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자(1980년~1999년))] ||<-2><#AA8A57> '''{{{+1 Change the Worl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11NA63gLDM, width=100%, height=300)]}}} || || '''싱글 발매일''' ||[[1996년]] [[7월 5일]] || || '''싱글 B면''' ||Danny Boy || || '''앨범 발매일''' ||[[1996년]] [[7월 3일]] || || '''수록 앨범''' ||Phenomenon (soundtrack) || || '''장르''' ||어쿠스틱 록, [[블루스 록]], [[소프트 록]] || || '''작사/작곡''' ||토미 심즈 , 고든 케네디 , 웨인 커크패트릭 || || '''프로듀서''' ||[[베이비페이스]] || || '''러닝 타임''' ||3:54 || || '''레이블''' ||Reprise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kaoTalk_20210507_143427646_02.jpg|width=100%]]}}}||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노래, 순위=5449)]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kntzQiaFzOQ)] [[영국]]의 [[블루스 록]] 음악가 [[에릭 클랩튼]]의 1996년 싱글. == 상세 == 달달한 어쿠스틱 블루스 송이다. 1992년 [[Tears in Heaven]]으로 몸값이 높아진 에릭 클랩튼은 이 곡으로 완전한 제2의 전성기에 접어들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70년대의 명곡보다도 더 큰 인기를 끌었으며, 한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클랩튼의 노래중 하나다. MBC 골든 디스크에서 선정한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팝 송" 153위에 올랐을 정도. [[I Want to Know What Love Is|이 곡 때문에 에릭 클랩튼을 발라드 전문 가수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이 곡으로 에릭 클랩튼에 입문한 사람들은 [[White Room]]과 같은 곡을 듣고 깜짝 놀라곤 한다. 다만 이 곡은 [[Tears in Heaven]]과는 달리, 에릭 클랩튼이 직접 쓴 곡이 아니다. 작곡가는 토미 심즈, 고든 케네디, 웨인 커크패트릭. 이 곡은 존 터틀법 감독의 영화 "페노메논"에 수록된 OST 곡이다. 작곡자들은 이 곡을 작곡할때 [[가스 브룩스]]의 스타일이 나도록 노력했다고 한다. 영화 OST이지만 발매되자마자 인기가 폭발하여,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 5위, [[1996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19위, [[1997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67위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 성공했고, 비평적으로도 성공하여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레코드상, 최우수 남성 팝 보컬, 올해의 노래 3관왕을 휩쓸었다. 이로서 에릭 클랩튼은 올해의 노래상을 2회 이상 수상한 몇 안되는 인물이 되었다. 에릭 클랩튼은 이 곡을 자신이 존경하는 가수인 [[폴 매카트니]]에 대한 헌정 차원에서 [[R&B]] 스타일을 섞어 불렀다고 한다. 또한 이 곡은 존경하는 선배인 [[머디 워터스]]의 스타일도 참조하였다고 한다. == 가사 == ||<:> ---- '''{{{+4 Change the World}}}''' ---- If I could reach the stars 만약 내가 별에 닿을 수 있다면 Pull one down for you 그중 하나를 너를 위해 따다줄게 Shine it on my heart 거기에 내 마음을 비출거야, So you could see the truth 네가 진실을 볼 수 있도록 말이야 That this love I have inside 내가 마음 속에 가지고 있는 모든 사랑이 Is everything it seems 너의 눈에 훤히 보일 수 있도록 But for now I find 하지만 나는 아직까지는 It's only in my dreams 그걸 꿈 속에서만 찾을 수 있어 And I can change the world 그리고 나는 세상을 바꿀 수 있어 I will be the sunlight in your universe 나는 너의 우주 세계에서 태양빛이 되어줄게 You would think my love was really something good 너는 내 사랑이 정말 좋은 것이라고 생각할거야 Baby, if I could change the world 만약 내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면 If I could be king 그리고 내가 왕이 될 수 있다면 Even for a day 단 하루라도 왕이 될 수 있다면 I'd take you as my queen 난 너를 왕비로 모실거야 I'd have it no other way 그 외에 다른 방법이 없을거야 And our love would rule 그리고 우리의 사랑은 우리가 만든 In this kingdom we have made 이 왕국을 지배할거야 'Til then I'd be a fool 나는 그러한 날이 올때까지 Wishing for the day 그저 기도를 하는 바보일 뿐이겠지 And I can change the world 그리고 나는 세상을 바꿀 수 있어 I will be the sunlight in your universe 나는 너의 우주 세계에서 태양빛이 되어줄게 You would think my love was really something good 너는 내 사랑이 정말 좋은 것이라고 생각할거야 Baby, if I could change the world 만약 내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면 Baby, if I could change the world 만약 내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면 And I can change the world 그리고 나는 세상을 바꿀 수 있어 I will be the sunlight in your universe 나는 너의 우주 세계에서 태양빛이 되어줄게 You would think my love was really something good 너는 내 사랑이 정말 좋은 것이라고 생각할거야 Baby, if I could change the world 만약 내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면 Baby, if I could change the world 만약 내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면 Baby, if I could change the world 만약 내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면 ---- [[에릭 클랩튼|[[파일:EClogo.png|width=150]]]] ---- || [[분류:에릭 클랩튼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5위 노래]][[분류:빌보드 어덜트 컨템퍼러리 차트 1위 노래]][[분류:1996년 노래]][[분류:1996년 싱글]][[분류:소프트 록]][[분류:블루 아이드 소울]][[분류:블루스 록]][[분류:Babyface]][[분류: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