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지역사랑상품권)] ||<#ffffff><-4> [[한국조폐공사|[[파일:한국조폐공사 CI_좌우.svg|width=100]]]][br] {{{#494a4c Chak / 지역상품권 Chak}}} || ||<|4><:><#ffffff> [[파일:착.png|width=100%]] || 운영사 || [[한국조폐공사|[[파일:한국조폐공사 CI_상하.svg|width=50]]]] || || 주관 |||| 해당 각 시/구 || || 사용처 |||| 사용 불가 장소를 제외한 각 시/군 전역 || || 관련 링크 |||| [[https://localpay.komscochak.com/|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komscochak.m.client|[[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27]]]] [[https://apps.apple.com/kr/app/%EC%A7%80%EC%97%AD%EC%83%81%ED%92%88%EA%B6%8C-chak/id1447922056|[[파일:App Store 아이콘.svg|height=30]]]]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조폐공사]]에서 개발 및 운영중인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화폐 서비스. == 상세 == 일반 사용자는 다양한 지자체의 [[지역화폐]]를 충전하여 사용하고, 또 지자체에서 본인에게 발급된 지급형 화폐를 손쉽게 수령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사용자는 본인의 가게에서 chak을 통해 결제된 내역을 관리하고, 지역화폐를 손쉽게 현금으로 계좌입금(환전)을 신청할 수 있으며 수수료가 없다는 점이 장점이다. 결제 방식으로는 [[QR코드]] 결제 방식을 지원하며, 카드형은 신한카드, 농협카드, 우체국 체크카드 등 체크카드 기반으로 운영되고, 지역상품권 착 앱을 통해 별도로 신청해야 한다. 또한 카드로 결제시 충전된 착 앱 내 금액에서 빠져나가는 형태이다. === 운영 지역 === ==== 경기도 ([[경기지역화폐]] 소속) ==== ===== 시흥시 (시흥화폐 시루) ===== 모바일 앱 기반이며 카드형은 시루체크카드로 [[NH농협카드]]에서 발급. [[경기지역화폐]] 참조. ===== 성남시(성남사랑상품권 & 성남사랑카드) ===== 모바일 앱 기반이며 카드형은 성남사랑카드로 신한은행과 [[NH농협카드]]에서 발급. 이외에도 아동·청년수당 대상자 한정으로 신한카드에서 발급하며 본 앱과는 연동되지 않는다. ==== 충청북도 ==== ===== 제천시 (제천화폐 모아) ===== 제천시 주관의 지역화폐. 카드형은 농협카드와 우체국 카드로 서비스 중. [[http://www.bzeronews.com/news/photo/202010/457446_674373_4247.jpg|카드 이미지]](농협카드) [[http://www.bzeronews.com/news/photo/202010/457446_674374_4247.jpg|카드 이미지]](우체국카드) ===== 괴산군 (괴산사랑상품권 & 괴산사랑카드) ===== [[https://imgnews.pstatic.net/image/001/2020/12/17/AKR20201217139200064_01_i_P4_20201217162304888.jpg?type=w430|카드 이미지]](우체국카드) [[https://cdn.dynews.co.kr/news/photo/202011/605154_203493_4949.jpg|카드 이미지]](농협카드) ==== 전라남도 ==== ===== 여수시 (섬섬여수페이) ===== ===== 순천시 (순천사랑상품권) ===== [[https://imgnews.pstatic.net/image/468/2020/10/23/0000708470_001_20201023141614079.jpg?type=w430|카드 디자인]](농협카드) ===== 나주시 (나주사랑상품권 & 나주사랑카드)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imgnews.naver.net%2Fimage%2F001%2F2020%2F08%2F31%2FAKR20200831152700054_01_i_P4_20200831173512426.jpg&type=sc960_832|카드 디자인]](신한카드 & 농협카드) ===== 광양시 (광양사랑상품권) ===== 2022년 8월 19일부터 농협, 광주은행, 광양시새마을금고에서 판매한다. 월 충전한도는 70만원이며[* 2023년 6월 1일부터 충전한도가 100만원에서 70만원으로 하향되었다.], 사용시 10% 캐시백을 지급한다. ===== 보성군 (보성사랑상품권 & 보성사랑카드) ===== [[https://imgnews.pstatic.net/image/079/2020/12/22/0003446360_001_20201222110236569.jpg?type=w430|카드 디자인]](농협카드) ===== 화순군 (화순사랑상품권 & 화순사랑카드) ===== [[https://imgnews.pstatic.net/image/468/2020/11/24/0000718490_001_20201124153211044.jpg?type=w430|카드 이미지]](농협카드) ===== 무안군 (무안사랑상품권) ===== ===== 함평군 (함평사랑상품권) ===== ===== 영광군 (영광사랑상품권) ===== 카드형은 코나아이가 운영대행사로 [[그리고(지역화폐)]] 앱을 통해 서비스한다. ==== 충청남도 ==== ===== 보령시 (보령사랑상품권) ===== ===== 청양군 (청양사랑상품권) ===== ===== 아산시 (아산사랑상품권 & 아산카드) ===== [[http://www.newstnt.com/news/photo/202104/76604_71729_1658.jpg|카드 디자인.농협카드]] ===== 서산시 (온통서산사랑상품권) ===== ===== 논산시 (논산사랑상품권 & 동고동락카드) ===== 카드형은 농협체크카드와 우체국체크카드 두가지로 나뉜다. 논산사랑상품권이 충전되어있고 가맹점이라면 논산사랑상품권이 사용되고 논산사랑상품권의 잔액이 부족하거나 가맹점이 아닌곳에서 사용한다면 각 카드의 농협과 우제국 입출금 통장에서 출금이 된다. ===== 계룡시 (계룡사랑상품권) ===== ===== 당진시 (당진사랑상품권) ===== ===== 금산군 (금산사랑상품권) ===== 카드형 2020년 12월 27일 출시예정 ===== 영동군 (레인보우영동페이) ===== ===== 서천군 (서천사랑상품권 & 서천사랑카드) ===== [[http://dn.joongdo.co.kr/mnt/images/file/2020y/12m/15d/2020121501001295100051261.jpg|카드 이미지]] ===== 홍성군 (홍성사랑상품권) ===== ===== 예산군 (예산사랑상품권 & 예산사랑카드) ===== [[http://www.jbnews.com/news/photo/202010/1311794_1107619_3023.jpg|카드 이미지]](농협카드) ===== 태안군 (태안사랑상품권) ===== ==== 전라북도 ==== ===== 군산시 ([[군산사랑상품권]] & 군산사랑카드) ===== [[군산사랑상품권|항목 참조]] ===== 정읍시 (정향누리상품권) ===== [[https://imgnews.pstatic.net/image/421/2020/11/30/0005020743_001_20201130140556074.jpg?type=w430|카드 디자인]](농협카드) ===== 남원시(남원사랑상품권 & 남원사랑체크카드) ===== [[https://imgnews.pstatic.net/image/001/2020/11/25/AKR20201125123200055_01_i_P4_20201125152816988.jpg?type=w430|카드 디자인]](농협카드) ===== 완주군 (완주사랑상품권) ===== ===== 임실군 (임실사랑상품권) ===== 농협카드 기반 카드형 출시. ===== 장수군 (장수사랑상품권) ===== ===== 순창군 (순창사랑상품권) ===== ==== 강원도 ==== ===== 정선군 (정선아리랑상품권 & 와와페이) ===== ===== 철원군 (철원사랑상품권 & 철원사랑카드) ===== [[http://www.m-i.kr/news/photo/202011/762365_541080_3215.jpg|카드 이미지]](농협카드) ===== 양구군 (배꼽페이) ===== [[https://imgnews.pstatic.net/image/001/2021/03/30/AKR20210330145100062_01_i_P4_20210330161610700.jpg?type=w430|카드 이미지]](농협카드) ===== 홍천군 (홍천사랑상품권 & 홍천사랑카드) ===== [[https://www.hongcheon.go.kr/www/contents.do?key=1680]] ==== 경상북도 ==== ===== 안동시 (안동사랑상품권) ===== ===== 영주시 (영주사랑상품권) ===== ===== 영천시 (영천사랑카드) ===== 영천시 주관의 농협카드 기반 체크카드형 지역화폐. 2020년 12월 21일 출시. [[https://cdn.dkilbo.com/news/photo/202012/320452_216044_1151.jpg|카드 이미지]] 영천사랑카드는 충전금액에 따라 사용가능한 체크카드 방식이며 한국조폐공사 앱 ‘지역상품권 chak’을 통한 온라인 발급이나 농협은행(지역농협, 축협 포함)을 방문해 발급받을 수 있다. 개인 구매한도는 월 50만 원이며 충전금액 10% 할인과 연말정산 시 체크카드와 동일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영덕군 (영덕사랑상품권) ===== ===== 고령군 (고령사랑상품권 & 고령사랑카드) ===== [[https://imgnews.pstatic.net/image/079/2020/11/11/0003430279_001_20201111113240482.jpg?type=w430|카드 디자인]](농협카드) ===== 성주군 (성주사랑상품권) ===== ===== 예천군 (예천사랑상품권) ===== ==== 경상남도 ==== ===== 의령군(의령더사랑카드) ===== [[http://cdn.kndaily.co.kr/news/photo/202101/182950_163394_3002.jpg|카드 디자인]] [[분류:선불형 지불수단]][[분류:한국조폐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