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DiRT)] ||<-2><:>
'''{{{#!html COLIN McRAE:}}} DiRT 2''' [br] '''{{{#!html 콜린 맥레이:}}} 더트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irt2_cover.png|width=100%]]}}} || || '''개발''' ||<|2>[[코드마스터즈|[[파일:logo codemasters black.png|width=120&theme=light]][[파일:logo codemasters white.png|width=120&theme=dark]]]] || || '''유통''' || || '''장르''' ||[[레이싱 게임|레이싱]] || || '''엔진''' ||Ego 1.0 || || '''플랫폼''' ||[[PlayStation 3|[[파일:PlayStation 3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PlayStation 3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PlayStation Portable|[[파일:PlayStation Portable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PlayStation Portable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닌텐도 DS|[[파일:닌텐도 D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닌텐도 D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Wii|[[파일:Wii 로고.svg|height=16]]]] [br] [[Xbox 360|[[파일:Xbox 360 로고.svg|height=16]]]] |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macOS|[[파일:macO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macO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출시일''' ||2009년 9월 8일 || || '''링크''' ||[[https://www.codemasters.com/game/colin-mcrae-dirt-2|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hHx8Xge2BGw)] 2009년에 발표한 [[DiRT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 동시에 콜린 맥레이라는 네이밍을 달게 된 마지막 게임[* 후에 [[Colin Mcrae Rally(2013)]]을 통해 다시 한 번 콜린 맥레이라는 네이밍을 사용하였으나, 해당 게임은 [[Colin Mcrae Rally 2.0]]의 모바일 이식 버전이므로 신규 작품이라 보기 어렵다.]이다. == 상세 == 랠리 레이싱 게임으로서 명성을 이어가던 콜린 맥레이 랠리 시리즈가 DiRT로 네이밍을 바꾼 후 두 번째 작품으로, 이전작에 비해 진보한 시스템과 여러 가지 부가 기능들을 주렁주렁 달고 나왔다. [[Colin Mcrae:DiRT]]에서 랠리가 주류였고 랠리크로스는 어쩌다 한 번 만나는 레이스였다면, 이번 작에서는 랠리크로스와 랜드러쉬 등 서킷을 중심으로 하는 레이스의 비중이 다소 증가하였다. 물론 랠리가 이 게임의 주류 콘텐츠라는 점은 여전히 변하지 않았다. == 시스템 == 게임 트레일러에도 반영되어 있다시피 랠리 크로스를 비롯한 동시 서킷/스프린트 레이스가 대거 투입되었다. 이는 캐리어 모드라 말할 수 있는 '월드 투어' 모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시리즈에서부터 플레이백 시스템이 생겼다. 플레이백 시스템은 자신이 실수를 했거나 위험한 상황이다 싶을 때 주저없이 누른 뒤 '''시간을 되돌릴 수 있는''' 시스템으로, [[Colin Mcrae:DiRT]]의 리플레이 기능을 게임플레이 현실로 가져온 것과 같은 모드이다. 이후 [[DiRT 3]]까지는 이 시스템이 유지되지만 [[더트 랠리|DiRT Rally]], [[DiRT 4]]부터는 해당 기능이 삭제된다. DiRT 2의 주된 소재인 월드 투어 모드는 플레이어가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아프리카를 돌아다니며 코스를 깨 나간다는 이야기로 진행된다. 플레이어는 캠핑카에서 목표 이벤트 및 이벤트가 발생하는 나라를 찾아볼 수 있으며, 해당 이벤트를 클리어하면 그와 관련되어 있거나 해금되는 추가적인 다른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다. 각 지역에는 랠리, 랠리크로스, 랜드러시, 트레일블레이저, 레이드가 포함되어 있다. 그 중 이 작품부터 등장하는 트레일블레이저(TrailBlazer)[* 3편까지. 후에 [[DiRT Rally]]에서 일부 등장한다.]는 일반 랠리 레이싱용 차량과는 체급 자체를 달리하는 고급 랠리카로 Co-Driver 없이 고속으로 달리며 랠리를 이어가야 한다는 면에서 기존의 랠리를 좋아하던 유저들에게 새로운 재미를 주기도 했다. 또한 [[Colin Mcrae:DiRT]]에서 사용하던 Neon 엔진을 같은 [[코드마스터즈]] 게임인 GRID에서 사용한 Ego 엔진으로 바꿈으로써, 좀 더 다이나믹하고 역동적인 드라이브 체험을 구현했다. 실제로 이전작을 플레이하던 유저들 대부분은 본작으로 넘어오면서 바뀐 엔진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모습들을 보였다. 속도 조절과 레이스 라인만 잘 타면 어느 정도의 랠리 타임을 보장하던 전작과 달리 이번 작품에서부터는 지형과 장애물에 따라서도 감속하거나 가속해야 할 경우가 많이 발생해서 유저들을 애먹이게 했다. 이 Ego 엔진은 이후 [[코드마스터즈]]의 주력 레이싱 게임 엔진으로 여러 게임에서 줄기차게 써먹히며 버전 업그레이드를 해 나가기 시작한다.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107c11; font-size: 0.75em" [[Xbox 360|{{{#white X36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360, code=dirt-2, g=, score=87)]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360, code=dirt-2/user-reviews, g=, score=8.1)]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013791; font-size: 0.75em" [[PlayStation 3|{{{#white PS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3, code=dirt-2, g=, score=87)]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3, code=dirt-2/user-reviews, g=, score=8.2)]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353535; font-size: 0.75em" [[PC|{{{#white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dirt-2, g=, score=89)]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dirt-2/user-reviews, g=, score=8.2)] || 전체적인 평가는 상위급. 약 8.5점대에 해당하는 점수로, 많은 이들이 레이싱 자체의 쾌감에 동의했지만 날씨 변화가 없다거나, 랠리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표현이 미흡했다거나 하는 이유들이 감점의 요소가 되고 있다. 다만 유저들 사이에서는 아직도 많은 플레이어들이 해당 작품을 명작으로 취급하는데, 그 이유로 시뮬레이션과 아케이드의 밸런스가 가장 잘 맞는다는 점을 꼽고 있다. 분명 랠리 코스는 이전작보다 상세화되었고 신경써야 하거나 감속해야 할 타이밍도 이전작보다 많이 신경써야 하지만, 랠리 자체가 주는 '흙길을 고속으로 달린다.'는 쾌감을 놓치지 않았다는 부분에서 아직도 많은 유저가 DiRT 2를 명작으로 친다. == [[콜린 맥레이]]의 사망 == 2007년 [[콜린 맥레이]]가 스코틀랜드에서 헬기 추락 사고로 인해 사망하였다. DiRT 2 게임의 개발 및 기획에 그가 다소나마 참여한 부분이 있었으므로[* 기술지원 및 실제 랠리 레이싱에 대한 고증, 조언 등을 했다.] 해당 작품에까지만 '콜린 맥레이: DiRT 2'라는 네이밍을 달게 되었으며, 이후 나오는 모든 [[DiRT 시리즈]]에는 더 이상 콜린 맥레이의 이름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월드 투어 엔딩에서는 콜린 맥레이의 생전 레이싱 모습과 수상 시의 모습, 당시 Co-Driver와의 인터뷰 등이 수록되어 있다. 여러 모로 고인의 추모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는 작품. == 등장 차량 == === Rally === * [[BMW]] * [[BMW Z4|Z4]] M 쿠페 모터스포트[*R Rallycross형도 존재][*T Trailblazer형도 존재] * [[포드]] * [[포드 에스코트|에스코트]] Mk.II * [[미쓰비시]] * [[미쓰비시 이클립스|이클립스]] GT[*R Rallycross형도 존재][*T Trailblazer형도 존재] *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랜서 에볼루션]] * IX[*R Rallycross형도 존재][*T Trailblazer형도 존재] * X[*R Rallycross형도 존재][*T Trailblazer형도 존재] * [[닛산]] * [[닛산 350Z|350Z]][*R Rallycross형도 존재][*T Trailblazer형도 존재] * [[폰티악]] * [[폰티악 솔스티스|솔스티스]] GXP[*R Rallycross형도 존재][*T Trailblazer형도 존재] * [[스바루]] * [[스바루 임프레자|임프레자]] * [[STi]] 그룹 N[*R Rallycross형도 존재][*T Trailblazer형도 존재] * WRX [[STi]] * 1995 * N13[*R Rallycross형도 존재][*T Trailblazer형도 존재] === Rallycross === * [[포드]] * [[포드 RS200|RS200]] 에볼루션 * [[MG]] * [[MG 메트로 6R4|메트로 6R4]] 랠리 X === Stock Baja === * [[닷지]] * [[램 픽업|파워 왜건]] * [[혼다]] * [[혼다 릿지라인|릿지라인]] * [[허머]] * [[허머 HX|HX]] * [[토요타]] * [[토요타 FJ 크루저|FJ 크루저]] === Raid T1 === * [[허머]] * [[허머 H3|H3]] * [[미쓰비시]] * [[미쓰비시 파제로|파제로]] 다카르 1993 * [[미쓰비시 랜서|레이싱 랜서]] * [[폭스바겐]] * [[폭스바겐 투아렉|레이스 투아렉 2]] === Trophy Trucks === * [[쉐보레]] * [[쉐보레 실버라도|실버라도]] CK1500- * [[닷지]] * [[램 픽업|램]] 트로피 트럭 * [[포드]] * [[포드 F-150|킨케이드 F-150]] 트로피 트럭 * [[토요타]] * [[토요타 스타디움|스타디움]] 트럭 == 관련 문서 == * [[더트 시리즈]] [[분류:DIRT 시리즈]][[분류:2009년 게임]][[분류:PlayStation 3 게임]][[분류:PlayStation Portable 게임]][[분류:닌텐도 DS 게임]][[분류:Wii 게임]][[분류:Xbox 360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macOS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