}[br]{{{-3 (빠름)}}} || {{{-2 8.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3, bg=limegreen)] || || [[파일:Calamity/InsidiousImpaler.png]] || {{{-2 [[#퍼져나가는 임페일러|퍼져나가는 임페일러]]}}}[br]{{{-3 (Insidious Impaler)}}} || '''{{{#red x}}}''' || {{{-2 210}}} || {{{-2 20}}}[br]{{{-3 (매우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3, bg=limegreen)] || || [[파일:Calamity/StreamGouge.png]] || {{{-2 [[#흐름결|흐름결]]}}}[br]{{{-3 (Stream Gouge)}}} || '''{{{#red x}}}''' || {{{-2 300}}} || {{{-2 -}}}[br]{{{-3 (보통)}}} || {{{-2 9.75}}}[br]{{{-3 (극도로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4, bg=darkblue)] || || [[파일:Calamity/Nadir.png]] || {{{-2 [[#나디르|나디르]]}}}[br]{{{-3 (Nadir)}}} || '''{{{#red x}}}''' || {{{-2 365}}} || {{{-2 18}}}[br]{{{-3 (매우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5, bg=violet)] || ||<-9> {{{#!wiki style="width: 680px; height: 1px; " }}} || ===== 하드모드 이전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적조 창)][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Redtide Spear, 한=적조 창, 사진=RedtideSpear.png, 희소=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8, 시=25, 속=빠름, 넉=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SeaRemains.png, 이름=바다 잔해, 문서=재료, h=16px)] (4)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적에게 천천히 접근하는 침을 쏘아 피격당한 적은 [[테라리아/시스템#독|[[파일:Terraria/Poisoned.png|width=16px]]독]], [[테라리아/시스템#독|[[파일:Terraria/Venom.png|width=16px]]맹독]] 디버프에 걸린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아미디아스의 삼지창)][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midias' Trident, 한=아미디아스의 삼지창, 사진=Amidias'_Trident.png , 희소=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2, 시=17, 속=매우 빠름, 넉=4.5, 강=보통, 치=4)][include(틀:t구입)] [include(틀:c캡션, 사진=SeaKing.png, 이름=바다의 왕,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 청록색 소용돌이를 발사하는 창을 사용한다. 투사체가 벽 통과에 유도성을 띄기에 꽤 쓸만한 편이다. 조가비 부메랑과 복어 철퇴 사이의 징검다리로 쓰기 좋다. 벽 통과가 되기에 탐험시에 여기저기 쑤셔서 광원으로 쓰기도 어느정도 좋은 편. 광신도 이후 [[#어둠의 조류|어둠의 조류]]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소시지 메이커)][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ausage Maker, 한=소시지 메이커, 사진=SausageMaker.png,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6, 시=20, 속=매우 빠름, 넉=6.25, 강=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ThePerforators(R).png, 이름=퍼포레이터즈, 문서=보스)] (25% / {{{#E80 33.33%}}})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척추뼈, 문서=재료, h=16px)] (4) + [include(틀:t캡션, 이름=크림테인 주괴, 문서=재료, h=16px)] (5) + [br][include(틀:c캡션, 사진=Blood_Sample.png, 이름=혈액 샘플,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제단, 문서=가구, h=16px)]}}} 명중 시 유도성 혈액을 발사한다. 기존의 [[테라리아/무기#다크 랜스|다크 랜스]]와 성능이 비슷하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금빛깃털 창)][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Goldplume Spear, 한=금빛깃털 창, 사진=Goldplume_Spear.png,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48, 시=23, 속=빠름, 넉=5.7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태양판 블록, 문서=블록)] (4) + [include(틀:c캡션, 사진=AerialiteBar.png, 이름=창공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늘 방앗간, 문서=가구, h=24px)]}}} 사용 시 중력의 영향을 받는 3개의 깃털을 발사한다. 투사체의 대미지는 기존 무기 대미지의 40%이다. ===== 하드모드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토기 파이크)][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Earthen Pike, 한=토기 파이크, 사진=Earthen_Pike.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50, 시=25, 속=빠름, 넉=7, 강=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EarthElemental(R).png, 이름=대지 정령, 문서=몬스터, h=24px)] (25%)}}} 휘두르면 4개의 중력의 영향을 받는 화석 파편을 발사한다. 창 자체는 4초, 화석 파편은 1초동안 [[../시스템#갑옷 박살|[[파일:Calamity/Armor_Crunch.png|width=16px]]갑옷 박살]] 디버프를 가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별밤 장창)][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tarnight Lance, 한=별밤 장창, 사진=Starnight_Lance.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95, 시=23, 속=빠름, 넉=6,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CryonicBar.png, 이름=냉동석 주괴, 문서=재료, h=24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휘두를 때마다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파일:Terraria/Frostburn.png|width=16px]]서릿불]] 디버프를 100% 확률로 2초 동안 유발하고 2명의 적을 관통하는 발사체를 날린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유황창)][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Brimlance, 한=유황창, 사진=Brimlance.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58, 시=19, 속=매우 빠름, 넉=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BrimstoneElemental(R).png, 이름=브림스톤 엘레멘탈, 문서=보스)] (25% / {{{#E80 33.33%}}})}}} 명중 시 대상에게 유황 폭발을 일으킨다. 이 무기에게 사살당한 적은 유황 불꽃을 남긴다. [[../시스템#유황 불꽃|[[파일:Calamity/Brimstone_Flames.png|width=16px]]유황 불꽃]] 디버프를 폭발은 10초, 불꽃은 5초동안 가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말썽쟁이 꽃창)][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Hellion Flower Spear, 한=말썽쟁이 꽃창, 사진=HellionFlowerSpear.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35, 시=20, 속=매우 빠름, 넉=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PerennialBar.png, 이름=다년생 주괴,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휘두를 때마다 적을 최대 2회 관통하고 지형을 관통하는 발사체를 날린다. 적에게 [[테라리아/시스템#맹독|[[파일:Terraria/Venom.png|width=16px]]맹독]] 디버프를 입힌다. 치명타 공격 시 [[테라리아/장비#오리칼쿰 갑옷|오리칼쿰 갑옷]]의 세트 효과와 동일한 꽃잎이 적의 위치를 향해 날아간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테라 랜스)][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erra Lance, 한=테라 랜스, 사진=TerraLance.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88, 시=17, 속=매우 빠름, 넉=8.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녹조류 파르티잔,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다크 랜스,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궁니르,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Living_Shard.png, 이름=살아있는 파편, 문서=재료, h=16px)] (7)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휘두를 때마다 적과 지형을 관통하는 발사체를 날린다. 달의 군주 이후 [[#원소의 장창|원소의 장창]]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경질 장창)][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Vulcanite Lance, 한=경질 장창, 사진=VulcaniteLance.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90, 시=22, 속=빠름, 넉=6.75,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ScoriaBar.png, 이름=화산암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사용 시 적을 타격할 때마다 사방에서 유도성 투사체가 날아오고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를 반드시 가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감염된 파이크)][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Diseased Pike, 한=감염된 파이크, 사진=DiseasedPike.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65, 시=20, 속=매우 빠름, 넉=8.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ThePlaguebringerGoliath(R).png, 이름=질병전이체 골리앗, 문서=보스)] (25% / {{{#E80 33.33%}}})}}} 적을 타격할 때마다 유도성 발사체 하나가 소환되고 [[../시스템#역병|[[파일:Calamity/Plague2.png|width=16px]]역병]] 디버프를 6초간 가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아연도금 창)][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Galvanizing Glaive, 한=아연도금 창, 사진=GalvanizingGlaive.png, 과정=ⓗ, 색=red, 희소=#C46210,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00, 시=21, 속=빠름, 넉=9,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DubiousPlating.png, 이름=수상한 도금판, 문서=재료, h=16px)] (18) + [include(틀:c캡션, 사진=MysteriousCircuitry.png, 이름=기이한 전기회로,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c캡션, 사진=BarofLife.png, 이름=생명 합금괴,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InfectedArmorPlating.png, 이름=감염된 갑옷 도금판,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br]([[../아이템#암호화된 설계도면(정글)|암호화된 설계도면(정글)]] 해독 이후)}}} 사용 시 무시무시한 언월도처럼 휘두르며 5개의 투사체를 발사한다. 또한 적을 직접 타격 시 1/12 확률로 적에게 지속적인 피해를 입히는 전기장을 생성한다. 또한 특이한 점으로 적의 방어력이 높을수록 대미지가 증가한다. 최대 충전량은 135.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어둠의 조류)][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enebreus Tids, 한=어둠의 조류, 사진=Tenebreus_Tides.png, 과정=ⓗ, 색=red, 희소=cya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80, 시=14, 속=매우 빠름, 넉=4.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Amidias'_Trident.png, 이름=아미디아스의 삼지창, 문서=근접 무기, h=16px)] + [include(틀:c캡션, 사진=Atlantis.png, 이름=아틀란티스, 문서=마법 무기, h=24px)] +[br] [include(틀:t캡션, 이름=인플럭스 웨이버,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PlantyMush.png, 이름=플랜티 곤죽, 문서=재료, h=16px)] (25) +[br] [include(틀:c캡션, 사진=Lumenyl2.png, 이름=루메닐, 문서=재료,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사용 시 기존 창의 대미지의 65%의 대미지를 입히는 투사체를 발사한다. 명중 시 주위에 3개의 추가 투사체가 나타나며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인플럭스 웨이버|인플럭스 웨이버]]의 투사체처럼 추가 공격을 하고 사라진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아스트랄 파이크)][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stral Pike, 한=아스트랄 파이크, 사진=AstralPike.png, 과정=ⓗ, 색=red, 희소=cya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90, 시=13, 속=매우 빠름, 넉=8.5, 강=매우 강함, 치=29)][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AstralBar.png, 이름=아스트랄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치명타 타격 시 대각선 방향에서 무기 대미지의 40%에 해당하는 3개의 벽을 관통하고 유도성이 있는 별 모양 투사체가 적을 타격하고 [[../시스템#아스트랄 전염|[[파일:Calamity/AstralInfection(Debuff).png|width=16px]]아스트랄 전염]] 디버프를 2초간 부여한다. 아스트랄 무기 종류인 만큼 치명타 확률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 ===== 달의 군주 이후 ===== || [[파일:T/PostMoonLord.png]] {{{#white {{{+1 '''달의 군주 이후'''}}}}}} [[파일:T/PostMoonLord.png]]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원소의 장창)][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Elemental Lance, 한=원소의 장창, 사진=ElementalLance.png, 과정=ⓟ, 색=purple, 희소=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60, 시=30, 속=보통, 넉=9.5, 강=극도로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TerraLance.png, 이름=테라 랜스,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북극점,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Galactica_Singularity.gif, 이름=은하의 특이점, 문서=재료, h=24px)] (5) + [br][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공격 시 청록색 투사체를 발사한다. 청록색 투사체가 파란색, 파란색이 분홍색, 분홍색이 주황색으로 분열되어 최대 162개의 투사체들로 분열된다. 모든 투사체는 벽을 통과하며 [[../시스템#원소의 혼합물|[[파일:Calamity/Elemental_Mix.png|width=16px]]원소의 혼합물]] 디버프를 2초동안 가한다. 다만 노리고 쏘기가 힘들다. ||
<-2> '''{{{#fff {{{-2 이름}}}}}}''' || '''{{{#fff {{{-2 지속 시간 (초)}}}}}}''' || '''{{{#fff {{{-2 효과}}}}}}''' || || [[파일:Calamity/ElementalLanceSpear.png]] || {{{-2 원소의 장창}}}[br]{{{-3 (Elemental Lance)}}} || {{{-2 1.5}}} ||{{{-2 플레이어 전방에 휘둘러 청록색 빔 1개를 발사한다.}}}|| || [[파일:Calamity/ElementalLanceCyan.png]] || {{{-2 청록색 빔}}}[br]{{{-3 (Cyan Beam)}}} || {{{-2 3}}} ||{{{-2 매초 3개의 파란색 빔을 발사하여 총 9개의 파란색 빔을 발사한다. 적을 무한 관통한다.}}}|| || [[파일:Calamity/ElementalLanceBlue.png]] || {{{-2 파란색 빔}}}[br]{{{-3 (Blue Beam)}}} || {{{-2 2}}} ||{{{-2 초당 3개의 분홍색 빔을 발사하여 총 6개의 분홍색 빔을 발사한다. 적을 1회 관통한다.}}}|| || [[파일:Calamity/ElementalLancePink.png]] || {{{-2 분홍색 빔}}}[br]{{{-3 (Pink Beam)}}} || {{{-2 1.33}}} ||{{{-2 1초 후 3개의 주황색 빔을 발사한다. 적을 관통하지 못한다.}}}|| || [[파일:Calamity/ElementalLanceOrange.png]] || {{{-2 주황색 빔}}}[br]{{{-3 (Orange Beam)}}} || {{{-2 0.83}}} ||{{{-2 적을 관통하지 못한다.}}}|| 신들의 포식자 격파 이후 [[#나디르|나디르]]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황금부리)][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Gilded Proboscis, 한=황금부리, 사진=GildedProboscis.png, 과정=ⓟ, 색=purple, 희소=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15, 시=19, 속=매우 빠름, 넉=8.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Bumblebirb.png, 이름=어리석은 용, 문서=보스, h=24px)] (25% / {{{#E80 33.33%}}})}}} 명중할 때마다 플레이어의 체력을 1씩 회복시킨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밴시의 갈고리)][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Banshee Hook, 한=밴시의 갈고리, 사진=BansheeHook.png, 과정=ⓟ, 색=purple, 희소=lime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38, 시=21, 속=빠름, 넉=8.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Polterghast(R).png, 이름=폴터가스트, 문서=보스)] (25% / {{{#E80 33.33%}}})}}} 기존의 [[테라리아/무기#무시무시한 월도|무시무시한 월도]]처럼 각도를 살짝 틀어지도록 하면서 공격하며, 휘두를 때마다 창의 끝과 똑같이 생긴 갈고리 모양 검기 5개를 날린다. 검기는 지형 관통이 되고 무한관통도 달려있다. 검 자체는 적에게 폭발을 일으킨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Banshee_Hook_(demo).gif|{{{-2 (공격 사진)}}}]] 의외로 공격 속도가 빨라 지속적으로 맞출 수 있다면 상당한 피해를 줄 수 있다. 보라색 패턴의 디오갓한테 사용해서 폭딜을 넣을 수도 있어서[* 빠른 공속+관통 투사체 덕에 은근히 대미지가 잘 들어간다.] 대 디오갓 무장으로 쓰기에도 좋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퍼져나가는 임페일러)][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Insidious Impaler, 한=퍼져나가는 임페일러, 사진=InsidiousImpaler.png, 과정=ⓟ, 색=purple, 희소=lime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10, 시=20, 속=매우 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TheOldDuke.png, 이름=늙은 공작, 문서=보스, h=24px)] (25% / {{{#E80 33.33%}}})}}} 사용 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투사체를 발사하고 적에게 맟히면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인 피해를 입힌다. 해당 적이 죽으면 투사체는 사라진다. 또한 창 자체의 공격과 투사체는 6초간 [[테라리아/시스템#맹독|[[파일:Terraria/Venom.png|width=16px]]맹독]] 디버프와 [[../시스템#황산 중독|[[파일:Calamity/SulphuricPoisoning.png|width=16px]]황산 중독]] 디버프를 가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흐름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tream Gouge, 한=흐름결, 사진=StreamGouge.png, 과정=ⓟ, 색=purple, 희소=dark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00, 시=-, 속=보통, 넉=9.75, 강=극도로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liteBar.gif, 이름=코스밀라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적의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고 최대 9마리의 적을 관통하며 사용할 때마다 [[../시스템#신살자의 불길|[[파일:Calamity/GodSlayerInferno.png|width=16px]]신살자의 불길]] 디버프를 유발하는 창을 발사한다. 2.0 이후로 공격방식이 변경되었는데, 마우스를 누르고 있으면 창을 몇 번 돌리다 창 끝에서 포탈을 생성, 커서 주변에에 포탈 여러 개가 사방에서 창 형태의 투사체를 소환해 적을 공격한다. 소환되는 포탈은 커서의 위치를 따라간다. 사실상 아래 [[#잔혹|잔혹]]의 열화판격이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나디르)][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Nadir, 한=나디르, 사진=Nadir.png, 과정=ⓟ, 색=purple,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65, 시=18, 속=매우 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ElementalLance.png, 이름=원소의 장창,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TwistingNether.png, 이름=뒤틀린 황천, 문서=재료, h=24px)] (5) + [br][include(틀:c캡션, 사진=Auric_Bar.gif, 이름=오릭 주괴, 문서=재료, h=24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DarksunFragment.png, 이름=암흑태양 파편, 문서=재료, h=24px)] (8) + [br]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사용할 때마다 지형을 관통하고 적에게 유도되는 공허의 정수를 발사한다. 공허의 정수는 적과 접촉 시 서서히 느려지다가 대미지를 여러 번 입히고 사라진다. 공허의 정수가 적과 접촉하거나 적 가까이에 있으면 근처의 타겟에게 유도되는 촉수가 추가로 뻗어져 나간다. 포팅 이후 어째서인지 재료가 코스밀라이트 주괴에서 오릭 주괴로 바뀌었다. 창과 공허의 정수, 촉수는 적의 무적 프레임을 무시한다. 참고로 무기의 이름인 나디르는 저점, 최악의 상황, 혹은 천문 용어로 천저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정점을 뜻하는 테라리아 최종 무장인 [[테라리아/무기#제니스|제니스]]와 대비되는 명칭이다. ====# [anchor(철퇴)]철퇴 #==== ||
<-2> '''{{{-2 이름}}}''' || '''{{{-2 순수[br]근접}}}''' || '''{{{-2 공격력}}}''' || '''{{{-2 사용[br]시간}}}''' || '''{{{-2 넉백}}}''' || '''{{{-2 치명[br]타율}}}''' || '''{{{-2 자동[br]공격}}}''' || '''{{{-2 등급}}}''' || || [[파일:Calamity/UrchinMace.png]] || {{{-2 [[#성게 메이스|성게 메이스]]}}}[br]{{{-3 (Urchin Mace)}}} || '''{{{#red x}}}''' || {{{-2 20}}} || {{{-2 19}}}[br]{{{-3 (매우 빠름)}}} || {{{-2 4}}}[br]{{{-3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Calamity/UrchinFlail.png]] || {{{-2 [[#성게 철퇴|성게 철퇴]]}}}[br]{{{-3 (Urchin Flail)}}} || '''{{{#red x}}}''' || {{{-2 33}}} || {{{-2 25}}}[br]{{{-3 (빠름)}}} || {{{-2 6}}}[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Calamity/YateveoBloom.png]] || {{{-2 [[#야테베오의 꽃|야테베오의 꽃]]}}}[br]{{{-3 (Yateveo Bloom)}}} || '''o''' || {{{-2 30}}} || {{{-2 22}}}[br]{{{-3 (빠름)}}} || {{{-2 5}}}[br]{{{-3 (보통)}}} || {{{-2 4%}}} || '''{{{#red x}}}'''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Calamity/BallO'Fugu.png]] || {{{-2 [[#복어의 철퇴|복어의 철퇴]]}}}[br]{{{-3 (Ball O' Fugu)}}} || '''{{{#red x}}}''' || {{{-2 40}}} || {{{-2 20}}}[br]{{{-3 (매우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Calamity/ClamCrusher.png]] || {{{-2 [[#조개 분쇄기|조개 분쇄기]]}}}[br]{{{-3 (Clam Crusher)}}} || '''{{{#red x}}}''' || {{{-2 100}}} || {{{-2 50}}}[br]{{{-3 (극도로 느림)}}} || {{{-2 10}}}[br]{{{-3 (극도로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Tumbleweed.png]] || {{{-2 [[#회전초|회전초]]}}}[br]{{{-3 (Tumbleweed)}}} || '''{{{#red x}}}''' || {{{-2 125}}} || {{{-2 20}}}[br]{{{-3 (매우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Nebulash.png]] || {{{-2 [[#성운 채찍|성운 채찍]]}}}[br]{{{-3 (Nebulash)}}} || '''{{{#red x}}}''' || {{{-2 60}}} || {{{-2 18}}}[br]{{{-3 (매우 빠름)}}} || {{{-2 2}}}[br]{{{-3 (매우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Rem'sRevenge.png]] || {{{-2 [[#렘의 복수|렘의 복수]]}}}[br]{{{-3 (Rem's Revenge)}}} || '''{{{#red x}}}''' || {{{-2 375}}} || {{{-2 15}}}[br]{{{-3 (매우 빠름)}}} || {{{-2 10}}}[br]{{{-3 (극도로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1, bg=purple)] || || [[파일:Calamity/PulseDragon.png]] || {{{-2 [[#펄스 드래곤|펄스 드래곤]]}}}[br]{{{-3 (Pulse Dragon)}}} || '''{{{#red x}}}''' || {{{-2 300}}} || {{{-2 20}}}[br]{{{-3 (매우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D, bg=#C46210)] || || [[파일:Calamity/Mourningstar.png]] || {{{-2 [[#모닝스타|모닝스타]]}}}[br]{{{-3 (Mourningstar)}}} || '''{{{#red x}}}''' || {{{-2 127}}} || {{{-2 10}}}[br]{{{-3 (매우 빠름)}}} || {{{-2 2.5}}}[br]{{{-3 (매우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2, bg=turquoise)] || || [[파일:Calamity/Crescent_Moon.png]] || {{{-2 [[#초승달|초승달]]}}}[br]{{{-3 (Cresent Moon)}}} || '''{{{#red x}}}''' || {{{-2 380}}} || {{{-2 18}}}[br]{{{-3 (매우 빠름)}}} || {{{-2 4}}}[br]{{{-3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3, bg=limegreen)] || || [[파일:Calamity/CosmicDischarge.png]] || {{{-2 [[#전우주의 방출기|전우주의 방출기]]}}}[br]{{{-3 (Cosmic Discharge)}}} || '''{{{#red x}}}''' || {{{-2 400}}} || {{{-2 15}}}[br]{{{-3 (매우 빠름)}}} || {{{-2 0.5}}}[br]{{{-3 (극도로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4, bg=darkblue)] || || [[파일:Calamity/DragonPow.png]] || {{{-2 [[#드래곤 파우|드래곤 파우]]}}}[br]{{{-3 (Dragon Pow)}}} || '''{{{#red x}}}''' || {{{-2 660}}} || {{{-2 20}}}[br]{{{-3 (매우 빠름)}}} || {{{-2 9}}}[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5, bg=violet)] || || [[파일:Calamity/SpineofThanatos.png]] || {{{-2 [[#타나토스의 척추|타나토스의 척추]]}}}[br]{{{-3 (Spine of Thanatos)}}} || '''{{{#red x}}}''' || {{{-2 128}}} || {{{-2 24}}}[br]{{{-3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red x}}}''' || [include(틀:t등급, n=15, bg=violet)] || ||<-9> {{{#!wiki style="width: 600px; height: 1px; " }}} || ===== 하드모드 이전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성게 메이스)][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Urchin Mace, 한=성게 메이스, 사진=UrchinMace.png, 희소=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0, 시=19, 속=매우 빠름, 넉=4, 강=약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SeaRemains.png, 이름=바다 잔해, 문서=재료, h=16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휘두를 때마다 절반의 공격력을 가진 워터 사이클론을 발사한다. 사이클론은 짧은 거리를 이동하다가 사라진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성게 철퇴)][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Urchin Flail, 한=성게 철퇴, 사진=UrchinFlail.png , 희소=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33, 시=25, 속=빠름, 넉=6, 강=보통, 치=4)][include(틀:t구입)] [include(틀:c캡션, 사진=SeaKing.png, 이름=바다의 왕,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 적에게 명중 시 [[테라리아/시스템#맹독|[[파일:Terraria/Venom.png|width=16px]]맹독]] 디버프를 100% 확률로 5초간 유발하는 성게 가시가 적에게 발사된다. 달의 군주 이후엔 [[#드래곤 파우|드래곤 파우]]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야테베오의 꽃)][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Yateveo Bloom, 한=야테베오의 꽃, 사진=YateveoBloom.png, 희소=green, 유형=근접 무기, 공=30, 시=22, 속=빠름, 넉=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정글 장미, 문서=장비)] + [include(틀:t캡션, 이름=덩굴, 문서=재료)] (2) + [include(틀:t캡션, 이름=독침, 문서=재료)] (4) + [include(틀:t캡션, 이름=정글 포자, 문서=재료)] (12) + [include(틀:t캡션, 이름=진한 마호가니, 문서=블록,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좌클릭 시 철퇴가 나가며, 우클릭 시 기본 공격력의 2/3을 가진 꽃창이 나간다. 피격당한 적은 3초간 [[테라리아/시스템#독|[[파일:Terraria/Poisoned.png|width=16px]]독]], 1.5초간 [[테라리아/시스템#맹독|[[파일:Terraria/Venom.png|width=16px]]맹독]] 디버프에 100% 확률로 걸린다. 창으로 사용 시에는 자동 공격이 활성화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복어의 철퇴)][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Ball O' Fugu, 한=복어의 철퇴, 사진=BallO'Fugu.png,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40, 시=20, 속=매우 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보물)] [[../지형#심연|심연]]의 [[파일:Terraria/LockedShadowChest.png|height=14px]] 잠긴 그림자 상자[br]([[파일:Terraria/그림자 열쇠.png|height=16px]] [[테라리아/소모품#그림자 열쇠|그림자 열쇠]] 요구)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c캡션, 사진=Abyssal_Crate.png, 이름=심연의 크레이트, 문서=소모품, h=24px)] (10%)[br]([[../보스#슬라임 갓|슬라임 갓]] / [[테라리아/보스#월 오브 플레시|월 오브 플레시]] 격파 이후)}}} 사용 시 기존의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플레어론|플레어론]]과 비슷하게 철퇴에서 느리게 발사되는 유도성 투사체가 나온다. 철퇴 자체는 4초, 투사체는 3초동안 [[테라리아/시스템#맹독|[[파일:Terraria/Poison.png|width=16px]]독]] 디버프를 가한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Ball_O%27_Fugu_(demo).gif|{{{-2 (공격 사진)}}}]] 투사체의 딜링이 상당한 편이라, 기존의 플레어론처럼 적을 바로 맞추기보단 일부러 조금 빗겨가게 해서 조금이라도 더 많은 투사체를 만들어내는 게 관건. 하드모드 이전 워리어 플레이어들의 희망이나 마찬가지인 무기이다. 이전에는 월오플을 분쇄해버릴 수 있는 무기였는데, 벌류탄과 대등한, 혹은 그를 상회하는 위력때문에 디버프가 맹독에서 독으로 바뀌는 치명적인 너프를 받고 성능이 급락했다. 여전히 월오플을 잡는데 아예 못 쓸 수준은 아니긴 하나, 헝그리 처리 능력도 구리고 특히 날아다니는 형그리를 잡기 정말 힘들어서 본체에게 딜을 박기가 힘들다. 심지어 어떻게든 본체를 공격해봐도 dps가 영 좋지 못해서 그리 매력적인 선택이라곤 할 수 없다. 슬라임 갓에게 박히는 딜 또한 예전만하지 못한데, 다른 무기를 쓰느니 유도 달린 이 무기가 나아서 슬라임 갓 격파때는 채용 가치가 있다. 달의 군주 이후엔 [[#드래곤 파우|드래곤 파우]]의 재료로 쓰인다. ===== 하드모드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조개 분쇄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Clam Crusher, 한=조개 분쇄기, 사진=ClamCrusher.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00, 시=50, 속=극도로 느림, 넉=10, 강=극도로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GiantClam.png, 이름=대합 조개, 문서=몬스터, h=24px)] (25%) (하드모드에서)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c캡션, 사진=Sunken_Crate.png, 이름=가라앉은 크레이트, 문서=소모품, h=24px)] (7%)[br](하드모드에서의 [[../몬스터#대합 조개|대합 조개]] 격파 이후)}}} 적에게 [[../시스템#부영양화|[[파일:Calamity/Eutrophication.png|width=16px]]부영양화]] 디버프를 1-2초 발생시킨다. 공중으로 발사된 후 철퇴의 머리 부분이 땅으로 내리꽂히면 적에게 가하는 피해량은 2.5배로 늘어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회전초)][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umbleweed, 한=회전초, 사진=Tumbleweed.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25, 시=20, 속=매우 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선퓨리,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GrandScale.png, 이름=거대한 비늘, 문서=재료,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힘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5) [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적을 타격하면 사슬이 끊어지고 철퇴의 머리 부분인 회전초가 직선을 그리며 나아간다. 이 회전초는 (사슬이 끊어질 때의 첫 회를 제외하고) 적을 최대 7회 관통할 수 있다. 달의 군주 이후엔 [[#드래곤 파우|드래곤 파우]]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성운 채찍)][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Nebulash, 한=성운 채찍, 사진=Nebulash.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60, 시=18, 속=매우 빠름, 넉=2, 강=매우 약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AstrumAureus(R).png, 이름=아스트럼 아우레우스, 문서=보스)] (25% / {{{#E80 33.33%}}})}}} 사용 시 기존의 테라리아에 존재하던 [[테라리아/무기#태양 폭발|태양 폭발]]과 비슷하게 지형 관통의 채찍을 휘둘러 공격한다. 적에게 [[../시스템#아스트랄 전염|[[파일:Calamity/AstralInfection(Debuff).png|width=16px]]아스트랄 전염]] 디버프를 2초동안 가한다. 무슨 이유인지, 태양 폭발과는 달리 잡초나 덩굴을 없애지 못한다. 이는 [[#전우주의 방출기|전우주의 방출기]]나 [[#모닝스타|모닝스타]]도 마찬가지. ===== 달의 군주 이후 ===== || [[파일:T/PostMoonLord.png]] {{{#white {{{+1 '''달의 군주 이후'''}}}}}} [[파일:T/PostMoonLord.png]]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렘의 복수)][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Rem's Revenge, 한=렘의 복수, 사진=Rem'sRevenge.png, 과정=ⓟ, 색=purple, 희소=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75, 시=15, 속=매우 빠름, 넉=10, 강=극도로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블루 문, 문서=무기/근접 무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Lumenyl2.png, 이름=루메닐, 문서=재료, h=16px)] (10)[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사용 시 적을 3체 관통하고 명중 시 적의 방어력을 20 깎는 [[../시스템#시듦|[[파일:Calamity/Wither.png|width=16px]]시듦]] 디버프를 가하고 처음 다섯번 째 공격 때는 무기 공격력의 50%의 폭발을 일으키고 [[../시스템#불타는 피|[[파일:Calamity/Burning_Blood.png|width=16px]]불타는 피]] 디버프를 가한다. 모티브는 [[리제로]]의 [[렘(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렘]].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펄스 드래곤)][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Pulse Dragon, 한=펄스 드래곤, 사진=PulseDragon.png, 과정=ⓟ, 색=purple, 희소=#C46210,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00, 시=20, 속=매우 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MysteriousCircuitry.png, 이름=기이한 전기회로, 문서=재료, h=24px)] (12) + [include(틀:c캡션, 사진=DubiousPlating.png, 이름=수상한 도금판, 문서=재료, h=24px)] (18) + [include(틀:c캡션, 사진=UelibloomBar.png, 이름=유리블룸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4)[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br]([[../아이템#암호화된 설계도면(지하세계)|암호화된 설계도면(지하세계)]] 해독 이후)}}} 사용 시 철퇴 2개를 채찍처럼 곡선으로 휘두르며 철퇴가 지나간 궤적에 따라 최대 8개의 전기장을 형성한다. 무기물로 이루어진 적은 대상의 최대 체력의 1/300가 철퇴의 공격력에 더해진다. 무기 자체에 지형 관통은 없으므로 주의할 것. 최대 충전량은 190.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모닝스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Mourningstar, 한=모닝스타, 사진=Mourningstar.png, 과정=ⓟ, 색=purple,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27, 시=10, 속=매우 빠름, 넉=2.5, 강=매우 약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태양 폭발,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CoreofChaos.png, 이름=혼돈의 코어, 문서=재료, h=24px)] (6) + [include(틀:c캡션, 사진=CoreofSunlight.png, 이름=햇빛의 결정, 문서=재료, h=24px)] (6) + [include(틀:c캡션, 사진=Divine_Geode.png, 이름=신의 정동, 문서=재료, h=24px)] (6)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테라리아/무기#태양 폭발|태양 폭발]]의 업그레이드 버전. 공격 방식은 비슷하다. 차이점은 2개의 철퇴를 발사하며 발사속도가 굉장히 빠르다는 점. 적에게 [[테라리아/시스템#여명맞이|[[파일:Terraria/Daybroken.png|width=16px]]여명맞이]] 디버프를 5초간 입힌다. [[#드래곤 파우|드래곤 파우]]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초승달)][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Crescent Moon, 한=초승달, 사진=Crescent_Moon.png, 과정=ⓟ, 색=purple, 희소=lime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80, 시=18, 속=매우 빠름, 넉=4, 강=약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Lumenyl2.png, 이름=루메닐, 문서=재료, h=24px)] (8) + [include(틀:c캡션, 사진=Ruinous_Soul.gif, 이름=파멸의 영혼, 문서=재료, h=24px)] (3) + [include(틀:c캡션, 사진=ExodiumCluster.png, 이름=익소듐 뭉치, 문서=재료, h=24px)] (16)[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태양 폭발과 비슷한 공격방식으로 사거리는 짧지만 지형 관통이 되는 철퇴를 발사하며, 철퇴가 지나간 자리에 무기 대미지의 40%의 공격력을 입히는 초생달 모양의 검기 여러 개를 남긴다. [[../시스템#나이트위더|[[파일:Calamity/Nightwither2.png|width=16px]]나이트위더]] 디버프를 철퇴는 4초, 초승달 검기는 3초동안 가한다. 패치로 공격력이 380으로 상승하고 유도성 검기의 유도력이 늘었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전우주의 방출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Cosmic Discharge, 한=전우주의 방출기, 사진=CosmicDischarge.png, 과정=ⓟ, 색=purple, 희소=dark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400, 시=15, 속=매우 빠름, 넉=0.5, 강=극도로 약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TheDevourerofGods(R).png, 이름=신들의 포식자, 문서=보스)] (10%)}}} 기존의 [[테라리아/무기#태양 폭발|태양 폭발]]과 비슷하게 지형 관통의 길고 뾰족한 채찍을 휘둘러 접촉한 적에게 폭발을 일으켜 피해를 준다. 피격당한 적은 [[테라리아/시스템#서릿불|[[파일:Terraria/Frostburn.png|width=16px]]서릿불]], [[../시스템#빙하 상태|[[파일:Calamity/Glacial_State.png|width=16px]]빙하 상태]], [[../시스템#나이트위더|[[파일:Calamity/Nightwither2.png|width=16px]]나이트위더]] 디버프에 걸려 지속적인 피해를 입는다. 또한 공격이 명중 시 [[../시스템#코스믹 프리즈|[[파일:Calamity/Cosmic_Freeze.png|width=16px]]코스믹 프리즈]] 버프를 5초간 받아 체력 재생률이 높아지고 플레이어의 일정 범위 내로 들어온 적들을 동결시킨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Cosmic_Discharge_(demo).gif|{{{-2 (공격 사진)}}}]] 해당 시점 무기치곤 비교적 빈약한 공격 방식이지만, 위의 압도적인 공격력 덕분에 마침 [[테라리아/보스#신들의 포식자|신들의 포식자]] 처치 이후 대폭 강화된 [[테라리아/이벤트#펌킨 문|펌킨 문]]이나 [[테라리아/이벤트#프로스트 문|프로스트 문]]에서 다수의 적을 상대할 때 사용하기 매우 좋다. 마법 무기 [[../마법 무기#신격화|신격화]]의 제작에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드래곤 파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Dragon Pow, 한=드래곤 파우, 사진=DragonPow.png, 과정=ⓟ, 색=purple,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660, 시=20, 속=매우 빠름, 넉=9,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플라워 파우,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다오 오브 파우,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플레어론,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Mourningstar.png, 이름=모닝스타,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UrchinFlail.png, 이름=성게 철퇴,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Tumbleweed.png, 이름=회전초,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BallO'Fugu.png, 이름=복어의 철퇴,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YharonSoulFragment.png, 이름=야론의 영혼 파편, 문서=재료, h=24px)] (4) + [include(틀:c캡션, 사진=AuricBar.gif, 이름= 오릭 주괴, 문서= 재료, h=24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던지면 작은 불똥이 여러개가 나오면서 같이 나간다. 적에게 적중하면 화면 밖에서 분홍색 꽃이 맞춘적에게 빠르게 발사된다. 주황색 불꽃은 [[테라리아/시스템#여명맞이|[[파일:Terraria/Daybroken.png|width=16px]]여명맞이]] 디버프를, 노란색 불꽃은 [[../시스템#신성한 불꽃|[[파일:Calamity/Holy_Flames.png|width=16px]]신성한 불꽃]] 디버프를 3초간 가하며 철퇴 자체는 2개의 디버프를 3초간 부여한다. 단일 대상 dps로는 극후반 워리어 무기중 최상급이라 잘 다룰 수 있다면 슈칼전에서 좋은 편. 사방에서 날아오는 투사체가 아레스를 정확히 요격하므로 엑소 메카전에서도 쓸만하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타나토스의 척추)][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pine of Thanatos, 한=타나토스의 척추, 사진=SpineofThanatos.png, 과정=ⓟ, 색=purple, 희소=violet, 유형=근접 무기, 공=128, 시=24, 속=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XM-05ThanatosHead.png, 이름=XM-05 타나토스, 문서=보스, h=24px)] (100%)}}} --타나토스:[[뭐야 시발 돌려줘요|뭐야 X발 돌려줘요]]-- 드레이돈 업데이트 이후 새로나온 철퇴. 사용 시 태양폭발과 같은 형태의 3개의 철퇴를 발사하고 3개의 철퇴가 맞닿는 부분에 폭발과 동시에 12갈래의 부채꼴 형태의 무지개빛 광선을 생성한다.[[https://calamitymod.fandom.com/wiki/Spine_of_Thanatos?file=Spine_of_Thanatos_%2528demo%2529.gif|공격 사진]] 무지개광선은 유도 기능이 있다. 무지개광선은 적에게 [[../시스템#미라클 블라이트|[[파일:Calamity/MiracleBlight.png|width=16px]]미라클 블라이트]] 디버프를 5초간 가한다. 패치로 위력이 260에서 150으로 팍 줄었다. 그래도 엑소블레이드보단 여전히 위력이 뛰어나나, 아쉽긴 하다. ====# 부메랑 #==== ||
<-2> '''{{{#fff {{{-2 이름}}}}}}''' || '''{{{#fff {{{-2 공격력}}}}}}''' || '''{{{#fff {{{-2 사용[br]시간}}}}}}''' || '''{{{#fff {{{-2 넉백}}}}}}''' || '''{{{#fff {{{-2 치명[br]타율}}}}}}''' || '''{{{#fff {{{-2 자동[br]공격}}}}}}''' || '''{{{#fff {{{-2 등급}}}}}}''' || || [[파일:Calamity/SeekingScorcher.png]] || {{{-2 [[#추적 스코처|추적 스코처]]}}}[br]{{{-3 (Seeing Scorcher)}}} || {{{-2 177}}} || {{{-2 16}}}[br]{{{-3 (매우 빠름)}}} || {{{-2 8.5}}}[br]{{{-3 (매우 강함)}}} || {{{-2 4%}}}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12, bg=turquoise)] || || [[파일:Calamity/Triactis'_True_Paladinian_Mage-Hammer_of_Might.png]] || {{{-2 [[#트리엑티스의 진정한 수호자의 마법망치|{{{#!html 트리엑티스의 진정한 수호자의 마법망치}}}]]}}}[br]{{{-3 (Triactis' True Paladinian Mage-Hammer of Might)}}} || {{{-2 2,000}}} || {{{-2 9}}}[br]{{{-3 (매우 빠름)}}} || {{{-2 50}}}[br]{{{-3 (상식을 벗어남)}}} || {{{-2 4%}}}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16, bg=hotpink)] || ||<-8> {{{#!wiki style="width: 715px; height: 1px; " }}} || ===== 달의 군주 이후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추적 스코처)][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eeking Scorcher, 한=추적 스코처, 사진=SeekingScorcher.png, 과정=ⓟ, 색=purple,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77, 시=16, 속=빠름, 넉=8.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빙의된 손도끼, 문서=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Divine_Geode.png, 이름=신의 정동, 문서=재료, h=24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UelibloomBar.png, 이름=유리블룸 주괴, 문서=재료, h=24px)] (9) [br] [include(틀:c캡션, 사진=UnholyEssence.png, 이름=부정한 정수, 문서=재료, h=24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귀신들린 손도끼의 강화판. 최대 3마리의 적을 추적하는 도끼를 던진다. 도끼는 반드시 [[../시스템#신성한 불꽃|[[파일:Calamity/Holy_Flames.png|width=16px]]신성한 불꽃]] 디버프를 가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트리엑티스의 진정한 수호자의 마법망치)][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riactis' True Paladinian Mage-Hammer of Might, 한=트리엑티스의 진정한 수호자의 마법망치, 사진=Triactis'_True_Paladinian_Mage-Hammer_of_Might.png, 과정=ⓟ, 색=purple, 희소=hot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000, 시=9, 속=매우 빠름, 넉=50, 강=상식을 벗어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GalaxySmasher.png, 이름=은하 분쇄기,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힘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30) + [br][include(틀:c캡션, 사진=ShadowspecBar.gif, 이름=섀도우스펙 주괴, 문서=재료, h=18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Draedon%27s_Forge.png, 이름=드레이돈의 용광로, 문서=건축, h=24px)]}}} [[#완전한 승리의 망치|완전한 승리의 망치]] 시리즈의 최종 업그레이드. 무제한의 적을 관통할 수 있고 명중 시 폭발을 일으킨다. 폭발은 무기 대미지의 25%의 피해를 입히고 무적 프레임을 무시한다. [[https://calamitymod.fandom.com/wiki/Triactis'_True_Paladinian_Mage-Hammer_of_Might?file=Triactis%27_True_Paladinian_Mage-Hammer_of_Might_%28demo%29.gif|(공격 사진)]] 엄청난 크기의 투사체 덕분에 타격이 들어가는 판정이 넓어서 슈칼전에서 브림스톤 심장이나 슈프림 소울 시커를 굉장히 빠른 속도로 철거해버리는 위력을 자랑한다. 타나토스 또한 순식간에 갈아버린다. 여담으로 이 무기는 고유 희귀도를 가지고 있다. 희귀도는 {{{#E3E2B4 그레인 브라운}}}이지만 일관성을 위해 {{{#hotpink 핫핑크}}}로 구분한다. ====# [anchor(근접 기타)]기타 #==== ||
<-2> '''{{{-2 이름}}}''' || '''{{{-2 순수[br]근접}}}''' || '''{{{-2 공격력}}}''' || '''{{{-2 사용[br]시간}}}''' || '''{{{-2 넉백}}}''' || '''{{{-2 치명[br]타율}}}''' || '''{{{-2 자동[br]공격}}}''' || '''{{{-2 등급}}}''' || || [[파일:Calamity/WulfrumScrewdriver.png]] || {{{-2 [[#울프럼 스크루드라이버|울프럼 스크루드라이버]]}}}[br]{{{-3 (Wulfrum Screwdriver)}}} || '''{{{#red x}}}''' || {{{-2 9}}} || {{{-2 24}}}[br]{{{-3 (느림)}}} || {{{-2 3.75}}}[br]{{{-3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 || [[파일:Calamity/MonstrousKnives.png]] || {{{-2 [[#괴물같은 단검|괴물같은 단검]]}}}[br]{{{-3 (Monstrous Knives)}}} || '''{{{#red x}}}''' || {{{-2 4}}} || {{{-2 20}}}[br]{{{-3 (매우 빠름)}}} || {{{-2 3}}}[br]{{{-3 (매우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 || [[파일:Calamity/BladecrestOathsword.png]] || {{{-2 [[#칼날문장 맹검|칼날문장 맹검]]}}}[br]{{{-3 (Bladecrest Oathsword)}}} || '''{{{#red x}}}''' || {{{-2 25}}} || {{{-2 24}}}[br]{{{-3 (빠름)}}} || {{{-2 4}}}[br]{{{-3 (약함)}}} || {{{-2 4%}}}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Calamity/OldLordOathsword.png]] || {{{-2 [[#오래된 군주의 맹검|오래된 군주의 맹검]]}}}[br]{{{-3 (Old Lord Oathsword)}}} || '''o''' || {{{-2 60}}} || {{{-2 23}}}[br]{{{-3 (빠름)}}} || {{{-2 7}}}[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Calamity/BrokenBiomeBlade.png]] || {{{-2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br]{{{-3 (Biome Blade)}}} || '''{{{#green o}}}''' || {{{-2 47}}} || {{{-2 29}}}[br]{{{-3 (보통)}}} || {{{-2 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3, bg=orange)] || || [[파일:Calamity/FracturedArk.png]] || {{{-2 [[#파편화된 방주|파편화된 방주]]}}}[br]{{{-3 (Fractured Ark)}}} || '''{{{#green o}}}''' || {{{-2 60}}} || {{{-2 22}}}[br]{{{-3 (빠름)}}} || {{{-2 6.25}}}[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4, bg=lightcoral)] || || [[파일:Calamity/Bonebreaker.png]] || {{{-2 [[#본브레이커|본브레이커]]}}}[br]{{{-3 (Bone Breaker)}}} || '''{{{#red x}}}''' || {{{-2 60}}} || {{{-2 14}}}[br]{{{-3 (매우 빠름)}}} || {{{-2 7}}}[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5, bg=pink)] || || [[파일:Calamity/Pwnagehammer2.png]] || {{{-2 [[#완전한 승리의 망치|완전한 승리의 망치]]}}}[br]{{{-3 (Pwnagehammer)}}} || '''{{{#red x}}}''' || {{{-2 210}}} || {{{-2 47}}}[br]{{{-3 (극도로 느림)}}} || {{{-2 10}}}[br]{{{-3 (극도로 강함)}}} || {{{-2 14%}}}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6, bg=mediumpurple)] || || [[파일:Calamity/Biome_Blade.png]] || {{{-2 [[#바이옴 블레이드|바이옴 블레이드]]}}}[br]{{{-3 (Biome Blade)}}} || '''{{{#green o}}}''' || {{{-2 80}}} || {{{-2 20}}}[br]{{{-3 (매우 빠름)}}} || {{{-2 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6, bg=mediumpurple)] || || [[파일:Calamity/Typhon'sGreed.png]] || {{{-2 [[#태풍의 탐욕|태풍의 탐욕]]}}}[br]{{{-3 (Typhon's Greed)}}} || '''{{{#red x}}}''' || {{{-2 65}}} || {{{-2 30}}}[br]{{{-3 (보통)}}} || {{{-2 5}}}[br]{{{-3 (보통)}}} || {{{-2 4%}}} || '''o'''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 || [[파일:Calamity/Ark_of_the_Ancients.png]] || {{{-2 [[#고대의 방주|고대의 방주]]}}}[br]{{{-3 (Ark of the Ancients)}}} || '''{{{#red x}}}''' || {{{-2 188}}} || {{{-2 25}}}[br]{{{-3 (빠름)}}} || {{{-2 6.5}}}[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StygianShield.png]] || {{{-2 [[#스티기안의 방패|스티기안의 방패]]}}}[br]{{{-3 (Stygian Shield)}}} || '''{{{#red x}}}''' || {{{-2 200}}} || {{{-2 46~55}}}[br]{{{-3 (극도로 느림)}}} || {{{-2 -}}}[br]{{{-3 ()}}} || {{{-2 4%}}} || '''{{{#red x}}}'''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FallenPaladin'sHammer.png]] || {{{-2 [[#몰락한 팔라딘의 망치|몰락한 팔라딘의 망치]]}}}[br]{{{-3 (Fallen Paladin's Hammer)}}} || {{{-2 368}}} || {{{-2 57}}}[br]{{{-3 (굼벵이)}}} || {{{-2 20}}}[br]{{{-3 (상식을 벗어남)}}} || {{{-2 4%}}}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True_Biome_Blade.png]] || {{{-2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br]{{{-3 (True Biome Blade)}}} || '''{{{#green o}}}''' || {{{-2 200}}} || {{{-2 17}}}[br]{{{-3 (매우 빠름)}}} || {{{-2 8}}}[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9, bg=cyan)] || || [[파일:Calamity/Omniblade(1).png]] || {{{-2 [[#옴니블레이드|옴니블레이드]]}}}[br]{{{-3 (Omniblade)}}} || '''o''' || {{{-2 100}}} || {{{-2 9}}}[br]{{{-3 (매우 빠름)}}} || {{{-2 6}}}[br]{{{-3 (보통)}}} || {{{-2 49%}}} || '''o''' || [include(틀:t등급, n=8, bg=yellow)] || || [[파일:Calamity/Stellar_Contempt.png]] || {{{-2 [[#스텔라 컨템프트|스텔라 컨템프트]]}}}[br]{{{-3 (Stellar Contempt)}}} || {{{-2 650}}} || {{{-2 45}}}[br]{{{-3 (극도로 느림)}}} || {{{-2 28}}}[br]{{{-3 (상식을 벗어남)}}} || {{{-2 4%}}}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10, bg=red)] || || [[파일:Calamity/Ark_of_the_Elements.png]] || {{{-2 [[#원소의 방주|원소의 방주]]}}}[br]{{{-3 (Ark of the Elements)}}} || '''{{{#red x}}}''' || {{{-2 600}}} || {{{-2 20}}}[br]{{{-3 (매우 빠름)}}} || {{{-2 8.5}}}[br]{{{-3 (매우 강함)}}} || {{{-2 14%}}} || '''o''' || [include(틀:t등급, n=11, bg=purple)] || || [[파일:Calamity/Devil'sSunrise.png]] || {{{-2 [[#악마의 일출|악마의 일출]]}}}[br]{{{-3 (Devil's Sunrise)}}} || '''o''' || {{{-2 480}}} || {{{-2 25}}}[br]{{{-3 (빠름)}}} || {{{-2 4}}}[br]{{{-3 (약함)}}} || {{{-2 14%}}} || '''o''' || [include(틀:t등급, n=12, bg=turquoise)] || || [[파일:Calamity/PhosphorescentGauntlet.png]] || {{{-2 [[#인광성 건틀릿|인광성 건틀릿]]}}}[br]{{{-3 (Phosphorescent Gauntlet)}}} || '''o''' || {{{-2 2,705}}} || {{{-2 39}}}[br]{{{-3 (매우 느림)}}} || {{{-2 9}}}[br]{{{-3 (매우 강함)}}} || {{{-2 14%}}} || '''o''' || [include(틀:t등급, n=13, bg=limegreen)] || || [[파일:Calamity/DeathsAscension.png]] || {{{-2 [[#죽음의 승천|죽음의 승천]]}}}[br]{{{-3 (Death's Ascension)}}} || '''o''' || {{{-2 1,200}}} || {{{-2 24}}}[br]{{{-3 (느림)}}} || {{{-2 9}}}[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3, bg=limegreen)] || || [[파일:Calamity/GalaxySmasher.png]] || {{{-2 [[#은하 분쇄기|은하 분쇄기]]}}}[br]{{{-3 (Galaxy Smasher)}}} || {{{-2 1,300}}} || {{{-2 40}}}[br]{{{-3 (극도로 느림)}}} || {{{-2 14}}}[br]{{{-3 (상식을 벗어남)}}} || {{{-2 4%}}}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14, bg=darkblue)] || || [[파일:Calamity/Phaseslayer.png]] || {{{-2 [[#페이즈슬레이어|페이즈슬레이어]]}}}[br]{{{-3 (Phaseslayer)}}} || '''{{{#red x}}}''' || {{{-2 980}}} || {{{-2 24}}}[br]{{{-3 (빠름)}}} || {{{-2 7}}}[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D, bg=#C46210)] || || [[파일:Calamity/Scourge_of_the_Cosmos.png]] || {{{-2 [[#전우주의 채찍|전우주의 채찍]]}}}[br]{{{-3 (Scourge of the Cosmos)}}} || '''{{{#red x}}}''' || {{{-2 478}}} || {{{-2 20}}}[br]{{{-3 (매우 빠름)}}} || {{{-2 5}}}[br]{{{-3 (보통)}}} || {{{-2 4%}}}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14, bg=darkblue)] || || [[파일:Calamity/EmpyreanKnives.png]] || {{{-2 [[#최고천의 단검|최고천의 단검]]}}}[br]{{{-3 (Empyrean Knives)}}} || '''{{{#red X}}}''' || {{{-2 230}}} || {{{-2 14}}}[br]{{{-3 (매우 빠름)}}} || {{{-2 3}}}[br]{{{-3 (매우 약함)}}} || {{{-2 4%}}}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14, bg=darkblue)] || || [[파일:Calamity/Galaxia(Cancer).gif]] || {{{-2 [[#갤럭시아|갤럭시아]]}}}[br]{{{-3 (Galaxia)}}} || '''{{{#red x}}}''' || {{{-2 99}}} || {{{-2 17}}}[br]{{{-3 (매우 빠름)}}} || {{{-2 9}}}[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4, bg=darkblue)] || || [[파일:Calamity/The_Burning_Sky.png]] || {{{-2 [[#불타는 창공|불타는 창공]]}}}[br]{{{-3 (The Burning Sky)}}} || '''{{{#red x}}}''' || {{{-2 134}}} || {{{-2 9}}}[br]{{{-3 (매우 빠름)}}} || {{{-2 2.5}}}[br]{{{-3 (매우 약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4, bg=violet)] || || [[파일:Calamity/Dragon_Rage.png]] || {{{-2 [[#용의 격노|용의 격노]]}}}[br]{{{-3 (Dragon Rage)}}} || '''o''' || {{{-2 1,075}}} || {{{-2 25}}}[br]{{{-3 (빠름)}}} || {{{-2 7.5}}}[br]{{{-3 (매우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5, bg=violet)] || || [[파일:Calamity/Ark_of_the_Cosmos.png]] || {{{-2 [[#우주의 방주|우주의 방주]]}}}[br]{{{-3 (Ark of the Cosmos)}}} || '''{{{#red x}}}''' || {{{-2 1,670}}} || {{{-2 14}}}[br]{{{-3 (매우 빠름)}}} || {{{-2 9.5}}}[br]{{{-3 (극도로 [br]강함)}}} || {{{-2 19%}}} || '''o''' || [include(틀:t등급, n=15, bg=violet)] || || [[파일:Calamity/Murasama.gif]] || {{{-2 [[#무라사마|무라사마]]}}}[br]{{{-3 (Murasama)}}} || '''o''' || {{{-2 3,001}}} || {{{-2 25}}}[br]{{{-3 (빠름)}}} || {{{-2 6.5}}}[br]{{{-3 (강함)}}} || {{{-2 34%}}} || '''o''' || [include(틀:t등급, n=15, bg=violet)] || || [[파일:Calamity/Violence.png]] || {{{-2 [[#잔혹|잔혹]]}}}[br]{{{-3 (Violence)}}} || '''{{{#red x}}}''' || {{{-2 404}}} || {{{-2 25}}}[br]{{{-3 (빠름)}}} || {{{-2 9}}}[br]{{{-3 (강함)}}} || {{{-2 4%}}} || '''o''' || [include(틀:t등급, n=15, bg=violet)] || || [[파일:Calamity/Illustrious_Knives.png]] || {{{-2 [[#명검|{{{#!html 명검}}}]]}}}[br]{{{-3 (Illustrious Knives)}}} || '''{{{#red x}}}''' || {{{-2 400}}} || {{{-2 11}}}[br]{{{-3 (매우 빠름)}}} || {{{-2 3}}}[br]{{{-3 (매우 약함)}}} || {{{-2 4%}}} || '''{{{#green o}}}''' || [include(틀:t등급, n=16, bg=hotpink)] || ===== 하드모드 이전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울프럼 스크루드라이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Wulfrum Screwdriver, 한=울프럼 스크루드라이버, 사진=WulfrumScrewdriver.png, 희소=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9, 시=24, 속=느림, 넉=3.75, 강=약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WulfrumMetalScrap.png, 이름=울프럼 금속 조각, 문서=재료, h=16px)] (12) + [include(틀:c캡션, 사진=EnergyCore.png, 이름=에너지 코어, 문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사용 시 커서 방향으로 찌르는 스크루드라이버를 사용한다. 적을 때릴 시 평소보다 더 빨리 때린다. 나사가 없을 시 명중할 때 20% 확률로 나사를 생성하며 우클릭 시 나사가 발사된다. 나사는 중력의 영향을 받고 관통할 수 없으며 무기 피해의 150%를 준다. 스크루드라이버로 나사를 치면 표시된 경로에서 나사가 발사되어 무기 데미지의 150%에서 650%로 증가한다. 경로는 37.5타일 반경 내에 있는 근처의 적을 부분적으로 조준한다. 나사로 적을 죽일 시, 50% 확률로 회복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괴물같은 단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Monstrous Knives, 한=괴물같은 단검, 사진=MonstrousKnives.png, 희소=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4, 시=20, 속=매우 빠름, 넉=3, 강=매우 약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투척용 칼,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200) + [include(틀:t캡션, 이름=생명 수정, 문서=소모품)] + [include(틀:t캡션, 사진=LesserHealingPotion.png, 이름=소형 치유 포션, 문서=소모품)] (5)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뱀파이어 나이프와 유사한 무기. 사용시 33.33% 확률로 체력을 회복하는 단검을 3~6개 투척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칼날문장 맹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Bladecrest Oathsword, 한=칼날문장 맹검, 사진=BladecrestOathsword.png,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25, 시=24, 속=빠름, 넉=4, 강=약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악마, 문서=몬스터, h=24px)] (4% / {{{#E80 6.67%}}})}}} 휘두르면 보라색으로 빛나는 악마의 낫 투사체를 발사하며, 무기로 직접 적 타격 시 4초간, 투사체로 타격 시 3초간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에 걸리게 한다. 아래의 본 서펀트가 드롭하는 [[#오래된 군주의 맹검|오래된 군주의 맹검]]과 하드모드 무기인 [[#금지된 맹검|금지된 맹검]]의 재료로 들어간다. 2.0 업뎃 이후로 공격 방식이 바뀌었는데 양옆으로만 공격할수있고 방주 시리즈처럼 위아래로 휘두르면서 약한 유도성이 있는 낫을 여러개 발사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지하세계 탐사 초기에 운 좋게 손에 넣는다면 슬라임 갓까지 잡을 수 있는 좋은 무기이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오래된 군주의 맹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Old Lord Oathsword, 한=오래된 군주의 맹검, 사진=OldLordOathsword.png,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0, 시=23, 속=빠름, 넉=7, 강=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본 서펀트, 문서=몬스터, 파생=머리, h=24px)] (8.33% / {{{#E80 14.29%}}})}}} 이 무기로 치명타를 입힐시 적이 폭발하며 기본 피해의 100%를 입히고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를 10초간 건다. 폭발은 주위 적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으며 타격 대상을 한정으로 한다. 위의 [[#칼날문장 맹검|칼날문장 맹검]]에서 서술했듯 하드모드 무기인 [[#금지된 맹검|금지된 맹검]]의 재료로 들어간다. 위의 [[#칼날문장 맹검|칼날문장 맹검]]처럼 2.0 업뎃 이후로 공격 방식이 바뀌었는데 좌클릭 공격 시 방주 시리즈처럼 위아래로 휘두르고 우클릭을 꾹 누르면 검을 위로 들며 충전한다. 충전 후 좌클릭을 누르면 커서 방향으로 돌진하며 돌진중에는 무적상태가 된다.돌진 경로에 투사체를 남긴다.이 무적 돌진이 굉장히 사기인게,최후의 새벽 스텔스와 비슷한 판정이라 적을 관통하며 대미지가 센 무적 돌진을 뇌빼고 지옥으로 가서 어떻게든 얻으면 쓸 수가 있다는 얘기라 이것과 칼날문장 맹검으로 적어도 스켈레트론까지는 잡을수 있고 슬갓 전투에서까지 쓸 수 가 있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Broken Biome Blade, 한=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사진=BrokenBiomeBlade.png,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47, 시=29, 속=보통,투차세 속도=12, 넉=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나무 검, 문서=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돌 블록, 문서=블록, h=16px)] (50) + [include(틀:t캡션, 이름=흙 블록, 문서=블록)] (50) + [include(틀:c캡션, 사진=AerialiteBar.png, 이름=창공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지옥석 주괴, 문서=재료)] (5)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기존의 바이옴 블레이드가 리워크되었다. 특정 바이옴에서 '''움직이지 않고 2초간 우클릭을 꾹 누르면''' 해당 바이옴에 맞춰 무기의 공격방식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조율'''(Attune)이라 부른다. 총 5가지의 형태가 존재하며, 이 중에서 2가지의 공격방식을 지정할 수 있다. 지정된 공격방식은 우클릭으로 변경할 수 있다. ||
<-2> '''{{{#fff {{{-2 이름}}}}}}''' || '''{{{#fff {{{-2 지형}}}}}}''' || '''{{{#fff {{{-2 효과}}}}}}''' || || [[파일:Calamity/BrokenBiomeBlade.png]] || {{{-2 순수한 선명함}}}[br]{{{-2 (Pure Clarity)}}} || {{{-2 숲[br]지하}}} ||{{{-2 기존의 바이옴 블레이드처럼 검기를 발사하며, [[../시스템#갑옷 박살|[[파일:Calamity/Armor_Crunch.png|width=16px]]갑옷 박살]] 디버프를 1.5초간 가한다.}}}|| || [[파일:Calamity/BrokenBiomeBlade(BitingEmbrace).png]] || {{{-2 혹한의 아우름}}}[br]{{{-2 (Biting Embrace)}}} || {{{-2 설원}}} ||{{{-2 방주 시리즈와 비슷하게 1, 2번째 공격은 위아래로 휘두르다 3번째 공격은 커다란 칼날이 적을 단검 공격하듯 찌른다. 해당 공격은 반드시 [[../시스템#빙하 상태|[[파일:Calamity/Glacial_State.png|width=16px]]빙하 상태]] 디버프를 0.33초간 가한다.}}}|| || [[파일:Calamity/BrokenBiomeBlade(AridGrandeur).png]] || {{{-2 메마른 장엄}}}[br]{{{-2 (Arid Grandeur)}}} || {{{-2 사막[br]지하세계}}} ||{{{-2 마우스를 누르면 무기를 휘두르지 않고 커서 방향으로 들고 있으며, 4개의 회전하는 칼날이 무기 주변을 떠다닌다. 적을 타격할 수록 대미지가 70에서 105까지 증가하며 크기도 커진다. 또한 공중에서 지상 위의 적을 타격하거나 타일에 부딪히면 위로 튀어오른다.}}}|| || [[파일:Calamity/BrokenBiomeBlade(DecaysRetort).png]] || {{{-2 부패의 쏘임}}}[br]{{{-2 (Decay's Retort)}}} || {{{-2 오염지대[br]진홍지대}}} ||{{{-2 단검과 공격방식이 같으나 1.4이후의 바닐라 단검처럼 방향조정이 되며, 인광성 건틀릿과 비슷하게 공격한 방향으로 돌진한다. 적을 타격하면 체력을 2 회복하며, 공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튀어올라간다.}}}|| || [[파일:Calamity/BrokenBiomeBlade(GrovetendersTouch).png]] || {{{-2 수풀쟁이의 손길}}}[br]{{{-2 (Grovetender's Touch)}}} || {{{-2 정글[br]바다[br]유황 바다}}} ||{{{-2 마치 1.4이후에 바닐라에 추가된 채찍처럼 공격한다. 채찍 줄기에는 딜이 60%밖에 들어가지 않지만, 날 끝부분으로 직접 타격하면 반드시 치명타가 발생한다.}}}|| ||<-4> {{{#!wiki style="width: 580px; height: 1px; " }}} || [[#바이옴 블레이드|바이옴 블레이드]]로 만들 수 있고, 이후에도 다양한 재료를 통해 강화가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파편화된 방주)][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Fractured Ark, 한=파편화된 방주, 사진=FracturedArk.png, 희소=lightcoral,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0, 시=22, 속=빠름, 넉=6.25,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마법의 검, 문서=무기/근접 무기)] / [include(틀:t캡션, 이름=테라그림, 문서=무기/근접 무기)] +[br][include(틀:c캡션, 사진=PurifiedGel.png, 이름=정제된 젤, 문서=재료)] (5) +[include(틀:t캡션, 이름=구리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가구, h=14px)]}}} 고대의 방주의 하위 버전으로, 기존에는 마법의 검처럼 검기를 날리고 별의 격노처럼 하늘에서 별똥별을 떨어뜨렸었으나 리워크되었다. 사용 시 검을 위아래로 휘두르며 공격하며 투사체는 나가지 않는다. 또한 방주 시리즈만의 새로운 특징으로 'Parry'라는 기능이 생겼으며, 또한 방주 시리즈만의 독자적인 충전 시스템을 지니게 되었다. 우클릭 공격을 적에게 맞추면 'Parry!'라는 문구가 뜨며 10의 게이지가 회복되며, 게이지는 인벤토리 창에 무지개색 바로 표시된다. 충전 동안 검의 크기가 커지고 무기 대미지의 80%의 투사체가 날아가며 대미지는 1.5배 상승하게 된다. 한 번 공격할 때마다 게이지가 1 감소하며, 최대 게이지가 10이므로 10번 공격하면 원래대로 돌아오게 된다. 우클릭 공격은 5.6초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존재하며, 적을 빗맞출 경우 효과가 나오지 않는다. 이는 아래 상위의 방주 시리즈들도 동일. ===== 하드모드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본브레이커)][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Bonebreaker, 한=본브레이커, 사진=Bonebreaker.png, 과정=ⓗ, 색=red,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0, 시=14, 속=매우 빠름, 넉=7,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사진=BoneJavelin.png, 이름=뼈 재블린, 문서=무기/원거리 무기, h=24px)] (150) + [include(틀:c캡션, 사진=CorrodedFossil.png, 이름=부식된 화석, 문서=재료)] (15)[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뼈 재블린의 강화판. 사용 시 적에게 꽂히는 투사체를 투적한다. 총 6개의 재블린을 한 적에게 꽂을 수 있으며, 최대 초당 120의 대미지를 주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파편으로 분열되어 추가 대미지를 입힌다. 파편은 [[테라리아/시스템#맹독|[[파일:Terraria/Venom.png|width=16px]]맹독]], [[../시스템#갑옷 박살|[[파일:Calamity/Armor_Crunch.png|width=16px]]갑옷 박살]] 디버프를 1초동안, 재블린은 위의 디버프와 [[테라리아/시스템#관통됨|[[파일:Terraria/Penetrated.png|width=16px]]관통됨]] 디버프를 4초동안 가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완전한 승리의 망치)][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Pwnagehammer, 한=완전한 승리의 망치, 사진=Pwnagehammer2.png, 과정=ⓗ, 색=red, 희소=medium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210, 시=47, 속=극도로 느림, 넉=10, 강=극도로 강함, 치=1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완승의 망치, 문서=도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시야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힘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3) + [br][include(틀:t캡션, 이름=공포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신성한 주괴, 문서=재료, h=16px)] (7)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사용 시 중력의 영향을 받는 망치를 투척하며, 해당 투사체는 적이나 지형에 닿으면 특유의 쇠 부딫히는 소리를 내며 폭발한다. 공격을 4번 명중 시 추가 투사체가 소환되어 곧 적에게 유도된다. 해당 투사체 또한 폭발하는 성질이 있다. {{{-2 [[https://calamitymod.fandom.com/wiki/Pwnagehammer?file=Pwnagehammer_%2528demo%2529.gif|공격 사진]]}}}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바이옴 블레이드)][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Biome Blade, 한=바이옴 블레이드, 사진=Biome_Blade.png, 과정=ⓗ, 색=red, 희소=medium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80, 시=20, 속=매우 빠름, 넉=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BrokenBiomeBlade.png, 이름=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Stardust.png, 이름=별가루, 문서=재료, h=16px)] (10) + [br][include(틀:t캡션, 이름=요정의 가루, 문서=재료,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시야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힘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 [br][include(틀:t캡션, 이름=공포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특정한 바이옴에서 움직이지 않는 채로 2초간 우클릭을 꾹 눌러 "조율(Attune)"을 시전해 특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러가지 형태가 존재하며, 이 중에서 2가지의 공격방식을 지정할 수 있다. 지정된 공격방식은 우클릭으로 변경할 수 있다. ||
<-2> '''{{{#fff {{{-2 이름}}}}}}''' || '''{{{#fff {{{-2 지형}}}}}}''' || '''{{{#fff {{{-2 효과}}}}}}''' || || [[파일:Calamity/Biome_Blade.png]] || {{{-2 순수한 선명함}}}[br]{{{-2 (Pure Clarity)}}} || {{{-2 숲[br]지하}}} ||{{{-2 기존의 바이옴 블레이드처럼 검기를 발사한다.}}}|| || [[파일:Calamity/BiomeBlade(BitingEmbrace).png]] || {{{-2 혹한의 아우름}}}[br]{{{-2 (Biting Embrace)}}} || {{{-2 설원}}} ||{{{-2 1, 2번째 공격은 위아래로 휘두르다 3번째 공격은 커다란 칼날이 적을 단검 공격하듯 찌른다 또한 공격 시 칼날이 지나간 부분에 도트피해를 입히는 차가운 안개가 잠시동안 피어오르며, 3번째 공격은 더 많은 양의 안개를 발생시킨다..}}}|| || [[파일:Calamity/BiomeBlade(AridGrandeur).png]] || {{{-2 메마른 장엄}}}[br]{{{-2 (Arid Grandeur)}}} || {{{-2 사막[br]지하세계}}} ||{{{-2 마우스를 누르면 무기를 휘두르지 않고 커서 방향으로 들고 있으며, 4개의 회전하는 칼날이 무기 주변을 떠다닌다. 적을 한 번 타격할 수록 6번까지 대미지가 증가하며 크기도 커진다. 4번이상 충전 상태 시 커서를 떼면 커서가 있던 방향으로 검기를 발사한다. 또한 공중에서 지상 위의 적을 타격하거나 타일에 부딪히면 위로 튀어오른다.}}}|| || [[파일:Calamity/BiomeBlade(DecaysRetort).png]] || {{{-2 부패의 쏘임}}}[br]{{{-2 (Decay's Retort)}}} || {{{-2 오염지대[br]진홍지대}}} ||{{{-2 단검과 공격방식이 같으나 1.4 이후의 바닐라 단검처럼 방향조정이 되며, 인광성 건틀릿과 비슷하게 공격한 방향으로 돌진한다. 공중을 향해 사용 시 최대 2단 점프가 가능하며 적을 타격하면 체력을 2 회복하며, 공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튀어올라간다.}}}|| || [[파일:Calamity/Biome_Blade.png]] || {{{-2 침수된 자들의 손짓}}}[br]{{{-2 (Guesture of the Drowned)}}} || {{{-2 가라앉은 바다}}} ||{{{-2 중력의 영향을 받는 투사체를 발사한다. 해당 투사체가 지면에 부딪히면 파도가 생성되어 적들을 쓸어버린다. 물 속에서 사용할 경우 넓은 초승달 모양의 검기를 발사하며, 플레이어의 이동 속도에 따라 검기의 속도도 변한다.}}}|| || [[파일:Calamity/BiomeBlade(HeavensMight).png]] || {{{-2 천국의 권능}}}[br]{{{-2 (Heaven's Might)}}} || {{{-2 신성지대}}} ||{{{-2 검을 원형으로 휘두르며 서서히 범위가 넓어지고 속도도 빨라진다. 4바퀴 이상 회전한 상태에서 커서를 뗄 경우 전방으로 검을 투척하며, 부메랑처럼 되돌아온다. 많이 회전할 수록 투척 시 대미지가 증가한다.}}}|| || [[파일:Calamity/BiomeBlade(GrovetendersTouch).png]] || {{{-2 수풀쟁이의 손길}}}[br]{{{-2 (Grovetender's Touch)}}} || {{{-2 정글[br]바다[br]유황 바다}}} ||{{{-2 마치 1.4이후에 바닐라에 추가된 채찍처럼 공격한다. 채찍 줄기에는 딜이 60%밖에 들어가지 않지만, 날 끝부분으로 직접 타격하면 반드시 치명타가 발생하며, 최대 3마리까지의 적에게 연쇄피해를 가할 수 있다.}}}|| || [[파일:Calamity/BiomeBlade(ExtantAbhorrence).png]] || {{{-2 남아있는 혐오}}}[br]{{{-2 (Extant Abhorrence)}}} || {{{-2 아스트랄 전염지대}}} ||{{{-2 마우스를 꾹 누르고 있으면 무기를 커서 방향으로 든 채 기를 모으고 완충되면 커서 방향으로 돌진하여 피해를 입힌다. 돌진공격이 지면에 부딪힐 경우 아스트랄 모노리스 기둥이 솟아올라 추가 피해를 입힌다.}}}|| ||<-4> {{{#!wiki style="width: 580px; height: 1px; " }}}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태풍의 탐욕)][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yphon's Greed, 한=태풍의 탐욕, 사진=Typhon'sGreed.png, 과정=ⓗ, 색=red,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65, 시=30, 속=보통, 넉=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Voidstone.png, 이름=공허석, 문서=건축)] (30) + [include(틀:c캡션, 사진=Depth_Cells.png, 이름=심연의 세포, 문서=재료, h=16px)] (30) [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기존의 [[테라리아/무기#천룡의 격노|천룡의 격노]]와 비슷한 방식으로 360도 회전하면서 지형을 관통하는 구체를 화면 밖에서 소환시킨다. 구체는 플레이어에게 유도되며, 적과 접촉하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폭발한다. [[../시스템#파괴심도|[[파일:Calamity/CrushDepth.png|width=16px]]파괴심도]] 디버프를 검 자체는 4초, 구체는 3초간 가한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Typhon%27s_Greed_(demo).gif|{{{-2 (공격 사진)}}}]]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고대의 방주)][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rk of the Ancients, 한=고대의 방주, 사진=Ark_of_the_Ancients.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88, 시=25, 속=빠름, 넉=6.5,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FracturedArk.png, 이름=파편화된 방주,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스타퓨리, 문서=무기, h=24px)][br] + [include(틀:t캡션, 이름=부서진 영웅의 검, 문서=재료, h=24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파편화된 방주|파편화된 방주]]의 업그레이드 무기. 사용 시 위아래로 검을 휘두르며 2번째 타격 시 3발의 유도성 투사체를 부채꼴 형태로 발사한다. 방주 시리즈만의 독자적인 시스템으로 'Parry'가 추가되며 또한 독자적인 충전 게이지를 지니게 된다. 최대 10칸이 충전 게이지가 존재하며, 잔존 게이지는 인벤토리 창에서 무지개색 바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우클릭 공격으로 적을 타격하면 게이지 10이 회복되며 한 번 휘두를 때마다 게이지가 1 감소한다. 패리 상태에서 공격할 경우 반드시 검 모양의 투사체가 추가로 날아가고 검의 크기가 커지며 대미지가 1.45배 증가하고, 검으로 직접 타격할 경우 0.5초의 무적을 얻게 된다. 또한 패리 상태에서 휘두르는 검에 투사체가 닿으면 해당 투사체의 대미지를 1초간 최대 160 감소시킨다. 추가적으로, 고대의 방주와 그 이후의 방주 시리즈들은 게이지가 남아있을 때 이동 키 UP(기본키 w)+우클릭을 누르면 잔존 충전게이지를 전부 소진시키고 특수 공격을 가한다. 고대의 방주는 단검으로 찌르는 모션과 함께 커서 방향으로 약 45블록가량의 관통형 레이저를 발사한다. 레이저는 1번만 타격하며, 공격력은 남아있는 잔존 게이지에 다라 달라진다. 대미지 공식은 (1.45 x 잔존 게이지 x 0.5)로, 남아있는 게이지가 많을수록 대미지가 더욱 커진다. 일례로 완충된 상태에서 해당 공격을 가할 경우 대미지는 기본 대미지의 7.25배(1.45 x 10 x 0.5)가 되며, 1칸만 남은 상태에서 해당 공격을 가하게 되면 기본 대미지의 0.725배(1.45 x 1 x 0.5)의 대미지만 준다. 달의 군주 처치 이후 [[#원소의 방주|원소의 방주]]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스티기안의 방패)][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tygian Shield, 한=스티기안의 방패, 사진=StygianShield.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00, 시=46~55, 속=극도로 느림, 넉=-,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Ornate_Shield.png, 이름=화려한 방패, 문서=전투 장신구, h=16px)] + [include(틀:c캡션, 사진=ScoriaBar.gif, 이름=화산암 주괴, 문서=재료, h=16px)] (6) + [br][include(틀:t캡션, 이름=지옥석 주괴, 문서=재료, h=16px)] (6) + [include(틀:c캡션, 사진=Living_Shard.png, 이름=살아있는 파편, 문서=재료, h=16px)] (6)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장신구가 아니다. 이 무기를 들고 있을 경우 넉백 무효가 되며, 12의 방어력을 추가로 제공한다. 마우스를 꾹 누르면 화살표 형태의 표식이 뜨는데, 오래 누를수록 표식이 길어지며 커서를 떼는 순간 화살표의 거리만큼 강력한 돌진을 가한다. 돌진 시에는 무적 판정이다. 우클릭 공격은 부메랑처럼 방패를 던져서 공격한다. 관통 기능이나 호밍 기능은 없다. 또한 해당 무기를 장비하고 있을 경우 일부 방패의 대쉬기능을 사용할 수 없으며 다른 무기로 바꾸면 2초 동안 대쉬를 사용할 수 없다. [[Hades(게임)|하데스]]에 등장하는 혼돈의 방패의 패러디.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몰락한 팔라딘의 망치)][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Fallen Paladin's Hammer, 한=몰락한 팔라딘의 망치, 사진=FallenPaladin'sHammer.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368, 시=57, 속=굼벵이, 넉=20, 강=상식을 벗어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팔라딘의 망치, 문서=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Pwnagehammer2.png, 이름=완전한 승리의 망치,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AshesofCalamity.png, 이름=재앙의 잿더미, 문서=재료)] (5) + [include(틀:c캡션, 사진=CoreofChaos.png, 이름=혼돈의 코어, 문서=재료, h=24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ScoriaBar.png, 이름=화산암 주괴, 문서=재료, h=16px)] (5)[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본래 팔라딘의 망치의 강화판이었으나 포팅 이후 완전한 승리의 망치의 강화판이 되었다. 역시 중력의 영향을 받으며 적을 밫추면 부메랑마냥 되돌아온다. 3번 명중 시 투사체가 되돌아올 때 붉은 형태의 연가 비스무레한 게 뒤로 뻗어나가더니 곧바로 적에게 유도되어 강력한 폭발 피해를 입힌다. 망치 자체는 [[../시스템#유황 불꽃|[[파일:Calamity/Brimstone_Flames.png|width=16px]]유황 불꽃]] 디버프를 4초간, 폭발은 3초간 건다. [[#스텔라 컨템프트|스텔라 컨템프트]]의 재료로 쓰인다. ||<^|1>{{{#!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rue Biome Blade, 한=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 사진=True_Biome_Blade.png, 과정=ⓗ, 색=red, 희소=cyan,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400, 시=17, 속=매우 빠름, 넉=8,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Biome_Blade.png, 이름=바이옴 블레이드,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CoreofCalamity.png, 이름=재앙의 코어, 문서=재료,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AstralBar.png, 이름=아스트랄 주괴, 문서=재료, h=16px)] (3) [br]+ [include(틀:c캡션, 사진=BarofLife.png, 이름=생명 합금괴, 문서=재료, h=24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14px)]}}} ||<^|1>[include(틀:c인포박스/펫, 영=Attuned, 한=조율된 모습, 사진=TrueBiomeBlade(Charged).png, 버프=Lul.png, h2=0px)]|| [[#바이옴 블레이드|바이옴 블레이드]]의 업그레이드 버전. 특정한 바이옴에서 움직이지 않는 채로 2초간 우클릭을 꾹 눌러 "조율(Attune)"을 시전하여 특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러 가지 형태가 존재하며, 이 중에서 2가지의 공격방식을 지정할 수 있다. 지정된 공격방식은 우클릭으로 변경할 수 있는데,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는 2가지의 조율을 모두 적용하였을 경우 미사용중인 조율은 "축복(Blessing)"이라는 일종의 패시브로 변경되어 특정 버프를 부여한다. 그리고 공중에서 조율이 가능해진다. ||
<-2> '''{{{#fff {{{-2 이름}}}}}}''' || '''{{{#fff {{{-2 지형}}}}}}''' || '''{{{#fff {{{-2 효과}}}}}}''' || || [[파일:Calamity/TrueBiomeBlade(SwordsmithsPride).png]] || {{{-2 도검장인의 긍지}}}[br]{{{-2 (Swordsmith's Pride)}}} || {{{-2 숲[br]지하[br]신성지대}}} ||{{{-2 검을 원형으로 휘두르며 서서히 범위가 넓어지고 속도도 빨라지며 사방으로 검기를 날린다. 4바퀴 이상 회전한 상태에서 커서를 뗄 경우 전방으로 검을 투척하며, 부메랑처럼 되돌아온다. 많이 회전할 수록 투척 시 대미지가 증가한다.[br]축복 : 일정 확률로 투사체를 발사한다.}}}|| || [[파일:Calamity/TrueBiomeBlade(LamentationsoftheChained).png]] || {{{-2 속박된 자들의 비애}}}[br]{{{-2 (Lamentations of the Chained)}}} || {{{-2 설원[br]정글[br]바다[br]유황 바다}}} ||{{{-2 채찍 여러 가닥을 마구잡이로 휘두른다. 다만 걷보기와 달리 공격횟수는 많지 않은 편. 채찍 끝부분으로 직접 타격하면 주위의 적에게 확률적으로 추가 채찍이 뻗어나가 연쇄적으로 공격이 들어간다.[br]축복 : 갈고리가 소환되며 공격 시 갈고리가 원형으로 돌며 피해를 입히고 적을 얼려버린다.}}}|| || [[파일:Calamity/TrueBiomeBlade(SanguineFury).png]] || {{{-2 핏빛 격노}}}[br]{{{-2 (Sanguine Fury)}}} || {{{-2 사막[br]지하세계[br]오염지대[br]진홍지대}}} ||{{{-2 마우스를 누르면 무기를 휘두르지 않고 커서 방향으로 들고 있으며, 4개의 회전하는 칼날이 무기 주변을 떠다닌다. 적을 한 번 타격할 수록 6번까지 대미지가 증가하며 크기도 커진다. 4번이상 충전 상태 시 커서를 떼면 커서가 있던 방향으로 풍차모양의 회전하는 검기를 발사한다. 또한 공중에서 지상 위의 적을 타격하거나 타일에 부딪히면 위로 튀어오른다.[br]축복 : 확률적으로 체력 10을 회복한다.}}}|| || [[파일:Calamity/TrueBiomeBlade(MercurialTides).png]] || {{{-2 변덕스러운 파도}}}[br]{{{-2 (Mercurial Tides)}}} || {{{-2 아스트랄 전염지대[br]가라앉은 바다}}} ||{{{-2 마우스를 꾹 누르고 있으면 무기를 커서 방향으로 든 채 기를 모으고 충전되면 커서 방향으로 돌진하여 피해를 입힌다. 최대 4번 누적이 되며, 1충전 직후 좁은 범위의 충격파가 나타나 금방 알아차릴 수 있다. 돌진공격이 지면에 부딪힐 경우 아스트랄 모노리스 기둥 여러 개가 솟아올라 추가 피해를 입힌다. 충전한 횟수에 따라 기둥의 생성 범위와 갯수도 많아지고 위력도 강해진다.[br]축복 : 공격 도중 일정 확률로 좁은 범위의 충격파가 생성된다.}}}|| ||<-4> {{{#!wiki style="width: 580px; height: 1px; " }}} || 신들의 포식자 처치 이후 [[#갤럭시아|갤럭시아]]로 강화할 수 있다. 하나 팁을 주자면 일반-데스모드 공통으로 이무기는 아스트럼 데우스를 다시 잡을때 유용하다. 축복은 핏빛 격노로 해놓은 다음 도검장인의 긍지로 아스트럼 데우스 근처에서 타격 하면 지렁이류 마디 하나하나에 데미지가 들어가는데, 이 타격 하나하나가 핏빛격노의 확률 카운트에 적용 되어 아스트럼 데우스의 머리에 맞든 뭐든 데미지를 그냥 다 '''씹어버리고 날먹이 가능하다!''' 안타깝게도 아스트럼 데우스 이후지만 아스트럼 데우스를 또잡고 싶은데 너무 어려워서 난감할때 쓰는 방법이라고 보면 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옴니블레이드)][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Omniblade, 한=옴니블레이드, 사진=Omniblade(1).png, 과정=ⓗ, 색=red,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00, 시=9, 속=매우 빠름, 넉=6, 강=보통, 치=49)][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카타나, 문서=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CoreofCalamity.png, 이름=재앙의 코어, 문서=재료, h=24px)] (10) + [include(틀:c캡션, 사진=BarofLife.png, 이름=생명 합금괴, 문서=재료, h=16px)] (20) [br]@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가구, h=14px)]}}} > '''전설의 옴니어가 주조한 고대의 검''' 사용 시 마치 무라사마를 연상시키는 이펙트가 나가지만 커서를 이용한 조종은 불가능하다. 명중 시 20% 확률로 [[../시스템#속삭이는 죽음|[[파일:Calamity/Whispering_Death.png|width=16px]]속삭이는 죽임]] 디버프를 6초간 걸어 대상의 방어력을 50 감소시킨다. 툴팁에 적혀있는 옴니어는 테라리아 초창기 유명 모드 중 하나인 옴니어의 모드(Omnir's mod)의 제작자이며, 디자인은 해당 모드에서 나오는 Masamune라는 검에서 따왔다고 한다. ===== 달의 군주 이후 ===== || [[파일:T/PostMoonLord.png]] {{{#white {{{+1 '''달의 군주 이후'''}}}}}} [[파일:T/PostMoonLord.png]] ||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스텔라 컨템프트)][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tellar Contempt, 한=스텔라 컨템프트, 사진=Stellar_Contempt.png, 과정=ⓟ, 색=purple, 희소=red,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50, 시=45, 속=극도로 느림, 넉=28, 강=상식을 벗어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FallenPaladin'sHammer.png, 이름=몰락한 팔라딘의 망치,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Galactica_Singularity.gif, 이름=은하의 특이점, 문서=재료, h=16px)] (5) [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역시 중력의 영향을 받는 망치를 던지며 명중 시 부메랑처럼 되돌아오며 명중한 적에게 스텔라 스트라이커의 투사체를 떨군다. 5번 명중 시 망치 투사체가 위로 올라가더니 투사체의 크기가 점점 커져서 적에게 내리꽂아 폭발을 일으킨다. 밤엔 [[../시스템#나이트위더|[[파일:Calamity/Nightwither2.png|width=16px]]나이트위더]] 디버프를 8초동안 가한다. 사실상 원거리에서 쓰는 스텔라 스트라이커라고 봐도 되며, 다르게 말하자면 폭딜이 가능한 무기. [[#은하 분쇄기|은하 분쇄기]]의 재료로 쓰인다. ||<^|1>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원소의 방주)][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rk of the Elements, 한=원소의 방주, 사진=Ark_of_the_Elements.png, 과정=ⓟ, 색=purple, 희소=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00, 시=19, 속=매우 빠름, 넉=8.5, 강=매우 강함, 치=1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Ark_of_the_Ancients.png, 이름=고대의 방주,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CoreofCalamity.png, 이름=재앙의 코어, 문서=재료, h=24px)] (5) + [br][include(틀:c캡션, 사진=Galactica_Singularity.gif, 이름=은하의 특이점, 문서=재료, h=24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BarofLife.png, 이름=생명 합금괴, 문서=재료, h=16px)] (5) + [br][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1>[include(틀:c인포박스/펫, 영=Charged, 한=충전된 모습, 사진=ArkoftheElements(Charged).png, 버프=Lul.png, h2=0px)]|| [[#고대의 방주|고대의 방주]]의 업그레이드 무기로, 방주 시리즈 무기 중 상위에서 2번째 무기. 리뉴얼된 이후 어째선지 생김새가 가위를 연상시킨다. 여러가지 공격방식을 지니며, 첫 번째와 세 번째 공격은 위로 휘두르며 두 번째와 네 번째 공격은 좀 더 크게 베며 5개의 유도성 투사체 발사, 5번째 공격은 부메랑마냥 전방으로 검을 날리면서 공격하며, 5번째 공격중 대략 마나 수정 효과음이 나올 때 쯤 커서를 떼면 다른 한 쪽의 검을 던져서 합치기도 한다. 당연히 대미지가 들어가며, 충전 게이지가 남아있다면 충전 게이지 2칸을 회복하는 효과가 있다. 방주 시리즈만의 독자적인 시스템으로 'Parry'가 추가되며 또한 독자적인 충전 게이지를 지니게 된다. 최대 10칸이 충전 게이지가 존재하며, 잔존 게이지는 인벤토리 창에서 무지개색 바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우클릭 공격으로 적이나 발사체를 타격할 경우 'Parry!'라는 문구가 뜨며 10의 게이지가 완충되며 한 번 휘두를 때마다 1의 게이지가 감소한다. 충전 시 위력이 1.2배 증가하며 2, 4번째 공격 시 중앙의 투사체가 더욱 커진다. 또한 충전된 상태의 검으로 적을 타격 시 최대 0.5초의 무적이 부여되며 검에 맞은 투사체의 대미지가 1초동안 최대 200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5.6초의 재사용시간이 존재하며, 적을 맞추지 못하면 효과발동이 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고대의 방주와 그 이후의 방주 시리즈들은 게이지가 남아있을 때 이동 키 UP(기본키 w)+우클릭을 누르면 잔존 충전게이지를 전부 소진시키고 특수 공격을 가한다. 이를 'Big Rip'(대절단)이라고 하며, 원소의 방주는 검을 커서 방향으로 일정 거리 50블록가량 투척하여 투척한 자리에 궤적을 남기고 잠시 후 궤적에 닿은 적들에게 대미지를 입히고 사라진다. 대미지는 1번만 들어가며, 공격력은 남아있는 잔존 게이지에 다라 달라진다. 대미지 공식은 (1.2 x 잔존 게이지 x 0.5)로, 남아있는 게이지가 많을수록 대미지가 더욱 커진다. 일례로 완충된 상태에서 해당 공격을 가할 경우 대미지는 기본 대미지의 6배(1.2 x 10 x 0.5)가 되며, 1칸만 남은 상태에서 해당 공격을 가하게 되면 기본 대미지의 0.6배(1.2 x 1 x 0.5)의 대미지만 준다. 굉장히 이질적인 공격방식을 지니게 되었으나, 어째 쓰기가 좀 더 불편해진 감이 있다. --무지성으로 난사할 때가 좋았지-- 야론 처치 이후 [[#우주의 방주|우주의 방주]]의 재료로 쓰인다. 여담이지만 해당 무기 말고도 다른 원소계열 무기들도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erraria&no=132637&exception_mode=recommend&page=3|리메이크된 컨셉아트가 존재하는데]], 앞으로의 패치에 리뉴얼된 타 직업군의 원소 무기들을 볼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또 다른 여담으로 해당 무기의 외형은 [[킬라킬]]의 '반쪽도검가위'에서 따왔다고 한다.[* 참고로 바닐라의 미용사가 떨구는 우아한 가위의 소스코드 이름이 'StylistKilLaKillScissorsIWish'이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악마의 일출)][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Devil's Sunrise, 한=악마의 일출, 사진=Devil'sSunrise.png, 과정=ⓟ, 색=purple,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480, 시=25, 속=빠름, 넉=4, 강=약함, 치=1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테라그림,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Demonic_Bone_Ash.png, 이름=악마의 골회,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c캡션, 사진=BloodstoneCore.png, 이름=혈석 코어, 문서=재료, h=24px)] (25) [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테라리아/무기#아크할리스|아크할리스]]의 업그레이드 무기. 아크할리스와 비슷한 방식으로 공격하며, 추가적으로 커서가 가리킨 곳에 에너지 볼이 9초 동안 체공한다. 공격 시간이 길어질수록 색상이 붉은색으로 변하며 검과 에너지 볼 둘 다 공격력이 증가한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Devil%E2%80%99s_Sunrise_(demo).gif|{{{-2 (공격 사진)}}}]] 적에게 명중 시 [[../시스템#유황 불꽃|[[파일:Calamity/Brimstone_Flames.png|width=16px]]유황 불꽃]] 디버프를 3초간 건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인광성 건틀릿)][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Phosphorescent Gauntlet, 한=인광성 건틀릿, 사진=PhosphorescentGauntlet.png, 과정=ⓟ, 색=purple, 희소=lime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705, 시=39, 속=매우 느림, 넉=9, 강=매우 강함, 치=1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NuclearTerror.png, 이름=방사능의 공포, 문서=이벤트, h=24px)] (33.33%)}}} 상당히 특이한 형태의 근접 무기다. 사용 시 주먹을 휘두르며 커서가 있는 방향으로 짧게 돌진하며, 적이나 타일에 충돌할 경우 뒤로 밀려난다. [[https://calamitymod.fandom.com/wiki/Phosphorescent_Gauntlet?file=Phosphorescent_Gauntlet_%2528demo%2529.gif|{{{-2 (공격 사진)}}}]]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죽음의 승천)][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Death's Ascension, 한=죽음의 승천, 사진=DeathsAscension.png, 과정=ⓟ, 색=purple, 희소=lime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200, 시=24, 속=느림, 넉=9,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죽음의 낫,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Ruinous_Soul.png, 이름=파멸의 영혼, 문서=재료, h=24px)] (4) + [include(틀:c캡션, 사진=TwistingNether.png, 이름=뒤틀린 황천, 문서=재료,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밤의 영혼, 문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가구, h=24px)]}}} 죽음의 낫의 업그레이드 무기. 좌클릭 시 플레이이어의 전방으로 전용 휘두르기 모션과 함께 낫을 휘두른다.이 공격의 사거리는 트루밀리인 만큼 짧지만 대신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 우클릭시 일반 죽음의 낫과 비슷하게 낫을 휘두르는데,한발의낫 투사체를 날리는 죽음의 낫과는 달리 휘두를때마다 자그마치 다섯발의 초고성능 유도를 가진 낫 투사체를 날린다.대신,이런 무기라면 풀 성능을 내기 위해 꼭 필요한 무적 프레임 무시가 없기에 타겟 더미에 대고 쓰면 이펙트는 현란하지만 그 대미지는 높지 않다. 이 무기의 좌클릭은 트루밀리이니 사용이 제한되고,우클릭은 적이 거의 반대에 있어도 유도되는 엄청 좋은 유도성을 가지긴 하는데 대신 쏘는 양에 비해 대미지가 턱없이 조금 들어갈수밖에 없어 뭐하는 무기인가 싶겠지만,실제 성능은 타겟 더미에 쓸때와는 다르다.단일 대상에게는 더미 그대로의 성능을 보여주나,이제 상대할 적이 다중 대상인 공허,지렁이인 방직자와 디오갓인데,이들에게 아주 강력한 성능을 뽐낸다.일단 투사체의 양이 많아 공허의 경우 골고루 어둠의 에너지를 같이 때리기에,보이는 그대로의 대미지를 꽂아넣을수 있어 dps 미터가 미쳐날뛰고,방직자의 경우 꼬리 조준에도 유리하며 2페이즈에서는 방직자에게 유도됨과 동시에 방직자의 몸통에 낫들이 들러붙어 막대한 다단히트 대미지를 가한다.디오갓에게도 동일.덕분에 실제로는 잘하면 2~3만대의 dps를 뽑아내며,동티어의 다른 무기들보다 빠르거나 최소 다른 사기 무기와 비슷하게 보스들을 갈아버릴수도 있는 주제에 초고성능 유도까지 달린,매우 좋은 무기중 하나이다. 다만 이러한 특성 때문에 투사체의 데미지가 너프르 먹었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은하 분쇄기)][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Galaxy Smasher, 한=은하 분쇄기, 사진=GalaxySmasher.png, 과정=ⓟ, 색=purple, 희소=dark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300, 시=12, 속=매우 빠름, 넉=14, 강=상식을 벗어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StellarContempt.png, 이름=스텔라 컨템프트,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liteBar.gif, 이름=코스밀라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br]@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성능은 딱 스텔라 컨템프트의 업그레이드. 명중 시 갤럭시 스매셔 형태의 투사체 몇개를 사방에서 소환해 타격한다. 8회 명중 시 망치가 돌아오다 말고 짧게 앞으로 가다 멈추다가 점점 커지더니 적에게 들이받아 엄청난 피해를 가한다. 모든 공격은 [[../시스템#신살자의 불길|[[파일:Calamity/GodSlayerInferno.png|width=16px]]신살자의 불길]] 디버프를 가한다. [[#트리엑티스의 진정한 수호자의 마법망치|트리엑티스의 진정한 수호자의 마법망치]]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페이즈슬레이어)][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Phaseslayer, 한=페이즈슬레이어, 사진=Phaseslayer.png, 과정=ⓟ, 색=purple, 희소=#C46210 ,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980, 시=24, 속=빠름, 넉=7, 강=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DubiousPlating.png, 이름=수상한 도금판, 문서=재료, h=24px)] (25) + [include(틀:c캡션, 사진=MysteriousCircuitry.png, 이름=기이한 전기회로, 문서=재료, h=24px)] (15)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liteBar.gif, 이름= 코스밀라이트 주괴, 문서= 재료, h=24px)] (8) + [include(틀:c캡션, 사진=AscendantSpiritEssence.gif, 이름= 고대인의 영혼의 정수, 문서= 재료, h=24px)] (2)[br]@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br]([[../아이템#암호화된 설계도면(설원 지하)|암호화된 설계도면(설원 지하)]] 해독 이후)}}}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Phaseslayer_(demo).gif|{{{-2 (공격 사진)}}}]] 사용 시 거대한 칼날을 휘두르며 공격한다. 칼날의 크기는 충전량에 비례하므로 남은 에너지가 적을수록 칼날의 크기도 줄어든다. 또 칼날을 휘두를 때마다 적을 2번 관통하며 기본 대미지의 15%에 해당하는 투사체를 발사하기도 한다. 또한 휘두를 때 커서가 플레이어와 가까울수록 더 많은 빔을 발사한다. 최대 충전량은 250. 추가로, 칼을 휘두르는 각도량에 따라 피해량이 아래와 같이 늘어난다. * 각도 이동이 없을 경우 경우 기존 공격력의 53.5% * 초당 360도를 이동할 시 100%의 대미지 *초당 540도를 돌 시 116.6%의 대미지 *초당 720도를 돌 시 130.6%의 대미지 *초당 1080도를 돌 시 153.5%의 대미지 *초당 1800도를 돌게 될 시 187%의 대미지 설정 상 위의 무라사마의 프로토타입형 무기라고 한다. 디자인의 모티브는 [[둠 시리즈|둠 리부트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마검인 [[크루시블(둠 시리즈)|크루시블]]. 이름 또한 둠 리부트 시리즈의 주인공 [[둠 슬레이어]]에서 따 왔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전우주의 채찍)][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Scourge of the Cosmos, 한=전우주의 채찍, 사진=Scourge_of_the_Cosmos.png, 과정=ⓟ, 색=purple, 희소=dark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478, 시=20, 속=매우 빠름, 넉=5, 강=보통,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커럽터의 채찍,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Bonebreaker.png, 이름=본브레이커, 문서=근접 무기, h=24px)][br]+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liteBar.gif, 이름=코스밀라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10)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커럽터의 채찍|커럽터의 채찍]]의 강화판으로, 적이나 지면에 닿으면 유도성의 초소형 포식자로 분해되는 발사체를 날린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Scourge_of_the_Cosmos_(demo).gif|{{{-2 (공격 사진)}}}]] 기존보다 스펙이 대폭 강화되었지만 아래의 [[#최고천의 단검|최고천의 단검]]과 비교되며 평가절하되는 감이 강하다. 그래도 강력한 공격력 덕분에 나름대로 좋은 무기.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최고천의 단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Empyrean Knives, 한=최고천의 단검, 사진=EmpyreanKnives.png, 과정=ⓟ, 색=purple, 희소=dark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230, 시=14, 속=매우 빠름, 넉=3, 강=매우 약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흡혈귀의 단검, 문서=무기/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MonstrousKnives.png, 이름=괴물같은 단검, 문서=근접 무기, h=16px)] + [include(틀:c캡션, 사진=DarksunFragment.png, 이름=암흑태양 파편, 문서=재료, h=24px)] (8)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liteBar.gif, 이름=코스밀라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흡혈귀의 단검|흡혈귀의 단검]]의 강화판으로, 공격력과 사거리가 대폭 상승하고 투척 속도도 훨씬 빨라졌으며, 지형에 닿으면 튕기기까지 한다. 당연히 기존의 흡혈 성능도 건재. 야론 전투에서 워리어가 다른 직업보다 빛날 수 있게 해주는 이유일 정도로 매우 좋은 무기다. 개발자 무기인 [[#명검|명검]]으로 강화할 수 있다. ||<^|1>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갤럭시아)][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Galaxia, 한=갤럭시아, 사진=Galaxia(Cancer).gif, 과정=ⓟ, 색=purple, 희소=dark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800, 시=17, 속=매우 빠름, 넉=9,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True_Biome_Blade.png, 이름=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DarksunFragment.png, 이름=암흑태양 파편, 문서=재료, h=24px)] (8)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liteBar.gif, 이름=코스밀라이트 주괴, 문서=재료, h=16px)] (8) @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1>[include(틀:c인포박스/펫, 영=Cancer, 한=게자리, 사진=Galaxia(Cancer).gif, 버프=Lul.png, h2=0px)][br][include(틀:c인포박스/펫, 영=Capricorn, 한=염소자리, 사진=Galaxia(Capricorn).gif, 버프=Lul.png, h2=0px)]||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의 업그레이드 버전. [[../보스#신들의 포식자|신들의 포식자]] 처치 이후 만들게 되는 무기이다. 1.5.1버전 이후 굉장히 특이하게 공격방식이 변경되었는데, 다른 바이옴 블레이드 계열처럼 굉장히 화려한 공격 방식을 지니게 되었다. 우클릭 시 특유의 별자리의 잔상이 보이며 또한 별자리를 변경할 수 있으며 별자리에 따라 공격방식이 달라진다. * [[봉황자리]] :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의 도검장인의 긍지에 대응되는 별자리. 검을 원형으로 휘두른다. 휘두를 수록 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속도가 빨라지며, 사방에 유도성 투사체를 발사, 커서를 떼면 검을 전방으로 던지고 투사체 여러 발을 발사하며, 검은 플레이어에게 되돌아온다. * [[양자리]] : 속박된 자들의 비애에 대응되는 별자리. 악마의 일출이나 잔혹마냥 커서로 검을 조종할 수 있다. 악마의 일출과 마찬가지로 거리제한이 있으며 검과 플레이어 사이에 별자리 형태가 연결되어 있다. 적들이 연결 부위에 닿아도 대미지를 입는다. * [[안드로메다자리]] : 변덕스러운 파도에 대응되는 별자리. 검을 커서방향을 향한채로 꺼낸 뒤 총 4번 충전되며 1번 충전될 때마다 5발의 약한 유도성 투사체가 소환되며 4번째 완충 시 여러 개의 투사체가 소환되고 검이 타오르는 연출이 일어난다. 1회이상 충전 후 커서를 뗄 경우 검을 매우 짧은 거리로 던져 3번 강하게 타격하거나 혹은 지면에 부딪힐 경우 화면이 흔들리는 연출이 일어나고 유도성있는 투사체 여러 개를 지면에서 소환한다. 충전한 횟수가 많을수록 투사체의 소환 갯수도 많아지며 위력도 상승한다. * [[작은곰자리]] : 핏빛 격노에 대응되는 별자리. 일정 범위에 지속적으로 타격을 주는 불안개를 생성하며, 풀차지 시 커서를 뗄 경우 전방으로 적을 2번 공격하는 투사체가 날아가며, 투사체를 던진 후 한번 더 좌클릭을 꾹 누르면 '''해당 투사체의 자리까지 무적상태로 일직선으로 돌진하며 돌진이 끝날 시 칼날이 스릉 하는 소리와 함께 수많은 유도성 별 투사체가 발사된다.''' 이 투사체와 돌진의 딜이 매우 강력해 잘 맞추기만 한다면 매우 좋은 능력. 특히 야론전에서 돌진을 카운터칠때 빛을 발한다. 또한 봉황자리, 양자리의 경우 축복으로 별의 고리 범위 내에 적을 약화시키는 [[염소자리]]의 축복을 부여하고 안드로메다자리와 작은곰자리는 범위 내 지속패히를 입히며 흡혈기능이 있는 [[게자리]] 축복을 부여한다. 염소자리의 축복은 플레이어에게서 멀어지다가 멈추며, 게자리 축복은 플레이어에게 가까워지다가 멈춘다. 이전과 달리 손꼽을 정도로 이질적인 무기가 되었지만 쓰기가 불편해진 감이 있다, 하지만 봉황자리의 공격 모션이 꽤나 쓸만하고, 작은곰자리 공격이 야론의 돌진을 카운터치기 좋은 능력이라 여전히 나쁘지 않으며, 무엇보다 야론 돌진을 카운터치는 게 재미있어서 워리어에게 추천해볼만한 무기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불타는 창공)][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The Burning Sky, 한=불타는 창공, 사진=The_Burning_Sky.png, 과정=ⓟ, 색=purple,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47, 시=8, 속=매우 빠름, 넉=2.5, 강=매우 약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Yharon(R).png, 이름=야론, 문서=보스)] (25% / {{{#E80 33.33%}}})}}} 휘두를 때마다 하늘에서 화염구를 불러내는데, 그 양이 맵 전제를 뒤덮는 수준으로 굉장히 많이 나온다. 하지만 1.5이후에는 커서 지점의 일정 범위 내에서만 떨어지게끔 변경되었다. 화염구는 지형을 통과하고 매우 긴 시간 동안 남는다. 화염구는 [[테라리아/시스템#여명맞이|[[파일:Terraria/Daybroken.png|width=16px]]여명맞이]] 디버프를 10간 가한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The_Burning_Sky_(demo).gif|{{{-2 (공격 사진)}}}]] 동시기에 획득 가능한 원거리공격형 워리어 무기 중 가장 강력한 단일대상 딜량을 자랑하여[* 제니스 등 오릭 티어 무기들이 2만대 중후반~3만대 즘 나올 때 이 녀석은 적 크기에 따라 4만대 이상도 노려볼 만 할 정도다.] 엑소 메카는 물론 슈칼전에서도 엑소블레이드를 제치고 굉장히 자주 쓰인다. 그래도 엑소블레이드는 초강력 유도가 있어서 일장일단은 있겠지만. 단점은 투사체 개수가 너무 많은 탓에 슈칼전에서 가시성이 개판이다. 결국 업데이트로 기본 공격력이 134로 팍 꼴아박았다. 딜량이 일반적인 오릭 티어 무기와 비슷해진 편. 패치로 공격력이 소폭 상승하고 공격속도가 빨라져 쌍둥이 상대로는 30000에 가까운 Dps를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용의 격노)][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Dragon Rage, 한=용의 격노, 사진=Dragon_Rage.png, 과정=ⓟ, 색=purple,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075, 시=25, 속=빠름, 넉=7.5,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Yharon(R).png, 이름=야론, 문서=보스)] (25% / {{{#E80 33.33%}}})}}} 사용 시 바닐라의 천룡의 격노처럼 무기를 창돌리기하듯 원형으로 돌리면서 공격한다. 적을 타격하다보면 대량의 화염구가 퍼져나가는데, 해당 투사체는 잠시 뒤 적에게 유도된다. 무기 자체는 [[테라리아/시스템#여명맞이|[[파일:Terraria/Daybroken.png|width=16px]]여명맞이]] 디버프를 3초, 화염구는 2초동안 가하고 폭발은 [[테라리아/시스템#불이야!|[[파일:Terraria/OnFire.png|width=16px]]불이야!]] 디버프를 5초동안 가한다. [[https://calamitymod.fandom.com/wiki/Dragon_Rage?file=Dragon_Rage_%2528demo%2529.gif|공격 사진]] 워낙 압살적인 다단히트 대미지로 인해 타나토스나 신들의 포식자 등 다관절 보스들을 갈아버릴 수 있으며, 브림스톤 심장 부수는 데에도 쓰인다. 사실상 무라사마의 입지를 떨어뜨린 장본인.[* 물론 무라사마가 대미지를 엄청나게 너프먹은 것도 있다.] 결국 패치로 공격력을 너프먹고 화염구 생성에 어느정도 제한점이 생겼다. 무라사마의 입지를 떨어뜨리는 건 고사하고 산산조각내버릴 정도였으니 당연하지만. 더군다나 타나토스가 용의 격노에 내성이 생겨서 이전처럼 순삭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래도 여전히 브림스톤 심장은 더 빨리 부순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우주의 방주)][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Ark of the Cosmos, 한=우주의 방주, 사진=Ark_of_the_Cosmos.png, 과정=ⓟ, 색=purple,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670, 시=15, 속=보통, 넉=9.5, 강=극도로 강함, 치=19)][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Galaxia(Cancer).gif, 이름=갤럭시아,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Ark_of_the_Elements.png, 이름=원소의 방주, 문서=근접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AuricBar.gif, 이름= 오릭 주괴, 문서= 재료, h=24px)] (5)[br]@ [include(틀:c캡션, 사진=CosmicAnvil.png, 이름=전우주의 모루, 문서=건축, h=24px)]}}} || '''[[https://calamitymod.fandom.com/wiki/Ark_of_the_Cosmos?file=Ark_of_the_Cosmos_%2528demo%2529.gif|{{{-2 공격 모습 (사진)}}}]]''' || 방주 시리즈와 바이옴 블레이드 시리즈 무기들의 최종 업그레이드 버전. 1.5.1 버전 이후 생김새도 변경되고 공격방식도 완전히 바뀌었다. 첫 번째와 세 번째 공격은 검을 한 번 휘두르며 전방에 검 모양 투사체 한 발과 유도성 투사체 여러 발을 날리며 두 번째와 네 번째 공격은 검을 원형으로 휘두르며 투사체를 발사, 다섯번째 공격은 갤럭시아의 양자리 공격을 1초동안 사용한다. 방주 시리즈만의 독자적인 시스템으로 'Parry'가 추가되며 또한 독자적인 충전 게이지를 지니게 된다. 최대 10칸이 충전 게이지가 존재하며, 잔존 게이지는 인벤토리 창에서 무지개색 바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우클릭 공격으로 적이나 발사체를 타격할 경우 'Parry!'라는 문구가 뜨며 10의 게이지가 완충되며 한 번 휘두를 때마다 1의 게이지가 감소한다. 충전 시 위력이 1.2배 증가하며 2, 4번째 공격 시 중앙의 투사체가 더욱 커지고 5번째 공격 도중 커서를 떼면 간혹 다른 한 쪽의 검을 던져서 합치기도 한다. 당연히 대미지가 들어가며, 충전 게이지 2칸을 회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된 상태의 검으로 적을 타격 시 최대 0.5초의 무적이 부여되며 검에 맞은 투사체의 대미지가 1초동안 최대 200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5.6초의 재사용시간이 존재하며, 적을 맞추지 못하면 효과발동이 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고대의 방주와 그 이후의 방주 시리즈들은 게이지가 남아있을 때 이동 키 UP(기본키 w)+우클릭을 누르면 잔존 충전게이지를 전부 소진시키고 특수 공격을 가한다. 이를 'Big Rip'(대절단)이라 부르는데, 검을 커서 방향으로 50블록가량 투척하여 투척한 자리에 궤적을 남기고 잠시 후 궤적에 닿은 적들에게 대미지를 입히고 사라진다. 대미지는 1번만 들어가며, 공격력은 남아있는 잔존 게이지에 다라 달라진다. 대미지 공식은 (1.2 x 잔존 게이지 x 0.5)로, 남아있는 게이지가 많을수록 대미지가 더욱 커진다. 일례로 완충된 상태에서 해당 공격을 가할 경우 대미지는 기본 대미지의 6배(1.2 x 10 x 0.5)가 되며, 1칸만 남은 상태에서 해당 공격을 가하게 되면 기본 대미지의 0.6배(1.2 x 1 x 0.5)의 대미지만 준다. 또한 우주의 방주만의 특성으로 특수공격 도중 w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발사된 검을 향해 빠르게 돌진하여 1/6초가량의 무적 프레임을 획득하며 5발의 유도성 투사체를 소환한다. 투사체의 대미지는 무기 공격력의 20%이다. 기존에 유도기능을 위시한 무지성 난사로 때려잡던 시절보다 사용하기 좀더 까다로워졌다. 그래도 딜은 그 시절과 비슷하고 범위도 나쁘지 않은지라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는 무기. 하지만 2.0.1.1이후 공격력이 1300으로 큰 폭으로 떨어져 단일딜은 불타는 창공에게 상당히 밀리고, 제니스와 비교해도 그리 차이가 나지 않는데다 관통기능 등 유틸성도 제니스가 워낙 압살적인지라 어느정도 위상이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후 업데이트로 공격력이 1670으로 재상승.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무라사마)][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Murasama, 한=무라사마, 사진=Murasama.gif, 과정=ⓟ, 색=purple,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001, 시=25, 속=빠름, 넉=6.5, 강=강함, 치=34)][include(틀:t보물)] 지하세계에 존재하는 [[../지형#무기고 연구소|무기고 연구소]]의 상자}}} > '''[[사무엘 호드리게스|There will be blood!]]''' > '''피가 있으리라!''' [[테라리아/무기/근접 무기#아크할리스|아크할리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공격한다. 하드모드 이전에도 얻을 수 있는 무기이지만, 야론을 잡기 이전에는 휘두르기가 되지 않아서 실질적으로 달의 군주 이후 아이템으로 취급된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Murasama_(demo).gif|{{{-2 (공격 사진)}}}]] 모티브는 [[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에 나오는 검. 무기 설명에 써 있는 "ID and power-level locked. Prove your strength or have the correct user ID to wield this sword"라는 말 또한 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에서 따온 것으로, 야론을 잡아 힘을 증명하는 것 말고도 ID 인증, 즉 캐릭터 아이디가 Jetstream Sam이거나 Sam의 풀네임인 [[사무엘 호드리게스|Samuel Rodrigues]]이면 처음부터 사용할 수 있다. 이전에는 슈퍼 더미 상대로 수백만 단위의 DPS를 꽂아넣을 수 있을 정도로 강력했으나 1.5이후로 피해량이 크게 너프받고 공격 방식도 3연타 형식으로 바뀌어서 위상이 낮아졌다. 이젠 작정하고 순수 근접 세팅을 하지 않는 이상 DPS도 투사체 공격이 가능한 우주의 방주에 밀릴 정도. 특히나 용의 격노가 너무 강해져서 브림스톤 심장 부수기나 타나토스 등 다관절 보스 처리에도 용의 격노에게 한참 밀린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잔혹)][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Violence, 한=잔혹, 사진=Violence.png, 과정=ⓟ, 색=purple,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404, 시=25, 속=빠름, 넉=9, 강=매우 강함, 치=4)][include(틀:t드롭)] [include(틀:c캡션, 사진=SupremeCalamitasHooded.gif, 이름=칼라미타스, 문서=보스, h=24px)] (25% / {{{#C80 33.33%}}})}}} 악마의 일출이나 대공포 크라켄처럼 커서를 따라 빠르게 회전하는 창을 던진다. {{{#!wiki style="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EE;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color:black; " \ [anchor(명검)][include(틀:c인포박스/무기, 영=Illustrious Knives, 한=명검, 사진=Illustrious_Knives.png, 과정=ⓟ, 색=purple, 희소=hot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400, 시=11, 속=매우 빠름, 넉=3, 강=매우 약함, 치=4)][include(틀:t조합)] [include(틀:c캡션, 사진=EmpyreanKnives.png, 이름=최고천의 단검, 문서=로그 무기, h=24px)] + [include(틀:c캡션, 사진=CoreofCalamity.png, 이름=재앙의 코어, 문서=재료, h=24px)] (3) + [br][include(틀:c캡션, 사진=ShadowspecBar.gif, 이름=섀도우스펙 주괴, 문서=재료, h=18px)] (5) @ [include(틀:c캡션, 사진=Draedon%27s_Forge.png, 이름=드레이돈의 용광로, 문서=건축, h=24px)]}}} [[테라리아/무기#흡혈귀의 단검|흡혈귀의 단검]]과 유사하게 녹색의 단검을 적에게 흩뿌린다. 단검은 높은 유도력을 가지고 있으며 적에게 [[../시스템#신성한 불꽃|[[파일:Calamity/Holy_Flames.png|width=16px]]신성한 불꽃]] 디버프를 100% 확률로 10초간 건다. 또한 뱀파이어 나이프 계열답게 무기 대미지의 1.5%의 체력을 흡혈하는 기능이 있다. [[https://calamitymod.gamepedia.com/File:Illustrious_Knives_(demo).gif|{{{-2 (공격 사진)}}}]] 여담으로 이 무기는 고유 희귀도를 가지고 있다. {{{#9AFF97 민트 그린}}}과 {{{#E497FF 자주빛}}} 색상이 번갈아 나타난다. 다만 일관성을 위해 {{{#hotpink 핫핑크}}}로 분류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Calamity Mod/무기, version=226)] [[분류:Calamity M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