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CrackpotEvangelist.jpg]] [목차] == 개요 ==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가는 [[ZAQUVA]]. [[beatmania IIDX 29 CastHour]]의 [[Prohibited Props]]와 [[DDR A20 PLUS]]의 [[ANTI ANTHEM]]으로 등장했던 작곡가로, 유비트 시리즈에서는 처음으로 곡을 작곡했다.[* 정체는 아직까지 불명이나, 작풍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Coyaan과 동일인물이라는 설이 있다. 일본풍의 샘플링이 들어가면 Coyaan, 아니면 ZAQUVA라는 식.] 제목은 '광기어린 전도사' 정도의 뜻으로, ZAQUVA의 곡조에 정신없이 두들기는 킥을 섞어놓은 곡이다. == [[유비트 시리즈]] == [include(틀:LIGHT CHAT)]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최종 해금곡)] ||<-4><#bcbcbc><:> [[유비트 시리즈|{{{#000000 유비트}}}]] {{{#000000 난이도 체계}}}|| ||<:>난이도||<#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레벨||<:>7 ||<:>10.5 ||<:>10.9 || ||<:>노트 수||<:>771 ||<:>1039 ||<:>1252 || ||<:>BPM||<-3><:>200 || ||<-4><#bcbcbc><:>{{{#000000 아케이드 수록 버전 및 모바일 수록}}}|| ||<:>아케이드||<-3><#255258> [[유비트 애비뉴|{{{#!html 유비트 애비뉴}}}]] {{{#FFFFFF (2022.08.03)}}} || ||<:>모바일||<-3><:> 미수록 || * 관련 칭호 * [[유비트 애비뉴]] ~ * Crackpot Evangelist : 모든 보면 클리어 * 狂気が蔓延る世界(광기가 만연한 세계) : 모든 보면 풀 콤보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유비트 애비뉴]] 출시 당시에는 당초 어려운 조건을 요구했던 [[Lost Dream]]이 최종해금곡으로 예상되었으나 이후에 [[유빌리티]] 8,500(오렌지 등급 이상)을 달성 또는 '''누적 3,000튠 플레이를 하면''' 최종 캐릭터인 HALO가 열린다는 게 알려졌다. 이로 인해 Lost Dream보다도 더 오래 걸리는 해금 그리고 그를 뛰어넘는 곡의 난이도로 단숨에 LIGHT CHAT의 진 최종보스곡 자리에 올랐다. 제작진도 어려운 해금 난이도를 인지하여 [[https://twitter.com/jubeat_staff/status/1557925103362797568|해금자가 나올 때마다 조건을 완화하겠다]]고 공지했다. 2022년 9월 28일부터 조건이 유빌리티 8,000, 누적 튠 2500튠으로 낮아졌다. 2022년 12월 26일부터 조건이 유빌리티 7,500, 누적 튠 2000튠으로 다시 낮아졌다. === EXT ===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10.9레벨)]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비공식 난이도표/엑설런트/10레벨/14기)] [youtube(RsEA8vcSbio)] EXT 채보 영상 [youtube(mAgYbhfP4ug)] EXT EXC 영상 [youtube(oa8eiHsxXS4)] EXT '''STEALTH''' EXC 영상 유비트 시리즈의 네 번째 10.9레벨이자 처음으로 홀드 노트가 없는 곡이다. 가동 초기부터 10.9가 수록되는 것은 처음이지만 해금 조건이 달성하기 상당히 힘들었던 탓에 가동 8일차에야 겨우 존재가 밝혀졌다. 노트 수가 무려 1,252개에 달해 수록 시점을 기준으로 전체 노트 수 2위를 기록했다. 뮤직바의 경우 전체에서 단 13칸만 비어있고 꽉 차있다. 노트수가 이렇게 많음에도 불구하고 곡 길이는 2분을 넘지 않으며, 불과 1분 55초의 곡에 1,252개의 노트를 욱여넣은 결과 초당 밀도가 무려 10.89로 '''10을 초과해 11에 육박한다.''' 이는 아예 홀드노트를 때려박은 작열(13.05)을 제외한 나머지 곡들[* 노트수 최상위권인 XENOViA와 1116의 밀도가 9.3/9.7대에 머문다.]과도 독보적인 차이다 익스트림 패턴은 클리어, 스코어링, 엑설런트 난이도 모두 보스급에 위치한다. 전반적으로 잡노트 + 동시치기 위주의 패턴이지만 이 동시치기들의 방향도 제각각인데다 빈도도 잦은 바람에 대처하기 힘들다. 문제는 이게 노래 처음부터 끝까지 지속된다는 것. 특히 하이라이트 부분의 발광 구간은 24비트로 쪼개지는 리듬까지 섞여 있어 박자는 박자대로 어렵고, 패턴은 패턴대로 어려운 상황이 연출된다. 어지간한 최상위권 보면들의 발광/후살 패턴보다 어려울 정도. 이러한 난이도로 인해 공개 초기부터 기존 보스곡이던 [[RAISE YOUR HEADS UP]], [[XENOViA]] 등과 같은 선에 둘 수 없다는 의견이 숱하게 제기되었고 이후 [[유비트 시리즈/비공식 난이도표|10레벨 비공식 난이도표]]에서 가장 높은 기수인 14기에 단독으로 배정되었다. 또한, 이전까지 사실상 14기 취급을 받던 [[灼熱Beach Side Bunny]]가 패턴의 성향이 다르기는 하나 더 이상 엑설런트 난이도로 유일신이라 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 첫 번째 엑설런트는 곡의 정체가 드러난 지 5일만인 8월 16일에 [[A.K.R-Y |4156]]이 달성하였다. 이후에도 조금씩 엑설런트 달성자가 등장하고 있고, 2023년 7월 기준 엑설런트 달성자는 18명이다. === ADV ===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비공식 난이도표/엑설런트/10레벨/7기)] [youtube(ZKwNLqD4fvg)] ADV 채보 영상 [youtube(oiMbwfnVC9k)] ADV 엑설런트 영상 어드밴스드 중에서 이례적으로 노트수가 1000개를 넘는 것이 특징이며 추가 시점에서 어드밴스드 최다 노트수 1위가 되었다. 대부분의 배치가 단순 88 폭타로 완화되었고 복잡한 패턴들도 간단한 동시치기로 바뀌어 익스트림보다는 훨씬 쉬워졌다. 하지만 속도가 워낙 빠르고 비슷한 배치의 폭타가 계속 반복되는 탓에 헷갈릴 수 있다. 엑설런트 공략 시 후반의 12비트와 16비트를 잘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 BSC === [youtube(dehhVCL2ORU)] 베이직은 첫 등장부터 7레벨 최다 노트 수를 차지했으며, [[Megalara Garuda]] 및 [[Diastrophism]]을 제외한 일반적인 베이직 패턴 중에서는 사실상 노트수가 가장 많다. 7레벨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고밀도 동시치기가 특징이다. [[분류:유비트 애비뉴의 수록곡]]