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YPIvnUuDd4)]}}} || || {{{-1 '''수록 정보'''}}} ||{{{-1 [[DJMAX 온라인|DJMAX Online]]}}} {{{-3 (2005)}}} || || {{{-1 '''장르'''}}} ||{{{-1 Melodic Trance}}} || || {{{-1 '''BPM'''}}} ||{{{-1 155}}} || || {{{-1 '''작곡'''}}} ||{{{-1 [[Tsukasa]]}}} || || {{{-1 '''BGA'''}}} ||{{{-1 Jay}}} || == 개요 == [[Tsukasa]]가 [[DJMAX 온라인]]에 투고한 [[DJMAX 시리즈]] 데뷔곡이다. 피아노 연주가 돋보이는 트랜스 곡으로 빠르게 전개되는 멜로디와 작렬하는 신스사운드로 마치 서킷에서 질주하는 듯한 느낌을 표현했다. [[DJMAX 온라인]]에서 적절한 고난이도 패턴과 높은 곡 퀄리티 덕에 인기를 매우 끌었으며 이후 [[DJMAX Portable 2]] 등 수많은 작품들에 이식되었다. 그러나 [[DJMAX TECHNIKA 시리즈]]에는 수록되지 않아, 건반류 디제이맥스 시리즈를 플레이한 사람들만 아는 곡. BGA 역시 속도감에 걸맞게 레이싱이 주 소재로, 주인공인 드라이버가 여성이라는 특징도 있다.[* 지금이야 [[포뮬러 1|F1]]에도 여성 드라이버가 있지만, 당시(1978년 ~ 2012년)에는 F1 여성 드라이버가 전무했다. 여성 드라이버가 F1에 다시 오르게 된 건 수지 울프 때부터이다.] 이 덕분에 레이싱 컨셉인 DJMAX RESPECT V의 클리어 패스 시즌6 테마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 [[DJMAX Portable 2]] == == [[DJMAX Trilogy]] == DMP2의 6B HD와 TR의 6K HD 패턴은 완전히 동일하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PORTABLE 2)]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ain of Gravity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3366 25%, #ff3333 75%)" '''{{{#730731 PORTABLE 2}}}'''}}} || ||<-4>'''{{{+5 Chain of Gravity}}}'''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3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1.22 패치에서 11 →12로 상향.] [br] {{{-5 921}}}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158}}}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3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921}}} || -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2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92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97}}}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180}}}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50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1.22 패치에서 11 → 12로 상향.] [br] {{{-5 1024}}} || -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eb6, #ff9c9c)"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E6Vv1nMv5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9LO7wwVLYk)]}}}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jyFtd77JFw)]}}} || || 4B SC 패턴의 경우 4버튼 특유의 불규칙 따닥이가 전혀 없고 계단과 트릴만으로 우직하게 압박하며, [[Road Of Death]]의 4B SC 패턴 초살에서 등장하는 유형의 동시치기 섞인 트릴도 자주 등장한다. 특히 후살에서는 그 로오데 트릴을 한번 더 꼬아놓은 배치의 '''변형 동시치기 트릴'''이 등장하는데, 후술할 6B SC와 패턴 구성은 크게 다르지 않으나 오히려 버튼 수가 줄어들면서 밀도가 높아지고 배치가 꼬여버린 계단과 트릴 덕에 한번 실수하면 종잡을 수 없을 정도로 미끄러지기 쉽고, 패턴도 보다 읽기 어려워졌기 때문에 6B SC보다도 어렵다고 평하는 유저들이 많다. 특히 '로오데 트릴' 자체가 4버튼 유저들이 상당히 고되어하는 유형의 패턴이기 때문에 더더욱 고평가받는다. 원래 15레벨이었으나 패치로 14레벨로 하향되었는데, 기존에 물렙곡 취급 받던 곡도 아니었으며 불규칙 따닥이로 인해 어렵다고 평가받는 [[HEXAD]]나 [[Cypher Gate]]같은 곡들과 묶여서 14레벨 최상위권에 위치하고 있어 굳이 레벨을 내릴 필요는 없지 않았냐는 의견이 많다. 향후 14레벨 상위권 패턴들이 배정받는 10레벨로 조정되었으나, 여전히 11레벨 급의 [[불렙곡|불렙]]으로 평가받는 패턴이다. 동레벨인 11레벨에 우직한 폭타 패턴이자 BPM 또한 훨씬 빠른 [[Groove Prayer]]가 존재하지만, 오히려 이 패턴이 더 어렵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이다. 어느정도 수준의 폭타에 있어서는 BPM보다는 배치를 꼬아놓는 것이 더 까다롭다는 것을 증명하는 패턴.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0l_VzW_Qb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pP91QyuOUk)]}}}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qs5KjX_2E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CTwTqjukWI)]}}}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eC5wnoN8o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0_SjQsWozI)]}}} || 6B MX는 맥시멈 특유의 짤린 계단이 다수 섞인 폭타가 많이 나오며, 14레벨 이상의 고난이도 패턴에서는 지겹도록 볼 수 있어 지력이 받쳐준다면 연습곡으로 아주 좋다. 6B SC는 복잡한 패턴이 나오는 건 아니지만 지속적인 계단으로 체력을 빨아먹는 구조로, 15레벨일 당시 15레벨 입문곡이었고, 향후 14레벨로 하향된 뒤에는 특정 구간에 몰린 밀도와 반복적 배치 등 까다로운 요소가 어느 정도 있어 다소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이후 4B SC와 마찬가지로 10레벨로 조정되었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4S4nYqvA3Q)]}}}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Xw-zGa6jIo)]}}} ||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