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 ||<-2> [[파일:ccdizzy.jpg]] || ||<-2> {{{+3 {{{#fff '''디지'''[br]Dizzy}}}}}} || || '''{{{#fff 시작 덱}}}''' ||방어 사격, 실드 급증 || || '''{{{#fff 플레이버 텍스트}}}''' ||과학 담당관입니다. 디지의 카드는 대부분 실드 또는 실드 조작 카드입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초기 선원 세 명 중 한 명. 실드와 기절에 특화된 선원. 고유 키워드로 기절의 원천, 보복, 유사 분열을 가진다. == 전용 카드 == ||<-5> 일반 || || [[#가속도|가속도]] || [[#굴절|굴절]] || [[#기절 사격|기절 사격]] || [[#기절 충전|기절 충전]] || [[#방어 사격|방어 사격]] || || [[#버튼 연타|버튼 연타]] || [[#부스트 콘덴서|부스트 콘덴서]] || [[#실드 급증|실드 급증]] || [[#큰 실드|큰 실드]] || - || ||<-5> 고급 || || [[#다중 기절|다중 기절]] || [[#방어자 번아웃|방어자 번아웃]] || [[#변환기|변환기]] || [[#산성 대포|산성 대포]] || [[#새로 고침 간격|새로 고침 간격]] || || [[#펄스 배리어|펄스 배리어]] || [[#EMP|EMP]] ||<-3> - || ||<-5> 희귀 || || [[#기절의 원천|기절의 원천]] || [[#보복|보복]] || [[#부식 광선|부식 광선]] || [[#실드 총|실드 총]] || [[#유사 분열|유사 분열]] || === 일반 === ||<-4>
[anchor(가속도)]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가속도 {{{-4 (Momentum)}}} || || '''비용''' || 1 || || '''효과''' || 1 실드를 획득합니다. 이 전투에서 낼 때마다 +1. || ||<|2> '''강화''' || A ||<-2> 1장을 뽑습니다. 1 실드를 획득합니다. 이 전투에서 낼 때마다 +1. || || B ||<-2> 1 실드를 획득합니다. 이 전투에서 낼 때마다 +2. || ||<-4> || 첫 사용시는 비용 대비 성능이 낮지만, 전투 내에서 반복 사용할 때마다 실드 획득량이 증가한다. 덱을 얇게 정제했을 때 효율이 크게 오르는 카드. 하지만 실드 상한에 쉽게 막힐 수 있어서 조절을 잘 해야 한다. A 강화시 드로우가 추가되어 순환이 가속되고, B 강화시 상승치가 증가한다. ||<-4>
[anchor(굴절)]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굴절 {{{-4 (Deflection)}}} || || '''비용''' || 2 || || '''효과''' || 공격 2[br]실드 1[br]임시 실드 1 || ||<|2> '''강화''' || A ||<-2> 공격 3[br]실드 2[br]임시 실드 1 || || B ||<-2> 공격 2[br]실드 용량 1[br]실드 1[br]임시 실드 1 || ||<-4> || 2코스트짜리 공격+실드 획득 카드. A 강화시 전반적인 성능이 상승하고 B 강화시 실드 용량도 증가한다. ||<-4>
[anchor(기절 사격)]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기절 사격 {{{-4 (Stun Shot)}}} || || '''비용''' || 1 || || '''효과''' || 공격 0(기절) || ||<|2> '''강화''' || A ||<-2> 공격 1(기절) || || B ||<-2> 공격 0(기절)[br]기절 충전 1 || ||<-4> || 피해는 없이 기절을 목적으로 한 공격 카드. 피해량을 올릴 수단이 있다면 이 카드로도 유효한 피해를 줄 수 있다. A 강화시 피해량이 증가하고, B 강화시 공격 후 기절 충전을 제공해서 다음 공격에도 기절이 붙는다. ||<-4>
[anchor(기절 충전)]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기절 충전 {{{-4 (Stun Charge)}}} || || '''비용''' || 0 || || '''효과''' || 기절 충전 1 || ||<|2> '''강화''' || A ||<-2> 기절 충전 2 || || B ||<-2> 기절 충전 1[br]임시 실드 1 || ||<-4> || 위의 기절 사격과 비슷하게 기절을 제공하지만, 자체적으로 공격을 하는 건 아니라서 별도의 공격 카드를 같이 써야 한다. 비용이 없는 맛에 쓰는 카드. A 강화시 기절 충전 제공량이 증가하고, B 강화시 임시 실드도 제공한다. ||<-4>
[anchor(방어 사격)]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방어 사격 {{{-4 (Block Shot)}}} || || '''비용''' || 1 || || '''효과''' || 공격 1[br]임시 실드 1 || ||<|2> '''강화''' || A ||<-2> 공격 2[br]실드 1 || || B ||<-2> 공격 1[br]임시 실드 3 || ||<-4> || 1코스트짜리 공격+실드 획득 카드. A 강화시 피해량이 증가하고 임시 실드 대신 실드를 주며, B 강화시 임시 실드 수치가 크게 늘어난다. ||<-4>
[anchor(버튼 연타)]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버튼 연타 {{{-4 (Button Mash)}}} || || '''비용''' || 3 || || '''효과''' || 실드 3[br]왼쪽 이동 3[br]회피 1[br]소진 || ||<|2> '''강화''' || A ||<-2> 실드 4[br]왼쪽 이동 4[br]회피 2[br]소진 || || B ||<-2> 실드 3[br]왼쪽 이동 3[br]회피 1[br]유지, 소진 || ||<-4> || 이름 그대로 버튼을 마구 연타해서 여러 효과를 한꺼번에 발동한다. 방향 전환 기능이 없기 때문에 오른쪽으로 피하고 싶은 상황에서 쓰기 애매한 것이 흠. 페리의 [[Cobalt Core/페리#테이블 뒤집기|테이블 뒤집기]]가 켜진 상태여야 방향 조절이 가능하다. 강화는 성능 자체를 강화하거나 사용 타이밍을 잡기 위한 유지 효과를 붙인다. ||<-4>
[anchor(부스트 콘덴서)]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부스트 콘덴서 {{{-4 (Boost Capacitors)}}} || || '''비용''' || 2 || || '''효과''' || 실드 용량 1[br]실드 2 || ||<|2> '''강화''' || A ||<-2> 실드 용량 1[br]실드 3 || || B ||<-2> 실드 용량 2[br]실드 2 || ||<-4> || 실드 용량을 늘리면서 실드도 획득하는 2코스트 카드. A 강화시 실드량이 증가하고 B 강화시 실드 용량 상승치가 증가한다. 다른 실드 획득 카드가 적다면 A 강화, 많다면 B 강화로 가는 게 무난. ||<-4>
[anchor(실드 급증)]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실드 급증 {{{-4 (Shield Surge)}}} || || '''비용''' || 1 || || '''효과''' || 실드 1[br]임시 실드 1 || ||<|2> '''강화''' || A ||<-2> 실드 2[br]임시 실드 1 || || B ||<-2> 실드 용량 1[br]임시 실드 2 || ||<-4> || 실드만 잔뜩 주는 카드. A 강화시 일반 실드량이 증가하고, B 강화시 일반 실드는 주지 않지만 용량을 늘리고 임시 실드를 더 준다. ||<-4>
[anchor(큰 실드)]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큰 실드 {{{-4 (Big Shield)}}} || || '''비용''' || 2 || || '''효과''' || 실드 3 || ||<|2> '''강화''' || A ||<-2> 실드 5 || || B ||<-2> 실드 3[br]임시 실드 2 || ||<-4> || 심플하게 대량의 실드를 수급하는 카드. 강화 양쪽 모두 총 실드량이 증가하지만, A 강화는 전량을 일반 실드로 얻고 B 강화는 일부를 임시 실드로 얻는다. 실드 상한 때문에 실드 용량을 늘릴 수단이 충분한 경우에 A 강화를 가는 게 좋다. === 고급 === ||<-4>
[anchor(다중 기절)]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다중 기절 {{{-4 (Multi Stun)}}} || || '''비용''' || 2 || || '''효과''' || 공격 0(기절)[br]왼쪽 이동 1[br]공격 0(기절) || ||<|2> '''강화''' || A ||<-2> 공격 0(기절)[br]왼쪽 이동 1[br]공격 0(기절)[br]왼쪽 이동 1[br]공격 0(기절) || || B ||<-2> 공격 2(기절)[br]왼쪽 이동 1[br]공격 0(기절) || ||<-4> || 철저하게 기절에만 성능이 치중된 카드. 그래도 공격 횟수가 많아서 피해량 증가 수단을 확보했다면 유효한 피해를 줄 수도 있다. A 강화시 공격 횟수가 늘어나고, B 강화시 첫 공격이 피해를 주게 된다. ||<-4>
[anchor(방어자 번아웃)]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방어자 번아웃 {{{-4 (Blocker Burnout)}}} || || '''비용''' || 0 || || '''효과''' || 실드 용량 -1[br]임시 실드 4 || ||<|2> '''강화''' || A ||<-2> 실드 용량 -1[br]실드 1[br]임시 실드 4 || || B ||<-2> 실드 용량 -2[br]임시 실드 6 || ||<-4> || 코스트가 없는 대신 실드 용량을 희생해서 순간적으로 대량의 임시 실드를 얻는다. A 강화시 일반 실드를 추가해서 안정성을 높이고, B 강화시 극단적으로 실드 용량을 더 희생해서 더 많은 임시 실드를 얻는다. ||<-4>
[anchor(변환기)]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변환기 {{{-4 (Converter)}}} || || '''비용''' || 1 || || '''효과''' || X = 실드[br]회피 X[br]실드 = 0 || ||<|2> '''강화''' || A ||<-2> 비용 0 || || B ||<-2> 비용 3[br]X = 실드[br]회피 X || ||<-4> || 실드를 회피로 전환한다. A 강화시 비용을 없애고, B 강화시 반대로 비용을 확 늘리는 대신 실드는 유지한다. ||<-4>
[anchor(산성 대포)]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산성 대포 {{{-4 (Acid Cannon)}}} || || '''비용''' || 3 || || '''효과''' || 공격 2(부식 1) || ||<|2> '''강화''' || A ||<-2> 비용 2 || || B ||<-2> 비용 3[br]공격 4(부식 1) || ||<-4> || 부식을 다루는 카드 둘 중 하나. 공격에 더해서 부식을 붙인다. A 강화시 비용을 줄이고 B 강화시 피해량을 늘리는데, '에너지 환급' 유물이 있는 게 아니라면 비용 감소가 더 낫다. ||<-4>
[anchor(새로 고침 간격)]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새로 고침 간격 {{{-4 (Refresh Interval)}}} || || '''비용''' || 1 || || '''효과''' || 임시 실드 2[br]다음 턴 에너지 1[br]소진 || ||<|2> '''강화''' || A ||<-2> 임시 실드 3[br]다음 턴 에너지 1[br]소진 || || B ||<-2> 비용 0[br]임시 실드 1[br]다음 턴 에너지 1[br]소진 || ||<-4> || ||<-4>
[anchor(펄스 배리어)]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펄스 배리어 {{{-4 (Pulse Barrier)}}} || || '''비용''' || 1 || || '''효과''' || 실드 용량 1[br]실드 1[br]소진 || ||<|2> '''강화''' || A ||<-2> 비용 0 || || B ||<-2> 실드 용량 2[br]실드 1[br]소진 || ||<-4> || 적은 비용으로 실드 용량을 늘릴 수 있지만 전투 당 한 번만 쓸 수 있다. A 강화시 비용이 없어지고, B 강화시 실드 용량 증가치가 늘어난다. ||<-4>
[anchor(EMP)]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EMP || || '''비용''' || 3 || || '''효과''' || 실드 = 0[br]발신: 실드 = 0[br]완전한 기절[br]턴 끝내기[br]소진 || ||<|2> '''강화''' || A ||<-2> 발신: 실드 = 0[br]완전한 기절[br]턴 끝내기[br]소진 || || B ||<-2> 비용 2 || ||<-4> || 말 그대로 EMP를 터트리는 카드. 높은 비용이 들지만 적의 행동을 완전히 차단하고 실드도 없앤다. 자신의 실드도 사라지고, 카드를 쓰면 턴이 끝나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에 써야 한다. A 강화시 자신의 실드는 지킬 수 있고, B 강화시 비용이 감소한다. === 희귀 === ||<-4>
[anchor(기절의 원천)]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기절의 원천 {{{-4 (Stun Source)}}} || || '''비용''' || 4 || || '''효과''' || 기절의 원천 1[br]소진 || ||<|2> '''강화''' || A ||<-2> 비용 3 || || B ||<-2> 기절의 원천 1[br]공격 4(기절)[br]소진 || ||<-4> || 디지의 비용 4짜리 카드. 사용 후 매 턴마다 기절 충전을 수급해서 적의 행동을 막을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비용이 무려 4나 되기 때문에 에너지 추가 수급이나 A 강화 없이는 사용할 수가 없다. B 강화는 비용을 유지하는 대신 사용한 턴에 바로 위력 4짜리 기절 공격을 갈긴다. ||<-4>
[anchor(보복)]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보복 {{{-4 (Payback)}}} || || '''비용''' || 3 || || '''효과''' || 보복 1[br]실드 1[br]소진 || ||<|2> '''강화''' || A ||<-2> 보복 1[br]실드 3[br]소진 || || B ||<-2> 비용 4[br]보복 2[br]실드 2[br]소진 || ||<-4> || 유일한 반격 효과 카드. 공격을 맞아야만 반격한다는 문제가 있어서 실드를 꾸준히 수급할 수 있거나 방어구가 충분히 준비되어야 안정적으로 쓸 수 있다. 실드량이 곧 피해량이라서 되도록 안 맞아야 하는 실드 총과는 대척점에 있어서 둘 중 하나만 쓰게 된다. A 강화시 실드량이 크게 늘어나고, B 강화시 비용이 증가하는 대신 보복 수치와 실드량이 같이 증가한다. ||<-4>
[anchor(부식 광선)]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부식 광선 {{{-4 (Corrosion Beam)}}} || || '''비용''' || 2 || || '''효과''' || 발신: 부식 1[br]소진 || ||<|2> '''강화''' || A ||<-2> 비용 1 || || B ||<-2> 비용 3[br]발신: 부식 2[br]소진 || ||<-4> || 부식을 다루는 카드 둘 중 하나. 공격을 맞춰야만 효과가 들어가는 산성 대포보다 쓰기 편하지만 순정 상태론 비용 대비 피해 효율이 낮다. A 강화로 비용을 줄이거나, B 강화로 비용을 늘리는 대신 부식 부여량을 늘릴 수도 있다. '에너지 환급' 유물이 있다면 B 강화를 고르는 게 효율이 좋다. ||<-4>
[anchor(실드 총)]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실드 총 {{{-4 (Shield Gun)}}} || || '''비용''' || 2 || || '''효과''' || X = 실드[br]공격 X || ||<|2> '''강화''' || A ||<-2> 실드 1[br]X = 실드[br]공격 X || || B ||<-2> X = 실드 + 임시 실드[br]공격 X || ||<-4> || 디지의 필살기 카드. 보유한 실드의 양만큼 공격한다. A강화로 사용 전에 실드를 먼저 얻어서 안정성을 높이거나, B강화로 임시 실드까지 포함해 최대 피해량을 늘린다. ||<-4>
[anchor(유사 분열)] || ||<|3><-2> [[파일:임시.png|width=100%]] || '''이름''' || 유사 분열 {{{-4 (Mitosis)}}} || || '''비용''' || 1 || || '''효과''' || 유사 분열 1 || ||<|2> '''강화''' || A ||<-2> 유사 분열 1[br]실드 2 || || B ||<-2> 유사 분열 2 || ||<-4> || 유사 분열은 턴 시작 시 실드를 수치만큼 줄인 뒤 줄인 수치의 2배만큼 임시 실드를 생성한다. 남은 실드가 수치보다 적다면 전량 소모한 뒤 그 수치를 기준으로 임시 실드를 생성한다. 매 턴의 방호력은 증가하지만 실드를 꾸준히 수급해야만 유지할 수 있고, 공격을 별로 받지 않을 턴에도 꾸준히 발동하기 때문에 관리가 까다롭다. A 강화 시 실드를 같이 얻고, B 강화 시 얻는 유사 분열 수치가 늘어난다. == 전용 유물 == === 일반 === * 광자 콘덴서: 모든 디지의 카드 공격이 +1 피해를 가합니다. 디지는 공격 카드가 적은 편이지만, 일반 유물이라 비교적 손쉽게 얻을 수 있는 피해 강화 수단이라는 점은 좋다. 특히 다중 기절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게 핵심. * 반동 반응자: 전투 당 한 번, 선체를 잃으면, 즉시 1을 치유합니다. 범용 유물인 나노 섬유 선체의 하위호환이지만, 둘 다 가지고 있다면 둘 다 적용시 전투 당 2 회복할 수 있다. * 실드 비축물: 획득 시 영구적으로 최대 실드 +2를 획득합니다. * 발전기: 디지 카드 3장을 낼 때마다, 실드 1을 획득합니다. === 보스 === * 실드 버스트: 실드를 획득할 때마다, 임시 실드 1을 획득합니다. 실드 효율을 2배 가까이 늘려주는 유물. * 프로토타입 22: 획득 시 영구적으로 최대 실드 +1을 획득합니다. 매 턴 시작 시 실드 1을 획득합니다. {{{#ff2020 실드가 이미 가득 찼다면, 선체 피해를 2 받습니다.}}} 매 턴 실드를 보충해줘서 안정성을 올려주지만, 실드가 꽉 찬 채로 방치하면 선체에 직접 피해가 들어오는 위험 부담이 있다. 실드 상태를 보고 꽉 차지 않도록 조금씩 맞아줘야 한다. == 기억 == [include(틀:스포일러)] === 첫 번째 === >{{{+1 T-217일}}} > >디지: 그러니 기본적으로, 우린 입자선 세 줄기를 크리스털 표본에 집중시킨다. >이삭: 좋아! >디지: 이는 온갖 아원자 입자와, 코어 주위의 제어 가능한 시공간 왜곡 구체를 강하게 방출하며, 이는 - >이삭: 잠깐만, 이거 다 필기하려고 하고 있는데... >디지: 아, 굳이 그러진 마. 드론 조종사한테 물리학은 중요하지 않으니까. >이삭: [[플래그|내가 거대한 폭발에 휘말리는 당사자가 된다면 중요한 일이지!]] >디지: 맞는 말이네! >디지: 근데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어. >이삭: 아, 다행이다. >디지: 우리가 조심만 하면 이걸로 할 수 있는 멋진 과학 연구가 엄청나게 많아! >디지: 하지만... 페리가 허락 안 할 거야. >이삭: 페리 말이 현명한 것 같네. >디지: 중요한 건, 원자로 코어가 활성화되어 있을 때는 그리 들어가면 안 된다는 거야. >이삭: 절대 안 그래야지! >디지: 너 그거 필기해 둬야겠다! >이삭: 입자 가속기... 안으로... 들어가지... 말 것. === 두 번째 === >{{{+1 T-137일}}} > >이삭: 나는 어... 나는 내 검에 화염구를 시전한다? >디지: 검이 매우 멋있게 활활 타오르는 불길을 뿜어냅니다. >디지: 당신을 공격한 고블린들은 끔찍한 공포에 휩싸인 채 뒤로 물러섭니다. >디지: 공포 타입으로 고블린들은 다음 공격 시 추가 피해 50%를 받습니다. >이삭: 좋은데! 어... 나는 검을 하늘로 들어올리고 우렁찬 외침을 시전한다! >디지: 정확히 뭘 외치는데? >이삭: 어... 내가 외친 건... 너희를 발라 버리겠다! 내 멋진 화염 검으로! >디지: 하! 공격력 증가량이 60%까지 상승합니다. >맥스: 예!!! >페리: 이봐, 너희들 무슨 놀이 하고 있는 거야? >디지: 체스. >페리: ... >페리: 나도 할 수 있을까? === 세 번째 === >{{{+1 T-5일}}} > >디지: 좋아, 입자선을 발동시키는 크고 멋진 버튼을 눌러! >이삭: 시작한다. >(입자선 발사 시작) >디지: 입자 수치가 양호해. 입자선을 그 각도로 유지해. >이삭: 알았다. >디지: 어... 이 숫자들은 흥미로운데. 유지해. >(크리스털이 이상반응을 일으킴) >이삭: 방사선 제한 초과. 테스트를 종료 중. >(입자선 발사 종료. 크리스털 정상화) >디지: 야, 좀! 내가 네 상사잖아! >이삭: 페리가 내 상사지. 그리고 내 직무 해설서의 50%는 네가 코어를 날려버리지 않게 하라는 내용이던데. >디지: 난 코어 안 날릴 거거든! 내가 계산 보여 줬잖아! 괜찮다니까! >이삭: 미안해 친구. >디지: 제길, 우리 꼴 좀 봐라. 유기된 고대 함선에서 최첨단 과학을 연구하고 있는데, 페리가 나한테 찾아다 줄 수 있는 유일한 조수는 페리보다도 뎌 변변찮은 녀석이라니. >이삭: ... >디지: 미안. 너무 심했네. >이삭: 괜찮아. >디지: 그렇게 말하려던 게 아닌데. >이삭: 괜찮아. == 같이 보기 == [include(틀:Cobalt Core/선원)] [[분류:Cobalt 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