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마돈나(가수)]][[분류:2005년 음반]] [include(틀:마돈나(가수))]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5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A03987, #633687, #9DBED5)" [[파일:coadflogo.png|width=250]]}}} ||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Confessions On A Dance Floor.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5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A03987, #633687, #9DBED5)"" '''발매'''}}} || 2005년 11월 9일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5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A03987, #633687, #9DBED5)" '''작업 기간'''}}} || 2005년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10px 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A03987, #633687, #9DBED5)" '''스튜디오'''}}} || 메이페어 스튜디오 ^^외 2곳[* 멀린 스튜디오, 셜랜드 로드]^^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5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A03987, #633687, #9DBED5)" '''장르'''}}} || [[댄스 팝]], [[일렉트로니카]], [[신스팝]], [[디스코]]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5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A03987, #633687, #9DBED5)" '''레이블'''}}} || Warner Bros.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17px 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A03987, #633687, #9DBED5)" '''프로듀서'''}}} || [[마돈나]], 스튜어트 프라이스, 미르와이스 아마드자이, 블러드샤이 & 아방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415)] [include(틀:타임지 선정 2000년대 100대 앨범, 순위=29)] [include(틀:슬랜트 선정 2000년대 100대 명반, 순위=38)] [[마돈나(가수)|마돈나]]의 열 번째 정규 앨범. 전작 [[American Life]]의 실패를 딛고 음악적으로 대성공을 거두며 화려하게 부활한다. 전작의 사태로 인해 미국에 학을 뗀 것인지 유럽에서 유럽 프로듀서들과 함께 작업하였다. 80년대 마돈나의 주 장르였던 디스코와 신스팝으로 돌아가 음악성과 상업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2000년대 마돈나의 대표작이다. 메타크리틱 기준 80점으로 굉장히 준수하며 [[그래미상]]에서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앨범상을 받았다. 외에도 브릿 어워드, 월드 뮤직 어워드 등 각종 메이저 시상식에서 상을 받으며 인정받았다. 첫 주 초동 350,000장을 기록하며 빌보드 200에서 1위를 차지하는 건 물론이고 40개국의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며 본인의 앨범 True Blue로 세운 가장 많은 국가에서 1위를 한 여가수 앨범 기록을 본인이 다시 깨버렸다. 900만 장의 이상의 앨범 판매고를 올렸는데, 이때 이미 마돈나가 40대 후반이었음을 감안하면 정말 대단한 성적. 또한 마돈나의 투어 중 최고의 퀄리티를 가졌다고 평가되는 Confessions Tour로 돈을 싹쓸이하기도 했다. DJ들을 중심으로 한 일렉트로니카 댄스곡 위주로 완전히 재편된 2010년대 팝시장의 관점에서 보면 메인스트림에 일렉트로닉을 들여왔던 마돈나의 선구안이 엿보이는 앨범이다. 당시 2000년대 음반차트는 힙합과 R&B로 대표되는 흑인음악이 거의 점령하다시피 했고(지금도 마찬가지지만), 되려 일렉트로니카를 비롯한 전자음악 장르는 거의 자취를 감추다시피 했는데 그 비좁은 틈을 타 크게 성공했기 때문. 실제로 호응 역시 전통적으로 일렉트로니카가 강세인 유럽에서 더 반응이 좋았다. 현대적인 일렉트로닉 사운드에 [[도나 서머]], [[ABBA]], [[비 지스]] 등 1980년대 노래들의 샘플링을 결합시키며 그녀만의 음악색을 다시 찾아간 것에 대해 리스너들은 큰 호평을 내렸으며, 12곡의 수록곡들이 모두 이어져 있어서 물 흐르듯이 트랙이 넘어가는 것이 특징이다. 음원을 자세히 들어보면 다음 트랙의 앞부분이 이전 트랙 끝에 연결되어 있다. 정치, 종교에 대한 이야기를 좋아하는 마돈나답게 수록곡들 가사들을 들어보면 상당히 파격적인 노래들이 많다. I Love New York 에서는 '내가 꼬우면 Texas(전통적으로 보수지역으로 유명)로 꺼져버려' 라며 노골적으로 정치성향을 드러내기도 하고, Isaac 에서는 아예 아랍권 실연자를 데려와 중동권 특유의 지역색을 드러낸 바람에 이스라엘로부터 항의를 받은 바 있다. 이 앨범을 발매했을 당시 마돈나는 47세였다! == 수록곡 == ||<-5><:>'''Confessions On A Dance Floor''' || ||<:>#||<:>곡명||<:>작사작곡||<:>프로듀서||<:>길이|| ||<:>1||Hung Up||<:>Madonna, Stuart Price, Benny Andersson, Björn Ulvaeus||<:>Madonna, Price||<:>05:36|| ||<:>2||Get Together||<:>Madonna, Anders Bagge, Peer Åström, Price||<:>Madonna, Price||<:>05:30|| ||<:>3||Sorry||<:>Madonna, Price||<:>Madonna, Price||<:>04:43|| ||<:>4||Future Lovers||<:>Madonna, Mirwais Ahmadzaï||<:>Madonna, Ahmadzaï||<:>04:51|| ||<:>5||I Love New York||<:>Madonna, Price||<:>Madonna, Price||<:>04:11|| ||<:>6||Let It Will Be||<:>Madonna, Ahmadzaï, Price||<:>Madonna, Price||<:>04:18|| ||<:>7||Forbidden Love||<:>Madonna, Price||<:>Madonna, Price||<:>04:22|| ||<:>8||Jump||<:>Madonna, Joe Henry, Price||<:>Madonna, Price||<:>03:46|| ||<:>9||How High||<:>Madonna, Christian Karlsson, Pontus Winnberg, Henrik Jonback||<:>Madonna, Bloodshy & Avant, Price||<:>04:40|| ||<:>10||Issac||<:>Madonna, Price||<:>Madonna, Price||<:>06:03|| ||<:>11||Push||<:>Madonna, Price||<:>Madonna, Price||<:>03:57|| ||<:>12||Like It or Not||<:>Madonna, Karlsson, Winnberg, Jonback||<:>Madonna, Bloodshy & Avant||<:>04:31|| === 1. Hung Up === 마돈나의 2000년대를 대표하는 곡이라고 할 수 있다. [[ABBA]]의 대표곡 [[Voulez-Vous#s-3.1|Gimme! Gimme! Gimme!]]를 샘플링하여 신스팝으로 재해석한 곡이다. 이전 앨범의 사건 때문에 라디오 플레이가 감소해서 빌보드 차트 순위는 노래의 인기에 비해 안 나왔지만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에서 차트 1위를 달성한 노래라는 기록을 세웠다. === 8. Jump === 2006년 당시 개봉한 영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영화)|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의 사운드트랙으로 사용되었다. == 싱글 차트 성적 == || '''싱글''' || Hot[br]100 || Hot[br]Dance || UK || || Hung Up || 7 || 1 || 1 || || Sorry || 58 || 1 || 1 || || Get Together || ㅡ || 1 || 7 || || Jump || ㅡ || 1 || 9 || 보다시피 미국 내 실제 인기에 비해서 빌보드 순위가 낮은 편인데, 이때까지도 이전 앨범의 논란으로 보수 성향 라디오 DJ들이 보이콧을 계속해서 다른 나라에서만 실컷 1위하고 막상 본토에선 죽을 쒔다. 동시기에 같이 부활하여 날아다니던 [[머라이어 캐리]]가, We Belong Together로 빌보드에서 14주나 1위를 하며 커리어를 갱신한 거에 비하면 아쉬운 대목.[* 이때 머라이어 캐리의 엄청난 라디오 점수에 대해서, 페이올라 논란이 있으나 증거는 없다. 차트 기록만 봐도, 억지로 올린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천천히 올라가고 내려갔다.] 다만 Hung Up은 미국을 제외하고도 '''41개국 국가에서 1위'''를 해 '''가장 많은 국가에서 1위를 한 곡으로 기네스북에 등재'''[* 종전 기록은 카일리 미노그의 Can't Get You Out of My Head(2001), 이 곡은 40개국에서 1위를 달성하였으며 미국에서 1위를 못했다.]되었다. == 뮤직비디오 == ||[youtube(EDwb9jOVRtU)]||[youtube(B5OPMI13qng)]|| ||'''Hung Up'''||'''Sorry'''|| ||[youtube(Rx0mYN32Kps)]|| ||'''Jump'''|| == 주요 공연 == ||[youtube(CGoSlY2sT04)]|| ||'''[[그래미 어워드]]의 "Hung Up" 공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마돈나(가수)/음반 목록, version=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