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보체수용체]][[분류:분화표지분자군]] [목차] == 개요 == Complement receptor 1(CR1; CD35)은 대표적인 [[보체수용체]]로, [[C3b]], [[C4b]], [[C1q]] 등의 [[리간드]]와 결합하여 작용한다. [[백혈구]]와 [[적혈구]] 등 다수의 세포들에서 광범위하게 발현되어 다양한 면역계 반응들을 매개하며, 보체활성 조절 단백질의 일종이기도 하다. == 유전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번염색체유전자.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번염색체구조.png|width=100%]]}}} || [[http://may2017.archive.ensembl.org/Homo_sapiens/Gene/Summary?db=core;g=ENSG00000203710;r=1:207496147-207640647|관련 상세 정보]] CR1을 암호화하는 ''CR1'' 유전자의 위치는 1번 염색체의 긴팔(q-arm), 더 상세히는 1q32.2에 해당한다. 근처에 다른 보체활성 조절 단백질들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다수 존재한다. == 기능 == 가장 대표적인 보체수용체 중 하나이다 보니 자연히 관련 연구도 굉장히 많이 되었고, 따라서 밝혀진 기능들도 다양한 편이다. [[보체계]] 활성조절 작용을 주로 하는 것은 적혈구의 CR1 수용체로, [[면역복합체]](immune complex)에 달라붙은 C3b 조각들과 결합하여 더 이상 쓰이지 않는 면역복합체를 적혈구가 [[간]]과 [[비장]]으로 운반할 수 있게 한다. 이런 면역복합체의 제거는 면역반응 수축기에서 상당히 중요한 작용으로, CR1의 보체 조절활성 역할을 보여준다. 활성조절 작용의 또 하나의 방법은 다른 조절인자인 [[I인자]](factor I)의 보조인자로서 작용하여 C3b 조각을 불활성화시키는 것이다. C3b가 I인자에 의해 iC3b 형태로 잘려 활성화되지 못하면, 자연스레 보체활성화 경로들에서 [[C3 전환효소]]와 [[C5 전환효소]]의 형성이 순차적으로 막히게 되어 보체계가 억제된다.[* The anti-inflammatory role of the erythrocyte: impairment in the elderly. 1996. Department of Immunology, Rappaport Faculty of Medicine, Technion, POB 9649, Bat Galim, Haifa 31096, Israel.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167494396007480|#]]] 이와는 정반대로 [[호중구]](neutrophil), [[단핵구]](monocyte), [[큰포식세포]](macrophage) 등의 [[포식세포]](phagocyte) 표면에 존재하는 CR1은 주로 이 세포들의 포식작용을 증강시킨다. CR1의 리간드인 C3b와 C4b는 [[옵소닌화]](opsonization)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보체 조각들이므로, CR1은 이 보체 조각들과 결합하여 포식세포들이 보다 쉽게 옵소닌화된 [[항원]]을 포식할 수 있게 한다. 적응면역계에서는 주로 [[B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어, 보체조각이 결합된 항원을 섭취하여 펩티드로 분해하도록 유도하여 [[T 세포]]에게의 [[항원제시]](antigen presentation)가 일어나도록 한다. 또한, [[림프절]]과 [[비장]]에 존재하는 일부 큰포식세포와 [[소포수지상세포]](follicular dendritic cell, FDC)에도 항원펩티드를 제시하는데, 제시된 항원펩티드를 전달받은 큰포식세포와 소포수지상세포는 다른 B 세포에 항원을 제시하는 [[항원제시세포]](antigen presenting cell, APC)의 역할을 하여 그들을 활성화시킨다. [[B 세포 수용체]](B cell receptor, BCR)과 교차결합된 CR1과 [[CR2]]는 이러한 B 세포의 항원제시 능력을 강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International Immunology. 2002 Mar;14(3):241-7. doi: 10.1093/intimm/14.3.241. Modeling the presentation of C3d-coated antigen by B lymphocytes: enhancement by CR1/2-BCR co-ligation is selective for the co-ligating antigen. József Prechl, Dana C Baiu, Attila Horváth, Anna Erdei. [[https://pubmed.ncbi.nlm.nih.gov/11867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