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vuM5S_QtcEc,width=560,height=315)] [[SCTL]]의 곡. 장르는 트랜스. 제목인 Cervelle Connexion은 "뇌파 연결"을 뜻한다. === 대회 결과 === * 대회명: PABAT! 2015 (2015) * 순위: 25위 (64곡 중) == [[BMS]] == PABAT! 2015 출품곡. == 타 리듬게임 수록 == === [[Dynamix]] === ||<-6> [[Dynamix]]의 이벤트 곡 || ||<|2><:>2016 02/03[br]~[br]2017 02/12|| 14번째 ||<|2> → || 15번째 ||<|2> →|| 16번째 || ||<:>[[Starbirds of Zenith Blue]][br][[Flarebirds of Scarlet Prism]]||<:>[[Cervelle Connexion]]||<:>[[Soul Army]]|| ||<:>re open||<-5><:>없음|| ||||||||
'''Cervelle Connexion''' || |||||||| [[파일:CervelleConnexionDynamix.png|width=240]] || ||<:>작곡가||<-10><:>[[SCTL|praw]]|| ||<:>BPM||<-10><:>142|| ||<:>난이도||||<:>레벨||||<:>노트수|| ||<:>{{{#00bfff NORMAL}}}||||<:>{{{#00bfff 4}}}||||<:>{{{#00bfff 408}}}|| ||<:>{{{#red HARD}}}||||<:>{{{#red 8}}}||||<:>{{{#red 671}}}|| ||<:>{{{#purple MEGA}}}||||<:>{{{#purple 12}}}||||<:>{{{#purple 1061}}}|| ||||<:>좌측라인||||<:>우측라인|||| ||||<:>일반&홀드||||<:>일반&홀드|||| 공모전에 출품하여 [[Dynamix]]에 수록되었다. 공모전에는 praw 명의로 제출하여 아티스트 명의가 변경되었다. 15번째 이벤트 곡이며, BGA는 없다. 전 난이도 해금에 총 17000 프래그가 필요했다. 이후 [[High Speed Riders]] 이벤트 때 재공개되었다. [youtube(T7kE_y3MKFE,width=560,height=315)] 하드 난이도 플레이 영상. 플레이어는 Daga. ==== 메가 ==== [youtube(DFD1re2LO8E,width=560,height=315)] MEGA 난이도 플레이 영상. 플레이어는 nanoflower. 초반부터 사이드를 적극 활용한 채보를 내보낸다. 센터 더블클릭 - 사이드 - 센터,사이드 4트릴 구간이 반복되는 패턴. [* 초반의 반복패턴은 중간에 손배치가 한번 반대로 바뀌는데 손배치를 바꾸는 부분에서 미스가 나기 쉽다.] 그 후 잠시 쉬다가 초반부를 강화한 계단+사이드 패턴으로 체력을 빼놓고 최후반에도 기습 사이드 트릴을 내보낸다. 홀드와 슬라이드가 사실상 전무하다시피 하기 때문에 의외로 체력을 요구하는 곡이다. [[Offshore|홀드 노트가 단 하나밖에 나오지 않는다.]] 220콤보 부근에 딱 하나 나온다. 또 663콤보는 자세히 보면 사이치기를 써야하는 5동타다. === [[Phigros]] === [include(틀:Phigros/Single)] ||<-4> {{{#fff {{{+1 '''Cervelle Connexion'''}}} }}} || ||<-4> [[파일:Phigros/Cervelle Connexion.png|width=320]] || || 작곡가 ||<-3> [[SCTL]] || || BPM ||<-3> 142 || || 채보 제작 ||<-3> {{{#11B230 '''[EZ]'''}}} {{{#0075B8 '''[HD]'''}}} {{{#CE1415 '''[IN]'''}}}[br]Eastern Ailuropoda Gang[* 실제 채보 제작자는 TangScend.] || || 일러스트 ||<-3> [[SCTL]] || || 난이도 || EZ || HD || IN || || 레벨 || 4 || 11 || 14 || || 세부난이도 || 4.8 || 11.3 || 14.5 || || 노트 수 || 301 || 569 || 563 || || 특이사항 ||<-3> '''IN 노트 수가 HD 노트 수보다 적은 최초의 곡'''[br]작곡가와 일러스트 제작자가 같음 || [clearfix] ==== EZ ==== ==== HD ==== ==== IN ==== [youtube(fOLpbyOA800)] Phi 영상. 플레이어는 アルストロメリア. 초반에는 정상적으로 시작하다가 판정선이 갑자기 밑으로 빠지면서 [[Leave All Behind|노트가 판정선을 대신한다.]] [[RAVON]]과 비슷한 부분만 주의해주면 무난한 14렙. [[분류:Be-Music Script의 곡]][[분류:Dynamix의 수록곡]][[분류:Phigros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