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슈퍼 마리오 월드]] [Include(틀:상위 문서, top1= Cool or Cruel)] [목차] == 잘못된 길 == * The Level 1 (레벨 1) 가장 처음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맵...인데 이쪽 스테이지로 왔다면 잘못 온거다. 클리어시 월드맵에 WRONG이라고 뜬다. 즉 막다른길. 처음 메세지 박스를 치면 여기로 온다. 그러나 후술하겠지만 Cool World에 가기 위해선 반드시 이 스테이지를 클리어해야 한다. == Cruel World (제대로 된 길) == 여기 있는 스테이지들은 본래 [[슈퍼 마리오 월드]]의 스페셜 스테이지들의 이름들을 패러디한 것이다. (5, 10스테이지 제외) 스테이지 셀렉트 룸의 BGM의 원본은 [[https://youtu.be/21yhUi1prw8|그라디우스 - Free Flyer (4스테이지)]] / [[https://youtu.be/0hZkg337bTs |악튜러스 - Atomic Dance]] * Snarly (심술궂은) 스테이지 BGM의 원본은 [[https://youtu.be/kGAVNClKWBQ|티리안 - Asteroid Dance, Part 1]] 본래의 이름은 [[슈퍼 마리오 월드/스테이지 #9-1|'Gnarly'(기가 막힌/근사한)]] 쿵쿵과 킬러의 배치가 절묘하며 여러 기믹이 난무한다. * Tubular 2 (관 모양의 2) 스테이지 BGM의 원본은 [[https://youtu.be/o2idyeFWdmA|재즈 잭래빗 - Tubelectric]] 본래의 이름은 [[슈퍼 마리오 월드/스테이지 #9-2|'Tubular']]. 요새 스테이지로 굉장히 퍼즐적 요소가 많으며 대표 요소는 음표 모양 블럭으로 독버섯을 쳐내면서 올라간다든가 버섯 없이 좁은 공간을 통과하는[* 좁은 공간은 토관 2개가 위아래로 1칸만 남기고 조이는 구간인데 아래쪽 토관은 회색(이 난이도에서 회색 토관만 입장 가능하다고 설명되어 있다.). 즉 버섯을 먹은 상태로 그 좁은 공간을 지나가려면 웅크리기+점프, 즉 아래 키를 누르면서 점프 키를 눌러야 되는데 아래 키를 계속 누르면 아래쪽의 회색 토관이 타진다. 그 토관의 끝은 '''당연히 황천길'''.] 구간들이다. 그리고 맵 후반부 가서는 버섯이 하나 주어지는데 '''그 버섯을 가지고 초반 부분을 다시 해야 한다.''' * Way Cruel (잔혹한) 스테이지 BGM의 원본은 [[https://youtu.be/1uxnR3reCE8|동방비상천 - 땅 색깔은 노란색]] 본래의 이름은 [[슈퍼 마리오 월드/스테이지 #9-3|'Way Cool']][* 앞에 붙은 Way라는 단어는 보통 영어에서 "강조"를 표현하는데 쓰인다. 말 하자면 "정말" 또는 "엄청나게"란 뜻.] 공중 스테이지로 매우 빠른 움직임이 필요하고 특히 이 레벨에서는 구덩이가 존재하는데 그 구덩이 옆에 있는 흙덩이(?)를 조심해야 한다. 물론 처음에는 그냥 씹고 가도 되지만 등껍질을 가지고 내려가야 할 때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 Awful (무서운) 스테이지 BGM의 원본은 [[https://youtu.be/9xG3Mlunqog|동방화영총 - 오리엔탈 다크 플라이트]] / [[https://youtu.be/rUtR5fO6shI|메가마리 - 치르노 테마]] / [[https://youtu.be/DOe3baIm3Ys|록맨 X2 - 버블리 크래블로스]] 본래의 이름은 [[슈퍼 마리오 월드/스테이지 #9-4|'Awesome']]. 물 스테이지로 전반적으로 빠른 편에 속하나 이번에는 사방이 적과 장애물투성이라서 조심해야 한다. 특히 맵 중초반의 가장 큰 고비는 땅이 흔들릴 때 마리오가 일시적으로 못 움직인다는 점.[* 안전지대에 있으면 되지 않느냐고 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그놈의 부끄부끄가...'''] * Forest of Illusion ? (환상(몽환)의 숲 ?[* 여담이지만 스테이지 이름 자체가 꽤나 중의적이다. 경우의 따라서 "환상의 숲인가?"로 해석될 수도 있고 슈퍼 마리오 월드와 Cool or Cruel의 스테이지 네이밍 규칙에 따라 "환상의 숲 몇번째 스테이지인지 알 수 없어."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 일단 Illusion과 ? 사이에 공백이 있기 때문에 후자가 신빙성이 좀 높다.]) 스테이지 BGM의 원본은 [[https://youtu.be/TL8vWBpr7v8|Dorkas - Happy Birthday To Me]][* [[고추참치송]]으로 유명한 그 [[돌카스(인터넷 유명인)|돌카스]] 맞다. 이 곡은 자작게임인 The Doritos에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완전한 오리지널 곡은 아니고, 원곡은 [[로드 파이터]]의 체크포인트 BGM이다. 6초 남짓한 원 멜로디에 변주를 계속 집어넣어 2분 가량의 곡으로 어레인지한 것.] / [[https://youtu.be/lP7hgTWVl98|젤리아드 - Cavern of Malicia]] / [[https://youtu.be/Ep5O3r7K1jg|이카루가 - 파이널 챕터]] [[슈퍼 마리오 월드]]의 5월드인 Forest of Illusion 에서 딴 것이다. 퍼즐적 요소와 기믹이 굉장히 많다. 요시가 3종류 있는데 그 종류에 따라 레벨을 반복적이지만 순차적으로 클리어해 나가야 한다. 특히 후반부의 20코인 구간[* 파란색 코인으로 표시된 영역은 코인 개수가 20개가 되었을 때 일반 돌 블록처럼 변한다.] 요시가 등껍질을 입에 물게 하고 '''소화되는 타이밍에 맞춰 올라가야 된다.'''[* 코인을 19개 모은 상황에서 파란 요시로 등껍질을 물고 날아서 소화될 때까지 버티는 게 더 편하다.] 후반부에 버섯을 먹고 스핀점프 버그를 써서 버섯마리오 상태로 클리어 가능한 구간이 있는데, 이러면 Forky를 거의 날로먹을 수 있다. * Gloomy (우울한) 스테이지 BGM의 원본은 [[https://youtu.be/0VL2mfTLD2k|그라디우스 리버스 - Heavy Blow]] / [[https://youtu.be/2tQ0vXx5rKY|메탈슬러그 3 - Pyramid]] 본래의 이름은 [[슈퍼 마리오 월드/스테이지 #9-5|'Groovy'(매혹적인)]]이다. 배경은 침몰선/유령의 집 블럭 트레인이 많은 레벨. 블럭 트레인의 타이밍에 맞춰 레벨을 진행해야 된다. 가장 어려운 부분은 중후반부의 랜덤으로 달려드는 부끄부끄를 피해 메가몰(커다란 두더지)의 길을 지시해야 되는 것.[* 지시하는 방법은 길 중간중간마다 나오는 등껍질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길막'''을 시전하는 것. 이게 어려운 이유는 등껍질을 계속 들고 있으면 등껍질이 '''두더지를 죽인다는것''' ~~망했어요~~] * Gonzo ('''미친''') 스테이지 BGM의 원본은 [[https://www.youtube.com/watch?v=Oy1xJjMHmZE|알렉산더 브랜든 - Snowfall]][* [[언리얼 시리즈]]와 [[데이어스 엑스]] 구작의 BGM들을 작곡했다.] / [[https://youtu.be/MTuKBLqTk0s|재즈 잭래빗 - Candion]] 본래의 이름은 [[슈퍼 마리오 월드/스테이지 #9-6|'Mondo'(기이한)]]. Awful = Awesome 처럼 이것도 뜻이 매우 유사하다. '''말 그대로 미친 레벨.''' 토관의 입장하는 타이밍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장애물을 피하거나 나왔다 들어갔다를 시전하는 Munchers를 올바른 타이밍에 맞춰 피해야 한다는 등 타이밍 잡기가 난무한다.[* 그냥 봐도 어렵지만 설산 스테이지라서 '''바닥이 미끌거린다.'''] 후반부에는 버섯들을 스톡해서 맨아래까지 끌고 내려가야 한다. 버섯 개수는 정확히 맞춰져 있으므로 꼼수를 쓰지 않는 한 버섯을 가지고 이 스테이지를 클리어할 수 없다. * Rampageous (감당할 수 없는) 스테이지 BGM의 원본은 [[https://youtu.be/hizkPe_tK0o|super mario bros metal ver]][* [[https://youtu.be/iy3qq7zc4EY|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지상 BGM]]을 [[siromaru]]가 메탈 버전으로 어레인지 한 BMS이다. Cool or Cruel 제작자가 출처를 명확히 하지 않아 자작 어레인지로 잘못 알려져 있다.] / [[https://youtu.be/KCUPj5D8Iw4|사라만다 - Starfield]] / [[별의 커비]] - [[그린 그린즈]][[https://youtu.be/7peOR0JSfoM|#]][* 정확히는 [[별의 커비 꿈의 샘 디럭스]]의 미니게임 '커비의 에어 그라인드'에 나오는 편곡된 버전.] 본래의 이름은 [[슈퍼 마리오 월드/스테이지 #9-7|'Outrageous'(난폭한)]]. 이쪽도 유사하긴 마찬가지이다. 시작부터 자동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자동마리오 스테이지 같아 보이지만 '''절대 자동마리오 스테이지가 아니다.''' 초반이 굉장한 고비. 레벨 자체로 빨리 움직여야 하는 데다 '''시간도 극히 제한돼 있어서[* 처음 주어지는 시간이 고작 '''15초'''다.] 요시를 이용해 녹색 시간연장 과일을 먹지 않으면 타임 오버로 사망.''' 후반은 빨간 거북이를 밟아 아래로 쳐내는[* 원래 빨간 거북이는 절벽 앞에서 뒤를 돈다. 그러나 밟으면 등껍질은 정지하고 안에 있는 거북이는 바깥으로 튀어가나는데 이 때 튀어나가는 것은 절벽 아래로도 떨어진다. 이 시스템을 ~~악용~~이용한 기믹.] 요소 등의 퍼즐이 많이 들어있다. '''물론 후반부에도 재빨라야 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보스전 때는 양쪽에서 날아오는 대포알을 음표 블록으로 쳐내서 굼바가 죽지 않게 해서 빅 부에게 맞춰야만 한다. 마지막 굼바는 솟았다가 내려갔다를 반복하는 피라냐 사이를 뚫고 지나가서 물음표 블럭을 쳐야만 한다. * Forky (갈라진) 스테이지 BGM의 원본은 [[https://www.youtube.com/watch?v=tJHg8mVnk1A|알렉산더 브랜든 - Bright Club Lane]] / [[https://youtu.be/y8r38Mjy3Qk|에일리언 vs 프레데터(슈퍼패미컴) 스테이지 4]] 본래의 이름은 [[슈퍼 마리오 월드/스테이지 #9-8|'Funky'(멋진)]]이다. 레벨 자체는 버섯을 이용한 퍼즐 및 타이밍이 많이 있다. 이 레벨은 클리어하는 데 굉장히 긴 시간이 소모되는데 이 이유는 후반부에 가서 버섯을 하나 먹고 '''처음으로 다시 돌아와서''' 버섯을 잃고 그 잠깐의 피격 후 무적 타임을 이용해 등껍질을 얻은 다음 그것을 이용해 레벨을 클리어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 꼼수로 Forest of Illusion ?을 버섯마리오 상태로 클리어한 뒤 시작하면 그냥 날로먹을 수 있다. [[https://youtu.be/8xNN35ShNXM|꼬마리오 상태로 날먹하는 방법]]도 존재하지만 타이밍이 정말 빡빡하다.] == Cool or Cruel ++ == 이 부분을 공개했을 때 제목을 'Cool or Cruel ++'로 바꾸고 맵이나 인트로 등을 업그레이드했다. 영상만 공개되었고 아직 파일이 배포되지 않았다.[* 단, 비공식적으로 음악이 공개 된 적이 있다.] 그러나 제작자가 다른 작품에 힘을 쏟고 있는 걸 보았을 때 더 이상 업데이트는 힘들 것 같다. * - EXIT - 스테이지 BGM의 원본은 [[https://youtu.be/lkHH-Q6PiTs|알렉산더 브랜든 - Dance Of The Dead]] 스테이지 1~4와 5 이후를 연결하는 스타 워프 자리에 스테이지가 생긴다. 형태는 슈퍼 마리오 월드 원 게임의 요새와 같이 생겼다. '''최종 스테이지.''' 레벨 전반에 걸쳐 지금까지 봐 온 기믹이나 퍼즐이 '''훨씬 강화된 형태로 나온다.''' 이 레벨의 구조는 8가지 미션을 순차적으로 풀어 나가면서 보스를 잡는 형식. 8번째 미션에 보면 '헐! 아이디어를 다 썼어요! 당연하겠지만 더 이상의 막장퀄리티는 없네요.'라는 문구가 있다. 유튜브 영상 제목을 보면 EXIT('''[[거짓|Part 1]]''')이라고 적혀 있다.[* 현재 일반길만 만들어진 상태이며 비밀길은 제작자 역시 추가할 생각은 있다고 하지만 언제 될지는 모른다고 한다.] * The Level 2 (레벨 2) 스테이지 BGM의 원본은 [[https://youtu.be/fX9BgECQw9U|메가마리 - 레이센 테마]] The Level 1의 페이크를 이어가는 것인지, - EXIT - 와 같이 The Level 2라는 일종의 보너스 같은 레벨이 공개되었다. 부메랑을 데려오기 위해 갖은 고생을 하는 스테이지로 요약될 수 있다. == Cool World == C|C의 히든 월드. [[https://www.youtube.com/watch?v=MDDN6cWxN_8|- EXIT - 스테이지의 비밀길을 특정한 방법으로 클리어 해야만 진입 가능하다. 위에서 서술하였듯이 The Level 1을 클리어해야 한다.]] 이 월드는 슈퍼 마리오 월드의 스페셜 월드의 스테이지 이름과 같다. 배경음악은 [[포트리스 2]] 게임방 대기실 음악. ~~들으면 뭔가 빨리 READY를 눌러야 할 것 같은 음악.~~ * Gnarly (기가 막힌 / 근사한) 스테이지 BGM 원본은 [[https://youtu.be/LHJV86zT7vE|창궁홍련대 - 오타구 상공(大田区上空)]] / [[https://youtu.be/dkDnCkCtFKM|포트리스 2 블루 - culture shock]] 이 스테이지는 아예 다른 ROM으로 만들어졌다.[* 수정한 ROM으로 AddmusicM v0.94의 init.asm을 패치하면 모든 FG 타일 기능이 0으로 바뀌는 오류가 있는데, 이 오류 때문에 다른 롬으로 만들어진 것 같다. 아니면 스프라이트 개수 때문일지도.][* 추후 이때까지의 ROM과 통합해서 만들어진다고 한다. EXIT를 깨면 나오는 Cool 월드의 스테이지로 들어가게 될 것이라고.] 2012년 1월 27일 공개. AddmusicM v0.94으로 이용한 ~~찰진~~멋진 음악과 여러 새로운 시스템이 나온다. 중간보스로 '''Makjang Cheese Burger'''가 나오는데 위아래로 움직이는 블럭 사이에서 피라냐와 파이어볼을 피하며 등껍질을 얻어서 맞춰야 한다. 심지어 마지막으로 맞추기 직전에는 프렌드 쉴드라는 트릭도 있다. 이 스테이지를 요약하자면 6스테이지처럼 '블럭 트레인'을 이용한 레벨들이 모여있다. * Tubular (관 모양의) 스테이지 BGM 원본은 [[https://youtu.be/6AsjpDdzW48|건스타 히어로즈 - Ancient Ruins]] / [[https://youtu.be/Co_m3_yUX5I|메탈슬러그 3 - hard water]] / [[https://youtu.be/uhbtSRbx0K0|포트리스 2 블루 - be higher]] [[2014년]] [[1월 1일]] 공개. 역시 이것도 다른 ROM으로 만들어졌다.[* 이유는 SA-1칩, RAM 주소를 7E:XXXX, 7F:XXXX를 40:XXXX, 41:XXXX 등으로 바꾸기 때문에 구 버전에 쓰인 ROM을 쓸 수가 없다. 게다가 SA-1 칩을 사용하려면 '''처음부터 제작'''해야 한다.] 'AddmusicK(프로토타입)'이라는 도구를 사용하고 새로운 프로세서 칩[* SA-1. ROM에 내장된 보조 프로세서인데 원래 SNES의 하드웨어(대략 2.6MHz, FastROM은 3.8MHz 정도)보다 4배 빠르다!]을 추가했다. 덤으로, 이 스테이지는 '''탄막의 끝판을 보여주고''', 현재까진 14분 이내 클리어가 어렵다.[* 탄막 이외에도 물-공기 변환 스위치라든가 방울에 싸인 적 2마리를 이용한 공중 점프 등 다양한 기믹이 존재한다. 특히 후반부의 '''자유 P-풍선'''(원래 P-풍선은 한번 먹으면 일정 시간 뒤에 공기가 빠지는 형식이지만 이건 '''직접 부풀렸다 줄였다 할 수 있다.''')은 슈퍼 마리오 월드 특유의 관성의 법칙을 남용해야 하기 때문에 엄청난 멘붕을 선사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T4avVTzjGxU|하지만 TASer들은 12분 안에 클리어를 했다...]]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어렵다고 했지, 못한다고 안 했다.]]~~ * The level 3(레벨 3) == 그 밖의 스테이지 == * Apartment (아파트) Gnarly 스테이지 앞에 요시의 집이 있는데 들어가서 배경이 아파트이다. 그런데 [[야 개 짖는 소리 좀 안 나게 하라|배경음악이]]... --이 게임에서 유일하게 선선한 스테이지라고 한다.-- * Emergency (긴급 상황) Tubular가 있는 ROM에 있는 스테이지로, 구동한 에뮬레이터에서 메세지가 뜨는지 확인하는 용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Cool or Cruel, version=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